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결산 공시와 감사시간 및 감사보수

        김숙민,유승원 한국회계정보학회 2014 한국회계정보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4 No.2

        본 연구는 당기 가결산 공시유형(수시공시, 공정공시)과 공시예측오차가 차기 감사시간 및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는 가결산의 공시유형 중 하나의 공시유형에 집중하여 당기 감사시간 및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한 선행연구를 보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유가증권상장기업을 대상으로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가결산 수시공시 및 공정공시 표본을 추출하여 가결산 공시와 감사시간 및 감사보수 간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이 당기의 가결산 수시공시를 한 경우 차기의 감사시간과 감사보수는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이나, 당기의 가결산 공정공시는 차기의 감사시간 및 감사보수와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가결산 예측오차가 0.01 이상인 경우 경영자와 감사인간 의견불일치가 존재하는 기업으로 간주하고 차기 감사시간 및 감사보수 간의 관계를 실증한 결과, 가결산 수시공시기업과 공정공시 기업 모두 차기 감사시간 및 감사보수와 유의한 양(+)의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감사인이 공시유형에 무차별하게 경영자의 이익왜곡성향을 감사위험을 증가시킬 요소로 파악하고 추가적인 감사시간을 투입하며 증가한 감사위험에 대한 보상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셋째, 가결산이익과 사업보고서 확정이익간의 차이를 경영자와 감사인간 불일치의 정도로 측정하여 차기 감사시간 및 감사보수간의 관계를 실증한 결과, 수시공시 기업의 경영자와 감사인간 의견불일치의 정도와 차기감사시간 및 감사보수 간의 관계는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였으나, 공정공시 기업의 의견불일치 정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는 감사인이 피감사법인의 감사위험을 평가할 때, 의견불일치 여부가 의견불일치의 정도에 선행되는 감사위험증가의 잠재적 요인으로 인지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당기 경영자와 감사인간 의견불일치의 여부와 정도가 차기 감사시간 및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함으로써 가결산 예측오차가 감사위험 증가의 요인으로 고려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가결산의 공시유형에 따라 감사인이 측정하는 감사위험이 차별적임을 나타내는 실증적 근거로서, 의무공시 혹은 자발적공시가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확장하는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

        연결재무제표 주감사인 특성이 실제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김숙민,유승원 한국세무학회 2014 세무와 회계저널 Vol.15 No.4

