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拙藁千百』 譯註」(7) : 권1「金文正公墓誌」의 분석을 중심으로

        이진한(Lee, Jin-Han),김보광(Kim, Bo-Kwang),김규록(Kim, Kyu-Rok)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5

        『졸고천백』은 2권으로 된 최해의 문집이다. 최해는 주로 고려에서 활동하다가 정치적으로 소외되어 크게 현달하지 못하고 40세 정도에 은퇴하였다. 그는 대신 이제현, 이곡, 최문도 등 당대 최고의 문인과 교유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졸고천백』중 권1의 15번째 글인「김문정공의 묘지」라는 글의 특징을 살피고, 번역 및 주석의 작업을 하였다. 이 글은 고려후기의 인물인 김태현을 위한 묘지명이다. 1261년에 태어난 김태현은 1276년(충렬왕 2)에 과거 급제한 이래 1330년에 사망할때까지 거의 대부분의 시기를 관원으로 활동하였다. 이 시기에 고려는 충렬왕과 충선왕의 重祚, 충선왕의 활동 및 토번 유배, 입성책동 등 굵직굵직한 정치적 사건을 겪었다. 이러한 정치상황에 따라 그는 관직 경력 상의 부침을 겪었는데, 「김태현묘지명」에서 주목되는 몇 가지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 아버지인 김수에 대한 기록이 주목된다. 삼별초가 제주도로 들어가려 할 때 제주로 파견되어 이를 막으려다 전사하였다는 내용이 실려 있다. 2) 김태현이 1280년에 충렬왕이 직접 선발한 시험에 합격하여, ‘전시문생’이라 불리면서 충렬왕의 측근으로 활동했다. 3) 그래서 충선왕이 1298년에 즉위하였을 때 그가 면직되었다는 사실 등 여타 기록에서 찾을 수 없는 경력을 이 묘지명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Cholgo Ch"onbaek is a two-volume anthology of Choi Hae. He mostly worked in Goryeo, then later became politically isolated and made an early retirement at around 40 without significant achievements.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pitaph for Kim Tae-hyun,’ the 15th entry in the book, and translated and annotated the original text. Mr. Kim was born in 1261,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276, and served as a government official most of his life until his death in 1330. This was a politically turmoil period that saw the enthronement, dethronement, as well as reinstatement of King Chungryeol and King Chungseon, the exile of King Chungseon to the present-day Tibet (Tobun at the time), the Mongol intervention in the Goryeo territory. Amid these political unrest, Mr. Kim’s career fluctuated as well. Some of the events are recorded in the work, which cannot be found elsewhere: 1) His father Su Kim is mentioned, who was dispatched to Jeju Island and killed there while trying to keep Sambyeolcho(a special capital defense unit) from entering the island. 2) Mr. Kim passed a state test directly overseen by King Chungryeol in 1280, and worked as a close aide to the king with a title Jeonsi-munsaeng(king"s students). 3) He lost his post when King Chungseon was enthroned in 1298. 4) The record shows that in the early 1300s, the Yuan dynasty operated 11 stations between Gaepyung and Gamsukseong.

      • KCI등재

        고려중기의 宋 使節 迎送과 伴使의 운용

        金圭錄(Kim, Kyu-Rok) 역사교육연구회 2015 역사교육 Vol.134 No.-

        Jubbansa is appointed after the Song notifies that it will send a delegation, and takes charge of receiving and escorting the delegation from the moment it enters the Goryeo territory to when it reaches the government office in Gaegyeong, as well as during the delegation’s return. In comparison, Gwanbansa is appointed after the delegation reaches Yeseong River, and takes charge of receiving and escorting the delegation during its stay in Gaegyeong. Their positions were mostly Sangseo and Sirang of the six ministries of Sangseo. However, depending on the delegation’s rank and the importance of diplomatic agenda, sometimes Chumil (the junior grade of the second rank) of Jungchuwon was appointed. In selecting Jubbansa and Gwanbansa, their academic background and experiences in diplomatic activities with Song were regarded most important. The appointed Jubbansa and Gwanbansa took care of welcoming and sending off of the Song delegation. Also, during the course of receiving the delegation, Jubbansa and Gwanbansa directly engaged in Song-Goryeo negotiations and served as diplomatic officials to bring interests to Goryeo.

