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헌 기록으로 본 마한의 대외교류와 익산

        김영관(Youngkwan Kim)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23 馬韓, 百濟文化 Vol.41 No.-

        마한이 교류한 세력은 지리적으로 인접한 三韓 내부의 辰韓과 弁韓이 있었고, 바다 건너의 洲胡와 倭도 있었다. 중국과는 後漢과 曹魏, 西晉 조정과도 직접 교류하면서, 樂浪郡, 帶方郡 등과도 교류했다. 그리고 조위와 서진의 동부도위와도 교류했다. 교류는 사신 파견이라던가 朝貢, 전쟁 등의 형식으로 이루어졌고, 물자의 공적, 사적 교류를 동반하였다. 마한 諸國은 맹주국인 目支國을 중심으로 대외교류를 추구하기도 했지만, 小國들도 개별적으로 대외교류를 추진했다. 서진과 교류한 마한은 馬韓聯盟體를 대표하는 百濟일 가능성이 있지만, 교류 관련 기록을 분석하면 아직 백제에 병합되지 않은 마한 소국이나 新彌國과 같은 세력이 교류의 주체였을 가능도 충분하다. 특정 세력이나 맹주국 중심의 교류만이 아니라 개별적인 교류도 있었다. 익산지역에 자리 잡은 마한 소국 역시 주변 소국들과 교류에 나섰고, 마한연맹체가 형성된 이후에는 마한 전체를 대표하는 맹주국이나 지역을 대표하는 세력으로 대외교류에 참여했을 것이다. 이런 교류는 익산지역이 백제에 완전히 병합되는 4세기 전반기까지 계속되었을 것이다. The Mahan Confederacy pursued external relations centered around the powerful state of Mokji, but smaller states also pursued individual external relations. Therefore, Mahan, which interacted with West Jin, may have been Baekje representing the Mahan Confederacy.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hat forces such as Mahan small states or the Shinmi state, which have not yet been merged into Baekje, were the main agents of the relations. The Mahan confederacy had interacted with neighboring states within the Three Han Primitive States(Samhan) region such as the Jinhan and Byeonhan, as well as with neighboring states across the sea such as Juho and Wa(Japan). They also had direct interactions with China such as the Later Han(25-220 CE), Cao Wei(220-266 CE), and Western Jin(265-316 CE) dynasties, and had relations with Lolang and Daifang counties. These interactions took various forms, such as sending envoys, tribute, or engaging in warfare, including official and unofficial goods exchanges. The Mahan smaller states, which were located in the Iksan area, also engaged in an exchange with surrounding small states. After the formation of the Mahan Confederacy, it would have participated in foreign exchanges as a powerful country representing the entire Mahan or as a regional power. Such exchanges would have continued until the early 4th century when the Iksan area was fully integrated into Baekje.

      • KCI등재

        고구려(高句麗) 유민(遺民) 남단덕(南單德) 묘지명(墓誌銘)에 대한 연구

        김영관 ( Kim Youngkwan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7 백제문화 Vol.0 No.57

