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재생공간을 위한 친환경 계획지침에 관한 연구

        김사라(Kim, Sa-Rah),남경숙(Nam, Kyung-Soo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1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3 No.1

        As energy saving has been institutionalized and made a way of life, and interest in friendly environment is rising, countries in the world have developed a relevant certification system to lay the ground for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e. As there is also greater social interest in friendly-environment in the domestic country, interest in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e and regeneration spaces as a new means to practically realize the environment is growing Environment-friendly regeneration spaces are connected not only to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architectural interiors and exteriors but to the improvement of the regional environment or global environment. However, because the country does not have any certification system about environment-friendly regeneration spaces, it is necessary to recycle the existent spaces or develop an environment-friendly guideline considering the improved regeneration spaces.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friendly and factors, and suggest the plan guideline for invigoration, and target the regeneration spaces which were changed from the domestic existent buildings for change of use, and confine them to cultural spaces in the buildings. Also, hereafter, the study suggests the method of changing regeneration spaces into environment-friendly spaces and using them as sustainable buildings.

      • KCI등재

        가정폭력 피해자녀의 쉼터 경험이 당시 삶과 쉼터퇴소 후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김사라(Sa-Rah Kim),김라경(Rah-Kyung Kim) 한국가족치료학회 2021 가족과 가족치료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폭력 피해자의 자녀가 쉼터경험이 쉼터 당시의 삶과 쉼터 퇴소 후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 접근의 현실적 한계를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의도적 표집(purposive sampling) 방법을 사용하여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서울에 위치한 1개의 보호시설에 거주하였던 현재 성인이 된 6명의 가정폭력 피해 자녀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2개의 범주(쉼터에서의 생활, 쉼터 퇴소 후 생활)와, 9개의 하위범주, 28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쉼터에서의 생활이 당시 삶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결과는 ‘생명이 위협받는 삶에서 벗어남’, ‘폭력 바로 바라보기’, ‘새로운 삶이 열리는 공간’, ‘인생의 든든한 지원군이 있는 곳’인 4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쉼터 퇴소 후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는 ‘노력하면 달라진다는 희망’, ‘마음의 치유’, ‘나를 위한 주체적인 삶’, ‘타인과 심리적 거리두기’, ‘지워지지 않는 흔적’인 5가지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가정에 대한 개입 방안에 필요한 기초적인 정보와 자료를 제공하고, 가정폭력 피해자녀들의 외상사건에 대한 회복을 위한 쉼터의 역할에 대한 탐색을 시도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n the children of domestic violence victims’ life experience in shelters, both at the time of the shelter experience and after leaving the shelter. Methods: Using the purpose sampling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ix children who are currently adults who lived in one shelter located in Seoul. Results: Apply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two categories, nine subcategories, and 28 semantic units were derived. Subcategories include “Getting out of life threatened,” “Looking at violence right away,” “A space where a new life opens,” “Where there is a strong supporter of life.”, “Hope that effort will change,” “Healing of the mind,” “Independent life for me,” “Psychological distancing from others,” and “Traces that cannot be erased.”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d basic information and data necessary for intervention measures for families affected by domestic violence and attempted to explore the role of shelters for the recovery of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in trauma cases.

      • KCI등재

        경기지역 소방공무원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경향분석

        김사라(Sa rah Kim),김라경(RahKyung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7

        본 연구에서는 소방공무원의 인구학적 통계에 따른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실태현황에 대한 경향분석을 통해 어떤 변인이 소방공무원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를 예측하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에 근무하는 소방공무원 1,980명을 대상으로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증상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변인들과의 관련성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방공무원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진단율은 16.4%로 일반인들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 PTSD) 유병율 1.6%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집단은 비외상후스트레스장애(non-PTSD)집단에 비해 성별, 연령, 혼인관계, 근무년차, 현재직무, 근무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여성이 남성보다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집단이 높았고, 직무별로는 구급대원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심리적 안정과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의 수집을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에 대한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ends of PTS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statistics of firefighters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variabl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edicting post -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of firefighters. For this purpose, 1,980 firefightersworking in the Gyeonggi area were measured for demographic variabl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TSD symptoms. First, the rate of diagnosis of TSD) was 16.4%, which is higher than the prevalence of PTSD of 1.6% in the general public. Second, PTSD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age, marital relationship, year of work, present job, and type of work compared to Non–PTSD group. The PTS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than men. In terms of job tasks, firefighters who work in emergency service have higher PTSD group than others.. Final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llects the ground data for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and psychological stability of firefighters, and suggests a follow–up study for this.

