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hase Transition and Relaxor Behaviors in the Lead Magnesium Niobate-based Ferroelectrics

        김연중,이주호,Kim, Y.J.,Lee, J.H. The Korean Vacuum Society 2008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7 No.2

        PMN계 강유전체의 MPB 조성과 공존영역의 확산성을 이해하기 위해 유전 및 초전 특성을 분석하였다. PMN-PT계는 완만한 상전이를 보였으며, 이는 하나의 상유전과 2개의 강유전상이 공존함을 의미한다. 즉, 0.7PMN-0.3PT 조성 부근에서 능면정계와 정방정계의 공존 영역인 조성변태 상경계를 확인하였으며, 이들 조성은 연속적으로 능면정계$\rightarrow$정방정계$\rightarrow$입방정계로 상전이를 하였다. PT>0.325인 조성들은 측정된 진동수 범위에서 진동수 의존성을 보이지 않는 단일상의 강유전 특성을 보였으며, PMN>0.7인 조성들은 큰 진동수 의존성과 확산상전이의 전형적인 완화형 강유전 특성을 보였다. PMN-PT계의 조성변태 상경계 조성들은 우수한 유전 및 초전특성을 나타내었다. Dielectric and pyroelectric properties of relaxor ferroelectric in the PMN-PT solid solution series have been investigated. Features of the diffuse phase transition in PMN-PT system, typical relaxor ferroelectric materials, were studie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and frequency. The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eramics with PT$\sim$0.325 did not depend on the measuring frequency. This can best realized in a relatively random environment that apparently is provided by PMN-rich complex perovskites, including those containing Pb. The composition with PT>0.35 show the characteristics of a normal single phase ferroelectric material. Thus the studies revealed that the morphotropic phase boundary in the PMN-PT system is in the vicinity of PT$\sim$0.3 and it has a small curvature and as a result the compositions near the morphotropic phase boundary show two phase transitions, rhombohedral$\rightarrow$tetragonal$\rightarrow$cubic, when the samples are heated up to higher temperature. The best optimum compositions are observed near the morphotropic phase boundary.

      • KCI등재

        Perovskite PMT-PT계의 강유전 특성 및 확산상전이

        김연중,Kim, Y.J. 한국진공학회 2008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7 No.2

        Perovskite 구조의 PMT-PT계 고용체를 precursor columbite를 이용한 산화물 혼합법으로 제작하여 결정립의 성장과 상전이 현상을 분석하였다. $1250^{\circ}C$에서 4시간 유지하여 제작한 시편의 소결밀도는 이론밀도의 97% 이상이었고, 완전한 perovskite phase를 형성하였다. 치밀하게 소결 처리된 시편의 결정립의 크기는 $6\sim8{\mu}m$로 측정되었다. PMT-PT 고용체계는 복합 강유전 고용체의 전형적인 P-E 이력현상과 강한 진동수 분산특성이 관찰되었다. 특히 PMT가 70% 이하인 조성은 상전이 온도 이상에서도 자발분극이 완전히 소멸하지 않는 relaxor 특성을 보였으며, 유전상수와 유전손실의 큰 진동수 의존성을 보였다. Ferroelectric properties of the PMT-PT were also studied from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hysteresis loops using a method slightly modified from Sawyer-Tower's. Dielectric, pyroelectric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of the ceramics in the system PMT-PT were investigated. The resulted densities of the PMT-PT ceramics system were greater than 97 % of the theoretical value. As observed SEM micrograph of the fracture surfaces of the PMT-PT ceramics system, the average grain sizes were increased about 3-5 ${\mu}m$ to 6-8 ${\mu}m$ with increasing sintering temperature. The specimens with PT<0.30 for PMT-PT solid solution system exhibited the dielectric and pyroelectric properties of a typical relaxor ferroelectrics. The composition with the maximum dielectric constant exhibits relatively superior pyroelectric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 KCI등재후보
      • 스마트 농업의 현황과 발전 방향

        김연중(Yean-Jung Kim),국승용(Seung-Young Gouk),김용렬(Young-Ryul Kim),이명기(Myung-Gi Lee),김종선(Jong-Sun Kim),김윤형(Yoon-Hyung Kim),민경택(Kyung-Taek Min),지인배(In-Bae Ji),심재헌(Jae-Hun Sim)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Vol.- No.-