        남단덕 묘지명은 2010년 중국 陝西省 西安市동쪽 白鹿原에서 출토되었고, 현재는 西安碑林博物館에 보관되어 있다. 묘지명은 蓋石은 缺失되었고 誌石만 남아있다. 크기는 가로 44.4cm, 세로 43.5cm로 정방형에 가까우며, 두께는 6.8~7.5cm 정도이다. 가로와 세로로 선을 그어 가로 24행, 세로 25행으로 바둑판 모양으로 구획을 한 후, 그 안에 총 533자의 지문을 새겨 넣었다. 唐 代宗때인 776년에 만들 어졌다. 남단덕의 선조는 고구려 멸망 이후 당의 安東都護府에 편적되었고, 祖父인 南狄은 磨米州 都督을 지냈고, 부친인 南于는 歸州刺史를 지내는 등 당에서 지방관으로 활동하였다. 남단덕은 南于의 맏아들로 고구려 멸망 이후인 699년 고구려 수도였던 平壤에서 태어났고, 遼東에서 성장했으며, 玄宗開元초년 (713)에 발탁되어 주로 변방의 무관으로 활약하였다. 그러다 현종 天寶14년(755)에 安祿山이 일으킨 반란에 참여하였다가 투항하였다. 그 후 수도인 長安에서 살다가 776년 향년 78세로 생을 마쳤고 백록원에 묻혔다. 남단덕 묘지명에 대한 연구는 고구려와 고구려 유민사 연구에 새로운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고구려인의 입당 이후 활동뿐만 아니라 입당 이전 고구려의 지명과 관제 등에 대한 새로운 자료이기도하다. 또한 당의 고구려 고토 지배정책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가능케 하였고, 고구려 수도인 평양성과 안동도호부에 대하여도 기존의 연구와는 다른 차원에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남단덕 묘지명의 발견으로 고구려인으로는 최초로 남씨의 존재를 확인하였고, 당의 안동도호부를 비롯한 고구려 고토지배정책과 고구려 유민에 대한 처우나 활용 등에 대해 새로운 연구 자료를 축적할 수 있었다. 또한 고구려 유민이 당에 들어가 지방관으로 활동하다가 반란의 소용돌이 속에 휘말렸다가 다시 황제에 귀부하는 등 복잡다단한 삶을 살았던 기록을 마주하게 되었다. 고구려를 멸망시키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한 薛仁貴의 증손자인 薛夔가 묘주인 남단덕의 묘지명을 작성하는 등 고구려 유민들이 당에 들어가 장안의 귀족 가문들과 직접 교류한 흔적도 찾을 수 있었다. 남단덕 묘지명은 한국사뿐만 아니라 중국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이다. The epitaph of Namdandeok(699-776), made in the year 776 during the reign of Tang(唐) Daijong(代宗), was found at Bailuyuan(白鹿原) in the eastern suburbs of Xi’an(西安), Shanxi province, China and now is owned by Xi’an Beilin Musuem(西安碑林博物館). The epitaph’s cover stone was lost. The memorial stone measures 44.4cm by 43.5cm with 6.8~7.5cm thick. Its surface is divided into a section the 24 by 25, which refers to a compartment such as a checkerboard pattern. Total 533 characters are inscribed on the section. According to the epitaph, after the fall of Goguryo(高句麗, 37 BCE-668CE) Namdandeok’s direct ancestors were under the command of Andong Dohobu(安東都護府), a type of regional government of Tang, in Pyeongyang(平壤), the capital of Goguryo. His father and grandfather were served as local governors of Tang. Namdandeok was born in Pyeongyang, grew up in Liaodong(遼東) and played an active part as a military officer in border area early Kaiyuan(開元) era(713-741). He was involved in AnLushan(安祿山, 703-757 CE)’s riot and surrendered to Tang government forces. Afterwards he lived in Chang’an(長安), the capital of Tang and died in the year 776 there. Studies on the history of Goguryo can be deepened by analyzing the inscriptions and discovering new materials such as Tang’s ruling policy at the occupied territory and usage of former Goguryo people. The surname, Nam was first found in the history of Goguryo. The inscriptions show that the former Goguryo people entered Tang and interacted with Tang aristocracy. For example, XueKui(薛夔), great-grandson of XueRengui(薛仁貴) wh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fall of Goguryo as a Tang general, wrote the inscriptions. The epitaph is an important material to studies of Chinese history as well by letting us know that Chang’an city of Tang was wrong place name. The Namdandeok’s epitaph is 24th epitaph of former Goguryo people introduced to academia. The study on it has important meaning in giving new materials to the history of Goguryo and its immigrants to Tang China, and place name and government organization of Goguryo as well.

      • KCI등재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 자연재해와 민간의 대응

        김영관(Kim Youngkwan) 백산학회 2020 白山學報 Vol.0 No.118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에 일어난 자연재해는 기상재해와 지질재해, 생물재해로 나누어살펴볼 수 있다. 이 중에서 농경과 관련된 가뭄과 홍수, 서리, 우박과 같은 기상재해와 메뚜기피해나 역병과 같은 생물재해가 백성들의 삶에 나쁜 영향을 끼쳤다. 자연재해에 대한 대책은 지배층의 입장에서는 시혜적인 측면이 강했지만, 백성들의 처지에서는 당장의 생존을 위한 선택이었다. 국가나 사회로부터 어떤 구원의 손길을 기다리는 것도재해 극복의 방법이었지만, 스스로 생존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었다. 국가의 구제를 받지 못하면 다른 나라로 도망하기도 하였고, 식량을 확보하기 위해 도적이되기도 하였다. 산천에 제사를 지내거나 기도를 하기도 했지만, 실질적인 효과는 없었다. 최악의 경우는 인신매매나 유아 살해 등도 자행되었다. 자연재해는 농사를 망치고 흉작으로 이어져백성들이 기근에 시달리고 역병에 걸리는 등 악순환의 원인이 되었다. 그러므로 민간에서자연재해에 대응하는 최종 목표는 기아로부터 벗어나는 것이었다. 이 연구를 통해 자연재해를 해결하기 위해 민간과 국가에서 내놓은 대응책이 일반적으로 어떤 경향성을 갖는지와 보편적인 방안이 무엇이었는지 찾아보았다. 그리고 자연재해의 발생과 해결책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문제 등에 대해서도 살펴봄으로써, 자연재해가 촉발한문제가 당시 사회에 끼친 영향이 무엇이었는지도 대략 밝혀보았다. Natural disaster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Unified Silla Period can be divided into meteorological, geological, and biological disasters. Among them, agriculture-related weather hazards such as droughts, floods, frosts, and hail, and biological disasters such as grasshopper damage and plague have harmed people s lives. Measures against natural disasters were nothing more than giving from the ruling class s perspective, but they were an essential option for immediate survival for the people. Waiting for a helping hand from the state or society was also a way to overcome the disaster, but it was a wise choice for the people to seek a way to survive independently. Without the state s help, the people fled to other countries and became bandits to secure food. The people sometimes held sacrifices or prayed in the mountains, but they had no practical effect. In the worst cases, they also engaged in human trafficking and infanticide. Natural disasters ruined farming and led to poor harvests, causing a vicious cycle of people suffering from famine and plague. Therefore, the ultimate goal of the people responding to natural disasters was to escape starvation. Through this study, we looked at how the countermeasures put forward by the people and the state to solve natural disasters in ancient Korea generally had a tendency and what general measures were. Besides, by looking at the occurrence of natural disasters and the problems that occurred in seeking solutions, we also briefly outlined the impact that natural disasters had on society at the time.

