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르마끼르띠에 있어서 언어인식의 문제

        김성옥 ( Seong Ock Kim ) 인도철학회 2014 印度哲學 Vol.0 No.41

        본 논문의 목적은 7세기 불교논사인 다르마끼르띠(약 600~660년)의 논리에 따라 음성의 발성과 그것에 대한 인식의 문제를 해명해보고자 하는 데 있다. 그는 우리의 인식이란 외부에 실재하는 대상의 인식이 아니라, 대상이 知에 남긴 형상을 파악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따라서 모든 인식은 知자신의 인식, 즉 자기인식(svasamvedana)일 뿐이다. 그런데 2중모음 등 장모음에 있어서 발성된 앞선 모음은 어떻게 다음 모음이 발성 될 때까지 남아 있다가 장모음에 대한 최종적인 인식을 성립시키는 것일까. 여기에서 다르마끼르띠는 앞선 순간 경험된 것에 대한 자기인식이 없다면, 장모음에 대한 인식은 가능하지 않다고 말한다. 그는 먼저 디그나가의 이상성(二相性)의 논리에 따라 ‘대상의 형상’과 ‘[지(知)] 자신의 형상’ 두 가지가 생겨난다는 것을 추론하고 자기인식이 성립함을 논증하고 있다. 또한 기억에 의하여 자기인식의 성립함을 논증하고 있다. 장모음에는 앞선 찰나와 이후 찰나에 걸쳐 다수의 부분음성들이 생겨나기 마련이다. 이 문제를 ‘다수의 형상은 단일한 知에 의하여 파악된다’고 말하는 다르마끼르띠의 진술을 통해 해명해볼 수 있지 않을까. 이러한 진술은 후대에 전개된 다양불이론의 단초가 되기도 하는데, 공간적으로 펼쳐진 다양한 색의 인식을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다수의 부분음성의 인식에도 적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This paper has an intention of explaining the vowel sound perception in the Pramanavarttika kk. 484~510. According to Dharmakirti`s theory, it is insisted that the object of cognition is not an external object, but we can only recognize the akara which appears in awareness. The akara in the awareness could be said the cognition itself. Therefore all the cognition is the reflexive awareness, namely ``the self-cognition(svasamvedana)`` Then how can we explain the awareness of a diphthong, a multiplex vowel and so on? How can the preceding vowel last till the following vowel? In this point Dharmakirti drew the theory of self-cognition. If there is not the self-cognition, he insisted, it is not possible to perceive a long vowel. First of all he demonstrates the theory of dvirupata according to Dignaga. The dvirupata theory suggests the model of two forms of akara, namely the akara of object and cognition itself. Then he argued the establishment of self-cognition. And he insisted that self-cognition can be established from the recollection(smrti). The awareness of a long vowel is composed with the partial vowels between the preceding and the following. How can the one awareness grasp all the partial vowels? Here we can induce the Dharmakirti`s mention: the various akaras can be cognized with only one perception. This statement is supposed to the clue of citradvaita theory. As like the various colours can be cognized with one awareness, it could be explain the partial vowels can be cognized with one awareness. I think it should be said that the possibility of such awareness lies in the basis of sakaravada and svasamvedana.

      • KCI등재

        『법법성분별론』의 법(dharma)과 법성(dharmatā)

