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가족 및 부부상담 영역의 최근 연구경향

        이지영(Lee, Jee-Young),천성문(Cheon, Seong-Moon) 한국부부가족상담연구학회 2020 부부가족상담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가족 및 부부상담 영역에 있어서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2015년-2020년에 발표된 235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Textom과 UCINET을 활용하여 단어출현빈도를 분석하고 네트워크를 시각화하였다. 연구 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전반적인 추이 분석을 위한 빈도 분석과 전체 네트워크의 구조적 속성, 중심성 분석, 구조적 등위성 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전반적인 추이 분석 결과, 최근 6년 동안 가족 및 부부상담 영역의 연구가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방법별 추이는 문헌연구의 경우 점차 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학술지논문에서 질적연구가 학위논문에서 혼합연구가 각각 비율이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주제별 추이는 가족 및 부부상담에 대한 주요 개념과 모델을 주제로 하는 연구가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며, 가족 및 부부가 경험한 문제 상황이나 특수 대상을 주제로 한 연구가 학술지논문을 통해서 다수 발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키워드 간 평균 연결정도와 연결선 간 평균거리를 살펴보았을 때 대부분의 키워드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 변인들 간의 연관성이 높고 주요 주제 간의 연결성과 맥락 등이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유사성 집단을 확인하기 위한 CONCOR 분석 결과 가족 및 부부상담 영역에서 이루어진 연구는 주로 가족치료기법, 부부, 소통과 갈등, 위기 및 극복, 부부 상담 프로그램 등의 범주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족 및 부부상담 영역의 연구 경향성에 나타난 이와 같은 특징들이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in the family and couple counseling area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For this purpose, using the database of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235 papers published in 2015-2020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key words were selected using Textom and UCINET 6 s NetDraw program, the frequency of word occurrence was analyzed and visualized. In order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frequency analysis, structural characteristic analysis, structural equivalence analysis, entire network, and centrality analysis were applied. The major findings are briefly presented as follows. First, in the last 6 years, studies in the field of family and couple counseling have decreas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 in research methods, literature research is gradually decreasing. And in recent year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increasing in journal papers, and mixed research methods are increasing in degree thesis. As for the research subject, research on the concept and model of family and marital counseling have been steadily published. And on the subject of Special group, problem situations experienced by families and couples were also being published through journal articles. Secondly, analyzing the average degree of connection between keywords and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connection lines, most of the keywords were connected to each other. This mean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is high, and the connection and context between the main topics are similar. Thirdly, the results of CONCOR analysis to confirm the similarity group are as follows. Research conducted in the area of ​​family and couple counseling which was confirmed to be conducted within the categories of family therapy techniques, couples, communication and conflict, crisis and overcoming, and couple counseling programs.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to suggest the direction of subsequent research in areas of ​​family and couple counseling.

      • 중년기 부부관계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을 적용하여

        김미라(Kim, Mi-Ra),하영윤(Ha, Young-Yoon) 한국부부가족상담연구학회 2020 부부가족상담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중년기 부부관계에 관한 국내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 이해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2011~2020) 동안 국내 등재 학술지에서 중년기, 중년기 남성, 중년기 여성, 중년기 부부관계 등의 키워드로 검색된 논문들 중 연구목적에 부합되는 중년기 부부관계와 관련한 논문 총 50편을 최종 선정하였다.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기별, 대상별, 방법별, 변인별로 분석하고, 주요 변인들을 중심으로 연구내용을 분석하였다. 이후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을 적용하여 연구내용들을 재구성하였고, 이를 통해 중년기 부부관계에 관한 연구들의 의미를 Bowen의 가족체계이론 입장에서 새롭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 동향 분석 결과, 최근 10년간 중년기 부부관계 관련 연구는 꾸준하게 이루어졌으며, 양적 연구가 질적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았다. Bowen의 가족체계 이론을 적용한 내용분석 결과, 부부관계, 자녀와의 관계, 원가족과의 관계 등 다양한 하위체계들의 관계성이 중년기 부부를 설명하는 의미 있는 변인들로 나타났다. 또한 Bowen이 제안한 핵가족 정서체계, 자기분화, 삼각관계, 다세대전수 개념들이 중년기 부부관계를 이해하는 유용한 개념의 틀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중년기 부부관계 연구들이 가지는 함의를 탐색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on middle-aged marital relationship and to provide implication for further research. Through 2011 to 2020, a total of 50 published articles that fit this study were selected by searching with keywords:‘middle age’,‘middle-aged men’,‘middle-aged women’, and ‘middle-aged marital relationship’from Korean registered journals. To review the trends, the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research period, subject, method, and variables. Later, Bowen’s Theory of Family Systems was suggested to be useful in the understanding of middle-aged marital relationship and was applied to reorganize the variables and contents of these articles. This analysis and reexplanation were used to establish a new understanding of meanings of researches in the perspective of Bowen’s Theory of Family Systems. Research trend analysis revealed that middle-aged marital relationship studies were conducted steadily past ten years and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at relatively high frequency compared to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with application of Bowen’s Theory of Family Systems showed that most important variables to understand the middle-aged married couple were not the individual, but their relationships with various subsystems. Additionally, main concepts of Bowen’s theory were proved to be meaningful in the understanding of middle-aged marital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lso discussed.