      • KCI등재

        「『高麗圖經』 譯註」(3)

        이진한(Lee, Jin-Han),김규록(Kim, Kyu-Rok),임형수(Lim, Hyung-Soo) 고려사학회 2017 한국사학보 Vol.- No.67

        『고려도경』은 1123년(인종 1)에 宋사절단의 일원으로서 고려에 방문했던 徐兢(1091~1153)이 使行地에서 견문한 것을 총40권, 28제목, 301개 항목에 걸쳐 분류・정리하여 그림[圖]과 글[輕]로 작성한 使行錄이다. 이 가운데 권2는 고려왕의 世系를 구체적으로 서술한 것이다. 『고려도경』 권2는 「세차」를 서두로 하여 「왕씨」, 「세계」, 「고려국왕왕해」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 먼저 「세차」에서는 역대 고려왕의 송에 대한 지극한 섬김이 오래 되었음을 이유로 들어 「세차」서술의 당위성을 강조하였다. 다음으로 「왕씨」에서는 역대 고려왕의 왕위계승 관계 및 고려와 송의 조공-책봉 관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였고, 이어 「세계」에서는 앞서 서술한 「왕씨」부분의 내용을 간략하게 도표화였다. 끝으로 「고려국왕왕해」에서는 1123년에 송 사절단이 고려에 방문했을 때의 고려왕 인종의 외모, 성격, 학식, 예절 등에 관해 서술하였는데, 이에 의하면 고려 왕 인종은 천성이 지혜롭고 의례에 밝으며 사람을 대하는데 있어 매우 엄격한 지극히 왕다운 인물로 묘사되어 있다. 한편 「고려도경」권2 「세차」에는 고려의 건국자 태조 왕건부터 인종에 이르기까지의 왕위계승 관계 및 고려와 송의 조공-책봉 관계가 상세하게 서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왕의 즉위년, 재위기간, 왕명의 누락 및 혈연관계 등과 관련된 오류가 여러 차례 발견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오류는 『고려도경』 권1 「건국」편에서 서긍이 “여러 사서를 살펴보고 역대의 왕을 차례대로 하여 건국을 기록하였다[今謹稽諸史叙其歷代之王作建國記云]”라고 한데서도 알 수 있듯이, 그가 전거로 삼았다는 중국 史書들의 내용이 부정확하게 기재된 탓에서 비롯한 것일 뿐 아니라 1036년(정종 2) 이후 일시적으로 고려와 송의 국교가 단절됨에 따라 고려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데 근본적 원인이 있다. 아울러 『고려도경』 권2 「세차」편에는 1123년 당시 송이 고려에 대규모 사절단을 파견한 정치적 이유 다시 말해 12세기 초 거란의 세력 약화와 금의 부상 등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 속에서 송이 고려와의 관계 회복을 도모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국제적 위상을 높여 새로 흥기하는 금을 견제하고자 하는 송의 정치적 의도가 반영되어 있다. 이처럼 「고려도경」권2 「세차」편은 12세기 초 고려와 송의 관계 및 송 사절단의 고려 사행의 정치적 이유 등을 잘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Goryeodogyoung(高麗圖經) is a sahengrok(使行錄, diplomatic envoy"s record) written by Seogeung(徐兢; 1091~1153) based on his visit to Goryeo as a member of the Song delegation in 1123 or the first year of King In-jong"s reign. He categorized and organized his findings and observations - including both texts and drawings - into 40 volumes with 28 titles and 301 items. Among them, the second volume describes a genealogical tree of Kings of Goryeo dynasty in detail. The second volume starts with "Secha(世次, the order of generation)" followed by "Wangssi(王氏, the Wang family)", "Segye (世系, a genealogical tree)" and "King of Goryeo-wanghae". In the "Secha" section, the justification for including the topic is emphasized, citing a long-standing veneration that kings of Goryeo showed toward the Song dynasty. The following "Wangssi" section gives detailed explanations on the succession of throne in Goryeo dynasty, and the Goryeo-Song relation in terms of paying tributes and crowning of king. The "Segye" section shows contents of the previous section in simplified diagrams. Lastly, the "King of Goryeo-wanghae" describes the appearance, personality, knowledge and etiquettes of King In-jong as observed by the Song delegation during their visit to Goryeo in 1123. He is portrayed as a superb king who is wise, courteous, and very strict in dealing with people. The "Secha" section of the second volume gives a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uccession of throne from the founding father King Taejo to King In-jong, as well as the Goryeo-Song relationship in terms of paying tributes and crowning of king. However, quite a few errors are found in terms of the year of enthronement, the period of king"s reign, omission of kings" names and kinship relations among members of the royal family. In the first volume of Goryeodogyoung, "Geonguk(establishment of country)", Seogeung mentioned that he referred to many historical books for the order of kings of Goryeo dynasty. So the errors are likely to be due to incorrect records in Chinese historical books, as well as the lack of information on Goryeo dynasty due to the severed diplomatic 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1036 or the second year of King Jeong-jong"s reign. In the "Secha" section, it can be seen that Song dispatched a large group of delegation to Goryeo in 1123 for political reasons, as it sought to restore a relationship with Goryeo amid a changing political climate in the East Asia with a weakening power of the Khitan and a rising power of Jurchen in the early 12th century. Based on this, Song tried to raise its international status and check the rise of the Jurchen. The "Secha" section of the second volume of Goryeodogyoung is a valuable historical material that clearly depicts the Goryeo-Song relation in the early 12th century and a political background for the Song delegation"s visit to Goryeo.

