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교육 현장에서의 장애학생에 대한 학교폭력의 유형과 특성

        김삼섭 ( Kim Samsup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3

        이 연구는 특수교사, 일반교사, 보조인력 및 학부모 등 학교구성원 1,606명을 대상으로 통합교육 현장에서의 장애학생에 대한 학교폭력의 유형 및 특성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학교구성원의 36%가 장애학생에 대한 학교폭력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폭력 유형 중 언어폭력 사건, 언어폭력 사건 중 놀림 사건을 가장 많이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학생에 대한 학교폭력은 주로 또래에 의해, 쉬는 시간 동안 교실 또는 복도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 발생 이후에는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방법으로 대응하기보다는 대응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그 이유로는 피해가 크지 않거나, 이야기해도 소용이 없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이 발생된 경우 피해 장애학생의 경우 친구를 대하는 것이 무섭거나 싫어졌고, 학교의 경우 장애학생에 대한 과보호 현상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he survey research about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school bullying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The survey was performed on 1606 school members such as special education teacher, general education teacher, assistance personal and school parent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36% of school members have experiences about school violences. The high proportion of school violence was verbal abuse. Especially picking on disabled students was most common type. The most of school violence was happened by peer at rest time in the classroom and corridor. After the violent incident, doing nothing was much better than doing respond officially or unofficially. That`s because there was not much damage and because it was not helpful to tell others. When the school violence was happened, the violence victim had an experience to feel scared or to hate to see friends and the overprotecting disabled students was increased in school. From the above results, improvement plan for preventing school violence was suggested.

      • KCI등재

        다중지능 측정 문항의 핵심어 및 서술형태 분석

        김삼섭 ( Sam Sup Kim ),백종남 ( Jong Nam Baek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6 No.4

        이 연구는 발달장애학생 다중지능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로서, 다중지능 측정 문항의 핵심어가 무엇인지, 서술부의 의미는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5명의 연구보조자를 선정하여 7개 다중지능 측정 도구의 555개 문항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지능별 핵심어를 제시하고, 다른 지능과의 관계를 해석하였다; 둘째, 다중지능 측정 문항 서술부의 의미를 ‘능력’, ‘흥미 또는 관심’, ‘경험여부 또는 관찰빈도’로 분류하여 제시한 후 그 결과를 해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항의 핵심어를 통해, 각 지능별 연관될 소지가 있는 문항의 핵심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였으므로, 향후 발달장애학생 다중지능 측정 문항을 구성함에 있어 참고할 만하다; 둘째, ‘능력’ 중심으로 문항을 구성할 경우 문항의 변별도를 저해할 수 있으므로, 문항개발 과정에서의 발달장애학생 교육 경험자 참여와 심리측정학적 과점에서의 문항 선별 및 조정 작업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발달장애학생 다중지능 측정 문항을 개발하는 데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is the fundamental study on development of multiple intelligence assessment scale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keyword and predicate-form of Multiple Intelligences assessment items. To perform this study, appointed 30 Korean educational experts as an analyst, and analyzed 555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we presented keywords as each intelligent, and interpreted relationship with other intelligences; Second, we found out `ability`, `interest`, and `experience or frequency` as a means of multiple intelligences assessment item predicate, and interpreted as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rist, the keywords are useful to develop multiple intelligences assessment item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it is possible to lower item discrimination if `ability` centered items is applied in developing multiple intelligences assessment items.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layed the foundation of development of multiple intelligences assessment item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후보

        충청남도 산업특성을 고려한 정신지체여성의 적성직종 탐색 -정신지체여성의 우선취업직종 선정을 위한 기초 연구-

        김삼섭 ( Sam-sup Kim ),박은영 ( Eun-young Par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6 No.4

        이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정신지체여성의 최적직종(最適職種)을 지역사회 산업체 분포를 고려하여 직업적성검사, 구인직종, 적성직종의 수행가능성, 취업직종별로 알아보았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적성 및 직업흥미를 고려한 적성직종은 식물성 유지 제조 등 11개로 나타났다; 둘째, 구인직종을 고려한 적성직종은 화훼작물재배 등 63개로 나타났다; 셋째, 수행가능성 평가를 통한 적성직종은 화훼작물재배 등 60개 직종으로 나타났다; 넷째, 취업직종을 고려한 적성직종은 기타 육지동물고기 가공 및 저장 처리 등 19개로 나타났다; 다섯째, 충청남도 정신지체여성의 최적직종은 71개로, 그 중 제조업이 8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충청남도 정신지체여성의 우선취업직종을 선정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examined of the best-fit job of women with mental retardation living in Chungcheonanam-do according to distribution of community based industries. For this purpose, occupational categories of job offering and employment, and performance possibility of vocational aptitude were surveyed and vocational aptitude was measured. The results were following; First, occupational categories of vocational aptitude by aptitude and interest were 11 categories including the manufacturing industry of oil plant and so on; Second, occupational categories of vocational aptitude by job offering were 63 categories including the cultivation of flowering and crops and so on; Third occupational categories of vocational aptitude by performance possibility were 60 categories including the cultivation of flowering and crops and so on; Fourth, occupational categories of vocational aptitude byemployment were 19 categories including manufacturing and storing of chicken andmany other domestic animals; Fifth, 71 categories were the best-fit job of mental retardation women living in Chungcheonanam-do, manufacturing industry occupied more than 80% of them. This results of this study are useful for determining of occupational categories of a priority employment in women with mental retardation living in Chungcheonanam-do.