      • 가족 의사소통과 부부적응 관계에서 성생활 만족의 매개효과

        최윤진(Yoon Jin Choi),윤영남(Young Nam Yun),김민하(Min Ha Kim),이재선(Jae Sun Lee),안종화(Jong Hwa Ahn),구경희(Gyung Hee Goo) 한국부부가족상담연구학회 2022 부부가족상담연구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남녀의 가족 의사소통과 성생활 만족 및 부부적응의 관계를 탐색하고, 부부의 성생활 만족도가 가족 의사소통과 부부적응 사이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상담센터를 방문한 기혼남녀 총 121명을 대상으로 가족 의사소통 수준과 성생활 만족도 및 부부적응 수준에 대해 설문하였고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t 검증,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족 의사소통과 부부의 성생활 만족, 가족의사소통과 부부적응, 부부의 성생활 만족과 부부적응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관찰되었으며, 부부의 성생활 만족이 가족 의사소통과 부부적응의 관계에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 의사소통이 부부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성생활 만족도를 거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나, 가족 구성원들 간에 만족스러운 의사소통을 하는 기혼남녀는 부부의 성생활에서도 더 높은 만족도를 형성하여 궁극적으로 부부관계의 적응 및 만족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부부적응을 높이기 위한 가족의 의사소통수준과 성생활 만족도에 대한 제안을 논의에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communication, sexual satisfaction, and marital adjustment of married men and women, and to identify the role of sexual satisfaction between family communication and marital adjustment. A total of 121 married men and women were surveyed. A t-test, one-way ANOV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a Sobel test were performed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family communication and sexual satisfaction, between family communication and marital adjustment, and between sexual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xual satisfaction was found between family communication and marital adjustment, indicating that married men and women who communicate satisfactorily with family members form a higher level of sexual satisfaction, ultimately improving the adjustment and satisfaction level of the marital relationship.

      • 국내 상담수련과정에서 수련생의 경험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이지영(Lee, Ji Young),김현정(Kim, Hyeon Jung) 한국부부가족상담연구학회 2021 부부가족상담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수련과정에서 수련생의 경험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수련생들의 경험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보다 효과적인 상담수련과정을 위한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08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심리상담 및 가족상담 관련 민간자격등록이 시작된 이후의 논문 중, 2009년부터 2020년까지 상담수련과정에 관한 14편의 국내학술논문을 분석대상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상담수련생의 경험에 관한 연구는 연간 0편-3편이 발표되었으며, 선정된 논문들은 현상학적 연구, 근거 이론, 합의적 질적 분석의 연구방법 등으로 분석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는 국내 상담관련 학부 재학부터 박사까지의 학위수준을 갖추고 있으며, 연령대는 20대부터 60대까지이고, 상담수련과정을 경험했던 상담사들이다. 분석결과는 상담수련과정이 상담사의 개인적인 영역과 전문가적인 영역에서 성장을 지원하는 효과적인 과정임을 보여주었고, 부정적인 경험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장의 과정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밝혀주고 있다. 상담사들의 성장을 지원하는 수련과정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과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trainees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the experiences of trainees in the counseling training process and to present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a more effective counseling training process. Among the papers since the Korea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Institute s registration of private qualifications related to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family counseling began in 2008, 14 domestic academic papers on the counseling training process from 2009 to 2020 were selected as analysis target papers. 0-3 studies on the experience of counseling trainees were published annually, and the selected papers were analyzed as phenomenological studies, evidence theory, and research methods for consensus qualitative analysis. Participants in the study have degrees from undergraduate to doctoral degrees related to counseling in Korea, and are in their 20s to 60s, and counselors who have experienced counseling training course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counseling training process is an effective process to support growth in the personal and professional areas of counselors, and that they are experiencing the process of growth despite negative experiences. It suggests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training courses that support the growth of counselors and the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 구조적 가족치료의 국내 연구동향 분석: 1991~2019