        This paper provides the empirical evidences that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determinantsof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audit quality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by using twoproxies (i.e., the principal auditor’s size and coverage ratio of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related to the qualities of principal auditors. Although there are a lot of evidences that managersmanage earnings through real activities, prior research focuses on the relation between thedeterminants of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 audit quality and accruals management. Thus, weanalyze the relation between the size and coverage ratio of principal auditors and real earningsmanagement by using the sample for the three years.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there is a negative relation between real earnings managementand the size of principal auditors except abnormal CFO. The results imply that consolidated auditquality is further strengthened by the size of the principal auditors, thus the improved audit qualityreduce real earnings management due to avoiding litigation and maintaining reputation. Meanwhile,there is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 between the coverage ratio of principal auditors andabnormal CFO only. This results indicate that the increased coverage ratio of principal auditorsrestrict the way of real earnings management that releases credit terms or offers cash discount. Our research makes some contributions. First, we consider both the size of principal auditors andthe coverage ratio of principal auditors and analyze the effect of the principal auditors relatedcharacteristics on real earnings management, while previous literature focuses on the relationbetween the determinants of consolidated audit quality and accruals management. Furthermore, weprovide early evidences about real earnings management using the financial data from consolidatedfinancial statement, while prior research use financial data from individual financial statement. 본 연구는 연결재무제표를 감사하는 지배회사 감사인의 규모 및 비율이 실제이익조정에 미치는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연결감사품질의 결정요인과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서의 주재무제표인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경영자의 실제이익조정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경영자는 발생액 이익조정 뿐만 아니라 광범위하게 실제이익조정을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들은 연결재무제표의 감사품질 결정요인과 발생액 이익조정 간의 관계에 집중해왔다(Graham et al 2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결재무제표 주감사인의 감사규모와 감사 비율이 커질수록 연결감사품질이 향상되어 재량적 발생액이 감소한다는 선행연구를 확장시켜 2008년부터2010까지 연결감사보고서 작성기업을 대상으로 연결재무제표의 주감사인 규모 및 비율과 실제이익조정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연결재무제표의 주감사인의 규모가 큰 경우 비정상 영업활동을 제외한실제이익조정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결재무제표 감사인이 대형회계법인인경우 소송위험과 평판에 대한 유인으로 인해 연결감사품질을 증가시켜 실제이익조정을 감소시키는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주감사인 비율과 실제이익조정 변수간의 관계에서는 비정상 영업현금흐름의 경우에만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였다. 이는 주감사인 비율이 증가할수록 실제이익조정의 3가지 방법 중 경영자가 정책적으로 현금할인을 증가시키거나 신용조건을 완화하여 현금흐름을 감소시키는 이익조정 수단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의 강건성 확보를 위해분기보고서 검토의무기업, 목표이익달성 유인이 높은 기업, 유가증권 및 코스닥 상장기업, 제조업에 포함된 기업을 대상으로 연결재무제표 주감사인 특성과 실제이익조정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추가분석결과는 주요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결재무제표의 주감사인 규모와 비율을 모두 고려하여 주감사인이 실제이익조정을감소시키는지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연결재무제표 감사품질 결정요인과 발생액이익조정에 집중한 선행연구와 차별점이 있다. 또한, 국내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이 개별재무제표의재무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한국채택회계기준(K-IFRS)의 도입으로모든 상장법인에 대해 일괄 적용된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실제이익조정의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녹색성장 정책도입에 대한 자본시장 반응연구:정부정책 및 민간규준을 중심으로

        김숙민,김선미,이동헌,유승원 한국회계정보학회 2013 회계정보연구 Vol.31 No.2

        The interest in ‘green growth’ is globally increasing due to the severity of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 The Korean government also determined green growth as a new paradigm of national development. Although green growth is clearly a new strategic business for leading national development, there are no empirical evidences about the response of market participants for the government policies and private sector standar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the green growth policies of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and the market response on the green-index companies. For the 16 green-index companies, we investigate cumulative abnormal returns of four events closely related to green growth policies. These main event days are (1) the announcement day of New Dynamic for Next Generation Vision and Development Strategies, (2) the enactment day of Framework Act on Low Carbon Green Growth Act, (3) the establishment day of Green Finance Due Diligence, and (4) the amendment day of tax deduction for R&D expenses of New Dynamic for Next Generation industries. The market does not significantly respond to the first and fourth events and reacts to the second event with partial significance. However, we find a significant market reaction on the green-index companies when the private sector established the Due Diligence of Green Financ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details of the Due Diligence of Green Finance was received as a good news to market participants. Since there are different market reactions between government policies and private sector standard, our researches give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green growth’ standard setters. 최근 기후변화와 환경에 대한 심각성이 고조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녹색성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녹색성장은 향후 국가의 성장을 이끌어낼 새로운 전략산업임에는 분명하지만 정부와 민간의 정책이 자본시장참여자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는가에 대한 실증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9년부터 시작된 정부와 민간의 녹색성장정책이 녹색산업지수 편입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자본시장의 반응을 통해 측정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16개의 녹색산업지수 편입기업을 대상으로 녹색성장 정책과 관련된 중요 사건일인 신성장동력 비전과 발전전략 발표일(2009.1.13),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제정일(2010.1.13), 녹색금융운용모범규준 제정일(2010.6.30.), 신성장동력산업분야 연구개발비 세액공제 개정일(2010.12.27)의 누적초과 수익률을 살펴본 결과 사건일 별로 정책의 통계적 유의성에 차이를 보였다. 정부의 신성장동력 비전 및 전략 발표일, 신성장동력 산업분야 연구개발비 세액공제 개정안 발표일에는 시장이 유의하게 반응하지 않았으며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제정일에는 부분적으로 양의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한편, 은행과 금융투자협의회의 녹색금융운용모범규준이 제정되었을 때 녹색산업지수 편입기업과 사건일의 누적 초과수익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였다. 이는 기업의 규모와 산업이 유사한 대응표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을 때도 여전히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녹색금융운용모범규준이 담고 있는 주요내용이 자본시장 참여자들에게 호재(Good news)로 작용하여 초과수익률이 발생한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정부와 민간의 녹색금융 정책에 따른 시장의 반응을 제시하여 향후 정부와 민간의 녹색 정책입안자에게 정책에 대한 시장의 평가와 관련된 의미있는 결과를 제공하고 있다.

