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치단체의 시장지향(MO)에 관한 연구: 경남·경북지역 보건소를 중심으로

        허만용 대한지방자치학회 2010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1 No.4

        이 연구는 자치단체 보건소의 시장지향 정도와 시장지향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그리고 시장지향 활동이 전반적 성과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시장지향과 관련 요인들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가설을 설정하고 연구모형을 구성하였으며 경남·경북 지역의 보건소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장지향에 대한 선행변수들의 효과를 요약하면, 최고관리자 강조 및 부서간 연계가 시장지향적 활동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시장정보의 창출과 대응 활동은 전반적 성과에, 시장정보의 창출활동은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지향과 기업가정신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최고관리자의 고객 중요성에 대한 명시적 천명과 지속적 관심, 부서간의 다양한 의사교환 경로구축과 우호적 분위기 조성 활동 등을 강화함으로써 시장지향 활동이 활발해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전반적 성과와 조직몰입 정도를 제고하기 위해 각종 보건·건강사업 홍보, 고객만남의 정기화, 각종 고객조사 등과 같은 시장정보 창출 활동을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지방자치단체 목표관리제의 운영실태 분석 :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허만용,김렬,이상철 영남대학교 지역발전연구소 2003 영남지역발전연구 Vol.32 No.-

        '생산성 제고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채택된 우리나라의 목표관리제는 현재까지 소기의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 본 연구는 목표관리제의 시행 과정에서 실제로 야기되는 문제점으로부터 그 근본원인을 찾고자 한다. 제도의 실시과정의 제반 활동 등을 분석한 결과, 적응대상의 부적절성, 목표 및 지표의 불합리성, 목표 점검의 미흡, 평가결과의 신뢰성 부족 등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제도의 당초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최고관리층의 적극적인지지, 적용대상의 조정, 적절한 성과 목표·지표의 개발, 검증방법의 다양화, 목표달성도의 주기적 평가, 평가의 공정성 향상, 지속적인 교육·훈련 실시, 부서기준의 평가·보상제 도입 등이 절실히 요청된다고 하겠다.

      • KCI등재
      • KCI등재

        Hunter & Schmidt의 메타분석을 적용한 시장지향과 성과의 관계 : 목표와 문화의 조절효과

        허만용(Man Yong Heo) 한국정책과학학회 2008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2 No.1

        일반적으로 시장지향과 성과는 긍정적이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에 있다. 그러나 일부 연구는 그 관계를 부정하거나 다른 변수에 의해 조절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시장지향-성과의 관계가 단일 모집단을 가정하여도 유지될 수 있는지, 이들 관계가 조직 목표와 문화 차원에 의해 조절되는지에 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Hunter & Schmidt(2004)가 제시한 계량적 메타분석의 절차와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표본에서 시장지향-성과는 약한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위집단 분석에서는, 영리 조직과 비교한 비영리 조직에서, 개인주의와 비교한 집단주의에서 그 상관관계가 더 강한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 비영리조직에서의 시사점은 무엇인지, 향후 연구되거나 보완되어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Some studies have reported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performance. Others found the non-significant relationship or moderating variables. This study hypothesizes whether the relationship maintains under total population and whether the relationship is moderated by organizational goal and culture dimensions. Meta-analysis of Hunter and Schmidt(2004) is applied for the verification. Analysis results show weak a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e whole sample. Subgroup results show that stronger correlations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are found for non-profit compared to profit organization and for collectivism compared to individualism.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조직유형과 직위에 따른 이직의도와 조직몰입의 관계 ; 메타분석적 연구

        허만용(Man Yong Heo) 한국행정학회 2001 韓國行政學報 Vol.35 No.3

        일반적으로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면서 강한 경향이 있다. 단일 모집단을 가정하여도 이러한 관계가 유지될 수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에서 출발하여 조직 유형과 계층적 수준에 따라 몰입-의도의 관계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유도하였고 계량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하위집단간 차이의 방향에 대한 가설은 모두 기각되었다. 그러나 혼합집단(단일모집단)과의 차이를 바탕으로 하여,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연구할 때 조직유형간 및 계층적 수준간 구분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대안적으로 조직몰입의 측정 효과도 확인하여 계속적으로 구별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Generally, the correl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OC) and turnover intentions(TI)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ends to be high. Assuming that it is a single population, is this sustained? This meta-analysis examines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OC and TI differs across organization type(profit/nonprofit organization) or hierarchical level(position).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OC-TI relationship will be stronger among employees in nonprofit organizations than among employees in profit organizations, or stronger among lower-level employees than among higher-level employees. Based on the aggregation involving a total of 62 independent samples from 54 studies, results show that this hypothesis is rejected. However,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draw a distinction between organization types or hierarchical levels in studying the OC-TI relationship,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mixed groups and sub-groups. In addition, if it is accepted that the measurement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will continue to be distinct throughout the relationship.

