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모바일 광고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

        송지희(Ji Hee Song),김좌현(Jwa Hyun Kim),김상순(Sahang Soon Kim) 한국경영학회 2013 經營學硏究 Vol.42 No.6

        Recent expansion in smartphone market has resulted in strong growth of mobile advertising market. Mobile advertisements are useful marketing and promotion tools since they enable marketers to provide personalized and ubiquitous services to customers. In particular, as considerable number of companies develop and distribute their own mobile applications, inserting mobile advertisements into mobile applications has become popular mobile advertising tool. Here, we examine how mobile advertisements placed in a mobile application affect the evaluation about mobile application service providers. Specifically, the interaction effects of advertising brand`s familiarity, contextual relevance of an advertisement, and application provider`s familiarity are investigated. Drawing from spillover effects, advertising intrusiveness theory, and contextual advertising theory, six hypotheses are proposed and tested in two experimental settings. The results show a negative spillover effect from the advertising brands` familiarity to the application provider. That is, the loyalty and usage intention toward the application provider are higher when the application hosts an advertisement of little-known brand than that of well-known. Moreover, the attitude toward mobile application provider is more positive when it hosts contextual advertisements (when there is contextual relevance between contents and advertising brand). And little-known mobile applications get more benefit by hosting contextual advertisements than do well-known mobile applications.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implications to academics studying mobile advertising and sheds some light on how mobile application providers could effectively manage advertisements placed in their applications.

      • KCI등재

        일-가정 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선경(Lee Sun Kyung),이춘우(Lee Choon Woo),김상순(Kim Sahang Soo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4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1 No.5

        일-가정으로부터의 상충되는 요구로 인해 조직구성원은 갈등을 겪게 되고 이러한 갈등은 조직목표 달성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기존 연구는 일-가정 갈등(Work-Family Conflict: WFC) 양상에 주목하는 반면 갈등초래의 원인에 대해서는 제한적인 관심을 보여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원소모 모형(Resource drain model)을 기반으로 갈등의 원인에 따라 일-가정 갈등(WFC)을 일-가정 방해 갈등(Work Interference with Family: WIF), 가정-일 방해 갈등(Family Interference with Work: FIW)으로 나누고 갈등의 원인을 시간, 긴장, 행동의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구성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아울러 직무특성화 모델(Job characteristics model)을 활용하여 유연근무제에 대해 조직구성원이 느끼는 만족도가 높을수록 시간 통제감과 자율성을 가지게 되어 일-가정 방해 갈등(WIF)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낮출 것이라 예측하였다. 대기업 직장인 143명으로부터 얻은 설문 테이타를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일-가정 방해 갈등(WIF)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고, 일-가정 방해 갈등(WIF)의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데 유연근무제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효과적인 사실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과 실증결과는 일-가정 갈등(WFC)이 원인에 따라 이직의도에 주는 영향이 다름을 밝혔고, 기업과 경영자들에게 유연근무제가 일-가정 방해 갈등(WIF)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략적 제도가 될 수 있음을 보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Contradicting demands from work and family challenges organizational members, making them less committed to organizational goals. Existing studies tend to focus more on work-family conflict as organizational phenomenon but less on the causes of such conflict. Building upon the resource drain model and using the origin of conflict as a criterion, this study categorizes work-family conflict into work interference with family (WIF) and family interference with work (FIW), introduces time, strain, and behavior as three dimensions of conflict, and examines their influences on employee turn-over intention. Additionally, this study, drawing from job characteristics model, predicts that organizational members' satisfaction with flexible work practice will reduce the effect of WIF on turn-over intention as the members feel more empowered with perception of time-control and autonomy. Using the survey data from employees of major corporations in Korea, this study ru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sults show that WIF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ployee turn-over intention and that employee satisfaction on flexible work practice effectively decreases the harmful impact of WIF on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research by showing that work-family conflict has a deferential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depending on where the origin of conflict resides. This study also offers a practical implication to managers by proposing that flexible work practice, unlike conventional view as a welfare policy, can be a strategically meaningful practice that can not only effectively reduces employee turnover but also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 of work-family conflict.