      • 녹색성장 정책도입에 대한 자본시장 반응연구 : 정부정책 및 민간규준을 중심으로

        김숙민,김선미,이동헌,유승원 한국회계정보학회 2012 한국회계정보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2 No.2

        최근 기후변화와 환경에 대한 심각성이 고조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녹색성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 또한 2009년 신성장동력 비전과 발전전략 발표를 시작으로 ‘녹색성장’을 신국가발전 패러다임으로 확정하였다. 또한 은행과 금융권에서도 녹색 패러다임을 도입하여 녹색금융운용모범규준을 제정하였다. 녹색성장은 향후 국가의 성장을 이끌어낼 새로운 전략산업임에는 분명하지만 정부와 민간의 정책이 자본시장참여자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는가에 대한 실증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9년부터 시작된 정부와 민간의 녹색성장정책이 녹색지수편입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자본시장의 반응을 통해 측정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16개의 녹색지수편입기업을 대상으로 녹색성장 정책과 관련된 중요 사건일인 신성장동력 비전과 발전전략 발표일(2009.1.13),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제정일(2010.1.13), 녹색금융운용모범규준 제정일(2010.6.30.), 신성장동력산업분야 연구개발비 세액공제 개정일(2010.12.27)의 누적초과 수익률을 살펴본 결과 사건일 별로 정책의 통계적 유의성에 차이를 보였다. 정부의 신성장동력 비전 및 전략 발표일, 신성장동력 산업분야 연구개발비 세액공제 개정안 발표일에는 시장이 유의하게 반응하지 않았으며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제정일에는 부분적으로 양의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이는 정부의 공식발표 전에 해당 정보에 대한 대부분의 내용이 이미 시장에 누출되어 시장이 이미 반응을 했거나 녹색성장 정책에 대한 의구심으로 인해 시장이 새로운 뉴스를 호재(Good news)로 간주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한편, 은행과 금융투자협의회의 녹색금융운용모범규준이 제정되었을 때 녹색지수편입기업과 사건일의 누적 초과수익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였다. 이는 기업의 규모와 산업이 유사한 대응표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을 때도 여전히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녹색금융운용모범규준이 담고 있는 주요내용이 자본시장 참여자들에게 호재(Good news)로 작용하여 초과수익률이 발생한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정부와 민간의 녹색금융 정책에 따른 시장의 반응을 제시하여 향후 정부와 민간의 녹색 정책입안자에게 정책에 대한 시장의 평가와 관련된 의미있는 결과를 제공하고 있다. Recently, upsurging the severity of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 the interest of Green growth has been globally increasing. Beginning with the announcement of the new growth dynamic for next generation vision and development strategies in 2009, Korean government also introduced Green growth as the paradigm of new national development. Although Green growth is clearly a new strategic business for leading national development, there is not empirical researches enough to show the response of market participants for the government policies and private sector standar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the Green index companies and the market reponses about Green growth policies of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in order to provide some political implications. Focusing on 16 companies listed in Green index, we investigate Cumulative Abnormal Return (CAR) of four important event days closely related to Green growth policies. These main event days which are the day of the announcement of the new growth dynamic for next generation vision and development strategies (First event, 2009.1.13), the day of the enactment of Framework Act on Low Carbon Green Growth Act (Second event, 2010.1.13), the day of the establishment of Green finance management model standard (Third event, 2010.6.30.), the day of the amendment of tax deduction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ses of the new growth dynamic for next generation industries (Fourth event, 2010.12.27) show different statistical significances. The market does not significantly respond to the first and fourth events at all and shows partial significance on the second event. We interpret these results for two ways. First, there are some possibility of leaking Green growth information before the formal announcement. Second, the market doubt the government policies for Green growth and does not consider Green growth news as good news. However, we find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CAR and Green index companies when the private sector establish Green finance management model standard. It still hold when we use industry and size matching samples.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details of this standard act as a good news to market participants. Since there are the directly-opposed market reaction between government policies and private sector standard, this paper provides academic insights into research area and political implications for the Green growth standard regulators.

