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토리 추출물의 3T3-L1 세포 분화억제 효과

        지연,이진,이창원,김애정,Kim, Ji-Yeon,Lee, Jin,Lee, Chang-Won,Kim, Ae-Jung 한국식품영양학회 2015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의 주요 위험인자인 비만을 예방하기 위한 식품소재로서 3T3-L1세포를 이용하여 탈피한 도토리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3T3-L1 세포에서 생존율(MTT assay)을 측정한 결과, AE와 AW 시료 모두 $500{\mu}g/mL$ 농도에서는 다소 생존율의 감소를 보여, $300{\mu}g/mL$를 최종 농도로 정하였다. 3T3-L1 세포의 지질축적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농도 $100{\mu}g/mL$로 처리하였을 때 두 시료 모두 지질축적량의 증가를 보였으나, $200{\mu}g/mL$ 처리농도에서 AE 시료는 82%로, AW 시료는 74%로 감소되다가 $300 {\mu}g/mL$ 농도에서는 두 시료 모두 약 53% 수준까지 지질축적이 억제되었다. 3T3-L1 세포에서 중성지방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AE 시료의 경우 $200{\mu}g/mL$ 농도에서 11%의 감소율, $300{\mu}g/mL$ 농도에서 42% 수준의 감소율을 보였다. AW 시료도 $200{\mu}g/mL$ 농도에서 5%의 감소율과 $300{\mu}g/mL$에서 41%의 감소율을 보였다. 3T3-L1 세포의 ROS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시료 농도 $200{\mu}g/mL$에서 AE는 42%, AW는 33%로 $300{\mu}g/mL$에서는 AE는 58%, AW는 52%로 ROS 생성량의 억제를 보였다. 3T3-L1 세포에서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두 시료(AE와 AW) 모두 $300{\mu}g/mL$ 농도에서 $PPAR-{\gamma}$은 54%와 38%, aP2는 40%와 18% 수준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탈피한 도토리는 3T3-L1 세포의 분화를 억제함으로써 새로운 항비만 소재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uppressive effect of acorn extracts, by evaluating 70% ethanol extract (AE) and hot water extract (AW) using 3T3-L1 preadipocytes. We applied various levels (0, 100, 200, 300 and $500 {\mu}g/mL$) of AE and AW to 3T3-L1 preadipocytes. The cell viability of the 3T3-L1 preadipocytes was not affected by up $300 {\mu}g/mL$ of extracts, but was suppressed by level $500{\mu}g/mL$ of both AE and AW by 20% and 9% respectively. The accumulation of lipid droplets in differentiated 3T3-L1 preadipocytes was dose-dependently suppressed by AE and AW. Especially, at high concentrations ($300{\mu}g/mL$), AE (42%) was more effective than AW (41%).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as also dose-dependently suppressed by treatment with AE (58%) and AW (52%). With regard to the mRNA related to differentiated 3T3-L1 preadipocytes, $PPAR-{\gamma}$ and aP2 were suppressed by treatment with AE (54 and 40%) and AW (38 and 18%). From our results, acorn extract (AE) has more suppressive effects than AW in differentiated 3T3-L1 preadipocytes. We therefore concluded that acorn has suppressive effects against obesity in differentiated 3T3-L1 cells due to antioxidation.

      • KCI등재

        흑삼 추출물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특성

        김애정 ( Ae Jung Kim ),신승미 ( Seung Mee Shin ),정정숙 ( Jung Suk Jung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0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3 No.3

        Sulgidduk samples containing control, 0.5, 1, 1.5 and 2% Black ginseng extracts and a control were examined for moisture content, color, textur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qualities to determine the optimal ratio of Black ginseng extracts in the formulation. The moisture content of sulgidduk added with Black ginseng extracts was 37~40%. Additionally, the lightness decreased and the redness and the yellowness increased as the Black ginseng extracts content increased. Hardness, springiness, gumminess and chewiness increase with the addition of Black ginseng extracts. however, adhesivenes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groups. Sulgidduk containing 1% Black ginseng extracts received the highest scores for color, flavor,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sensory and texture analyses, sulgidduk containing 1% Black ginseng extracts had the highest quality for commercialization.