        유두리(Yoo, Du-Ri) 한국부부가족상담연구학회 2020 부부가족상담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다양한 상담이론 중에서 일반 체계 이론을 근거로 하여 가족의 구조와 하위 체계, 그리고 경계선을 강조한 구조적 가족치료의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성과를 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현대사회의 주요한 상담이론 중인 하나인 구조적 가족치료 연구는 1991년부터 2019년까지 총 26편의 학술 논문(KCI 등재)을 발표하였으며, 이를 연구의 유목과 연구 방법별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유목별로는 (임상적) 치료 연구가 69.23%, 비(非) 치료 연구가 30.77%로 나타났다. 연구 방법별로, 질적 연구 방법은 88.47%, 양적 연구 방법이 11.53%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구조적 가족치료 연구의 중요성을 밝히고, 비(非) 치료 연구 및 연구 방법의 통합적 연구가 더 활발히 진행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by reviewing articles related to Structural Family Therapy and to provide fundamental meterials for further study. A total of 26 published articles(KCI) from 1991 to 2019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in several ways. First, clinical-research articles(69.23%) were distinguished from non-clinical articles(30.77%). For research method, qualitative analyses(88.47%) were mainly used which was followed by the quantative analyses(11.53%). The results of this study clarified the importatnce of Structural Family Therapy and suggested that non-clinical research and integrated quan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 for further study should be conducted.

      • 한국 상담사의 이마고부부치료 적용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김숙경(Suk Kyung Kim),정혜은(Hae Eun Jeong),김신영(Sin Young Kim),이주안(Ju An Lee),이지영(Ji Young Lee),정은영(Eun Young Jeong),하영윤(Young Yoon Ha) 한국부부가족상담연구학회 2022 부부가족상담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한국 상담 현장에서 이마고부부치료를 부부상담에 적용하고 있는 상담사들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국제공인 이마고부부치료 전문가 과정을 이수하고, 현장에서 이를 활용한 상담 활동을 지속적으로 하고있는 상담사 1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합의적 질적 연구(CQR)방법에 따라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마고부부치료 상담사로서 시작 과정’, ‘이마고부부치료 상담사로서의 역할 경험’, ‘현장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는 이마고부부치료의 개념과 기법’, ‘한국 내담자에 대한 이마고부부치료의 유용성’, ‘한국 내담자에게 적용이 어려운 경험’, ‘이마고부부치료 상담사로서의 활동이 개인 삶에 미친 영향’, ‘이마고부부치료 상담사로서 성장을 위한 필요’ 등 7개 영역을 도출하였다. 또한 영역에 따라 범주들과 의미를 구조화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마고부부치료가 외연적 확장을 이루고 있는 현 상황에서 이마고부부치료 이론과 기법이 한국 상담 장면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정착되는지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또한 이마고부부치료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이해를 확대함으로써 한국 문화와 시대에 맞는 보다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이마고부부치료를 정립하는 데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counselors applying Imago Couple Relationship Therapy (IRT) at the Korean counseling field. Twelve counselors who completed the Imago Couple Relationship Therapy Specialist Course and applied IRT in the field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even domains were derived: Starting process as an IRT Counselor; Role experience of IRT counselor; Concepts and Techniques of IRT Used Importantly in the Field; The Usefulness of IRT for Korean Clients; Experience that is difficult to apply to Korean clients; The effect of the IRT counselor's activities on their own’s lives; Requirements for further growth as IRT counselor. Also, categories and meanings were structured according to these domain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study limitations were discussed.

