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부동산 조세입법의 정책적 평가와 입법상의 문제

        김웅희(Kim, oung-hee) 한국조세연구포럼 2013 조세연구 Vol.13 No.3

        비정상적인 부동산시장을 안정화시키는데 있어서 부동산 관련 정책조세가 어느 정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고 이를 위한 정책적 조세입법이 필요하다는 점은 분명하다. 그러나 정책조세의 입법은 부동산시장의 경기변동의 주류를 바꿀 수 있는 정도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니고 단기간내에 그 효과를 보기 어렵다. 또한 경제사회적 상황에 따른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불완전한 모습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리고 거래세의 중과는 부동산 열기가 고조되면서 오히려 그 기능을 상실하여 그 역할을 다하지 못하다가 추후 거래가 실종되었을 때에는 비로소 미미한 부동산거래 마저 단절 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정책조세는 부동산 시장에 있어서 다른 부동산 정책입법의 보완적 정책수단으로 활용되어야 하며, 대증적 정책수단으로 활용하기 보다는 부동산 시장에 대한 정책적 신뢰감을 유지하면서 자연스럽게 시장내에서 유도적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중장기적인 방안을 일관되게 추진될 필요가 있다. 한편 정책조세는 부동산시장이 비정상적으로 과열되어 폭등하거나 붕괴되어 경기침체로 이어지는 경우에는 이를 안정화시키려 하는 정부정책이 단기간에 실효성을 가지지 못한다는 여론에 밀려 과도한 조세입법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조세입법권의 행사는 민주법치적 정당성과 그에 따른 절차적 정당성, 그리고 법체계적 정당성이 담보되어야 하며, 정부는 스스로 제안한 법안에 대한 책임을 국회에 미루고 국회가 이를 방관하는 태도는 지양되어야 하며, 궁극적으로 이는 입법부작위에 의한 실질적인 기본권 침해라는 적극적인 인식이 필요하다. 조세법이야말로 공동체구성원 상호간의 이해충돌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나는 분야임은 물론, 정당간 이해대립이나 국민과 의회간의 대립 그리고 사회 내 이익단체의 개재도 심하기 때문에 조세법이 국민 일반의 상식적 법 감정에 부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조세저항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paper suggests that tax system can be used as an instrument of real estate policy. But using tax as an instrument of real estate policy is somewhat limited to stabilize the real estate market. Current Real estate Legislation cannot be seen to be equipped as an imperfect object of political compromise according to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of time. The determination of the taxable unit in the tax code and the method of imposing the tax have historically been popular subjects of scholarly and political dabate. Although there must be no absolute real estate policy not amendable as much as the constitution, what is most urgent now is to implement the real estate policies in a longer term and consistently to recover people"s truct of the government policies. This study inspects closely how various legislative demands about taxation yield into the law in force through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inquires improvement for it. In this study, measures to improve the problems are presented. For instance, on the stage where the legislative bill is submitted, measures to make it compulsory for bill proposed by members to undertake the review of support organizations and to reinforce the legislative support organizations. On the stage of committee review, measures are presented to coordinate legislative bill of tax law budget review. This is all the more resulted from the fact that tax laws are an area that shows most noticeably the conflict of interests between the components of a community and that tax resistance may be incurred in case the tax laws are contradictory to the general law sentiment of the people because the interest confrontation between parties, the confrontation between people and lawmakers and the intervention of the interest groups are serious.

