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춘수의 시와 세계관

        김성리(Kim, Seong-Lee)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6 No.-

        이 논문은 김춘수의 시가 세계관과 연관되어 있으며, 이 연관은 시집『들림, 도스토예프스키』에서 찾을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김춘수의 시와 산문에는 ‘나는 왜 여기서 이러고 있는가’라는 존재론적 물음과 ‘천사는 전신이 눈으로 되어 있다’라는 초월적인 말, 그리고 ‘인간이 역사를 심판해야 한다’라는 세 개의 화두가 있다. 이 세 개의 화두가 천사와 도스토예프스키 작품, 그리고 아내와 연관이 있으며, 그 연관을 김춘수의 시와 세계관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보았다.김춘수의 시에서 ‘천사’는 순수지속의 성격을 지닌 유년기 천사 체험이 존재론적인 물음에 의해 릴케의 천사와 도스토예프스키의 소냐를 만나면서 창조적인 변화를 한 것이다. 존재론적인 화두에 천착한 것은 김춘수의 내면적인 특성이었으며, 이 내면적 특성에 의해 유년기의 천사는 현존하면서도 부재하는 앤티노미적인 존재로 인식되고, 이 천사 인식은 불가지론의 세계관을 형성하는 근원이 된다. 천사에 의해 존재의 비극성, 즉 앤티노미를 경험한 김춘수는 도스토예프스키의 작중 인물들을 만나면서 ‘인간이 역사를 심판해야한다’는 심리적인 진실을 추구한다. 그리고 ‘천사는 전신이 눈으로 되어 있다’라는 반성적인 인식을 거쳐 시에서 완전한 자유를 구현한다. 김춘수가 심리적인 진실을 추구하는 것은 경험에 의해 실제 현실과 김춘수가 느끼는 심적 상태가 달랐기 때문이다. 심리적 진실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김춘수는 아내에게서 천사를 보고, 생활 속에서 본래성을 찾게 된다. 아내를 통하여 생활 속에서 자신의 본래성을 찾은 김춘수는 비로소 역사를 시간 바깥에 두고,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완전한 자유를 얻는다. ‘인간이 역사를 심판해야한다’라는 화두의 의미는 인간의 완전한 자유에 있었다. 김춘수는 완전한 자유를 시를 통해 구현하고자 했으므로, 김춘수에게 “시작은 체험의 총화요 종합이며” 삶이었다. If you study Kim choon su's poetry and prose, you will find three topics. The first thing is “What am I doing in here”. The second thing is “The angel has eyes all parts of their body”. And the last thing is “It is the human that should judge the history”. After he thought about these three topics, he finally confessed that the angel is in his min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studying these relationship with his collection of poems as the center. The purpose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ree topis are related with his literature world and affect the formulating his outlook on the world. In literature of Kim choon soo, the angel has purity to angel of childhood and go through creative changes by meeting an angel of both Rainer Maria and Sonya of Dostoyevsky. Concentrating on ontology topics is psychological problem of Kim choon soo. Under the his problem, angel of childhood is recognized as antinomic exist which is existent and nonexist. Ambiguity of angel is source of building an outlook on the world of agnosticism. Ego of Kim choon soo went through a tragedy of existence, after that he found contradictoriness of Dostoyevsky's characters. That's why he concentrated in the tragedy of existence. By these awareness, he started to seek psychological truth, “It is the human that should judge the history”. He seeks psychological truth because he assumed a critical attitude about rationality in the history by experience. In poetry of Kim choon soo, rationality ignored the authenticity of human. But sensitivity is written that sensitivity gives huamn the freedom. Sensitivity means the spirit that seeks the himself. Through his wife, he found the himself in his ordinary life. Afterthat, he finally left the history outside the time and gave entire freedom beyond space and time. The solution to the topic, “It is human that should judge the history” is entire freedom of mankind.