        김성옥 ( Kim Seong Ock ) 인도철학회 2020 印度哲學 Vol.0 No.58

        인도불교에서 그 어떤 용어도 다르마(dharma)만큼 집중적으로 연구된 것이 없다. 하지만, 그만큼 일치하지 않는 것도 없다. 무엇보다 이 용어의 의미는 너무 포괄적이어서 한 가지로 확정하기가 쉽지 않다. 여러가지 문헌들 가운데 다양한 맥락 속에 등장하기 때문이다. 불교에서 법의 의미 역시 붓다의 교설이나 궁극적인 진리, 개별적인 사물이나 현상에 이르기까지 실로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있다. 불교 문헌 가운데 법과 법성을 직접적으로 논의하고 그것을 논서의 제목으로 삼은 『법법성분별론』이 있다. 이 논서에서 법의 특징은 소취·능취와 소전·능전이라는 비존재의 현현, 이른바 허망분별로 정의된다. 반면에 법성의 특징은 그러한 현현이 사라진 진여로서 정의된다. 법성은 여러가지 현상계의 법들과 구분되지만, 인식되는 그 대상을 달리하는 것은 아니다. 대승경전에서 법성이라는 개념은 개개의 사물을 넘어서는 보편적인 관념, 즉 공상(共相)으로서 무상·고·무아 등을 표현하는 데 점차 유력하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법법성분별론』에 나타나는 법성의 개념이 『중변분별론』의 공성이나 『유식삼십송』의 원성실성과 동의어로 사용되는 것은 유식학파와의 깊은 영향 관계를 보여준다. 법과 윤회, 법성과 열반을 연결 짓는 논리가 『중론』의 구도와 일치한다는 점에서는 중관 논서와의 영향관계도 간과 할 수 없다. 법과 법성을 분별하는 이 논서의 궁극적 의도가 법과 법성의 구분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양자의 같지도 않고 다르지도 않음으로 귀결된다는 것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더불어 『법법성분별론』의 교학적 위상은 중관과 유식의 영향 관계를 모두 고려할 때, 보다 온전하게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In Indian Buddhism no term has been more extensively studied, but has generated a inconsistency than dharma. Above all the meaning of this term is so comprehensive that it is not easy to confirm it as one thing. Because it appears in different contexts among various literature. The meaning of dharma in Buddhism also spans a wide range from Buddha's doctrine to ultimate truth and individual objects and phenomena. Among the Buddhist literature there is Dharmadharmatāvibhaṅga, which directly discusses dharma & dharmatā, and makes it the title of the text. In this text the dharma is defined as the manifestation of the non-existence, namely untrue discrimination. On the other hand the dharmatā is defined as the disappearance of such a manifestation. The dharmatā is different from the dharmas in various phenomena, but it is not different on the object which is perceived. It seems that the concept of dharmatā gradually became more prevalent in the Mahāyāna scriptures for the expression of universal ideas, namely sāmānyalakṣaṇa beyond individual objects, in expressing anityatā, duḥkhatā, nairātmyatā. The use of the concept of dharmatā in the Dharmadharmatāvibhaṅga as a synonym for the sūnyatā in the Madhyāntavibhāgabhāṣya and the pariniṣpanna- svabhāva in the Triṃśikāvijñaptibhāsya shows a deep influence with the Vijñānavād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harma and saṃsāra, dharmatā and nirvāṇa is consistent with the composition in the Mūlamadhyamakakārikā, so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with the Madhyamaka cannot be overlooked.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 ultimate intention of this text to distinguish between dharma & dharmatā does not end with the distinction between dharma & dharmatā. Both are neither the same nor the different. The doctrinal status of Dharmadharmatāvibhaṅga would be able to establish itself more fully when considering both the relationship of Madhyamaka and Vijñānavāda.