      • KCI등재

        정서장애학교 교사의 교수능력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김삼섭 ( Kim Sam Sup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4

        이 연구에서는 정서장애학교 교사 교수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각 수준 및 그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정서장애학교 교사 교수능력 조사지를 개발하여 정서장애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장애학교 교사는 교수-학습 지원보다 행동지원 범주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교수-학습 지원 중에서 사회기술 지도, 문제해결 지도, 장애특성에 대한 이해 및 지도등의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행동지원 중에서는 긍정적 행동지원, 스트레스 관리, 예방 중재전략 등의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둘째, 정서장애학교 교사는 행동지원 영역이 교수-학습지원 영역에 비해 실행도가 더 높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긍정적 행동지원, 개별화 행동지원계획, 사회적 기술 지도, 스트레스 관리의 순으로 실행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정서장애학교 교사의 교수능력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차이가 가장 큰 요소는 중도ㆍ중복장애학생의 특성 이해 및 지도로 나타났고, 차이가 가장 작은 요소는 정서ㆍ행동장애 용어에 대한 지식이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정서장애학교 교사의 양성과정 및 재교육과정 구안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eachers’ competencies in emotional disorder special school.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on the teachers' competencies of teaching emotional disorders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92 special teachers who worked in special schools for emotional disord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level of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teachers of emotional disorder school was highly evaluated in the order of psychological-behavioral support, teaching-learning support, and knowledge related to emotional disord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eaching competencies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emotional disorder, there was a difference in order of teaching-learning support factor, emotional disorder knowledge factor, psychologicalbehavior support factor.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eacher training course and retraining process of schools for students with emotional disorder.

      • KCI등재

        청각장애교육 교사의 교직수행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김기룡(Kim, Ki-ryong),최상배(Choi, Sang-bae),김삼섭(Kim, Sam-sup)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이 연구에서는 전국의 14개 청각장애 특수학교 근무 특수교사 91명, 청각장애학생 학부모 50명을 대상으로 2016년 9월 13일부터 10월 7일까지 청각장애교육 교사의 교직수행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수준 및 두 변인간의 차이를 알아보고, 중요도실행도 분석법을 통해 4분면의 속성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교육 교사 교직수행능력에 대한 중요도는 특수교사와 학부모 모두 언어기술 지원 요인을 가장 높게 평정하였다. 둘째, 청각장애교육 교사 교직수행능력 요인 에 대한 특수교사의 실행도 수준은 청각장애 이해 요인이 가장 높았다. 셋째, 청각장애교육 교사의 교직수행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수준을 비교한 결과, 차이가 가장 큰 문항은 청각장애학생 생활 및 진로 상담 능력, 차이가 가장 작은 문항은 보 청기나 인공와우를 착용한 학생을 위한 교육환경 조성 능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각장애교육 교사의 교직수행능력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결과, 1사분면에는 청각장애가 아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식 등이, 2사분면에는 청각장애학 생 생활 및 진로 상담 능력 등이, 3사분면에는 청각장애의 병리적ㆍ교육적ㆍ문화적 관점에 대한 지식 등이, 4분면에는 청력 손실 정도가 청각장애학생의 학습과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식 등이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특수교 사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개발뿐 아니라 특수교사의 연수 등 재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teaching competencies of hearing impaired education teacher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the importance of teaching competencies of special teachers and parents by factors. Both groups showed that language skill suppor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erms of the items, the special teachers rated knowledge of language instruction skill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and parents rated the instructional ability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Second, the performance leve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the highest level of understanding of hearing impairment. The performance level of the instructional abilit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was the highest, and the execution level of hearing ability analysis and hearing aid / cochlear implant manipulation ability was lowest. Third, comparing the level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eaching competencies, the items with the largest difference were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life and career counseling ability, the items with the smallest difference were hearing aids or cochlear implants and the ability to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for students. Fourth, in the first quadrant, the knowledge about the effects of hearing impairment on child development, and the second quadrant, the ability of hearing impaired student life and career counseling. Knowledge of the pathological, educational, and cultural aspects of hearing impairment is included in the quadrant, and knowledge of the effects of hearing loss on learning and experience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is included in the fourth quadran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institute as well as the retraining program.