      • KCI등재

        현대시의 치유시학적 연구

        김성리(Kim, Seong-Lee) 한국문학회 2011 韓國文學論叢 Vol.59 No.-

        이 논문은 ‘시쓰기가 삶의 고통을 치유하는가’를 밝혀보기 위해 김춘수, 김수영, 천상병의 시에 나타나는 고통의 양상과 치유과정을 고집멸도(苦集滅道)라는 불교 4성제(四聖諦)의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시가고통(苦)을 없애는(滅) 길(道)이 된다면, 시는 치유(解脫)라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에서 김춘수는 실존의식에 의한 회의, 김수영은 전쟁체험에서 비롯된 자기 비하, 천상병은 존재 상실이라는 고통을 나타냈다. 김춘수는 유년기부터 기존적인 질서에 매우 회의적이었다. 이러한 세계와의 불화에 의한 실존적 문제는 기존의 낡고 전통적인 세계에 대한 부정으로 이어졌다. 김수영은 거제도 포로 수용소에서 생존하기 위하여 감당했던 굴욕감에서 깊은 내면적 상처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의 부조리에 당당하게 저항하지 못하는 자신을 스스로 비하했다. 천상병은 동백림 사건으로 인한 고문과 투옥이라는 경험에서 존재상실의 고통을 안고 있었다. 그러나 세 시인이 삶에서 비롯된 고통을 극복하고 치유에 이르는 과정은 달랐다. 김춘수는 끊임없는 자기성찰로 시쓰기의 엄밀함을 추구하였다. 엄밀한 시작의 과정에서 시인이 언어로 나타내고자 하는 현상은 언어로 나타낼 수 없는 무형의 실체임을 깨닫고, 진실도 ‘드러남’과 ‘드러나지 않음’의 차이일 뿐 언제나 존재한다는 앎에 이름으로써 해탈을 찾았다. 김수영은 시쓰기를 통하여 자신의 문제는 자신의 내부에 있음을 알게 됐다. 이 모순을 해결하기 위하여 욕심과 아집을 버리고 생활에 초연하고자 노력했다. 그리고 마지막 시 〈풀〉에 이르러 내적 갈등을 조화와 균형으로 승화시켰으며, 그것은 치유로서의 사랑이었다. 천상병은 육체나 지성보다 시에서 진실을 찾았다. 진실을 보는 방법으로 시와 생활에서 무소유에 가까운 가난을 선택했다. 그 결과 영혼에 대한 아집과 진실을 알고자 하는 집착마저 고통의 원인임을 알았으며, 자신이 생각하거나 보는 것 모두가 마음이 만들어내는 허상에 불과하다는 자각에 이르고, 현재의 삶 속에서 아름다움을 보았다. 세 시인은 실존적 한계상황(集)에 의한 고통을 시를 통하여 치유 받았다. 그것은 시를 쓰는 과정에서 세계를 보는 관점을 달리함으로써 새로운 앎에 도달했기에 가능했다. 세 시인이 고통(苦)의 멸(滅)에 이르는 개별적인 도(道)는 자기성찰(김춘수), 사랑 혹은 노래(김수영), 아름다움(천상병)이었다. I studied how they(Kim choon-soo, Kim soo-young, Cheon sang-byeong) understanded their existential limitation and overcame these things by analyzing their poems. These studying is based on ‘Four Noble Truths’ in Buddhism. These tell us that poem is healing. These three poets had something in common. Kim choon-soo experienced prison life in the Japan, Kim soo-young experience the Girjeado POW Camp, and Cheon sang-byeong experienced a torture and prison life. These experiences are related with the existential limitation and their poems, deeply. But, the way that three poets overcame the critical situation was different respectively. Kim choon-soo pursued a rigorousness in writing poems by endless self-examination. So he realized that truth is always existential, simply the truth is sometimes invisible. That’s all. He had no choice but to find nirvana in the poems. KIm soo-young found that his problem was in his mind by writing poems. At his last poem ‘Grass’, his internal problem turned into the balance and harmony. Chun sang-byeong thought that imperishability of the soul is in the poem. And he thought that is different from the body that suffered from torture and intelligence which can’t prove the justice. He choose the poverty at his life as the way he sought to truth. As the result, he knew that stubbornness to his soul and desire to truth caused the suffering. Also, he was aware what he thought and saw was just a illusion. He knew that his real life is beautiful enough to him. Three poet experienced the critical situation by outside force, have different view of the world in writing the poems, and they were healed by understanding the truth. The ways they discarded the suffering were self-examination(Kim choon-soo), love or song(Kim soo-young), and the beauty(Cheon sang byeong).