      • KCI등재

        녹색인증기업이 조세회피 및시장의 사후평가에 미치는 영향

        김숙민,유승원,김선미 한국세무학회 2015 세무와 회계저널 Vol.16 No.5

        This paper provides the empirical evidences that investigate Green Certificated Companies (hereafter, GCCs) on tax avoidance and ex-post market evaluation. Although corporations’tax avoidance have a positive side that minimizes cash outflow from tax-expense, market might have a negative image of firm whether tax-authority determines firms engaging in tax-evasion(Ki 2012). If Korea’s green growth tax regulation does not provide a proper tax-benefit to GCCs, they might use tax avoidance to maximize the value of company. Otherwise, if GCCs consider nontax cost, managers of GCCs persue less activate tax avoidance policy. Meanwhile, Green Certification Program of Korea are served as enhancing the image of company, marker participants might positively evaluate for GCCs. However, if stockholders decide there are inefficient supports(i.e., tax benefit, financial funding, etcs.) to GCCs, they evaluate the GCCs negatively. This study use Korean market listed firms from 2010 to 2014. Among our samples, we use GCCs as our main dependent variable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GCCs and tax avoidance and ex-post market evaluation. We measure tax avoidance using several effective tax rates and ex-post market evaluation as Tobin’s q(Kang and Kim 2012). According to our results, the tax avoidance level of the GCCs is lower than non-GCCs, but those of relation just occur at the initiative time of Green certification. Moreover, market participants evaluate GCCs favorably and this effects continue to t+4 years after firms included in Green Certificated Programs. Since GCCs persue the enhancing corporation image as social responsibility business unit, they look forward to have a safe tax strategy. Market participants also evaluate GCCs favorably due to GCCs’image.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and shows that Green Certificated Program affects the firm’s tax strategies and decision. Second, this study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corporate valuation for GCCs by providing the empirical results. 본 연구는 녹색인증기업이 기업의 조세회피 및 시장의 사후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기업의 조세회피 행위는 조세로 인한 현금유출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존재하지만, 절세와 탈세의 중간지대로 과세관청의 판단에 따라 탈세로 판정되는 경우 기업이미지 손상으로 시장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받게 될 수 있다(기은선 2012). 우리나라의 녹색인증을 통해서 얻는 추가적 조세혜택이 녹색인증과정에서 발생하는 유무형의 비용에 비해 작은 경우에는 이러한 손실을 보충하기 위해서 조세회피 성향을 보일 것이다. 반면, 조세회피로 인해 수반되는 비조세비용(nontax cost) 등을 고려해본다면 녹색인증기업의 경영자는 위법성이 낮은 안전한 세무전략을 추구하여 덜 적극적인 조세회피를 추구할 가능성도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녹색인증제도가 기업의 이미지 제고수단으로 활용된다면 투자자들은 녹색인증 기업가치에 대해 사후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할 것이나 반대로 녹색인증제도를 통한 세제지원이나 금융지원이 부족하여 다른 기업과 차별점이 없다고 판단한다면, 동 기업의 가치를 부정적으로 평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유가증권 상장기업과 코스닥 상장기업을 표본으로 사용하였으며 이 중 녹색인증기업을 관심변수로 선정하여 조세회피와 사후시장평가 간의 관계를 실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세회피측정은 Desai and Dharmapala(2006)이 제안한 세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Abnormal Book tax Difference)를 조세회피추정치로 사용하였다. 이에 더하여, 유효법인세율, 현금유효법인세율 및 산업·규모조정 유효법인세율을 조세회피 대용치로 사용하였으며 사후시장평가의 대용치로는 Tobin's q로 측정하였다(강정연과 김영철 2012). 분석결과 녹색인증기업의 조세회피수준이 비녹색인증기업의 조세회피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녹색인증기업의 장기적인 조세회피수준을 실증분석 한 결과, 녹색인증 초기단계에서만 유의한 결과 값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투자자들은 녹색인증기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이러한 효과는 중·장기적으로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녹색인증기업은 사회적 책임단위로써 이미지 제고를 추구하기 때문에 주가감소, 매출하락, 기업가치 감소 등의 조세회피 부작용을 고려하여 안전한 절세전략을 추구하며 투자자들도 이러한 녹색인증기업에 대해 사후적으로 긍정적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녹색인증제도가 기업의 조세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녹색인증기업에 대한 사후적 기업가치 평가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우수등재