      • KCI우수등재

        인공지능 ‘자유의지’ 논의에 대한 선결조건 : 〈엑스마키나(Ex Machina)〉를 바라보는 불교와 과학의 시선

        김성옥(KIM, Seong Ock),이관수(LEE, Kwan Soo) 불교학연구회 2022 불교학연구 Vol.70 No.-

        이 논문은 2015년 알렉스 가랜드 감독의 영화 <엑스마키나(Ex Machina)>를 통해, 인공지능의 자유의지 문제를 바라볼 때 놓치지 말아야 할 조건들을 다룬다. 우선 자유의지가 자아에서 비롯한다고 믿는 관념에 대하여, 불교의 무아설이 지니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에 대해 과학적으로 확인된 사실과 기술적인 외형 구현이 가능한 것을 중심으로 이 영화를 바라보는 불교와 과학의 접점을 논의하였다. 불교의 무아설은 아트만과 같은 행위자를 인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행위자 없는 행위’를 해명하기 위해서는 ‘유용한 허구로서의 자아’라는 개념이 설득력 있게 다가온다. ‘나’라고 하는 통합된 내적 표상이나 일반적 사고 능력은 그 유용성의 다른 표현이 될 것이다. 에이바는 인간이 활동하는 공간에서 인간처럼 움직이는 데 전혀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 에이바의 자기 모델은 사람의 자기 모델과 동일한 수준의 유용성을 확보했다고 볼 수 있다. 인공지능이 인간과 다르게 구성되었다는 사실만으로 ‘마음’을 지닐 수 없다고 논증하는 것은 더이상 가능하지 않은 듯하다. 유정물과 무정물을 가르는 경계가 모호해지고, 그 층위가 보다 촘촘해졌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양자의 인지적 구조에는 명백한 차이점이 있다. 현재 인공지능 기술은 감정표현을 판독・분석・재현할 수 있지만, 감정을 경험하고 자기를 인식하는 인공지능은 현실적・이론적으로 구현할 방법이 보이지 않는다. 인공지능의 자유의지 논의에 있어서 아트만적 자아의 관념을 전제할 필요는 없지만, 감정의 경험이나 의식의 발생은 자유의지 문제를 탐구하기에 앞서 반드시 살펴보아야 할 조건들인 셈이다. This paper discusses the prerequisites for deliberations on the free will problem of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reference to Alex Garland’s 2015 film “Ex Machina.” The implications of Buddhist non-self theory are examined against the common idea that free will originates from the self. From a viewpoint common to Buddhism and neuroscience, possible interpretations of the film a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of recent robotics experiments and technological feasibility. The Buddhist doctrine of no-self does not allow an agent à la ātman. The concept of ‘self as a useful fiction’ facilitates the notion of ‘action without an agent.’ This concept is also useful for explaining the integrated internal representation of ‘I’ or the domain-general thinking ability. In the film, Ava behaves comfortingly in human-suitable spaces in a human-like way. That means that Ava’s self-model has achieved same level of usefulness as the human self-model. It seems no longer possible to argue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cannot have a ‘mind’ solely by the fact that it is constructed differently from humans. The boundaries between living things and non-living things have become blurred and many-layered. However, there are clear differences in the cognitive structure of human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Curren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an read, analyze, and generate emotional expressions. The emotional experience and self- reflective consciousn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main hard problems from both practical and theoretical standpoints. In discussions of the free will of artificial intelligence, it is not necessary to presuppose the idea of the self like ātman; instead, the experience of emotion and the generation of consciousness are conditions that must be considered before exploring the issue of free will.

      • KCI등재

        투고 논문 : “kesa : 눈병 걸린 자에게 나타나는 머리카락” 비유에 관한 고찰

        김성옥 ( Seong Ock Kim ) 인도철학회 2010 印度哲學 Vol.0 No.29

        ‘kesa’란 머리카락이나 털 등을 가리키는 말이다. 불교문헌에서 이것은 실재하지 않는 것이 실재하는 것처럼 나타나는 것을 가리키는 비유 로 사용되고 있다. 즉 비실재의 현현, 허망분별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유식이십론』에서 “이것은 오직 식일 뿐이다. 실재하지 않는 대상이 현현하기 때문에. 마치 눈병에 걸린 자에게 실재하지 않는 머리카락이나 [두 개의] 달 등이 보이는 것과 같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쁘라마나바르띠까』에서도 유식학파의 견해를 언급하는 경우, 눈병에 걸린 자에게 나타나는 머리카락의 비유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인식방법과 인식대상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 비유는 약간의 내용상의 변화를 보여준다. 즉 눈병 걸린 자에게 나타나는 머리카락 등은 대상이 아니며, 그 이유는 대상으로서 信解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기술하고 있는 것이 그 예이다. 나아가 다르마끼르띠는 그것을 無分別似現量으로 분류하고 있다. 다른 類似現量이 분별에 의해 생겨나는 有分別似現量임에 반하여, 특히 그것은 분별이 없는 것이지만 감관의 손상으로 인해 생겨나는 착오의 한 가지로 설명된다. 불교논리학파에서 ‘kesa’의 비유를 유식학파에서 말하는 ‘허망분별’의 의미와 달리 ‘착오’의 문제에 한정하여 언급하고 있는 것은 이 비유의 의미에 관해 진전된 논의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의미상의 변화를 가져 온 학파간의 영향관계에 대해 보다 면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metaphor `kesadi appearing to the taimirika`. It appears like hairs, flies etc. to the man(taimirika) who has the ocular disease. It alludes something to appear that does not have a real existence. The first eulogy in Twenty Verses(Vimsatika vijnaptimatratasiddhi) insists "the three realms are mind only. When internal consciousness is born, it appears resembling external objects of perception. Like the hairs, flies etc. that one sees nonexistent because of the diseased eye. And the first eulogy in Pramanavarttika, the representative writing in the Buddhistlogic written by Dharmak?rti, insists "instumental cognitions are of two kinds. Because there are two kinds of objects in accordance with having the capability of telic function(arthakriya) or not. Illusion such as the hairs that appear in the perception of a person who has an ocular disease are not objects(artha) because they are not considered as the objects." The former, Vijnaptimatra school, insists that our empirical world is the mind only like the metaphor of the hairs.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it does not exist throughly. We can not help saying that it exists as aphenomenon of confusion(bhranti). When we understand them truthfully and they are disappeared, persons can obtain the emancipation from the life of ignorance(avidya). The latter, Buddhistlogic school, insists that the hairs are not the objects(artha) to be grasped. But in the perception it can be the object(visya) to be perceived. Namely they are the objects in particulars which are the nature of awareness. And the recognition such as "These are hairs" have the universals as their objects. Nevertheless, there is no change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appearance of hairs does not have any object. They regard the hairs as a perceptional illusion which is caused by the defect of sense organ.