      • KCI등재후보

        한국시의 치유성에 대한 인문의학적 연구

        김성리(Kim, Seong-Lee)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코기토 Vol.- No.76

        이 연구는 시의 치유성이 고대시가부터 현대시에까지 이어지고 있음을 인문의학적으로 규명한 것이다. 먼저, 시가 치유하는 마음의 고통을 사회의 문제로 인한 것과 개별적인 생리에 의해 겪게 되는 것으로 나누었다. 마음의 고통을 사회적인 것과 개인적인 것으로 나눈 이유는 고통 자체는 개인적인 문제이지만, 고통의 원인은 한 개인이 살아가는 사회의 정서적 문법과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연구대상도 창작 시기와 장르로 나누지 않고 고전시가에서 현대시에 이르기까지 삶의 문제로 인한 마음의 고통이 표현된 시를 중심으로 하였다. 시가 사회의 문제에서 비롯되는 마음의 고통을 치유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고대의 시에는 희극적인 요소인 웃음과 함께 집단의례를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시조에서는 사회의 문제로 인한 고통이라도 정신의 고매함을 자연에 비추어 노래함으로써 내면의 고통을 치유하고자 했다. 근현대시에서는 희극적인 표현이나 개인의 고통을 사회 전체의 문제로 확장시킴으로써 고통을 치유하는 양상을 보인다. 개별적인 생리에 의해 겪게 되는 고통 중 이별에 의한 슬픔은 이별을 부정하는 방법으로 슬픔을 무화시키고자 한다. 반면 공동의 문제와 의식을 향유하는 민요는 노래함으로써 갈등을 해소하고자 한다. 실체가 뚜렷하지 않은 생리적인 의구심에 의해 상처받을 때에는 자연과 감정을 합일시켜 즐거움을 찾고, 그로부터 생명력을 발견하여 삶의 문제를 해결한다. 또 인간사의 시시비비를 가리지 않음으로써 마음을 다스리기도 한다. 창작 시기나 장르를 불문하고 마음의 괴로움을 시로 나타내어 해결하고자 한 것은 시가 삶의 문제와 그로 인한 마음의 고통을 해결하는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고대에는 개인의 문제도 집단의 형식으로 풀고자 했다면, 근현대에 이르러서는 집단의 문제도 개인이 해결하는 양상을 보이는 차이가 있다. 이는 시의 내용과 표현 방식이 고대와 근현대의 삶의 양식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즉, 개인의 고통이 사회의 문제와 무관하지 않으며, 우리들의 삶이 영속되는 동안 시가 삶의 고통을 치유할 수 있음을 뜻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healing of poetry from ancient times from a humanistic medicine point of view. First, We divided suffering of mind. One is from social problems, and the other is from personal issues. The reason why we divided sufferings is that suffering is personal issue, but the reason of suffering is social problem. The subject of study is the poetry including suffering of mind which is caused by life problem from classical poetry to the modern poetry. We examine the process of healing, we can find that in classical poetry, comic elements and collective ritual solve the problems. In classical poetry, song of a noble spirit and the nature is healing process. In modern poetry, comic elemants and individual’s suffering is treated social problem. That’s the way people heal the suffering. The suffering from personal issue, especially caused by seperation, is healed by denying the seperation. On the other hand, by singing the folk song, which is included in community spirit, people can resolve a conflict. When people are hurted by a physiological doubt, people unite a feeling and the nature. In addition they can find vitality from this union and solve the life problem. Regardless of date of writing and genre, people try solve the life problem by expressing suffering in the poetry. That means the poetry heal the suffering from social problem. In ancient times, people tried to solve personal issues in the form of group. But in modern times, people solve the social problem individually. This diffrence caused by association between life mode and content of poetry. In other words, this means that personal issues are related with social problem, and the poetry can heal the suffering while we living.

