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의 동기화

        김병연(Byeongyeon Kim),안효성(Hyosung Ahn) 한국HCI학회 200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2

        본 논문은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시간지연을 고려한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의 동기화를 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양방향 원격제어시스템에서는 안정성 및 투명성을 주 목표로 한다. 마스터와 슬레이브 사이에 시간지연이 존재하는 경우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동기화 제어법칙의 파라미터를 최적화하고자 한다. This paper presents synchronization of bilateral teleoperation system with time delay using genetic algorithm. In general, bilateral teleoperation system has two main goals; stability and transparency. In the presence of time delay between the master and the slave, we guarantee stability, and optimize the parameter of synchronization control law using genetic algorithm.

      • KCI등재

        블룸(P. Bloom)의 공감에 대한 비판이 도덕과 교육에 주는 함의

        김병연(Kim, Byeongye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0

        본 연구에서는 폴 블룸(P. Bloom)이 제기한 정서적 공감에 대한 비판과 도덕과 교육에서 공감에 관한 교육의 현황을 고찰하여 도덕과 교육에 주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블룸은 공감의 의미를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으로 구분하고 정서적 공감이 갖는 한계에 대해 비판하였다. 정서적 공감은 대상을 특정하여 제한할 가능성이 크고 타인에 대한 공감은 불완전하다. 도덕 판단의 과정과 결과가 비합리적이고 비도덕적으로 흐를 가능성이 크다. 도덕과 교육은 전반적으로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에 대한 구분 없이 도덕성 발달을 위해 공감이 긍정적으로 기능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으며 정서적 공감의 한계를 다루지 않고 있다. 정서적 공감에 대한 블룸의 비판은 도덕과 교육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첫째, 도덕과 교육에서 공감을 다루더라도 대상의 제한성으로 인해 도덕 판단의 과정과 결과가 그릇될 수 있음을 알아차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공감의 대상이 되는 경계는 복합적으로 존재하고 있고, 고정된 것이 아니라 변화 가능한 것임을 다루어야 한다. 셋째, 공감이 갖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이성적 추론, 연민, 자제력 등을 도덕과 교육에서 강조해야 한다.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criticism of emotional empathy raised by Paul Bloom and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on empathy in moral education, suggested implications for moral education. Bloom divided the meaning of empathy into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and criticized the limitations of emotional empathy. Emotional empathy is likely to be limited to a particular object and empathy for others is incomplete, and the process and results of moral judgment are likely to flow unreasonable and immoral. Moral education generally emphasize that empathy functions positively for the development of morality without distinction between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and does not address the limitations of emotional empathy. Bloom"s criticism of emotional empathy gives moral education implications: First, it should be made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process and outcome of moral judgment can be wrong due to the restrictions on the object, even if empathy is addressed in moral education. Second, it must be dealt with that the boundary that divides the object of empathy exists in a complex, and is not fixed but variable. Third, rational reasoning, compassion, and self-control should be emphasized more in moral education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empathy.

      • KCI등재

        Covid-19로 인한 원격수업 시행이 수행평가에 미친 영향에 관한 FGI 연구 : 서울 A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김병연(Kim Byeongyeon),백선영(Baek Seo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로 인한 원격수업 시행이 수행평가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여 현장 교사들이 수행평가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한 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교직경력과 과목군으로 구성된 A고등학교 교사 11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2020년 10월 14부터 10월 20일까지 세 차례에 걸쳐 초점집단면담을 진행하였다. 나선형 분석방법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수업과 등교수업을 병행하는 과정에서 교수⋅학습과 수행평가가 분리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방역을 위한 엄격한 평가지침이 적용되면서 나타난 결과이다. 때문에 상호 협력을 통한 교육은 실행되기 어려웠으며 개별화된 평가에 머무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수업과 평가를 유기적으로 조직하기 위해 피드백 강화,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한 방법 모색 등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었고, 평가 지침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수행평가의 교육적 의미를 되살리는 방향으로의 평가 지침 보완, 감염병 상황 변화에 따른 평가 가이드라인의 탄력적 운영, 원격수업과 등교수업 병행에 부합하는 교수⋅학습 및 평가 모델 개발 등을 개선과제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distance classes caused by Covid-19 on performance assessments. A subject group of 11 teachers with diverse teaching experience from Y High School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for research.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ee times, from October 14 to October 20, 2020. The conclusions produced by the data analysis spiral method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henomenon in which teaching and learning, and performance assessmenst were separated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both off-line learning and distance classes. This is the result of strict assessment guidelines from quarantine. As a result, education through mutual cooper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was much more difficult to implement and often remained in individualized assessments. Second, teachers in the study were taking various efforts to organically organize their lessons and assessments by strengthening feedback to students, seeking ways to use online platforms more effectively, and emphasizing the need to improve assessment guidelines. Through these measures, improvement tasks were proposed to supplement the assessment guidelines in a way that revived the educational purpose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flexibly scaled the assessment guidelines according to changes in infectious disease conditions, and developed a model for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that conforms to distance classes.

      • KCI등재

        2022 개정 고등학교 『윤리문제 탐구』 교육과정 개발의 쟁점과 내용

        김병연(Kim, Byeongyeon),신종섭(Shin, Jongseob),장유정(Chang, Yujeong),조주현(Cho, Joohyu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7

        이 연구에서는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편성된 고등학교 융합 선택 『윤리문제 탐구』의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의 주요 쟁점과 논의 사항을 살펴보고 이를 반영하여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의 진술을 제안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제기된 쟁점과 주요 논의 내용은 첫째, 도덕과 신설 융합 선택과목으로서의 정체성을 어떻게 부각할 것인가? 둘째, 학습자 중심의 탐구 방법론을 어떻게 제시할 것인가? 셋째, 혐오 표현 문제를 어떻게 균형 있게 다룰 것인가? 등이었다.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해 교육과정 연구자, 도덕과교육 연구자, 교사 등이 지속해서 소통하고 국민참여소통 채널을 통한 일반 시민의 제안, 공청회 참가자의 제안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윤리문제 탐구』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의 진술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the main issues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of Inquiry on Ethical Issues, a newly proposed high school convergence elective course in the 2022 Revision Moral Education Curriculum, are reviewed, and the characteristics, goals,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iculum are reflected, the contents of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were proposed. The main issues raised during the research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identity as a convergence elective subject of moral education and how will it be emphasized? Second, how to present a learner-centered inquiry methodology? Third, how to deal with the problem of hate speech in a balanced way? Curriculum researchers, moral education researchers, teachers, etc. continuously communicated and synthesized suggestions from ordinary citizens and participants at public hearings. Through this, the curriculum of Inquiry on Ethical Issues. was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