      • KCI등재

        헤르만 헤세 『싯다르타』에 대한 불교적 해석

        김성옥(Kim Seong oc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외국문학연구 Vol.- No.64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는 일반적으로 불교소설로 이해되고 있다. 하지만이 소설이 과연 불교적인가에 관해서는 대답하기가 쉽지 않다. 여기에는 기독교인으로서 정신적 세계에 일찍 눈 떴던 헤세가 ‘인도에서 불교로, 불교에서 중국으로’ 그의 관심을 옮겨갔던 종교적 편력과 연관이 있을 것이다. 또한 『싯다르타』에 나타나는 불교적 특징을 고대 인도의 전통과 묶어서 설명하거나, 중국적 전통과 함께 동양의 지혜로 간주하는 경향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불교의 교리적 관점에서 『싯다르타』의 작품세계를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소설 『싯다르타』는 정신적 세계와 세속적 세계, 그리고 깨달음의 세계로 가는 3단계로 구성된다. 1부와 2부 사이에는 소설의 내용적 차이뿐만 아니라 현실을 바라보는 시선도 달라져 있는데, 여기에는 세속의 번뇌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초기불교의 가르침과 달리, ‘세속적 번뇌가 곧 깨달음’이라고 말하는 대승불교의 흔적을 뚜렷이 찾아볼 수 있다. 불교의 교리적 관점에서 『싯다르타』를 바라본다면, 아트만을 추구하던 싯다르타가 자아의 소멸을 위해 고행하며 자아를 부정하는 것에서 불교의 무아사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자아가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니라는 중도적 관점도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싯다르타의 궁극적 깨달음이 새로운 자아의 탄생으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자아에 대한 관념 자체를 벗어나야 한다고 말하는 불교적 관점과는 차이가 있다. 강가의 깨달음에서 싯다르타는 하나의 돌멩이에서 삼라만상의 모든 것이 걸림 없이 존재하는 단일성의 세계를 경험한다. 그가 말하는 단일성의 세계는 사물과 사물이 상입하고 상즉하는 사사무애(事事無碍)의 화엄법계에 닿아 있음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tries a Buddhist analysis on Hermann Hesse s novel Siddhārtha. It s difficult to ascertain the religious characteristic with one thing, because of his wanderings from India to Buddhism and from Buddhism to China . Therefore it needs to examine closely through the Buddhist doctrine. Siddhārtha is composed with three stages; the spiritual world, secular world and enlightenment world. Between part 1 and part 2, there exists a significant gap in the viewpoint on the mundane world. Unlike the teaching of Early Buddhism, Mahāyāna Buddhism says that the anguish is not different from the enlightenment. It seems that this teaching of Mahāyāna Buddhism provide mental stimulation to Hermann Hesse, who concerned about the reality of Europe and wanted to find utopia. First as a son of brahman Siddhārtha pursues the self, namely ātman. But he joins with śramaṇa and takes asceticism for the self extinction. Here we can find the doctrine of Buddhism, namely anātman. However his ultimate enlightenment is concluded to the rebirth of self. In this point there is a distinction from Buddhism, saying that it should be rid of the concept of self. Finally Siddhārtha attains an enlightenment, he experiences the world of unity. When he sees a stone in the river, he becomes to penetrate the everything of the universe. It means the realm of unhindered mutual inter-penetration of phenomenon and phenomenon, namely the universe of Huayen.