        주가붕괴와 경영자 이익예측 공시 의사결정 및 특성

        김숙민 ( Sook Min Kim ),유승원 ( Seung Weon Yoo ) 한국회계학회 2018 회계학연구 Vol.43 No.5

        본 연구는 주가붕괴가 경영자 이익예측 공시 의사결정과 그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경영자 이익예측 공시의 정보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는 정보의 흐름을 일방향(one way)으로 간주하여 경영자가 공시한 예측정보를 자본시장이 활용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자본시장은 경영자가 보유한 정보보다 가치관련성이 높은 정보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자본시장에서 형성된 기대치가 경영자 이익예측 공시 의사결정의 기준점이 될 수 있는 점에서 본 연구는 자본시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움직임 중 주가붕괴가 경영자 이익예측 공시 의사결정, 경영자 이익예측 편의 및 그 오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Habib et al.(2016)이 제시한 주가붕괴의 3가지 측정치를 활용하여, 주가붕괴가 경영자 이익예측 공시 의사결정 및 그 특성에 미치는 관계를 분석하였다. 2001년부터 2013년까지의 기간 동안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가붕괴가 경영자 이익예측 공시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주가붕괴 이후 경영자의 이익예측정보 공시확률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가붕괴가 경영자 이익예측 공시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주가붕괴 이후 경영자 이익예측 편의와 그 오차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영자가 주가붕괴 이후 일시적인 기업가치 상승을 위하여 낙관적이고 부정확한 이익예측 정보를 공시하기 보다는 기업과 기업외부 이해관계자들간의 신뢰제고를 위하여 노력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자본시장의 반응이 경영자 이익예측 공시 의사결정과 공시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 결과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구체적으로 주가붕괴가 기업가치를 하락시키고 현금흐름의 변동성을 증가시킴에 따라 경영자로 하여금 예측정보공시를 촉진함을 보였으며, 주가붕괴 이후의 경영자는 기업과 기업외부 이해관계자들간의 신뢰제고의 수단으로 예측정보를 활용함을 보였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고 판단된다. The prior literature focusing on the information effect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considers information flow as one way and interprets that capital market use forecast information which is given by manager. However, capital market might have higher value-relevant information than manager and the expectations formed by capital market might affect the decision making of issuing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Dye and Sridhar 2002, Zuo 2016, Sletten 2012, Li and Zhang 2015). Therefore, I investigate whether stock price crash which is one of the various moves in capital market affect the tendency, bias and error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or not. The sample of research is 5612 Korean listed firm-year observations from 2001 to 2013.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 find that stock price crash leads to an increase in disclosure probability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Second, I find that stock price crash leads to an decrease in the bias and error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This paper contributes to extend the prior evidences that document the effect of capital market reaction on tendency and characteristics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The findings imply that information demand of capital market participants promote manager to disclose the firm’s future prospect because stock price crash leads to higher uncertainty of cashflow and lower firm value.