      • KCI등재

        「『高麗圖經』 譯註」(9)

        이진한(Lee, Jin-Han),김규록(Kim, Kyu-Rok),김선미(Kim, Seon-Mi) 고려사학회 2018 한국사학보 Vol.- No.73

        『高麗圖經』은 1123년(인종 1)에 宋使節團의 일원으로 고려에 來訪했던 徐兢이 사행지에서 見聞한 것을 총40권에 걸쳐 그림[圖]과 글[輕]로 기록한 使行錄이다. 본고에서는 「인물」편의 주요 내용을 확인하였다. 「인물」편은 서두에 해당하는 전반부와 그 이하의 후반부로 구성되어 있다. 「인물」편의 전반부는 송 사절단이 고려 경내에 진입한 이래 개경에 위치한 順天館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서 迎送과 接待에 참여했던 고려 관원 57인이 기재되어 있다. 이를 살펴보면, 첫째 사절단의 使行路상에 위치하는 全州・靑州・廣州에서 將迎之禮를 담당했던 牧使, 둘째 客館및 西郊亭등에서 迎勞와 餞送을 담당했던 관원, 셋째 궁궐 연례 및 객관에서의 私覿과 送遺를 담당했던 관원, 넷째 여러 의례와 연례 및 객관과 사절의 이동 과정에서 傳命과 贊導를 담당했던 관원들로 다시 세분된다. 「인물」편 후반부에는 1123년 당시 최고 관직자인 守太師・尙書令 李資謙과 송 사절의 영송과 접대를 직접 담당했던 접반사와 관반사 4인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특히 후반부의 경우 사절 영접의 최고 책임자 그리고 사절의 영송과 접대 업무를 일차적 담당했던 인물들만 별도로 기록하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아울러 고려 경내에 진입한 송 사절단의 入京과 回程절차는 ①사행로 상의 계수관 영접 ②접반사의 영접 ③관반사의 차정 ④서교 영접 ⑤순천관 영접 ⑥궁궐행례 및 연례 ⑦부표례 및 전별연 ⑧서교송행 및 회정의 순으로 진행되었는데, 이러한 송 사절단의 입경 및 회정 절차와 「인물」편 구성원들의 활동을 비교해 보면, 사절단의 영송 절차와 여기에 참여했던 관원들의 활동범위가 대략 일치함을 알 수 있다. Goryeodogyoung(高麗圖經) is a total 40 volume of Sahaengrok(使行錄) or Diplomatic Envoy"s Records in illustrations(圖) and texts(輕) written by Seogeung(徐兢) who visited Goryeo as part of Song"s delegation in 1123 or the first year of King Injong"s reign. In this article, we checked main contents of the ‘People’ chapter, and worked on critical examinations and annotations. The chapter consists of a former part of preface and the rest. The former part of the chapter introduces 57 Goryeo officials who participated in the rituals of welcome, sendoff and reception as the Song delegation entered the Goryeo palace and proceeded to Suncheongwan(順天館). These officials can be further divided into, first, Moksa(牧使) who oversaw welcoming rituals along the path of the delegation’s procession in Jeonju, Cheongju, and Gwangju, second, officials who oversaw welcome and send off at gaekgwan(客館) and seogyojeong(西郊亭), third, officials who oversaw the delegation’s meeting with the king and sendoff at royal palace events and gaekgwan, and lastly, officials who oversaw delivery of messages, guide and assistance at various rituals, banquets, at gaekgwan and throughout the delegation’s procession. The latter part of the