      • KCI등재

        세무사법상의 '세무사' 명칭에 관한 헌법적 연구

        김웅희(Oung Hee Kim) 한국세법학회 2009 조세법연구 Vol.15 No.1

        세무사제도는 공공성을 지난 조세전문가인 세무사로 하여금 납세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납세의무의 적정한 이행을 도모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만큼 우리나라와 일본에 있어서 세무사제도는 조세제도의 한 영역으로 취급되고 있다. 이러한 세무사제도가 입법화된 현행 세무사법에 따르면 변호사는 세무사자격을 부여받으면서도 ‘세무사’라는 명칭은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이 법률 규정에 대한 위헌 여부에 대하여 헌법소원이 제기되었으나 헌법재판소는 이 사건에 대하여 지난 2008년 5월 29일 기각결정을 내린 바 있다. 이 사건에서는 법체계, 입법기술, 적정 입법절차 등의 하자에 의해 해당 법률이 위헌이 될 수 있는지 판단해 보아야 한다. 그리고 관련 법률 규정들이 헌법상의 직업의 자유, 평등권, 표현의 자유, 행복추구권 등을 침해하는지, 그리고 과잉금지의 원칙에 위반되는지의 여부가 검토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 사건은 소비자의 권리와도 깊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이 결정으로 헌법재판소는 먼저 조세제도 및 세무행정상 세무사 직무의 공공성을 확인하고, 그 직무수행의 전문성과 그에 따른 자격요건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더불어 세무사의 명칭은 그 직무상의 공공성과 전문성의 표지가 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는 직업의 자유를 제한하는 전문자격사제도에 있어서 ‘자격사 명칭’이 가지는 의미와 그 입법의 한계에 대한 연구와 관련되어진다. 이 사건 법률 조항에서 “변호사가 세무대리의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변호사 본래의 명칭을 사용하라”고 하는 입법취지는 세무사의 고유한 전문직역을 확인함과 동시에 각 자격사의 명칭에서 표지되어지는 전문성을 통해 소비자가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는 점에서 그 입법목적의 정당성과 수단의 합리성이 인정되고 있다. The purpose of Certified Tax Accountants Act is to attain a stable tax administration and the proper execution of liabilities for tax payments by establishing a certified tax accountant system. And any certified tax accountant shall assume the mission of an expert in taxation affairs having the public duty,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axpayers and to contribute to the faithful performance of the payment of tax liability. In the current certified tax accountant law, a lawyer is qualified as a certified tax accountant, but he is not permitted to use that title(semusa). To the constitutional petition that demands the decision on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provision, the Constitutional Court dismissed it on May 29, 2008. With this decision, we could look into Constitutional Court's position on the meaning of professionals' designation in a professional legal system to restrict the freedom of occupation and limits of the legislation. And this case casts on some issues. First, we should judge whether the related law is unconstitutional because of the defects of the structure of the law, technical side of legislation and the proper procedure. In addition to this, the related provisions should be reviewed weather they violate the freedom of occupation, the freedom of equality, the freedom of expression, the right to pursue one's happiness and the principle of antioverrestriction. Finally, the case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onsumer rights.

      • KCI등재후보

        헌법상 재산권과 조세법의 기본원칙에 관한 연구

        김웅희(KIM OUNG-HEE) 한국헌법학회 2005 憲法學硏究 Vol.11 No.1

        These days,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fiscal income, economic phenomena and objects of taxation, tax laws are getting more professional and technical and accordingly even the law professionals, not to mention the ordinary people, cannot understand them easily. Moreover, the legislation of the right of taxation by the legislative branch is becoming a mere formality and the right of taxation command of the executive branch with lots of professional knowledge has inevitably to be strengthened. Consequently, this brings about more necessity for a mechanism to protect the basic right of the taxpayers from the excessive execution of the right of taxation by the nation and they more and more have no other choice but to depend on the basic principles of taxation such as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and "equality of tax burden principle". Therefore, the legislation and the interpretation of tax laws must be made by the mechanism that can allow norm-harmonious interpret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no taxation without law and equality of tax burden principle. This is all the more resulted from the fact that tax laws are an area that shows most noticeably the conflict of interests between the components of a community and that tax resistance may be incurred in case the tax laws are contradictory to the general law sentiment of the people because the interest confrontation between parties, the confrontation between people and lawmakers and the intervention of the interest groups are serious. On the other hand, a tax nation can be defined as a form of a nation that creates the base of culture and welfare by levying taxes to people, according to legal procedures, who are the main body of self-rule of a nation of citizen sovereign to achieve the nation's existence and the economic freedom that require fulfillment of need of the fiscal demand for national administration. In a tax nation, a citizen is not an object of the right of taxation, but a subject of tax obligation, and he has the taxpayer's basic right passively, a subjective public right to refuse to pay taxes unless the taxes are levied by legal procedures as stipulated by laws. In other words, the taxpayer's basic right is sublimated from the value norms in the constitutional law so that it can protect the people's property right from the unlawful(arbitrary) right of taxation by setting up supporting principles and limits for the justice of transgression on the nation's right of taxation which is "transgression of property right" in itself.

      • KCI등재

        納稅組合 徵收關係의 法的 性格에 관한 硏究

        김웅희(Kim Oung-Hee) 한국비교공법학회 2005 公法學硏究 Vol.6 No.2

        Taxpayers' association is a union formed voluntarily by taxpayers of small-scale business (meat packing, fishery, grains etc.) and salary income earners(class B). The tax collection system through taxpayers' association is a system that encourages the component members to pay income tax voluntarily so that tax payment can be made easily and a autonomous tax payment environment can be achieved by means of publicity and guidance on taxation information. In other words, this system is part of an effort to provide administrative cooperation with the tax authorities. On the other hand, The tax collection system through taxpayers' association can be understood as a temporary institution that may be abolished depending on the changeable environment of tax payment base in the future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nation's taxation power of a tax nation will be delegated the individuals. This study will review problems on its institutional status and legal character with regards to the collection relation as the tax collection system through taxpayers' association has least legal regulations for purpose of system operation and it legal character is not clear.