      • 녹색인증기업이 조세회피 및 시장의 사후평가에 미치는 영향

        김숙민(Seon Mi Kim),김선미(Sook Min Kim),유승원(Seung Weon Yoo) 한국경영학회 2014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8

        본 연구는 녹색인증기업이 기업의 조세회피 및 시장의 사후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기업의 조세회피 행위는 . 조세로 인한 현금유출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존재하지만, 절세와 탈세의 중간지대로 과세관청의 판단에 따라 탈세로 판정되는 경우 기업이미지 손상으로 시장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받게 될 수 있다(기은선 2012). 우리나라의 녹색성장 조세제도가 기업의 실질적 조세혜택을 제고하지 못한다면 기업의 입장에서 기업가치를 극대화하는 조세회피 수단을 이용할 것이다. 반면, 조세회피로 인해 수반되는 비조세비용(nontax cost) 등을 고려해본다면 녹색인증기업의 경영자는 위법성이 낮은 안전한 세무전략을 추구하여 덜 적극적인 조세회피를 추구할 가능성도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녹색인증제도가 기업의 이미지 제고수단으로 활용된다면 투자자들은 녹색인증기업가치에 대해 사후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할 것이나 반대로 녹색인증제도를 통한 세제지원이나 금융지원이 부족하여 다른 기업과 차별점이 없다고 판단한다면, 동 기업의 가치를 부정적으로 평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유가증권 상장기업과 코스닥 상장기업을 표본으로 사용하였으며 이 중 녹색인증기업을 관심변수로 선정하여 조세회피와 사후시장평가 간의 관계를 실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세회피측정은 유효법인세율, 현금유효법인세율 및 산업·규모조정 유효법인세율을 사용하였으며 사후시장평가는 Tobin``s q로 측정하였다(강정연과 김영철2012). 분석결과 녹색인증기업의 조세회피수준이 비녹색인증기업의 조세회피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투자자들은 녹색인증기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이러한 효과는 t+2기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녹색인증기업은 사회적 책임단위로써 이미지 제고를 추구하기 때문에 주가감소, 매출하락, 기업가치 감소등의 조세회피 부작용을 고려하여 안전한 절세전략을 추구하며 투자자들도 이러한 녹색인증기업에 대해 사후적으로 긍정적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녹색인증제도가 기업의 조세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지의 여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녹색인증기업에 대한 사후적 기업가치평가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5% Rule Disclosure and Stock Trading Volume : Evidence from Korea

        김응길,김숙민 한국유통과학회 2019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 Vol.6 No.4

        Despite the fact that the implementation of 5% rule is widely recognized to enhance the transparency of capital market and fairness of corporate governance market, a few evidences present information effect of 5% rule. Using 7,088 non-financial firm-year observations listed on the Korea Stock Exchange from 2006 to 2012, we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trading volume and 5% rule disclosure. The results show that the daily and abnormal trading volume is increased when 5% rule disclosure is released. Moreover, the trading volume i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cooling period. Specifically, trading volume is significantly greater when one day before cooling period or the expiration day of cooling period. We also find the information effect of firms with stable ownership structure before 5% rule disclosure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firms with unstable ownership structure with unstable ownership structure. These results imply that capital market participants use the information from 5% rule disclosure and reflect in their real economic decision.