      • KCI등재

        『석가여래행적송』 라훌라 탄생설화에 대한 일고찰

        김성옥(Kim, Seong-Ock)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6 佛敎學報 Vol.0 No.76

        석가일대기에 관한 불교문헌들은 석가여래의 탄생에서 열반에 이르는 80여년의 삶을 오늘날 전해주고 있다. 출가와 구도 및 성도에 이르는 개략적인 내용은 대체로 일치하지만, 세부적인 내용에 들어가면 크고 작은 차이들이 존재한다. 남방과 북방 혹은 소승과 대승의 전승이 각기 다르기 때문이다. 고려말 석가의 일대기를 찬집하고자 했던 운묵 무기의 『석가여래행적송』에서도 여러 가지 문헌들이 전하는 서로 다른 이설들을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석존의 출가시기를 둘러싸고 그의 나이가 몇 살이었는지에 관한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는 석존의 출가 이전에 라훌라가 태어났다고 알려져 있지만, 문헌에 따라서는 석존이 깨달음을 얻던 밤에 라훌라가 태어났다고 전해지기도 한다. 라훌라의 탄생에 관한 후자의 전승은 석존께서 6년 고행 끝에 얻은 깨달음과 라훌라의 탄생을 효과적으로 연관 짓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승에는 문헌에 따라 야쇼다라가 6년 만에 낳은 아이가 석존의 친아들인가 의심이 제기되었던 일, 이 점을 해명하기 위해 야쇼다라가 불구덩에 뛰어들어 자신의 결백을 증명했던 일이 삽입되기도 한다. 이러한 에피소드는 극적인 긴장감을 지니고 있는 흥미로운 요소임에 틀림없다. 나아가 6년 동안의 임신을 정당화하는 장치로서 라훌라가 모태에 6년간 머물러야 했던 ‘6년 태내설’의 전생담도 라훌라의 탄생설화에 추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석가여래의 일대기를 전승함에 있어서 어떤 식으로든 허구적 요소의 개입이 불가피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이러한 설화들을 여러 문헌에 의거하여 기록하고 있는 『석가여래행적송』은 고려시대 석가일대기의 다양한 전승 양태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The Buddhist literatures available today on the biography of Śakyamuni Tathagata describe his life from birth to nirvāna. The basic story related to his leaving home and attaining enlightenment is similar in all versions, but there are several small and large differences in the details when we compare the versions from the south and the north regions, that is, the Hīnayāna and Mahāyāna. We find many cases of contradiction in The Eulogy of Śakyamuni Tathagathas Achievement (『釋迦如來行蹟頌』), written by Woonmuk (雲默: date unknown). He was a monk of the Tiantai Sect (天台) of the late Koryo Dynasty (高麗). The Eulogy of Śakyamuni Tathagathas Achievement is a work that concisely describes the life of Buddha and the essence of his teachings.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se contradictions, especially regarding the time of the Buddha leaving home and whether Rāhula was born by then or not. It is well known that Rāhula was born before the Buddhas departure from home. However, there are versions mentioning that Rāhula was born the night when the Buddha gained enlightenment. This work effectively relates the Buddhas six years of asceticism and enlightenment attained with Rāhulas birth, but this brings up the irrationality that Yaśodhara had to remain pregnant for six years. To explain this matter, the writers inserted an episode that Yaśodhara jumped into fire to prove her innocence. This must have been an element of dramatic tension added to enhance the moral worth of the story. Moreover, it appears that a series of stories about the previous life of Rāhula was made up as a narrative component to justify the six-year pregnancy. This story about Rāhula being in mothers womb for six years is described in The Eulogy of Śakyamuni Tathagathas Achievement. The story of Rāhulas birth and previous life has been handed down to us in The Eulogy based on many references. It also reveals many aspects of the transmission of the biography of Śakyamuni Tathagatha in the late Koryo Dynasty. The value of The Eulogy of Sakyamuni Tathagathas Achievement is greatly enhanced due to these revelations.