      • KCI등재

        조세국가의 형성과 규범적 의미에 관한 연구

        김웅희(KIM, OUNG-HEE) 한국헌법학회 2011 憲法學硏究 Vol.17 No.1

        오늘날 재정수입과 경제현상 및 과세대상 다양화로 조세법은 일반시민과 법률전문가 마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없는 전문적이고도 기술적인 영역으로 흐르고 있다. 더군다나 과세권에 대한 의회의 입법형성은 형식적으로 흐르면서 전문지식이 풍부한 행정부의 조세명령권의 강화도 불가피하게 된다. 그리고 조세국가에 있어서 국민은 과세권의 대상이 아니라 납세의무의 주체이며, 법률로 인하여 정하진 적법절차에 의하지 않고서는 이를 거부할 수 있는 주관적 공권인 납세자 기본권을 소극적으로 가지게 된다. 납세자 기본권은 본질적으로 재산권과 상충되는 국가의 과세권에 대하여 그 정당성에 대한 형성원리와 한계를 설정함으로써 정당하지 아니한(자의적인) 과세권으로부터 국민의 재산권을 보호하고자 하는 헌법상의 가치규범이 기본 권으로써 승화된 것이다. 따라서 조세법의 입법과 해석은 조세법률주의와 헌법상 기본원칙에 따라 규범조화적으로 해석되어질 수 있는 메커니즘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조세법이야말로 공동체구성원 상호간의 이해충돌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나는 분야임은 물론, 정당간 이해대립이나 국민과 의회간의 대립 그리고 사회 내 이익단체의 개재도 심하기 때문에 조세법이 국민 일반의 상식적법 감정에 부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조세저항마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조세국가라는 것은 국가활동의 재정적 수요충족에 따른 국가의 존립 및 경제상의 자유를 실현하기 위하여, 국민주권국가의 자기지배의 주체인 국민이 정당한 법률로 정하여진 조세를 적법 절차에 따라 부담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사회ㆍ문화ㆍ복지국가의 기반을 형성시키는 국가형식을 의미하게 된다. These days,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fiscal income, economic phenomena and objects of taxation, tax laws are getting more professional and technical and accordingly even the law professionals, not to mention the ordinary people, cannot understand them easily. Moreover, the legislation of the right of taxation by the legislative branch is becoming a mere formality and the right of taxation command of the executive branch with lots of professional knowledge has inevitably to be strengthened. In a tax nation, a citizen is not an object of the right of taxation, but a subject of tax obligation, and he has the taxpayer's basic right passively, a subjective public right to refuse to pay taxes unless the taxes are levied by legal procedures as stipulated by laws. In other words, the taxpayer's basic right is sublimated from the value norms in the constitutional law so that it can protect the people's property right from the unlawful(arbitrary) right of taxation by setting up supporting principles and limits for the justice of transgression on the nation's right of taxation which is “transgression of property right” in itself. Therefore, the legislation and the interpretation of tax laws must be made by the mechanism that can allow norm-harmonious interpret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no taxation without law and equality of tax burden principle. This is all the more resulted from the fact that tax laws are an area that shows most noticeably the conflict of interests between the components of a community and that tax resistance may be incurred in case the tax laws are contradictory to the general law sentiment of the people because the interest confrontation between parties, the confrontation between people and lawmakers and the intervention of the interest groups are serious. On the other hand, a tax nation can be defined as a form of a nation that creates the base of culture and welfare by levying taxes to people, according to legal procedures, who are the main body of self-rule of a nation of citizen sovereign to achieve the nation's existence and the economic freedom that require fulfillment of need of the fiscal demand for national administration.

      • KCI등재

        헌법상 조세평등주의에 대한 연구

        김웅희(Kim, oung hee)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10 世界憲法硏究 Vol.16 No.3