      • KCI등재

        시와 의학교육의 만남에 대한 인문의학적 고찰

        김성리(Kim, Seong-Lee)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코기토 Vol.- No.79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change of premedical students’ humanistic recognition of liberal arts by combining poetry and medic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reading and writing poems change premedical students’ introspection and the experience could provide mechanism to practice clinical treatment for reducing pain of body and mind of the patients. Firstly, this research studies the introduction background of literature in medical education as well as the relation between them. The research also seeks to examine the methods and subjects applied by actual premedical students and their writings in order to study the aspects of changes in students’ cognition and utilizes the results of surveys to add subjectivity to analysis of original poems. The subject of study is a total of 120 poems throughout the span of 4 semesters by 88 students which went through 4 stage of selection and surveys conducted among them. The pre-med students have shown that they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patients’ mind and that accepting the patients’ suffering is as critical as the knowledge of medicine itself, in order to become good physicians. Especially in the realm of original poetry, a handful of students have shown expressions of self-reflection and concerns for their future. This clearly shows that poetry self-examining functions and that many students have genuinely gone through positive psychological changes in the process of reading and writing poetry. According to survey analysis, positive awareness for poetry increased from 15 to 36, while negative awareness decreased from 21 to 3, following the course of this study. Thus, there is a clear necessity to enhance poetry education. The results above show that poetry can, in reality, be a communicative tool between patients and doctors in the medical field, and also implies the possibility that these students may in fact, go on to apply poetry as a means of treatment. While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it only borders poetry and medical education, it certainly suggests that humanities can operate as actual problem-solving means in our actual lives. Furthermore, it also presents how humanities can interact with other fields of academic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recedence of common understanding of different academic realms.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data, those students who encountered poetry. The result of the sutdy has shown that students have recognized that poems can be used as a tool to communicate between patients and doctors and when stuents become doctors, they can use poems as a medium to treat patients in practice. Although this research is limited to the correlation of poem and medical education, it also shows.

      • KCI등재

        한센인의 생애구술과 치유

        김성리(KIM Seong-lee) 대한의사학회 2013 醫史學 Vol.22 No.2

        The individual oral statement is human story based on experience. The personal experience forms unconsciousness which appears in a form of oral statement by ego that doesn’t want to lose existence. Thus, the process which exposes a tormented hearts is the objectification of oneself. Through this step, oral person attains a healing. If this sort of individual oral is accrued, the undeserved personal affairs could be a history. In case of Hansen’s disease patient, She could escape from negative understanding about herself and the world. Furthermore, She kept formating her values about meaningful life and future oriented value. Also, She wants to keep a record of her life. She comes to know that what she denied is actually what she should surmount over oral statement. As a result, She could attains a healing for oneself through oral statement. The oral statement made her look into she’s problems. Therefore, oral statement is a self-realization.Through this, person could know what the problem is and solution. This research is about only one person, so there is need for more cases and studies. If this sort of individual oral statement is accrued, there could be a curative narration. This can suggest an curative alternative when we suffer from problem of life. The merit of this research is rendering this possibility.

      • KCI등재

        농촌에서 진행한 인문학 프로그램의 효용성에 대한 고찰

        김성리 ( Kim Seong-lee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論叢 Vol.78 No.3

        본 연구는 농촌에서 인문학 프로그램을 진행했을 때 나타나는 효용성을 분석한 글이다. 사회 전반에서 볼 수 있는 인문학 열풍이 도시 중심으로 진행되고 농촌 지역민은 인문학을 접하는 게 어려운 사회문화적인 상황을 사회구조적인 문제로만 접근한다면, 삶의 학문인 인문학이 새로운 차별을 외면하는 것과 같다. 그리고 특정 지역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인문학은 더 이상 삶의 학문이 아니라 하나의 이상으로만 존재하게 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출발했으나, 한 지역에서만 진행되었으며, 지역민 전체가 아니라 인문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역민만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을 밝힌다. 2장에서는 농촌 지역민을 대상으로 진행한 인문학 강좌를 중심으로 지역민의 인식 변화를 고찰했다. 인문학 강좌에 참여한 지역민들이 인문학 강좌에서 습득한 지식과 정보로 자신들이 살아가는 지역에 대해 주체성을 강화하고, 지역의 역사에서 자긍심을 느끼며, 지역이라는 모호한 공간을 의미 있는 장소로 인식하는 변화에서 인문학의 효용성을 찾았다. 3장에서는 농촌 안에서도 상대적인 소외자인 노인들에게 시 낭송을 매개로 인문학 프로그램을 진행한 과정을 살펴보았다. 노인들이 읽기에 비교적 부담이 적은 시와 리듬이 있는 낭송을 진행하면서 노인 인문학의 발전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코로나 19(COVID-19) 감염병 상황에서 노인 세대에 대한 인문학 프로그램의 효용성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일부 농촌 지역민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인문학 소외지역에서 인문학은 어떤 방법으로 접근해야 하는지, 인문학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에 대해 실천학으로서의 인문학적 지평을 제시했다는 데에 의미를 둔다. 아울러 코로나 19와 같은 문명의 변화 앞에서 노인 세대처럼 상대적인 인문학 소외계층에 나타나는 인문학 프로그램의 한계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에 대해 우리 모두 고민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looks at how humanities programs can bring about changes to local people in farming areas where it is not easy to meet the humanities. If the urban-centered humanities craze is approached as a social structural problem, humanities, the study of life, will create new discrimination, and humanities will no longer exist in certain areas, but only in one or more area. The study begins with this recognition of problems, but was conducted only in one region, and only for local people who participated in humanities programs, not the entire community. Firstly,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local residents, focusing on humanities courses for farming area residents was examined. Local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humanities course found the utility of humanities in recognizing the ambiguous space of the region as their own place, feeling proud of the region’s history with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y acquired from the humanities course. Secondly, this study looked at the process of conducting humanities programs through poetry reading to elderly people who are relatively marginalized in farming area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limit to the utility of the humanities program in the elderly generation in the COVID-19 infectious disease situ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nly one farming area, but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a humanistic horizon as a practice on how humanities should move and the approach that the humanities should adopt in areas where humanities are alienated. In addition, how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humanities that have emerged in the face of civilization changes, such as COVID-19, should also be considered.