      • KCI등재

        고문헌 기반 한국 전통죽의 영양학적 가치 재평가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를 중심으로-

        순연(Soon-Yeon Kim),송희(Song-Hee Kim),김애정(Ae-Jung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9

        우리나라는 2000년대 이후 웰빙 생활양식이 우리의 삶에 깊숙이 파고들면서 죽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져 2002년 처음으로 죽 전문점 생겼으며 그 이후 지속적인 성장을 해오고 있다. 그러나 최근 죽 시장은 기호도 중심의 죽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어 전통죽 본연의 정체성을 살린 건강죽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과학적 조리서인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 등장하는 죽 가운데 부재료가 약이성 재료인 죽을 제외한 21종 죽의 영양학적 가치를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21종 죽의 영양소 함량을 분석·비교한 결과, 죽 1회 분량의 열량의 범위는 164.41-555 ㎉/1 serving, 탄수화물은 24.91-83.82 ㎎/1 serving, 지질은 0.21-20.87 ㎎/1 serving, 단백질은 0.66-24.24 ㎎/1 serving으로 부재료의 종류에 따라 영양소 함량이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종 죽 가운데 산우죽은 비타민 B6, 칼슘, 칼륨을, 호도죽은 필수지방산과 식이섬유소를, 계죽은 단백질, 비타민 A, 엽산, 아연과 같은 면역기능에 필수적인 영양소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산우죽(부재료: 참마, 우유, 꿀), 호도죽(부재료: 호도), 계죽(부재료: 계육)의 부재료를 혼합하여 새로운 건강죽을 제조하여 보급한다면 COVID-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기에 국민의 보건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 wellness lifestyle has been deeply embedded in the lives of Koreans since the 2000s. Over the years, the interest in porridge has also increased, leading to the establishment of porridge restaurants in 2002, which have been growing continuously since. However, in recent years, the porridge market has been developing porridges according to taste preferences. Thus, there is a need to develop healthy porridges tha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porridg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nutritional values of 21 types of porridges that appear in the Imwongyeongjeji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he nutritional ingredients were analyzed and compared and the results indicated 164.41-555 ㎉ of calories, 24.91-83.82 ㎎ of carbohydrates, 0.21-20.87 ㎎ of fat, 0.66-24.24 ㎎ of protein per serving. The analysis showed that yam porridge was a source of vitamin B6, calcium, and potassium; walnut porridge, a source of essential fatty acids and dietary fiber; and chicken porridge, a source of nutrients essential for immune function such as protein, vitamin A, folic acid, and zinc. Therefore, developing a new health porridge recipe combining yam porridge, walnut porridge, and chicken porridge may be beneficial for improving the health of citize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KCI등재
      • KCI등재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로스팅 뽕잎과 오디 혼합차 개발

        김애정,강현정,민주,Kim, Ae-Jung,Kang, Hyun-Jeong,Kim, Min-Ju 한국식품영양학회 2016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9 No.6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a mixed tea prepared with roasted mulberry leaf and fruit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Roasting of mulberry leaf was by 6 stages, as shown in Fig. 1; and mulberry fruit was roasted in 4 stages, as shown in Fig. 2. Subsequently, physicochemical measurements such as total polyphenol content, nitric oxide production content,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were obtained for each sample.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applied to prepare samples containing varying contents of roasted mulberry leaf (RoML) and roasted mulberry fruit (RoMF); subsequently,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roasted samples (RoML and RoMF)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raw samples (RaML and RaMF), respectively. The nitric oxide (NO) production of roasted sampl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LPS induced RAW 264.7 cell). The ${\alpha}$-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roasted sampl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raw samples, respectively. Based on the RSM estimation for determination of optimum ratio by sensory evaluation (taste, color, and flavor) among 13 mixed samples, the optimum mixing ratio of RoML and RoMF for taste, color, and flavor were 1.64 g (RoML) and 0.88 g (RoMF), 1.35 g (RoML) and 0.92 g (RoMF), 1.65 g (RoML) 1.03 g (RoMF), respectively. Based on results of three sensory evaluations, mixing ratio comprising 1.54 g of RoML and 0.92 g of RoMF is desirable for delicious tea with functionality.