      • KCI등재

        정책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시론적 연구 -한국정책학회와 한국정책학회보를 중심으로-

        허만용 ( Man Yong Heo ),이해영 ( Hae Young Lee ) 한국정책학회 2012 韓國政策學會報 Vol.21 No.2

        본 연구는 정책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정의·분류하고, 학문적 정체성의 하위차원에서 도출된 연구 질문과 기존 연구에서 제기된 논쟁점에 대해 학문공동체와 기존 연구들이 어떻게 논의하고 있는지를 정리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정책학의 정체성이 무엇이고 어떤 상태에 있는지, 연구 노력과 활동이 정체성 정립에 기여했는지, 학문적 정체성 구축을 위한 연구 함의는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학문적 정체성은 ``독자적이고 고유한 이론체계와 방법론 및 연구 대상과 범위를 가지고 있으면서(과학적 정체성) 경계에 따라 차이가 있고 구별되는 독특한 특징을 고민하면서(경계정체성) 공동체를 구성하여 학문의 영역과 미래를 회고·전망하는 것(집단정체성)``으로 규정하였다. 즉 정책학의 학문적 정체성은 세가지 하위 차원과 각각의 구성요소(패러다임, 한국화, 공동체 활동 등)로 이루어져 있다. 정책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다음과 같다. 정책의 개념 정립과 이론구축 등의 멀고 성가신 길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과학적 정체성 수준은 매우 낮고 그 구축은 요원하다고 하겠다. 빈약한 또는 잘못된 정책 개념을 극복하고 정당한 과정을 거친 개념 규정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정책학의 한국화에 대한 연구 요청 대(對) 무용론이나 연구 축적은 거의 없다는 비판 등이 대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계 정체성에 대한 위기를 인식하고 있지만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 축적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학문공동체를 구성하여 (한국)정책학의 위치와 미래에 대해 회고·전망의 장을 열고 있지만 공동체의 목적인 근본적 문제 등에 관한 자극은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구성원들의 응집력은 한국화 등에 대한 공동 노력이 시도되고 있는 반면, 개념 구성 등에 대한 그것은 알려진 것이 드물다. 따라서 집단정체성은 과학적 정체성의 공유(자극, 공동노력, 응집력)는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경계정체성의 공유는 시도 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개념 정립, 이론 구축 등과 같은 과학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는 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개인적 시도보다는 학문공동체의 관심과 자극이 수반된 공동 노력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This is an introductory study on the disciplinary identity of the Korean policy studies. By operationalizing the disciplinary identity into three categories of scientific, border, and collective identities, this study defines the disciplinary identity that policy studies depend on independent original policy theories, methodologies, research locus and ranges, and distinct theoretical characteristics along with the policy practices. Also it is to be retrospective and prospective domains in the policy studies. As for our research methods, we reviewed the published articles in the Korean Policy Studies Review and conference-delivered papers and other research publications under the name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from 1992 to 2010. The disciplinary identity of Korean policy studies was summarized as follows; the degree of scientific identity was considerably low and its construction efforts were to be far off mainly because Korean policy scholars avoided their academically troublesome questions of defining policy and its theory. It is essential in the scientific policy identity that scientific efforts and collaborations among policy scholars must be appeared to refine poor and sometimes wrong definitions and manipulations. In addition, some crises of the border identity in Korean policy community has repeated. However, unceasing academic activities have been observed even in the face of the conflicts between Korean contexts of policy studies and their uselessness. As of the disciplinary community, various policy conferences and/or international symposiums opened, in which Korean policy scholars exchanged their prospects and retrospects to the Korean policy studies. However, its encouragements for the community identity to some fundamental policy problems were unsatisfactory. And finally, the cohesion of the policy community by collaborative efforts for 'Koreanization' of policy studies was relatively strong even though some efforts on the establishing theories and defining the construction of the policy theories were insufficient. Thus, the corporative struggle for the scientific identity was feeble, but the border identity revealed the taking-off stage. In conclusion of those arguments by critical reviewing the Korean policy publications and achievements, for further studies and progressive movement in the Korean policy academia, some intrinsic values and paradigms to the Korean policy disciplinary identity should be developed by Korean policy scholars' collaborations with their deserving academic and practitional orientations for building policy community rather than individual seclusion and scientific euphori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