      • 이마고 관계치료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이민영(Yi, Min-Young) 한국부부가족상담연구학회 2021 부부가족상담연구 Vol.2 No.1

        이마고 관계치료는 관계에서의 치유와 성장을 목적으로 하는 통합적 심리치료 기법으로, 국내 다양한 상담 장면에서 부부갈등과 가족의 위기를 다루기 위한 모델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와 같은 이마고 관계치료의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함을 통해 관련 연구의 흐름과 성과를 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마고 관계치료에 대한 국내연구는 2004부터 시작하여 2020년까지 총 32편의 학술지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이를 발행연도별, 연구 방법별, 연구대상별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마고 관계치료에 관한 연구는 2004년 학술지 논문 2편을 시작으로 꾸준히 발행되었고, 학 술지 논문이 56.3%, 학위논문이 43.8%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연구방법별로는 사례연구가 46.9%, 성과연구 37.5%, 문헌연구 12.5%, 과정연구 3.1%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별로는 부부 53.1%, 개인 18.8%, 개인과 부부가 혼합된 형태 9.4%, 가족 6.3%로 나타났다. 논의를 통해 이마고 관계치료의 치료적 요인들을 밝히고 경험적인 연구와 상담자 대상의 연구와 연구 대상자의 확대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Among the various treatment theories, Imago s Relationship Therapy, an integrated psychotherapy technique for healing and growth in relationships, is emerging as one of the treatment models being used to reduce the growing marital conflict and family crisis caused by Corona 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Imago relation therapy so far in Korea, to organize the flow and performance of research and to present future research directions. A total of 32 academic journals papers were published from 2004 to 2020, and trends were analyzed by publication year,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subject. The development year was published steadily, starting with two academic journal papers in 2004, with 43.2% of academic papers and 37.8% of degree papers. By research method, case studies were 46.9%, performance studies 37.5%, literature studies 12.5%, and process studies 3.1%. By study subjects, 53.1% of couples, 18.8% of individuals, 9.4% of individuals and 6.3% of families were mixed. Finally, he revealed the therapeutic factors of Imago relationship therapy and suggested that empirical research and counsellor research and expansion of subjects are needed.

      • 부부 갈등을 거리 두기로 표현해 온 40대 부부의 이마고부부상담 사례연구

        권형진(Kwon Hyung-Jin) 한국부부가족상담연구학회 2020 부부가족상담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부부 갈등을 거리두기로 표현해 온 40대 부부를 대상으로 ‘이마고부부상담’을 적용, 실시한 사례연구로 부부의 과거의 상처를 이해하고 치유하는 경험을 통해 부부의 재연결 및 장기적 관계회복에 도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마고부부상담(이마고부부대화법, 부모자녀대화법, 행동수정요청대화법)을 도구로 하여 상담회기에 따른 시간 계열 분석을 하였으며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상담기간은 2018년 5월 19일부터 9월 29일까지 총 10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부갈등을 거리두기로 표현한 원인으로 부부는 문제에 대한 인식, 욕구 및 신념, 신체 접촉 욕구 등의 차이 및 원가족 내 어린 시절 상처가 나타났다. 남편과 아내 모두 발달단계 중 탐색기에 상처를 가진 부부로서, 남편은 ‘거리 두는 자’, 아내는 ‘추적자’로 이마고 짝임을 자각하게 되었다. 둘째, 부부는 그동안 표현하지 못했던 숨은 욕구를 새롭게 발견하였고 이에 대한 충족은 부부관계(이마고대화법)내에서 해결될 수 있음을 자각하였다. 셋째, 부부는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준비된 부부대화를 습득함을 통해 부부갈등의 원인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배우자에게 행동수정요청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되어 부부가 재연결되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언은 논의를 통해 제시되었다.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n a couple in their forties, who expressed their marital conflicts through distancing, based on the appl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Imago Couple Counseling, which aims to help couples reconnect and restore their relationships in the long run through the experiences of understanding and healing each other s old wounds. Time series analysis was conducted over the counseling sessions with Imago Couple Counseling (Imago Dialogue, Parent & Child Dialogue, and Behavior Change Request Dialogue) with the case study method applied. A total of ten sessions were given from May 19~September 29, 2018.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husband and wife found the causes behind their expression of marital conflicts through distancing of their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problems, desire and belief, and desire for physical contact and also their childhood wounds from their respective families of origin. Both the husband and wife had wounds inflicted on them at the exploration stage of development and realized that they made an Imago match with the husband as distant and the wife as tracer; secondly, the couple made a new discovery of their hidden desire that they were not able to express and realized that their desire could be fulfilled within their couple relations (Imago Dialogue); and finally, the couple learned to engage in a prepared couple conversation with a focus on their relationship and understood the causes of their marital conflicts, thus having experiences of being reconnected to each other based on an effective behavior change request from the othe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its significance and proposals.