      • KCI등재

        자기인식에 관한 유식학파와 중관학파의 논쟁

        김성옥 ( Seong Ock Kim ) 인도철학회 2013 印度哲學 Vol.0 No.39

        This paper is composed with the theory of self-cogni-tion(svasamvedana). The theory of self-cognition has devel-oped with the theory of sakaravadin. It is insisted that the object of cognition is not the external object, but we can only recognize the akara which appears in awareness. The akara could be said the cognition itself. Therefore all the cognition is the reflexive awareness, namely the self-cognition. Since Dignaga made an issue what is the object of cognition, Dharmakiti unfold the theory of akara, based on the epistemology of Sautrantika and Yogacara. And then he came to conclusion the theory of self cognition. Yogacara and Madhyamaka became to controvert on the theory of self-cognition. For Yogacara the self-cognition is regarded as Vijnaptimatrata in terms of the negation of external objects. For Madhyamaka it is explained everything doesn`t have its nature(nihsvabhava) and can not exist in itself. So they naturally criticized Yogacara`s theory, especially the self-cognition. It is worth while to notice whether the Madhyamaka disapproved self-cognition on the level of par-amartha or samvttti. The Prasangika such as Candrakirti insisted it couldn`t exist in common expression(vyavahara). But santaraksita who was the latter Madhyamika showed the receptive attitude. He said that as long as it does not strictly examined on the level of paramartha, it could be approved. What is the self-cognition? Maybe it doesn`t mean something that exist in entity(dravya). Rather it could be said aa character of reflexive in awareness. Why the Yogacara could not but defence the self-cognition? Why the Madhyamaka could not but criticize the self-cognition? It seems that the debate of self-cognition connected with the Buddhist theoretical system between Yogacara and Madhyamaka. Santaraksita undoubtedly disapproved the self-cognitionon the level of paramartha, however it seems not to be considered his negation on the level of samvrtti.

      • KCI등재

        『밀린다빵하』윤회의 해명과 12연기

        김성옥(Kim, Seong-Ock) 한국인도학회 2017 印度硏究 Vol.22 No.2

        밀린다 왕과 나가세나의 문답으로 이루어진 『밀린다빵하』의 핵심은 불교의 무아설의 입장에서 윤회를 해명하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 생(生)과 노사(老死)의 괴로움을 초래하는 재생의 원인을 규명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윤회로부터 벗어나고자 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불교적 입장은 12연기 형식의 ‘무명(無明)-행(行)-식(識)-명색(名色)-육입(六入)-촉(觸)-수(受)-애(愛)-취(取)-유(有)-생(生)-노사(老死)’의 연쇄적 흐름으로 수렴되어 나타난다. 자아나 영혼의 존재를 부정하는 『밀린다빵하』의 무아설, 그 가운데 한 가지는 ‘눈과 형상을 조건으로 하는 안식의 발생’을 통해 해명되고 있다. 이 논제는 텍스트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반복되며, ‘아비담마의 논의’라고 기술된다. 그리고 윤회하는 것은 명(名)과 색(色)으로 언급되며, 그 원인으로는 ‘안팎의 6가지 영역에 대한 집착’이라고 설명된다. 12연기와 관련지어 본다면, ‘갈애와 집착’을 통해 존재의 발생을 설명하는 ‘애(愛)-취(取)-유(有)’의 심리적 계열이 감수를 접점으로 하여 ‘육입(六入)-촉(觸)-수(受)’의 인지적 계열과 결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무아설의 해명에 등장했던 아비담마 논의의 확장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형성력의 의미를 지닌 ‘행(行)’과 함께, 이 모든 발생의 근원적 원인으로서 ‘무명(無明)’이 제시된다. 양자의 구분에는 무엇보다 시간의 개념이 개입하고 있다.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 속에서 인식될 수 있는 ‘행’과 달리, ‘무명’ 이전의 근원적인 시간은 인식될 수 없다는 것이다. 시간의 문제는 부파불교에서 뜨거운 논제 가운데 하나였다. 『밀린다빵하』에 보이는 이러한 아비담마의 성향은 12연기에서 ‘무명’을 가장 근원적 원인으로 설명하는 교리적 해석의 한 가지 유형을 제공하고 있다. The central point of Milindapañha, the dialogue between Milinda King and Nāgasena, can be found in trying to explain the cause of transmigration from the position of Buddhist doctrine of selflessness. Because, in this way, it tries to escape from the sufferings of birth, old age and death by finding out the cause of rebirth, thereby achieving an ultimate liberation from the endless chain of transmigration. This Buddhist position is converged upon the form of twelvefold dependent origination, namely ignorance (無明), dispositions (行), consciousness (識), name and form (名色), six sense organs (六入), contact (觸), feeling (受), craving (愛), clinging (取), existence (有), birth (生), old age and death (老死). Among the explanations of selflessness in Milindapañha, which denies existence of ego or soul, one is elucidated through the occurrence of consciousness, conditioned by the eye and the form. This thesis is repeated throughout the text and is described as “argument of Abhidhamma”. What is transmigration is referred to as “name and form”, and the cause of transmigration is explained as “clinging for six areas inside and outside.” In relation to twelvefold dependent origination, we can confirm the conjunction on the contact point of “feeling” between the psychological series of ‘craving (愛), clinging (取), existence (有)’ and the cognitive series of ‘six sense organs (六入), contact (觸), feeling (受)’. This can be said to be an extension of the Abhidhamma argument, which appeared in the explanation of selflessness. Also “ignorance (無明)” is suggested as the root cause of all these occurrences with the “dispositions (行)”, which have the meaning of forming power. More than anything else, the concept of time intervenes in the division of both. Unlike “dispositions” that can be recognized i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times, the time before “ignorance” can not be recognized. The problem of time was one of the hot issues in many Buddhist schools. This tendency of Abhidhamma in Milindapañha shows one type of interpretation that explains “ignorance” as the most fundamental cause in the twelvefold chain of dependent origination.