chapter introduces Lee Ja Kyum(李資謙) who held the highest rank in 1123 as Sutaesa(守太師) and Sangseoryoung(尙書令), as well as four Jubbansa(接伴使) and Gwanbansa(館伴使) who took care of the Song delegation’s welcome, send off and reception. It is notable that the latter part of the chapter separately recorded a highest-rank official in charge of receiving the delegation, and officials who were primarily responsible for taking care of the delegation. The Song delegation’s entry into the Goryeo capital and a return proceeded in the following order: i) meeting Gyesugwan along the diplomatic envoy’s path, ii) meeting Jeobbansa, iii) select of Gwanbansa, iv) reception at Seogyo, v) reception at Suncheongwan, vi) attending royal palace events and rituals, vii) deliver diplomatic papers and send off party, and viii) send off at seogyo and a return. A comparison between this process and the activities of people who appear in the ‘People’ chapter of the book shows that the welcome and send off for the delegation and the scope of the responsible officials’ activities mostly coincided.

      • 알루미늄 고진공 다이캐스팅 공법을 적용한 전륜 서브프레임 개발

        윤석진(Sukjin Yoon),김성구(Seonggoo Kim),김규록(Gyurok Kim),정의근(Euikeun Jeong),이용욱(Yonguk Lee),조영건(Younggun Cho) 한국자동차공학회 2020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20 No.11

        In the automobile industry, many parts are manufactured by applying aluminum materials to improve fuel efficiency and reduce vehicle weight. In particular, in order to design and manufacture future electric vehicles, the weight reduction of vehicles is receiving more and more challenges. In the case of a suspension part, since it is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it has a great advantage of improving fuel economy due to weight reduction.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stage of a front wheel subframe with a welded structure of aluminum high vacuum die casting method and extrusion method. The result of the aluminum subframe study showed that the weight was reduced by 5.6㎏ and natural frequency was improved by 16㎐ compared with the steel subfram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高麗圖經』 譯註」(8)

        이진한(Lee, Jin-Han),최은규(Choi, Eun-Kyu),김규록(Kim, Kyu-Rok) 고려사학회 2018 한국사학보 Vol.- No.72