      • KCI등재

        베이비부머세대 은퇴에 따른 지역사회 노인복지관의 역할

        김사라(Sa rah Kim),김라경(Rah-Kyung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8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세대의 은퇴에 따른 노후생활에 대한 준비와 삶에 태도 그리고 이에 따른 지역사회노인복지관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결과, 베이비부머세대는 ‘누구에게도 기대지 않음’, ‘내 삶은 내가 책임짐’, ‘지금까지 삶을 인정받고 싶음’과 같은 노후생활에 대한 욕구를 보였다. 베이비부머세대는 지금까지의 나의 삶은 ‘내가 스스로 개척한 것’이라는 자부심이 있었으며 ‘많은 역할과 책임감을 감당한 삶’으로 표현하였다. 이들의 은퇴 후 삶 역시 사회나 가족으로부터 도움을 받기 보다는 자신도 사회의 책임 있는 구성원으로서 의미 있는 역할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베이비부머세대가 지역사회 및 노인복지관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지원이 필요하다. 첫째, 베이비부머세대들이 복지관에 대한 심리적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복지관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베이비부머세대들이 자원봉사와 같은 활동을 통해 자신의 전문성을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건강한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베이비부머세대들이 은퇴 후에도 그들의 경제적 활동을 보장을 위한 일자리 창출 등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paration of life expectancy according to the retirement needs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the attitude toward life and the role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the communit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baby boomer generation showed a desire for old age life such as I do not expect anyone , my life is responsible , and I want to be recognized for life so far . The baby boomer eneration has expressed pride that my life so far has been my own pioneering and life with many roles and responsibilities . After their retirement, they want to play a meaningful role as responsible members of society rather than getting help from society or family.In order for the baby boomer generation to actively participate in community and elderly welfare centers, the following support is needed.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welfare center so that the baby boomers generation can improve the psychological access to the welfare center. Second, it is necessary for the generation of the baby boomers to contribute their expertise to the community through activities such as volunteering and to lead a healthy old age. Third, it is necessary for the generation of baby boomers to create jobs to guarantee their economic activities even after retirement.

      •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의 분석을 위한 패널 가중치 산출 및 사용방안 사례 연구

        박민규 ( Min Gue Park ),김사라 ( Sa Rah Ki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5 조사연구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1998년부터 실시되어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의 분석을 위해 2013년도에 새롭게 구축된 종·횡단면 가중치의 산출과정 및 선형혼합모형의 적합을 위한 종단면 가중치의 새로운 사용방안이 소개된다. 또한 제안된 종단면 가중치 사용방안을 선형혼합모형과 일반화 선형혼합모형이 사용된 기존 사례 연구에 적용하여 종단면 가중치의 사용 여부에 따른 결과들을 비교하였다. 가중치를 적용한 분석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인 프로그래밍 작업 없이 기존의 통계 패키지를 직접 사용하였다. 제한적이기는 하나 본 연구에서 고려한 사례에서는 종단면 가중치의 사용 여부가 모형에 대한 통계적 검정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종단면 가중치의 적용 여부에 따른 결과의 차이와 상관없이 유한모집단의 종단 분석을 위해서는 패널의 대표성과 모형실패(model failure)에 대한 추론 결과의 강건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종단면가중치를 이용한 분석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생각된다. In this study, the method of constructing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weights and a new way of using longitudinal weight for fitting a linear mixed and general linear mixed model for Korean Labor Income Panel Survey that started at 1998 are discussed. And we apply the suggested method of using a set of longitudinal weights to the existing two case studies to fit general linear mixed models, and compare the analyses results to the one to which longitudinal weights are not applied. In the limited case study, no significant change is found by applying a set of longitudinal weights. However, in all cases, it is recommended to use the longitudinal weights for maintaining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panel and the robustness of the result to model failure in longitudinal studies.

      • 이마고 부부관계치료사의 비대면 화상 이마고 부부상담 경험연구 -포커스그룹활용-

        민경숙(Kyung Sook Min),이승현(Seung Hyun Lee),윤숙재(Suk Jae Youn),임주리(Ju Ri Lim),김사라(Sa Rah Kim) 한국부부가족상담연구학회 2022 부부가족상담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팬데믹 상황에서의 비대면 화상 이마고부부상담에 관한 경험을 탐색하여 그 본질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로 이마고 부부치료 전문가 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비대면 화상 이마고부부상담 경험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결과 196개의 의미 단위, 48개의 하위구성요소, 10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인터뷰 내용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질적연구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로부터 감수를 받았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초반의 경험, 비대면 화상 이마고부부 상담에 대한 예기 불안, 대면상담을 하루 빨리 할 수 있었으면 좋겠음, 비대면 화상 이마고부부상담의 사전준비가 필요함, 비대면 화상 이마고부부상담의 진행이 어려움, 비대면 화상 이마고부부상담의 사례구조화, 비대면 화상 이마고부부상담에서 이마고 프로세스 진행 경험, 비대면 화상 이마고부부상담이 좋은 점, 비대면 화상 이마고부부상담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담자의 성장, 향후 비대면 화상 이마고부부 상담을 위한 보완이 필요함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향후 비대면 화상 이마고부부상담의 보완점과 방향성에 대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online Imago couple therapy in Imago couple therapis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the current stud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8 Imago couple therapists as study participants to collect data on their experience of online Imago couple therapy. As a result, 197 semantic units, 48 subcomponents, and 10 components were derived from the data.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interview contents, a close supervision was made by an expert with abundant experience in qualitative research. The study result showed following themes: The experience during the early stage of COVID-19, the anxiety about online Imago couple therapy, hoping to have a face-to-face therapy soon, online therapy needs to be prepared in advance, difficulty in conducting online therapy, case conceptualization of online couple therapy, online Imago couple therapy process experiences, benefits of the online Imago couple therapy, growth of therapists in the process of the online Imago couple therapy, and the necessity of the update on the future online Imago couple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