      • KCI등재

        한센병력인의 고통과 치유에 대한 인문의학적 연구

        김성리(Kim, Seong-lee)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6 인간연구 Vol.0 No.31

        이 연구에서는 문학작품과 구술채록, 그리고 한센병력인의 시쓰기를 중심으로 한센병력인들의 고통과 치유를 인문의학적으로 살펴보았다. 기성작가들의 작품은 한센병력인의 개인적인 삶보다는 갈등으로 인한 공동체의 문제를 다루었다. 반면, 한센병력인은 아니지만 그들과 연관된 경험을 가지고 창작한 작품은 한센병력인들이 겪어야 했던 삶의 문제에 좀 더 충실했다. 한센병력인들의 구술채록 내용을 살펴본 결과 그들의 고통은 주로 차별과 배제로 인한 것이었다. 가족 중에 한센병에 걸린 사람이 있으면 가정이 와해되고, 한센병력인이 속한 공동체의 내부 규율에 의해 서로를 감시해야 했다. 그리고 한센병력인을 인간적인 교류 대상으로 여기지 않는 비인간화의 문제가 있었지만, 문학 작품들은 이러한 인간적인 고통을 묘사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마지막으로 살펴 본 것이 한센병력인들이 창작한 시이다. 극심한 고통의 삶을 살아온 한센병력인들 삶의 치유를 위한 방법으로 ‘시로 자신의 삶을 말하기’, 즉 시쓰기가 지닌 치유력을 살펴보았다. 무엇인가를 쓰려고 하는 그 순간부터 마음의 소리는 글로 나타나고, 글은 그 사람이 말하고자 하는 갈망을 담는다. 고통의 기억을 말한다는 것은 존재성을 잃지 않으려는 자아가 작동하는 의식적이며 능동적인 행위이다. 이러한 과정을 표현한 시에는 한센병력인들이 고통의 기억을 되살려 오히려 그들이 사는 격리된 공간을 고통을 승화시키는 공간으로 변모시키는 감정의 변화를 보였다. 이상 살펴본 결과 고통스러운 자신의 체험을 표현하고, 그 표현 과정에서 일어나는 정신적인 현상에 의해 ‘나’를 이해하는 마음의 행로를 시로 나타낸다면, 고통의 기억은 어느 정도 치유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For this medical humanities study, we review the literature and oral statements of people suffering from Lepers. There are a few creative works that focus on the individual Leper’s life, which were written by a few authors familiar with Leper’s disease, even though they not have the disease themselves. In the oral statements of Lepers, suffering came largely from discrimination and social exclusion. If a family member was determined to have the disease, the whole family became disrupted. The community regarded the entire family as lepers. Tragically, a person who suffered from Leper’s disease could no longer have contact with heathy persons. The poetry of leper"s sufferers reveals an astonishing power to heal by expressing their livers in verse. It seems that the moment they tried to write their feelings, an inner voice created the words and statement that became a basket of desire and longings. Recalling memories of extreme sufferings is a conscious and active behavior of an ego that fears losing its existence. The poetry of leprosy patient reveals emotional changes of their community from excluded space into a meaningful and spiritualized one by recurring their memories of sufferings. From the above discussions we may conclude that memories of suffering could at least be somewhat healed if poetry is used to express individual experience and to understand oneself deeply by the process of writing.