      • KCI등재
      • KCI등재

        불교와 자연, 그리고 불교경제학 :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과제를 중심으로

        이상호(Lee, Sang Ho),김성옥(Kim, Seong Ock) 보조사상연구원 2021 보조사상 Vol.61 No.-

        ‘코로나 19’ 위기는 2019년 말 이후 빠르게 확산되면서 인류 사회에 심각한 위기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생태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자연지배나 여기서 비롯된 인간중심주의뿐만 아니라, 자본주의 경제구조의 특징까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주류경제학은 가격 메커니즘을 통해서 외부효과를 내부화시키면 환경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고 믿지만, 경제주의 진보관이나 성장지상주의가 여전히 작동되고 있으므로 생태계 위기에서 벗어나기가 쉽지 않다. 반면에 1973년 불교정신에 바탕을 두고 제안된 슈마허의 불교경제학(Buddhist economics)은 자본주의 사회의 성장지상주의를 비판하면서, 환경파괴나 생태계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한 대안들을 제시한다. 이 때문에, 그의 불교경제학은 녹색경제의 가능성, 환경운동에 대한 철학적・정신적・경제학적 근거를 제공한다고 평가된다. 불교적 관점에서는 인간과 자연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지 않는다. 인간의 생존은 자연의 다른 존재들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다른 존재들을 돌보는 일은 곧 나를 포함한 모두의 안전을 위한 전제조건이 된다. 이와 같은 상호의존성(=緣起)에 대한 자각과 함께, 중도(中道)의 개념은 자연에 대한 인간의 지배를 인정하되, 함부로 방일하거나 지나치지 않아야 한다는 가르침을 전해준다. 중도의 개념은 생태계의 특성이나 인간의 경제활동에도 부합하며, 인간의 삶을 생태친화적인 모습으로 변모시키기 위한 중요한 출발점이 된다. 코로나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불교경제학의 반성적 성찰을 더욱 눈여겨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Since the end of 2019, The COVID-19 crisis has spread rapidly and caused a serious crisis in human society. In order to overcome this ecological crisis, it is necessary to analyze not only human domination of nature and the anthropocentrism that originated from this,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capitalist economic structure. Mainstream economics believes that environmental problems can be solved by internalizing externalities through the price mechanism. However, this economics still presupposes an economist view of progress or growthmania, so it is not easy to get out of the ecological crisis. Contrary to this economics, Schumacher s Buddhist economics, proposed in 1973 based on the Buddhist spirit, criticizes the growthmania of capitalist society and suggests alternatives to escape from environmental destruction or ecological crisis. For this reason, his Buddhist economics is evaluated to provide the possibility of a green economy and a philosophical, spiritual, and economic basis for environmental movement. From the Buddhist point of view it is not dichotomized into humans and nature. Human survival is bound to depend on other beings in nature, and caring for other beings is a condition for the safety of everyone, including myself. Along with the awareness of such Interdependence (緣起), the concept of the Middle Way (中道) teaches us that while we acknowledge human dominion over nature, we should not neglect or go too far. The concept of the Middle Way is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ecosystem or human economic activity, and i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transforming human life into an eco-friendly form. Even in order to get out of the COVID-19 crisis,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reflective reflections of Buddhist econom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