        입법원칙으로서의 조세평등주의는 납세자간에 조세의 부담이 공평하게 배분되도록 조세법을 조정하여야 한다는 원칙으로서, 특히 조세법령의 틀과 표현이 아무리 조세법률주의에 맞게 입법되었다고 하더라도 입법이 조세정의에 맞지 않게 제정되었다면 조세법에서의 실질적 법치주의는 실현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조세평등주의가 강조되는 것이며, 특히 조세평등주의는 조세법이 제정된 후의 해석의 문제보다도 조세법의 입안과정에서 더욱 중요시되어야 할 원칙이 되는 바, 이는 절대적 평등이 아니라 상대적 평등을 요구하는 것이다. 그 상대적 평등의 기준에 대한 각국의 판례 및 학설은 일치되어 있지 않지만, 합리성, 자의의 금지, 정의 등을 그 기준으로 삼고 있다. 문제는 조세법의 입법과정에서 이러한 헌법상 조세법의 기본원칙이 철저하게 지켜지지 않음으로써 나타나는 입법상의 미비점이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으로 드러나고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첫째 조세법의 기본원칙에 관한 헌법 및 조세법상의 이론 등을 고찰하는 가운데, 특히 조세법상의 기본원칙을 적용함에 있어서 실정법 및 판례를 통하여 이론적 근거를 검토하였으며, 둘째 조세법의 원칙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는 학설과 판례의 입장을 검토 및 정리하여 조세법률 주의.조세평등주의와의 관계를 검토하여 그 적용상의 한계를 분석하였다 The equitable taxation as a legislation principle means that tax laws should be prepared in a way to ensure fair distribution of tax burden among taxpayers. Even though the frame and expressions of tax laws ar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the real rule of law in tax laws cannot be achieved if the contents of the law are contradictory to tax justice. For this reason, the equitable taxation principle is emphasized and, in particular, this should be properly reflected and well incorporated into tax laws in the legislative process rather than used for interpretation of the laws after legislation. The equitable taxation does not mean absolute equity but relative equity. There is no consensus in precedents and theories in every country on the criteria of relative equity; but reasonableness, prohibition of arbitrariness and justice are accepted as its criteria. The problem is that some imperfections in legislation were decided to be unconstitutional by the constitutional court because the constitutional basic principles of tax laws are not kept perfectly in the legislative process. First,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oretical bases for applying the basic principles of tax laws especially were studied with examples of the positive laws and precedents while studying theories of constitution and tax laws on basic principles of tax laws. Second, by reviewing and sorting out the positions of the theories and precedents that define the principles of tax laws,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tax legalism)" and "equality of tax burden principle(tax equalitarianism)" was reviewed and the limits of their application were analyzed.

      • KCI등재

        지방세에 관한 납세자권리 구제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김웅희 ( Kim Oung Hee ) 한국지방세학회 2014 지방세논집 Vol.1 No.2

        본 논문에서는 먼저 기본권으로 헌법에 열거되지 않은 ‘납세자 기본권’이 헌법적 확신을 가질 수 있는지를 헌법이론적 차원에서 살펴 보았다. 그리고 헌법에 명문화되지 않은 ‘납세자 기본권’이 어떠한 헌법적 근거를 바탕으로 도출되어질 수 있는지와 ‘납세자 기본권’의 개념과 내용 및 그 구현방향에 대해서도 실체적으로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납세자의 실체적 권리를 보장하고 있는 「지방세기본법」이 지방세 관련 법령과 국세 관련 법령에 대해 ‘기본법’으로서 어떠한 지위를 가지는가를 분석하면서 「국세기본법」과의 법체계적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그리고 「국세기본법」 및 「지방세기본법」에서 실체적으로 규정되어 있는 ‘납세자 권리’는 ‘헌법상의 기본권’과 차별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헌법에 대한 입법 정책적 개선방안으로 “모든 국민은 법률과 적법한 절차에 따라 납세의무를 이행할 권리를 가지며, 국가재정을 형성하는 납세자로서의 지위는 보장된다.”라는 내용을 실정헌법에 명문화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한편 여러 차례의 국세기본법과 지방세기본법의 개정을 통하여 조세심판제도가 개선되어 왔지만, 납세자의 절차적 권리보장과 신속·효율적인 분쟁 해결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아직도 독립성과 공정성, 대심적 심리구조, 당사자의 절차적 권리 보장 등의 면에서 사법절차의 본질적 요소를 충분히 보장되도록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여러 가지 제도 현실의 한계와 실무적 개선의 여지를 검토하여 조세행정심판제도의 개선방안과 입법개선 방안도 검토해 보았다. This thesis examined, first of all, whether it is possible for the basic rights of taxpayers to have an assurance under the constitution as a basic taxpayer right that is not specified as basic rights in the constitution. Futhermore, an attempt was made to substantively approach the constitutional basis on which the basic rights of taxpayers that are not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can be derived and also approach the concept of the basic rights of the taxpayer in addition to a direction for its application. Based on this, there is a need to stipulate in the constitution that “all citizens have the right to carry out tax obligations according to the law and legal process and their position as taxpayers who form the finances of the nation should be guaranteed” as a measure for constitutional legislative policy improvement what is actually regulated in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and the framework act on local taxes from the viewpoint that a differentiation between “taxpayer rights” and “constitutional rights” cannot help but exist. Through amendments to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and the framework act on local taxes, quite a few improvements of the administrative tax appeal system have been accomplished. However, there still is a room for impr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protection of taxpayers’ procedural rights and expeditious and efficient dispute resolution. This paper discusses the ways to improve the administrative tax appeal system and the desired legisl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improvements under various realistic impedi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