      • KCI등재

        웅진시대 백제의 한강유역 영유권 연구-문헌과 고고학 자료의 재검토를 통한 이해 서설-

        김영관 ( Youngkwan Kim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5 백제문화 Vol.1 No.52

        웅진시대 한강유역의 영유권에 대해서는 문헌과 고고학 자료를 이용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삼국사기』 백제본기와 지리지 간의 괴리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명이동설과 사료조작설 등이 대두되었지만, 원사료에 대한 자의적인 선택과 이용이라는 점에서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그리고 백제와 고구려 군현조의 기록이 어느 때의 영역인지 가려내야 한다. 웅진시대 백제와 고구려의 영역을 기준으로 한 것이라는 근거를 찾든지, 사비시대 말기를 기준으로 한 것인지, 아니면 시차 구분 없이 뒤섞여진 자료인지 등등의 문제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합리적인 해결이 필요하다. 한강 이남의 고구려 또는 고구려계 유적의 편년과 유물의 국적에 대해서도 재고해야 한다. 고구려의 남진에 대해서도 다면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한강 이남 경기 남부지역에서 발굴된 고구려 고분과 출토 유물들만으로 웅진시대 고구려가 한강유역을 장기적으로 점유했고 지배했다는 근거로 내세우기에는 어렵다. 지금까지 알려진 고구려 유적과 유물만으로 고구려가 한강유역을 장기적으로 지배했다고 보는 것은 무리이다. 마찬가지로 웅진시대 백제의 한강유역 경영을 기록한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기록을 마냥 조작과 오류라고만 몰아붙일 수도 없다. 오히려 백제본기의 기록을 존중할 필요가 있다. The Han River and its surrounding area have played a central role in Korean history in particular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his paper critically explores previous scholarships on Baekje``s domination over the Han River Basin during Ungjin 熊津 Era(475~538 C.E.) and tries to present my own opinion on this issue. A lot of studies on the matter based on ancient texts and modern archaeological discoveries have been conducted. However, they cannot even explain disjunctions between in “Baekje Bongi(Annals of Baekje) 百濟本紀” and “Jiriji(Treatises of Geography) 地理志” in Samguksagi(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三國史記. To solve the problem ideas that the place name was moved or the historical records were fabricated were presented by some scholars, which are criticized as selecting and using the historical sources.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 there should be clarified if the territory mentioned in “Records of Counties and Prefectures of Baekje and Goguryo” in Samguksai is belonged to Ungjin Era or late Era of Sabi(538~660 C.E.) 泗비 or otherwise the documents are mixed in terms of time frame. There also should be reconsidered when and where the relics discovered south of the Han River 漢江, were made, Baekje or Goguryo. Southward advance of Goguryo should be viewed from various aspects. Goguryo tombs and artifacts excavated south of the Han River are weak as grounds for the idea that Goguryo ruled the Han River Basin for a long time in Ungjin Era. For the same reason, Baekje Bongi in Samguksagi, which writes Baekje ruled the Han River Basin in Ungjin Era should not be regarded as fabrications and errors but rather should be respected.

      • 전력 수요 예측을 위한 에지 컴퓨팅 성능 측정 연구

        김영광(Yeonggwang Kim),이지훈(Jihoon Lee),윤준철(Junchul Yoon),김영관(Youngkwan Kim),김진술(Jinsul Kim)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전력 수요 예측 분야에서는 전력 부하 모니터링 및 수요 예측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인공지능을 주로 사용한다. 하지만, 단일 컴퓨터로 학습 시 막대한 양의 자원 소모로 과부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분산 컴퓨팅을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형태의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하지만 메인 서버로부터 거리가 먼 지역과의 정확하고 빠른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이 필요하다. 그래서 우리는 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에지 컴퓨팅을 활용하여 전력 수요 예측을 하기 위한 에지 컴퓨팅을 소개하였으며, 에지 컴퓨팅을 적용 시 응답 처리속도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제안하는 에지 컴퓨팅에서 머신러닝 학습을 수행하여 전력 수요 예측 성능을 측정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