      • KCI등재

        시와 삶의 치유에 대한 연구

        김성리(Kim Seongle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1

        사회로부터 소외되고 차별받는 사람들의 고통은 일반적인 차원에서는 설명되거나 이해할 수 없는데, 그것은 소외와 차별로 인하여 삶이 피폐해지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약자들 중, 한센병력인들이 창작한 시를 분석하여 그들이 피폐한 삶의 고통을 치유하고 인간적 존엄성을 지키는 모습을 해명하고자 했다. 한센병력인들의 시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치유의 모티프는 크게 세 개로 나누어 진다. 먼저, ‘몸’으로 체험하는 고통과 치유이다. 그들에게 ‘몸’은 단순한 육체가 아니라 한센병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한 고통의 공간이자 스스로 상처를 회복하는 치유 의 공간이다. 그래서 병으로 훼손된 ‘몸’은 그들의 삶을 대변하며, 자신을 들여다보는 거울이기도 하다. 다음의 모티프는 ‘유년기의 추억’이다. 한센병력인으로 살아온 시간은 존재를 상실하고 평범한 인간으로서의 삶을 박탈당한 고통의 기간이었지만, 유년기의 추억은 그들에게 상실 당한 존재를 회복시켜주는 시간이다. 특히 그들은병에 걸리기 이전의 유년기를 기억하면서 고통의 시간을 견뎌낸다. 마지막으로 그들이 자신을 버린 세상과 소통하는 치유의 모티프는 ‘자연’이다. 시에 표현되는 그들의 삶은 ‘자연-안의-존재’이다. 세상으로부터 버림받고 평범한 인간의 삶을 살 수 없었던 그들은 자연으로부터 훼손된 자아를 보듬어주는 평화와 휴식을 경험하고, 자연안에서 세상과 소통하며 그들의 삶을 평온하게 유지한다. 고통을 치유하는 과정은 또 다른 고통을 수반한다. 피하고 싶은 내 삶의 한계를 스스로 드러내어야 하기 때문이다. 한센병력인들은 이러한 고통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그들의 시에 담아 드러냄으로써 사회적 차별을 극복하며 스스로를 치유해 나갔다. 한센병력인들에게 ‘시를 쓰는 것’은 평범한 인간으로서의 자존감과 존엄성을 찾아가는 치유의 과정이었다. Generally speaking, it can not be explained or understood what is the suffering and discrimination of those who are alienated from society. Because lives are devastated by alienation and discrimination. In this thesis, We searched a recovery of human being by analysing a leper’s poem and heal up the misery of life. In their poem, We can see the three types of motifs. First, it’s the way they see the their body. For them, the body is not simple thing. Their body contain suffering and sublimating. So, their susceptibility to a disease is mirroring their lifetime. Second, It’s memory. When they get the disease, they were divested dignity. By memoring their loving time, They can live on their own. Especially, they can hold on a long period of suffering times by remembering their childhood. Lastly, It’s nature. In their poet, they expressed their life as existence in nature. They seek for peace and relaxe from nature interact with the world in nature and keep their lives calm, Because they were turned away by society. The process of healing the pain involves another pain. Because I have to expose my own limits of life. And the leper are showing these images in their own way, and they show them in their poetry. And overcoming social discrimination has healed itself. For the leper, ‘writing the poem’ is a healing road searching for their dignity.