      • KCI등재

        기업의 뉴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채널에 대한 소비자들의 지각된 속도 (perceived speed) 및 지각된 통제 (perceived control)가 커뮤니케이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송지희 ( Ji Hee Song ),이소연 ( So Yeon Lee ),김상순 ( Sahang Soon Kim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3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5 No.4

        인터넷 및 모바일 기기의 발달로 다양한 뉴미디어들이 등장하게 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소비자들과 뉴미디어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할 때, 어떤 뉴미디어를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인가에 대해 많은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Telepresence 이론에서 제시하는 상호작용성 (Interactivity) 의 두 가지 개념인 속도 (Speed)와 통제 (Control) (Steuer 1992) 에 근거하여 뉴미디어 중에서 PC 기반에서 컨텐츠가 생성되는 미디어와 모바일 기반에서 컨텐츠가 생성되는 미디어를 비교하였다. 뉴미디어 이용 소비자 189명을 대상으로 한 두 차례의 실험 분석 결과 첫째, 소비자들이 정보탐색을 위해 기업이 뉴미디어를 통해 제공한 정보를 볼 때, 분석적 정보를 원하는 고객들은 PC 기반에서 컨텐츠가 생성되는 미디어에 제공되는 정보를 모바일 기반에서 컨텐츠가 생성되는 미디어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보다 더 신뢰하였다. 둘째, 서비스 실패 후 고객들에게 사과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 실패 정도가 심각하여 소비자들에게 자세한 메시지를 보내어 사과하는 상황에서는 PC 기반에서 컨텐츠가 생성되는 미디어를 이용하는 것이 메시지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미디어 선택이 기업에 대한 충성도 및 구매의도에까지는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구자들에게 다양한 뉴미디어를 분류/분석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며, 실무적으로는 뉴미디어를 활용하여 고객과 소통하는 기업에게 전략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As the considerable number of companies utilizes new media in communicating with their customers, it becomes a significant issue to manage different kinds of new media channels such as twitter, blog, kakao talk, and company sites. Here, we examine the effects of companies` media choice on consumers` trust, loyalty and purchase intention. In particular, based on two interactivity dimensions proposed in Telepresence theory, namely perceived speed and perceived control, we compare and contrast two popular new media: PC-based media (e.g., Blog) and Mobile-based media (e.g., Twitter). Six hypotheses are empirically tested in two experimental settings. The results indicate that when consumers look for analytic information, consumers` perceived trusts are higher toward the information posted on PC-based media compared to the information on mobile-based media. In addition, consumers` trust toward marketers` messages are enhanced when they receive apologizing message via PC-based media compared to via Mobile-based media in the case of serious service failure situation. The study provides useful tools (i.e., perceived speed and perceived control) to categorize different types of new media, and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marketers who are communicating with their customers via various new media.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법정 외부감사에서 배제된 소규모 비상장기업의 이익조정

        장금주 ( Geum Joo Jahng ),강민정 ( Min Jung Kang ),김상순 ( Sahang Soon Kim ) 한국회계학회 2014 회계저널 Vol.23 No.5