      • KCI등재후보

        장애인 자산형성지원사업모형 개발을 위한 국제 비교 연구

        김기룡(Ki-Ryong Kim),이경준(Kyong-Jun Lee),나경은(Kyong-Eun Na),김치훈(Chi-Hun Kim),김삼섭(Sam-Sup Kim) 한국보건복지학회 2018 보건과 복지 Vol.20 No.2

        이 연구는 장애인 자산형성지원사업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우리나라의 사례를 비롯하여 미국, 영국, 캐나다, 일본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법적 근거, 지원 대상, 기여 방식, 기여액, 지원액, 가입기간, 수령액, 사용처, 금융 서비스, 재원 조달 등을 공통 분석 범주로 선정하여, 국내외 자산형성지원사업 운영 사례를 비교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저축 방식의 자산형성사업을 보건복지부와 서울시를 중심으로 실시하고 있었고, 미국, 영국, 캐나다는 저축 방식으로 일본은 보험 방식으로 자산형성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국은 ABLE 계좌, 캐나다는 등록장애저축계획(RDSP)와 같은 장애인에게 직접 초점이 맞추어진 자산형성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었다. 또한 자산형성 방법에 따라 비교한 결과, 매칭형, 근로연계형, 연금보험형, 전반적 자산관리형으로 분류되었고, 자산기여방식에 따라 비교한 결과, 비기여, 공동기여, 완전기여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을 위한 자산형성지원사업 모델 개발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supporting the asset building of the people with severely disabilities, comparing and analyzing cases of the USA, UK, Canada, and Japan including Korea. In order to compare these, we compared the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asset building support projects by selecting common criteria such as legal basis, support object, contribution method, contribution amount, subscription period, receipt amount, use place, financial service and financing. In Korea,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conducted savings-type asset-building projects targeting low-income households, while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Canada conducted savings-type assistance schemes in Japan. appear. In addition, the United States operated an ABLE account, and Canada had an asset-building support business that was directly focused on people with disabilities, such as the Registered Disability Savings Plan (RDSP). As a result of comparisons according to asset building methods, they were classified as matching type, labor - linked type, pension insurance type, and overall asset management type. appea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asset building support business model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suggested.

      • KCI등재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장애수용태도 유형별 가정환경,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핵심역량 특성

        김기룡 ( Ki Ryong Kim ),김삼섭 ( Sam Sup Kim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2

        이 연구에서는 만 3세에서 만 12세이하 발달장애아 어머니 210명을 대상으로 장애수용태도 유형을 군집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류·명명하고, 각 유형의 가정환경, 양육스트레스 수준 및 양육핵심역량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장애수용태도 유형은 충격-수치군, 수용-과잉보호형군, 의심-반동형성군, 부인-의심군, 수용불가군, 전반적 수용군 등 6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충격-수치군 및 부인-의심군의 경우 만 8세 이하의 자녀 비율이 높고, 수용-과잉보호군, 수용불가군 및 전반적 수용군의 경우 만 9세 이상의 자녀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충격-수치군, 수용-과잉보호군, 수용불가군 및 전반적 수용군의 경우 자녀의 장애정도가 심한 편인 비율이 높고, 의심-반동형성군 및 부인-의심군의 경우 자녀의 장애정도가 중등도 이상인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 수용군 및 부인-의심군의 경우, 양육스트레스 수준이 비교적 낮고, 충격-수치군의 경우 양육스트레스 수준이 비교적 높은 집단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수용군, 수용-과잉보호군 및 부인-의심군의 경우 양육 역량이 우수한 반면, 충격-수치군, 수용불가군 및 의심-반동형성군은 양육 역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find home environment,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core competency of 210 mothers raising 3-12 years ol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types of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using cluster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types of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were classified as follows: ``shock-shame group``; ``acceptance-overprotection group``; ``doubt-reaction formation group``; ``denial-doubt group``; ``acceptance denial group``; ``general acceptance group``. Shock-shame group and denial-doubt group included children under 8 years of age at a high rate, whereas acceptance-overprotection group, acceptance denial group and general acceptance group included children above 9 at a high rate. Shock-shame group, acceptance-overprotection group, acceptance denial group and general acceptance group included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at a high rate, whereas doubt-reaction formation group and denial-doubt group included children with moderate or mild disabilities at a high rate. General acceptance group and denial-doubt group had a low level of parenting stress, whereas shock-shame group had a high level of that. General acceptance group, acceptance-overprotection group and denial-doubt group had a high level of parenting core competency, whereas shock-shame group, acceptance denial group and doubt-reaction formation group had a low level of that.