        『고려도경』은 1123년(인종 1)에 宋사절단의 일원이었던 徐兢이 고려에 한 달 남짓 방문하여 견문한 내용을 담고 있다. 본고는 권7, 「冠服」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해당 편의 서문인 「冠服」은 東夷의 습속과 『後漢書』 東夷列傳 高句麗條의 일부를 인용하여 고구려의 관복제도를 설명하였고, 고려가 송의 관복제도에 따랐다고 파악했다. 전자는 당시 중국인들이 고려와 고구려를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였음을 알려주며, 후자는 송의 문물을 본받는 고려를 가상히 여기는 서긍의 인식을 담고 있다. 「冠服」편은 「王服」,「令官服」, 「國相服」, 「近侍服」, 「從官服」, 「卿監服」, 「朝官服」, 「庶官服」으로 구성되는데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관직의 성격과 계층에 따라 분류하였다. 「王服」은 왕의 복식에 대한 기록으로, 常服, 祭服, 朝服과 중국 사신이 왔을 때 입었던 公服으로 나누어 서술했다. 고려 국왕의 常服은 烏紗高帽, 窄袖緗袍, 紫羅勒巾으로 구성되고 朝服은 幞頭와 束帶를 더하였으며 祭服은 冕을 쓰고 圭를 들었다. 한편 고려 국왕의 복식은 황색이었는데, 중국 황제의 조서를 받을 때는 紫羅公服을 입어 송에 대한 신하의 예를 갖추었다. 다음으로 「令官服」, 「國相服」, 「近侍服」, 「從官服」 등은 紫文羅袍에 金魚袋를 패용하는 것이고, 「卿監服」, 「朝官服」은 비문라포에 은어대를 패용하는 것이며, 「庶官服」은 綠衣를 착용하는 것이다. 『고려도경』에는 복식에 대한 설명과 그것을 입는 대상자들을 상세히 기록하여 복식사와 관제를 연구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반면에『고려사』 여복지의 기록과 상이한 부분도 있기 때문에 정밀하게 비교하여 어느 것이 사실을 반영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Goryeo Dokyeong’ describes that Seogeung, a member of delegation from Song Dynasty, visited and learned Goryeo for a month in 1123 (Injong 1). This study focuses on Book 7 ‘Gwanbok (official uniform)’. The preface of ‘Gwanbok(冠服)’ explains the gwanbok system of Goguryeo by quoting Dongee’s convention and some part of ‘Huhanseo’ Dongee-Yeoljeon Goguryeo-jo, contending that Goryeo followed the gwanbok system of Song Dynasty. The former shows that the Chinese people could not clearly differentiate Goryeo from Goguryeo at that time, and the latter indicates Seogeung’s perception of Goryeo accepting the culture of Song Dynasty. The main body consists of ‘wangbok(王服)’, ‘yeonggwanbok(令官服)’, ‘guksangbok(國相服)’, ‘geunsibok(近侍服)’, ‘jonggwanbok(從官服)’, ‘kyeonggambok(卿監服)’, ‘jogwanbok(朝官服)’, and ‘seogwanbok(庶官服)’, divid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and classes of the public office. Recording king’s costumes, ‘wangbok(王服)’ divides them into sangbok, jebok, jobok, and gongbok, which was also worn by the Chinese ambassador. Goryeo king’s sangbok is made up of osagomo, chaksusangpo, and jaranokgeon. Jobok has bokdu and sokdae, and jebok adds myeon and gyu. Besides, Goryeo king’s costumes were yellow, and when he received a word from the Chinese emperor, he wore jaragongbok to show vassal homage to Song Dynasty. Next, ‘yeonggwanbok(令官服)’, ‘guksangbok(國相服)’, ‘geunsibok (近侍服)’, and ‘jonggwanbok(從官服)’ were to wear jamunrapo with geumeodae, ‘kyeonggambok(卿監服)’ and ‘jogwanbok(朝官服)’ were to wear bimunrapo with euneodae, and ‘seogwanbok(庶官服)’ was to wear nogui. ‘Goryeo Dokyeong’ contains detailed explanations of costumes and wearers, contributing to the research on the costume history and the uniform system. On the other hand, as some parts of its content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Goryeo History’ Yeobokji, it is necessary to precisely compare them and confirm which one is more factu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