      • KCI등재
      • KCI등재

        감자 변성 전분 배합 비율에 따른 현미다식의 품질 특성

        김애정,정경희,한명륜,Kim, Ae-Jung,Joung, Kyung-Hee,Han, Myung-Ryun 한국식품영양학회 2010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3 No.1

        다식을 세계화시킬 목적으로 기능성 요소를 고루 갖추고 있는 현미에 식감과 기호도 향상을 위해 감자 변성 전분을 배합하여 품질 특성을 개선하고자 한 연구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감자 변성 전분을 현미분말의 0, 25, 50, 75, 100% 수준으로 배합하여 제조한 다식의 일반성분 측정 결과 수분 함량은 유의차는 없었지만 감자 변성 전분 배합 비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회분, 단백질 및 지방 함량은 감자변성 전분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감자 변성 전분 배합 비율이 증가할수록 밝기를 나타내는 명도(L값)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감자 변성 전분 배합비가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감자 변성 전분 100%에서 -0.40으로 유의적(p<0.001)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감자 변성 전분 배합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물성 측정 결과, 경도(hardness), 검성(gumminess) 및 씹힘성(chewiness) 모두 감자 변성 전분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 평가 결과, 색(color)은 감자 호화전분 배합 비율이 50% 수준에서 가장 좋은 평가가 나타났고, 그 이상의 비율인 50, 75, 100%로 배합 시에는 대조군에 비해 유사하거나 낮은 평가가 나타났다. 단맛(sweetness)의 경우 감자 변성 전분 25% 배합군(BM1)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입안에서의 감촉(mouthfeel)은 50% 배합군(BM2)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감자 변성 전분을 75% 이상 첨가한 경우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씹힘성(chewiness)과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quality)에 있어서도 유의적으로 감자 변성 전분 50% 배합군(BM2)이 가장 높게 평가되어 현미다식에 감자 변성 전분 배합 50%가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Dasik prepared with different 5 levels(0, 25, 50, 75, 100%) of modified potato starch powder. We assessed the general compositions, Hunter's color values,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and conducted a sensory evaluation analysis of brown rice Dasik at room temperature($20^{\circ}C$). The more modified potato starch powder composition was increased, the content of ash, protein and fa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p<0.05). We noted that the luminance of samples were increased the more modified potato starch powder composition was increased, but in Hunter's a and b values were decreased. With regard to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Dasik samples, we no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rdness, gumminess, chewiness but no differences in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adhesiveness were detected. The more modified potato starch powder composition was increased, the more the score of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higher.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color, sweetness, mouth-feel, chewiness, overall quality of the Dasik samples(p<0.05). The score of brown rice Dasik with 50%(w/w) modified potato starch(BM2) in color, mouth-feel, chewiness, overall qual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ose of other samples.

      • KCI등재

        유기산과 증점제를 첨가한 쌀국수의 품질 특성

        기선(Kim Key-Sun),한치원(Han, Chi-Won),정경희(Joung, Kyung-Hee),이승기(Lee, Seung-Kee),김애정(Kim, Ae-Jung),박원종(Park, Won-J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0 No.5