        최근 국내 회계업계의 ‘뜨거운 감자’는 법정 외부감사대상 범위의 변경 및 감사인 지정제도 확대 등외부감사 효과를 전제로 한 논의들이다. 2013년 10월 금융위원회는 회계투명성 제고를 위한 개혁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그 안에는 회계개혁의 사각지대로 남아있는 유한회사에 대한 외부감사 의무화, 외부감사대상 자산총액 기준을 기존의 100억에서 120억으로 상향 조정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중 자산총액 기준은 2014년 9월 외감법 시행령 개정으로 120억으로 상향조정되었다. 또한, 자발적 외부감사 유도를 위해 회계감사비용에 대한 세액공제를 가능하도록 하는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과 세무조사 대상자 선정기준에 외부회계감사 여부도 포함하는 국세기본법 개정안이 발의되어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이다. 이와 같은 움직임은 회계투명성 제고를 위해 외부감사의 필요성에 동의는 하지만 중소기업의 어려운 경영 사정 등에 대해 고민하는 정책 당국의 고민과 배려를 엿볼 수있다. 이들 이슈에 대해 각계는 정책 방향에 대해 나름의 논리로써 찬반의견을 제시하고 있으나 그 이면에는 각자가 처한 어려운 경제 여건 속에서 외부감사에 대한 상대적 가치평가 및 이해관계가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의 개정으로 소규모 비상장 중소기업이 법정외부감사에서 배제되는 경우 회계투명성이 저하되는가를 이익조정의 측정치인 재량적발생액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현재의 외부감사대상기준(자산총액기준, 부채기준, 종업원 기준)이외에 매출액 기준도 추가하여야 한다는 회계업계 주장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매출액 수준과 부채비율수준을 분석에 반영하여 이로 인한 이익조정 측정치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법정감사에서 배제된 소규모 비상장기업의 경우 재량적발생액이 법정감사를 받은 기업에 비해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출액 및 부채비율이 큰 경우에는 이러한 효과가 가중되는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법정감사 기업과 감사를 받지 않은 기업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도 위와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추가분석에서는 법정감사 받은 기업과 자발적으로 감사를 받은 기업을 비교하였는데, 법정감사 효과가 이익조정 억제 측면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법정감사 대상의 배제는 소규모 기업의 회계투명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소규모 기업에 대한 대형회계법인의 영향을 살펴보았는데, 임의감사의 경우에는 대형 회계법인의 이익조정이 오히려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간접적으로 소규모 기업의 경우 감사반 등 소규모 감사인의 감사가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에서 확인된 본 연구의 실증 결과와 외부감사를 받지 않는 소규모 기업의 소득 탈루 율이 평균보다 높다는 점 등을 고려한다면 외부감사에 대한 사회적 효익과 비용을 논의함에 있어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비상장 중소기업이 외부감사를 받지 않게 되면 회계투명성이 저하되므로 현 시점에서 소규모 중소기업의 외부감사를 축소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또한 향후 법률 개정에 있어서 외부감사 대상기준에 매출액 기준이 추가되어야 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hot potato’ of the Korean accounting circle in 2014 is about expanding the criteria for mandatory legal external audits and the external audit effects such as harnessing auditor designation rules. Under the expanded criteri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s are required to receive legal external audit and firm revenue has become a new standard for determining legal external audit. In October 2013, Finance Service Commissions revealed a policy reform to enhance accounting transparency. Two major thrusts of this reform are 1) a mandatory external audit for unlisted stock companies including firms such as limited liability companies that are still in the blind spot of accounting reform, and 2) an increase of the lower bound of total asset of companies subject to external audit from 10 billion to 12 billion won. In September 2014, the amendment on enforcement decree of External Audit of the Corporations Law increased the minimum total asset of the firms to 12 billion won. On the contrary, efforts to encourage voluntary audit are in motion. Two amendments are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amendments for Special Tax Treatment Control Act allowing tax shield for audit costs and Basic Act for National Taxes including whether a company has taken external audit into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argets for tax audit. All this reflects the regulatory authorities` sympathy towards small and medium size companies and faith in reform for accounting transparency. The heated debate on external audit effects is triggered by 1) an increase in total asset size of firms subject to external audit to 12 billion won and 2) an expansion of auditor designation system. Various stockholders have attempted to defend their positions with their own logics of the ‘appropriate’ direction of policy on external audit. However, it simply shows the gravity of this issue that reflects subjective evaluation of value and vested interest they represent. Our study, using discretionary accruals, investigates whether excluding small unlisted stock companies from mandatory audit will lower the accounting transparency of excluded companies. Additionally, we include revenue and debt ratio in the analyses and verify the validity of accounting circle`s argument about adding revenue to the existing criteria for external audit (size of total asset and liability, and number of employees). Results show that discretionary accruals of small unlisted stock companies excluded from external audit are significantly bigger than those of companies that took external audit and this effect is amplified with bigger revenue and debt ratio. Results also remain consistent with separate samples of companies that received the audit or that did not. Supplementary analyses comparing companies that took legal external audit and those that received voluntary external audit reveal that legal external audit is more effective than voluntary audit in thwarting discretionary accruals. This implies that excluding firms from the legal external audit will undermine the transparency of small unlisted stock companies. In a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large accounting firms on small companies receiving voluntary audit, results show that large accounting firms tend to promote discretionary accruals more often. This indirectly suggests that auditing by smaller accounting firms or small scale auditing team may be more effective for small companies. We believe that findings of our study, when considered together with the higher than average rate of tax evasion by unlisted small and medium stock companies excluded from external audit, will contribute to the discussion about the social costs and benefits of external audit. Furthermore, we provide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1) excluding firms from external audit will harm accounting transparency and therefore it is not recommended to exclude small and medium size companies from the audit, and 2) future amendment of regulation should incorporate revenue as a criterion for external aud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