      • KCI등재

        정신지체학생의 신체적 자아개념 발달 특성

        임채영 ( Chae Young Im ),김기룡 ( Ki Ryoung Kim ),김삼섭 ( Sam Sup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4

        이 연구에서는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설치 일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정신지체학생 중에서 중학교 이상의 과정에 해당하는 학생 208명을 대상으로 신체적 자아개념에 대한 전반적인 특성과 성, 학교형태, 학교과정, 장애등급 및 지원의 강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정신지체학생의 신체적 자아개념 중 전반적 자아개념과 신체적 자기개념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조건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지체학생의 신체적 자아개념에 대한 변인별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과 학교형태 변인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과정, 장애등급 및 지원의 강도 변인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신체적 자아개념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정신지체학생이 일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정신지체학생에 비해 신체적 자아개념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정신지체학생의 전반적인 신체적 자아개념의 발달 특성을 제시하고,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정신지체학생의 학업, 생활지도 및 진로지도 과정에서 신체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근거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study is to analysis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 self-concept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t is analyzed the difference of physical self-concept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by gender, school type, school courses, the degree of disability and the strength of support. This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208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enrolled at junior high school or high school in special schools or special classes in regular schools. Simple physical self-concept tests of Maiano et al.(2009) translated by Kim et al.(2013) were used. Using these tools, the preliminary test, the primary test and secondary test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recognized the most positive general self-concept of physical self-concept factors, but the negative physical conditions. Secon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y gender, global self-concept and physical condition of all the factors to be higher in boys than girls showed statistically. Thir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y school type, all the factors of physical self-concept was to be higher students in special school than special classs. Exercise capacity and physical attractiveness of all the 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other sub-factor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Fourth,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y school course, global self-concept and exercise capacity of physical self-concept was to be higher students in high school than middle school. Physical self-worth, physical condition and physical attractivenes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y school course. Fifth,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y disability level, all the factors of physical self-concept was to be higher students in 2nd grade disability level than 1st grade and 3rd grade. Global self-concept, physical condition and physical attractive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disability level. Sixth,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y support strength, global self-concept, physical self-worth and physical attractive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in the field of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such a academic program, daily life program and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the student with mental retardation.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 다중지능 측정 문항의 변별도 및 신뢰도 검증

        백종남 ( Jong Nam Baek ),김삼섭 ( Sam Sup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0 지적장애연구 Vol.12 No.4

        이 연구는 발달장애학생 다중지능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세 번째 예비연구로서, 발달장애 학생 다중지능 측정 문항의 변별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계획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교과정과 장애유형별 목적유층표집에 의해 100명의 발달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문항변별도 검증을 위해 측정 운항의 평균, 표준편차, 문항-총점 간 상관계수를, 문항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문항 제거 시 문항내적 일치도 등의 통계적 방법과, 측정자로부터의 피드백을 토대로 문항을 조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20문항 중 68문항은 유지, 30문항은 수정, 23문항을 삭제하여 97문항으로 조정하였다. 통계적 검증에 따른 문항의 변별도 및 신뢰도 제고를 위해 17문항, 피드백 결과에 따른 구성개념과의 관련성을 제고하기 위해 2문항, 다른 문항과 의미상 중복을 피하기 위해 4문항 등 23문항을 삭제하였다. 피드백 결과에 따른 의미의 명료성을 위해 30문항을 수정하였다. 기타 측정의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해 조사지 전반에 걸친 측정자의 제안을 수렴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조정된 97문항은 `발달장애학생 다중지능 측정 예비문항`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is the third preliminary study on development of multiple intelligences assessment scale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discrimination and reliability of Multiple Intelligences assessment items. To perform this study, 100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re participated by stratified sampling according to disability type and school course.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and item-total reliability, verified discrimination of items. Using Cronbach` Alpha if deleted, verified reliability of items. And got feedback from testers about items. As the results, modified or deleted items which are not appropri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30 items of 120 items are modified, and 23 items of 120 items are deleted. 17 items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2 items for relevance with construct concept, and 4 items for avoiding overlapping with others are deleted. 30 items for clarity are modified. Finally 97 items are presented.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test, suggestions of test participants are provided. It is expected that 97 items are useful as a preliminary items for development of multiple intelligence scale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