      • 중년기 부부친밀감에 관한 근거이론적 연구

        송경옥(Song, Kyung Ok),정민자(Jung, Min Ja) 한국부부가족상담연구학회 2021 부부가족상담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중년 부부가 친밀감을 어떻게 형성하며, 그 과정 및 그들의 친밀감 형성 요소와 전략들을 분석하여 이론적 근거를 찾아내고, 부부친밀감 향상을 위한 근거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참여자로 40∼64세 중년 부부를 선정하였고, 2021년 3월부터 4월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개방코딩에서는 181개의 개념화, 40개의 하위범주, 16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에서는 패러다임에 의한 분석결과, 중년 부부친밀감의 인과적 조건은 ‘내적 동기’, ‘결혼을 선택’, 맥락적 조건은 ‘공통된 가치관’, ‘경제력’, ‘배려와 헌신’, 중심현상은 ‘의사소통과 지지’, ‘신뢰’, ‘정서적 교류’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함께하고 싶어함’, ‘서로를 인정함’, ‘자율성’, 중재적 조건은 ‘성생활’, ‘애정’, 결과적으로는 ‘노력하는 부부’, ‘이해하는 부부’, ‘의지하는 부부’로 나타났다. 과정분석을 통하여 중년 부부의 친밀감 과정은 ‘보살핌의 단계’, ‘부부로서의 삶을 재결단하는 단계’, ‘대안찾기 단계’, ‘성숙한 행복 경험의 단계’로 분석되었으며, 선택코딩에서 핵심범주는 ‘배우자를 신뢰하고 정서적 교류를 통해 서로 이해하고 의지함’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중년 부부의 결혼생활 동안 경험하는 친밀감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 중년 부부가 결혼생활을 유지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 폭넓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oretical grounds by analyzing how middle-aged couples form intimacy, their processes, elements, and strategies to form intimacy and to present grounds for improving marital intimacy. Middle-aged couples aged 40 to 64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March to April 2021. As a result of this study, 181 conceptualization, 40 subcategories, and 16 upper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open coding. As a result of paradigm analysis in axis coding, the causal conditions of middle-aged couple intimacy were ‘internal motivation and ‘choice of marriage . Contextual conditions were ‘common values , ‘economic power , and ‘thoughtfulness and dedication’. And, the central phenomena was ‘communication and support , ‘trust and ‘emotional exchange .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wanting to be together, ‘recognizing one another , ‘autonomy , and interventional conditions were ‘sexual life and ‘love. The results were ‘couple that makes efforts,’ ‘couple that understands each other,’ and ‘couple that depends on each other.’ Through the process analysis, the intimacy process of middle-aged couples was analyzed as “the stage of caring, “the stage of re-determining life as a couple, “the stage of finding alternatives, and “the stage of mature happiness experience, and the key categories in selective coding were “trust in spouse and understand and rely on each other through the emotional exchange. The above findings will provide data on the intimacy experienced during the marriage of middle-aged couples and help them understand broadly how middle-aged couples behave in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ir marriage.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made.

      • 이혼 부부 관련 해외 연구동향

        김준성(Jun-Seong Kim),천성문(Seong-Moon Cheon) 한국부부가족상담연구학회 2022 부부가족상담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해외 이혼 부부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본 후, 이혼 부부 연구의 주요 특징 및 그 경향성을 파악하고 향후 이혼 부부 관련 연구 방향 및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2년 8월까지 Web of Science(WOS)에서 이혼 부부 관련 연구물 중 총 119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빅데이터 기반 계량서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로 첫째, 1993년 첫 연구를 시작으로 2000년 초반까지 꾸준히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1년부터 현재까지는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장 많이 인용된 연구는 Heuveline와 Timberlake(2004)의 동거와 가족 형성에 관한 연구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이 인용된 저자는 Paul Amato로 나타났다. 셋째, 이혼을 제외하고 Children이 가장 높은 빈도의 키워드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동인용, 공동단어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결과를 시각화하여 제시한 후 이를 바탕으로 이혼 부부 관련 연구물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divorced couples in Korea after examining overseas research trends related to divorced couples. To this end, big data-based bibliographic 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19 papers among studies related to divorced couples at Web of Science (WOS) until August 2022. The number of studies by year, the most cited studies, and information on the author were provided, and the network analysis results for joint citations, keywords, and joint words were visualized and presented. Based on this, the implications of research related to divorced coupl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