      • 가결산 공시이후 개별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수정

        이동헌,유승원,김숙민 한국회계정보학회 2015 한국회계정보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5 No.1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09년까지 가결산 이익의 공시이후 나타나는 재무분석가 예측의 수정정도와 수정예측의 특성을 분석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가결산이익은 정보불균형과 적시성을 목적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자본시장에서 유의한 정보로 활용되고 있음을 실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가결산 이익이 자본시장의 정보중개인의 역할을 하는 재무분석가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바는 실증적 분석이 미진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가결산이익 공시이후 재무분석가의 수정행태를 분석함으로써 기업이 제공하는 정보가 재무분석가에 의해 어떻게 활용되고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결과 가결산 이익 공시 이전 7,414개의 재무분석가 예측치 중에서 1,527개의 예측이 수정되었으며 이와 관련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결산 이익예측 공시 이후 가결산 이익과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의 차이가 클수록, 가결산 이익의 공시유형이 수시공시보다 공정공시일 경우, 명성이 있는 재무분석가일수록, 대규모 증권사 소속 재무분석가일수록 업무복잡성이 낮은 재무분석가 일수록 수정예측에 관한 보고를 공시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는 재무분석가 예측수정의 공시의 결정에 있어서 공시정보의 특성 및 재무분석가 인적특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수정된 재무분석가 예측은 가결산 이익예측과의 차이를 반영하고 있으며, 명성있는 재무분석가는 이러한 예측정보의 차이를 증분적으로(incremental) 반영한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재무분석가는 가결산 예측의 차이를 예측수정에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가결산정보가 자본시장에서 중요한 정보의 원천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재무분석가의 예측수정의 공시와 관련해서 내재적 특성에 관한 근거와 이론적 모형은 제시되었으나 실증적 검증은 미진하였다. 본 연구는 가결산 이익의 특성 및 재무분석가 인적특성과 같은 수정공시의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재무분석가의 예측수정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개별사외이사 재임기간, 재무보고의 질, 재량적 발생액

        김선미(Seon Mi Kim),김숙민(Sook Min Kim),신상훈(Sang Hoon Shin) 한국경영학회 2016 Korea Business Review Vol.20 No.2

        외환위기 이후 기업지배구조개선의 일환으로 제도화 되어 1998년 모든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의무적으로 선임하도록 규정화된 사외이사(Outside Director)는 경영진에 대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감시를 통해 기업의 회계부정이나 오류의 발생가능성을 저지하고, 이를 통해 재무보고의 질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개별사외이사의 재임기간이 재무보고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Dechow et al(1995)과 Kothari et al(2005)이 제시한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하여 살펴봄으로써 사외이사가 기업지배구조 상에서 경영진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개별 사외이사 재임기간은 재무보고의 질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별 사외이사의 재임기간이 늘어날수록 독립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재무보고의 질이 낮아진 결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강건성 강화를 위해 다양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개별 사외이사의 특성을 통제한 모형으로 실증분석을 하였으며, 종속변수로 사용된 재량적 발생액의 측정치 한계점 극복을 위하여 전기오류수정과 Francis et al. (2005)에서 사용한 재량적 발생액 측정치를 사용하여 개별사외이사의 재임기간이 재무보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Panel Data를 통제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공헌점을 가진다. 첫째, 외부정보이용자들에게 투자의사 결정에 유용한 정보로써 활용될 수 있는 재무정보의 신뢰성 측면을 개별사외이사 재임기간을 기준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둘째, 최근 언론에서 논의가 되고 있는 사외이사 재선임 문제와 관련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개별수준에서 사외이사의 재임기간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본 연구결과는, 이사회 특성 및 재무정보의 질과 관련한 후속연구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individual outside directors’ tenure on financial reporting quality. Specifically, we are looking at the impact of individual outsider directors’ tenure on the discretionary accruals introduced by Dechow et al. (1995) and Kothari et al. (2005) as a proxy of financial reporting quality. We might provide the insight whether outside directors’ tenure plays as a control mechanism. In the recent year, a few of studies start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outside directors at the individual level. For example, Yang and Kim (2013) examine the effect of outside directors on the financial reporting quality by incorporating the personal traits of directors. They use the variables whether the boards were law majors or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s. In the same stream of this, the recent newspapers’ articles raised the effectiveness of outside directors at the individual level. They argue that the tenure of individual outside directors ar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monitor the management opportunistic behaviors. Therefore, we examine the impact of outside directors’ tenure on the quality of financial reporting at the individual level. We focus on the conflicting roles by using the tenure of outside directors at the individual level as an important context of corporate government. We find that the negative impact of outside directors’ tenures on discretionary accruals, when the tenures of outside directors are longer. This finding supports the view that the tenure of outside directors may exacerbate inefficient financial information environment. It leads to ultimately internal control deficiencies. In addition, these findings are helpful to the literature which investigates the effect of personal traits in their companies by showing the inefficient effect of outside board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