        쌀을 주원료로 국수를 제조하기 위해 유기산과 증점제를 이용하고 단백질, 덱스트린, 정제염을 첨가하였다. 혼합 유기산과 증점제를 사용한 쌀가루 반죽의 증숙 후 물성은 최대응력(max weight)은 평균 2040.00 g/cm² 이었고 탄성 139.12%, 응집력 66.05%, 씹음성 1,396.13 g, 깨짐성 190,456.12 g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쌀가루를 이용한 쌀국수제조에 적합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원료쌀의 수침은 20~25°C에서 12시간 실시하고 35°C 이하 온도에서 분쇄를 2회 실시하는 것이 적합하였고, 쌀가루의 물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혼합유기산 0.255%(무수 구연산 0.10%, 사과산 0.75%, adipic acid 0.03%, 앙조식초 0.05%), 혼합 증점제 2.820%(산탄검 1.00%, 구아검 0.80%, 알긴산나트륨 0.96%, 폴리아크릴산나트륨 0.06%), 글루텐 3.00%, 텍스트린 1.00%, 카제인나트륨 1.00%, 정제염 3.88%를 혼합한 쌀가루로 국수를 제조하는 것이 적합한 조건으로 판단되었다. In order to manufacture noodles using rice flour as its main ingredient, organic acid and thickening agents have been used, and protein, dextrin , and refined salt have added. The rice flour dough that had been baked using organic acids and thickening agent showed the max weight of 2040.00 g/cm², elasticity value of 139.12%, cohesiveness of 66.05%, chewiness of 1,396. 13g, and brittleness of 190,456.12g respectively. The appropriate conditions for manufacturing rice noodle using rice flour were that the rice was to be soaked for 12 hours at temperature of 20~25°C and to be milled twice at temperature lower than 35°C. Additionally, the most ideal condition to manufacture noodles was to use the rice flour by combining protein, dextrin and refined salt using 3.88% organic acid blend and 2.82% blend of thickening agents in order to change the rice flour properties

      • KCI등재

        모시대의 면역 활성 탐색 및 모시대 분말 첨가 현미다식의 품질 특성

        김애정(Ae-Jung Kim),한명륜(Myung-Ryun Han),명환(Myung-Hwan Kim),태기환(Ki-Hwan Tae),이수정(Soo-Ju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5

        모시대의 면역 활성 탐색 및 모시대 분말 첨가비율에 따른 현미다식의 품질 특성을 평가한 요약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모시대의 면역 활성 탐색 결과, MEE 농도 1000 ㎍/㎖(4195.8±106.9 pg/㎖)에서 IL-6 생성량은 양성대조군인 LPS(5578.7±195.9 pg/㎖)의 75% 수준이 생성되었으며, MEE 농도 200 μg/㎖(224.4±3.0 pg/㎖)과 1000 ㎍/㎖(235±7.1 pg/㎖)에서 IL-12생성량은 양성 대조군인 LPS(647±10.6 pg/mL)의 각각 34.68%, 35.70% 수준이 생성되었고, MEE 농도 1000 μg/㎖에서 TNF-α(197.62±15.83 pg/㎖)는 양성 대조군인 LPS(723±14.10 pg/㎖)의 27.32% 수준이 생성되어, 모시대를 면역 활성 관련 새로운 식물자원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모시대 분말 첨가 비율에 따른 현미다식의 일반성분 분석결과를 보면, 대조군과 비교시 모시대 분말 첨가 비율에 따른 일반성분 가운데 수분, 조단백질 및 조회분 함량에는 유의차가 없었는데, 이는 현미분말의 중량을 기준으로 1∼3%(w/w)로 첨가 비율이 낮아 수분, 조단백질 및 조회분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조지방 함량의 경우는 모시대 첨가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p<0.05). 색도 변화를 보면, 밝기를 나타내는 명도(L값)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 시 모시대 분말 1% 첨가 시료(MPD1)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2%와 3%를 첨가한 MPD2과 MPD3 시료는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적색도를 나타내는 “a” 값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 시 모시대 분말 첨가 시료들이 모두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고(p<0.05), 비교군들의 경우도 모시대 첨가비율의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를 보였다(p<0.05). 황색도 “b” 값의 경우는 대조군과 비교 시 MPD1은 유의차가 없었으나, MPD2, MPD3 시료들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p<0.05). 모시대 분말 첨가 비율에 따른 현미다식의 물성 변화를 살펴보면, 탄력성(springness)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 시 MPD1을 제외한 MPD2와 MPD3는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p<0.05). 응집성(cohesiveness)의 경우는 대조군과 모시대 분말 첨가 시료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검성(gumminess)은 대조군에 비해 모시대 분말첨가 시료들이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고(p<0.05), 모시대 분말 첨가 시료들 간 비교에서도 모시대 분말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인 증가 현상을 보였다. 씹힘성(chewiness)과 경도(hardness)는 MPD3가 대조군을 포함한 MPD1, MPD2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p<0.05). 모시대 분말 첨가 비율에 따른 현미다식의 관능평가 결과, 색상, 향,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대조군과 비교 시 시료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나(p<0.05), 조직감에서는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모시대 분말 1%를 첨가한 현미다식(MPD1)의 상품 가치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며, 차후 모시대 분말의 배합비 조절이나 첨가 형태 변화를 통해 소비자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다식의 외형 개선 후속 연구를 하고자 한다.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mmune activity of Mosidae and the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Dasik prepared with Mosidae (Adenophora remotiflora) powder. We assessed the effects of Mosidae ethanol extract (MEE) on the production of IL-6T, IL-12 and TNF-α by peritoneal exudate macrophages (PEMs) using ELISA. We also determined general compositions, and conducted Hunter's color values, sensory evaluation, and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Mosidae Dasik stored at room temperature (20℃). With MEE treatment, ILI-6 (75% of LPS: positive control), IL-12 (35.7% of LPS) and TNF-α (27.32% of LPS) were proliferated at a dose of 1000 ㎍/㎖. In the general compositions of the samples, fat contents of Mosidae Dasik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The more Mosidae powder was added to the samples, the more was the luminance, and Hunter’s a and b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As more Mosidae powder was added to the samples, springiness scor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ut the score of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increased (p<0.05).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lor, taste and overall quality of the samples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xture. We note that, among the samples evaluated herein, Mosidae stimulates some kinds of cytokines from machrophage and 1% Mosidae Dasik (MPD1) for the best commercial value.