        현대 농업은 전통적인 생산방식에서 벗어나 6차산업으로 범위를 확대하고 있으며, IT(정보통신)·BT(바이오)·ET(환경)·NT(나노) 등 융합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고부가가치 융합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농업과 ICT의 융합은 농림업 생산·유통·소비의 전 과정에 ICT를 접목하여 신성장동력을 확충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이며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 기상이변, 복잡한 유통구조에 따른 고비용 구조, 급변하는 소비자 기호 변화 등 농업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 농업의 현황, 개념 및 필요성을 정리하고 각 분야별 도입가능 기반 기술 및 국내외 사례 검토를 통해 스마트 농업 도입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주요 시사점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예 부문의 경우 스마트 기술은 현재 시설원예나 과수 부문에서 주로 생산비 절감, 노동 부담 절감, 고품질 생산과 품질관리 등에 초점을 맞추어 도입되고 있다. 향후 노지 채소 부문의 스마트 기술 개발 및 보급 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축산 부문 스마트 농업 확대를 위해서는 식품안전에 대한 정보의 구축과 전달이 잘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생산과 유통단계에서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생산 부문의 IT를 이용한 가축 환경 모니터링·제어체계 및 성장환경 통합관제시스템을 통한 농장 자동화 시스템을 확대·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유통·가공에서의 IT를 이용한 축산물 물류정보 융합기반 유통 선진화 기술 도입이 필요하다. 셋째, 임업의 경우 스마트 기술은 임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산림경영에 필요한 정보 콘텐츠 구축, 정보통신 인프라구축, 앱 개발, 사용자 능력 배양 등이 시급한 선결 과제이다. 넷째, 농산물 유통과 물류 분야의 스마트 기술 도입을 위해서는 농산물의 표준·규격화가 확대되어야 하며, 품목별 표준은 농산물의 유통 특성을 충분히 반영해야 하므로 공동선별을 통해 농산물을 유통하는 조직의 합의를 통해 표준을 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농촌 활력을 위해 IT를 활용하여 농촌관광, 귀농·귀촌 지원, 농촌생활지원, 농촌교육, 농촌복지, 농촌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수요자와 원활한 네트워크와 소통을 위해 첨단화된 농촌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농촌주민에 대한 IT 활용에 관한 교육과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여섯째, 지리정보는 단일 산업보다는 다른 산업과 융복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에 향후 스마트 농업 분야에서 융복합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스마트 워터그리드의 경우는 인력 및 장비의 효과적인 운용과 물절약을 통한 농업용수의 효율적인 이용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곱째, 스마트 농업 확대 및 보급을 위해서 기존 농식품 분야 IT 융합 관련사업의 운영 및 활용 실태를 점검할 필요가 있으며, 농식품 IT 융합 분야의 정부 R&D 투자 확대 및 실용화 제고를 위해서는 R&D 투자의 기획단계에서부터 실용화를 목표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는 R&BD(Research and Business Development) 방식의 추진체계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농업부문 에너지 수급 구조와 전망

        김연중(Yun-Jung Kim),박기환(Ki-Hwan Park),강창용(Chang-Yong Kang),김윤형(Yun-Hyung Kim),김한호(Han-Ho Kim),오세익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Vol.- No.-

        According to economic development and changes in internal and external economic conditions, the energy consumption structure and consumption by energy source of our country are largely changing. Nevertheless, South Korea depends on imports for most of its energy, because natural energy resources are insufficient, and is very sensitive to energy-related issues. Recently, because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raised concern about diminishing fossil fuels and global warming, the importance of energy efficiency is increasing. To understand the energy input structure of the agricultural sector in order to prepare for efficient energy management plans, it is necessary to predict energy consumption by main items. For this, input-outpur analysis was conducted. It was found that our agriculture and forestry and fisheries industry consumed 3.79 million tons oil equivalent(toe) in 2007, and the agriculture sector is expanding; on the other hand, the livestock and forestry and fisheries sectors are generally shrinking. The agriculture sector remarkably uses energy for vegetables and flowering plants, and in the case of vegetables, consumption has increased by more than 9%, and even consumption of flowering plants has increased by more than 11% above the annual average. In addition, the energy input coefficient in the agriculture sector decreased by more than 30% compared with 1995, confirming that, in general, dependence on energy is being avoided. The agriculture sector is an industry dependent on energy as a result of the relatively large input coefficient in horticulture. Meanwhile, domestic new renewable energy use in our country is just 2.43% of total consumption of the first energy but has shown a tendency to swiftly increase the supply rate of new renewable energy since 2000; however, consumption in the agriculture sector is mainly oil related compared with other industries, and the consumption of new renewable energy is almost nothing. Nevertheless, the government established a goal of expanding the supply rate level of new renewable energy to 4.3% in 2015, 6.1% in 2020, and 11% in 2030, so the use of new renewable energy is expected to increase even in the agriculture sector in the future. Energy is the most important resource for the entire range of the national economy, and because of the effect of oil price increases, it has become a major interest of agriculture. Therefore, the government is preparing various policies for the efficient use of energy as well as energy saving.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o plan energy-related efficient policy by supplying basic data on energy policy establishment in the agriculture sector by analyzing the supply and demand status of clean energy in the agriculture sector along with the potential energy demand of the main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