      • KCI등재

        한센병력인이 느끼는 차별의 양상과 해소에 대한 고찰

        김성리(Kim Seong le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9 No.4

        이 연구는 2014년 5월부터 2018년 6월까지 4년 동안 산청 성심원에 거주하는 한센병력인들과 함께 시를 읽으며 그들의 시창작을 돕고,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주면서 사회구조적으로 만들어진 차별에 의한 심리적인 문제와 그 해소 방안을 인문학에서 찾고자 노력한 과정에 대한 고찰이다. 그들이 경험한 차별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하였으며, 설문조사 이후에도 지속적인 만남과 대화를 이어갔다. 한센병력인 3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지와 4년 간 지속된 그들과의 대화에서 나타난 문제는 차별로 인한 서러움, 외로움, 분노, 자괴감 등으로 인한 심리적 박탈감이었다. 이러한 부정적인 감정은 자존감 상실로 이어지고 그들의 삶은 위축되었다. 차별의 최초원인이었던 한센병은 완치되었지만, 그들은 여전히 사회와 구분된 시설에 생활하며 심리적인 문제가 지속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 4년 동안 적용한 인문학적 해소 방안은 ‘시를 읽고 쓰는 것’과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줌으로써 그들 스스로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돕는 것’이었다. 시모임에 참여한 10명은 시와 함께 시인의 생애도 이야기하면서 자연적으로 그들의 마음을 시로 나타냈다. 비록 시창작에 대한 이론적인 지식이 없어도 그들의 고통과 삶을 진솔하게 표현한 글은 시가 되었고, 창작시로 이야기 나누며 자존감을 회복해나갔다. 설문지를 매개로 시작된 한센병력인들과의 대화는 시작은 어려웠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들의 내면 깊이 숨겨져 왔던 고통의 실체를 말하기에 이르렀다. 그들은 인간존재의 삶이나 행복, 또는 존엄성에 대해 때로는 분노하고 때로는 자조적으로 말했지만, 말하기가 계속되면서 나타난 긍정적 현상은 현재의 자신을 부정하거나 회피하지 않는 것이었다. 그들에게 고통과 슬픔은 버릴 수도 없고 버려지지도 않는 것이지만 극복 가능한 것임을 말하기를 통하여 스스로 알아가고 있었다. 한센병력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의 응답내용과 창작시, 그리고 말하기에서 나타난 것은 차별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심리적인 지지의 방법이 자기 자신에 대한 애도라는 점이다. 참여자들은 시를 읽고 쓰며, 자신의 삶을 말하면서 자신에 대한 애도의 시간을 가졌고, 현재 삶에 대한 이해를 통해 차별로 인한 문제를 해소해 나갔다. The study is about finding and solving psychological problems caused by discrimination based on social structure by reading poems and listening to their story while listening to the story with Hansen′s who live in Seomsimwon for four years from May 2014 to June 2018. They surveyed 30 people for the aspects of discrimination they experienced and continued to meet and talk even after the survey. Although the first cause of social discrimination was Hansen s disease, the pain they are now experiencing was psychological deprivation caused by social discrimination. The psychological deprivation that emerged from the questionnaire that surveyed 30 people and the four years of dialogue with them formed feelings of sorrow, loneliness, anger, and shame. These negative emotions led to loss of self-esteem and their lives shrunk. Although Hansen s disease, which was the first cause of discrimination, was completely cured, they still lived in facilities separated from society and continued to have psychological problems. The four-year-long anthropological treatment in the study was to read and write poetry and to help them voice themselves by listening to their stories. Ten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rally naturally expressed their minds as poems, talking about the poet s life as well. Even without a theoretical knowledge of poetry, the writing of their pain and life became a poem, talking to each other through creative writing and restoring self-esteem. Conversation with Hansen s soldiers, who began with the survey, was difficult to begin, but over time they were able to tell the substance of suffering that had been hidden deep inside them. They spoke of life, happiness, or dignity of human beings at times, and sometimes self-helpfully, but the phenomenon that continued to emerge as they spoke was not denying or avoiding the present self. For them, pain and sadness were something that could not be abandoned, but could be overcome. What appears in the responses, creation and speaking of the questionnaire to the Hansen people is that the psychological way to support those living in discrimination is to mourn. The participants read and write poems, took time to mourn themselves while talking about their own lives, and solved the problem of discrimination through an understanding of current life.

      • KCI등재

        마인드 맵 활동이 뇌성마비아동의 읽기와 쓰기에 미치는 영향

        이영철(Young-Cheol Lee),김성리(Sung-Rhee K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04 言語治療硏究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mind map activity on reading and writing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involve three fifth grad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ttending at special school, whose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are behind over two grade years than their normal grade level.As result of mind map activity,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First, mind map activities facilitated reading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wo children showed positive effect on word recognition, but one child didn't showed any change. On reading comprehension three children showed positive effect that understood sentence structure, sentence connection and connotation.Second, mind map activities didn't facilitated writing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One child showed a little improvement, the others showed same and decrease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