      • KCI등재

        마늘 페이스트 첨가 머핀의 품질 특성

        김애정(Kim, Ae-Jung),신승미(Shin, Seung-Mee),정경희(Joung, Kyung-Hee),임희정(Lim, Hee-Jung),조재철(Cho, Jae-Chul)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7

        머핀 제조 시 설탕을 마늘 페이스트로 대체했을 경우 그 첨가되는 함량의 변화가 머핀의 특성에 미치는 영 향을 살펴보고자 밀가루 200g당 마늘 페이스트를 각각 0, 40, 80, 120g을 첨가하여 만든 머핀의 관능적, 기계적 특성 을 평가하였다. 색도 측정에서 L값과 b값은 대조군에 비해 마늘 페이스트 첨가군이 모두 높았고, 마늘 페이스트 양 이 증가될수록 그 수치가 높았다. a값은 대조군과 마늘 페이스트 첨가군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조직감에 있어서 경도는 대조군과 마늘 페이스트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마늘 페이스트 첨가군 사이에서는 마늘 페이스트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경도가 다소 증가되었다. 탄력성, 응집성, 점착성, 씹힘성은 대조군에 비해 마늘 페이스트 첨가군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 검사 항목 중 외관, 향, 맛, 조직감은 대조군과 마늘 페이스트 첨 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전반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마늘 페이스트 40g 첨가군이 가장 좋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머핀 제조시 설탕을 마늘 페이스트로 대체하고 마늘 페이스트 함량을 40g 정도 첨가한다면 기능성 머핀 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muffins with garlic paste. Four different paste concentration levels of 0, 40, 80 and 120g were added to 200g flour to make the muffin. In terms of color, the lightness and yellowness of the muffin increased and red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garlic paste. Among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hardness, spring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addition level of garlic past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rdness and springness of the muffin. For the sensory evaluation, appearance, flavor, taste and texture of the muffi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the control group. The appearance,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excellent in the group with the addition of 40g garlic past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uffin with 40g garlic paste added content was shown to have the best 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