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가정 자녀의 개인 심리 및 환경 변인과 학교적응 간 상관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김미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개인 심리 및 환경 변인과 학교적응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2006년부터 2014년 2월까지 이루어진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 총 54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학령기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한 개인 심리·환경·다문화특성 변인과 학교적응 간의 상관관계를 메타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적응 관련 하위변인을 4가지로 분류하였고(개인 심리 변인, 가정환경 변인, 학교환경변인, 다문화특성 변인), 각 변인들 관련 하위요인도 5가지로 분류하였다(학교생활적응, 학교교사적응, 학교친구적응, 학교규범적응, 학습활동적응).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적응에 관련된 변인과 학교적응 간의 상관관계 분석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결론1 :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개인 심리·환경 변인과 학교적응 간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378로 이는 중간 이상의 효과 크기로 나타났다. 결론2 : 개인 심리·가정환경·학교환경·다문화특성 변인별로 분류한 결과, 가장 큰 효과크기는 학교환경 변인(=.490)이며, 그 다음으로 개인 심리 변인(=.373), 가정환경 변(=.371), 다문화특성 변인(=.023)순으로 나타났다. 결론3 : 중재 변인별 효과크기를 살펴보면 학교급별과 학교적응 간의 전체 효과크기는 .398로 나타났으며 이는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생과 학교적응 간의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학교교사적응(=.415)의 효과크기가 가장 높으며, 학교생활적응(=.399), 학교친구적응(=.381), 학습활동적응(=.379), 학교규범적응(=.296)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출처별 평균 효과크기는 .285로 중간 이하 정도의 효과크기로 나타났으며 석사 일반대(=.415)가 가장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학술지(=.402), 석사 특수대(=.364), 박사(=.142)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적응을 주제로 한 메타분석을 최초로 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현재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는 정책적 제안과 실태를 조사한 연구가 많으므로 앞으로 상담학적 접근의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연구를 상담학적으로 접근한다면 향후 학교적응 지도나 상담을 하는 데 있어 유용한 지침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분리된 자아의 미의식 연구

        김미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According to Jung Carl Gustav, a pioneer of analytical psychology, ‘self-realization’ is to find oneself and realize it in reality, that the first thing to do for the self-realization is to find not only the consciousness but also to find ‘self’ including the unconsciousness as well. For a case of an artist, it is to make the self-realization through art, and this writer is to realize the ‘self’ in reality, namely in work product, through the works of visualizing the Siamese twins that symbolizes the self ego that is separated i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e ‘separated self ego’ means the world of spirituality separated in human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ness beyond. In Chapter Ⅱ, the writer would describe the duality of mentality separated into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on the basis of Freud, followed by mentioning of the concept of self and self-realization of Carl Jung. And,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Freud and Carl Jung, the attempt was made to show the process of separated self ego of the writer into the visualized Siamese twins, and its implication. Siamese Twins are the dual deformed twins born with a part of the body in combination from the fertilized egg and incomplete in dividing into two bodies. In Chapter Ⅲ, on the basis of the example of actual Siamese twins, the explanation was made for the origin of the term, Siamese twins, Siamese twins in history, their attributes, and implication of them in the society. Not only the Siamese twins, but also the midgets, giants, bi-sexual people and other deformed existence are deemed as symbolizing the beast within the society and the writer wishes to show that they could be a weird presence in different view. And, it attempted to say that the boundary line of abnormality and normality that includes the malformation and beast on the basis of <Abnormal People> concept of Foucault is not the fixed and absolute concept of opposite. Also, as the example, it handled the works of malformation existence in Elephant Man, movie <Freaks> with actually deformed humans, works of Dian Arbus and Joel Peter Witkin, photographers who had the abnormal people as models. In Chapter Ⅳ, the ‘Becoming of Siamese twins’ implies that the person is being made into the Siamese twins. In order to confirm the existence of self ego within the unconsciousness that is the motive of the Siamese twins that symbolizes the separated self ego, the writer has to look back to the time of youth, and mention how this separated self ego could be visualized as the Siamese twins. And, Siam (an ancient town in Thai) in Siamese cat, one of the cats, implies the original place, and it adds the implication of ‘becoming of Siamese twins’, by way of describing on the implication and process of making the cat into the Siamese twins, and in addition, the description was made on the implication of photograph to be an important elements of my works. Under the work analysis in Chapter Ⅴ, beginning with the works on the self ego of unconsciousness presented in the uterus, the writer becomes the Siamese twins to begin the individual analysis on intent in each work, contents, implication, method, structure and others including the work to become a model in the photograph, work to make the virtual human in internet into the Siamese twins, work of making a cat into the Siamese twins, and others. In particular, in the aspect of method, the paper is applied with glue coating for 1~2 times, and use the diverse colors and tube colors to express by depicting in diverse technique for the theme of the work. As such, through the study of the Siamese twins, the writer intends to search for the implication, process, method, and others along with the theoretical foundation on the works, and from this foundation, the writer wishes to take it as a turning point to learn the way in work production activities and obtain assistance thereof. 분석심리학의 선구자 칼 융(Jung Carl Gustav)에 의하면 ‘자기실현’이란 자기를 찾아 그것을 현실에 실현시키는 것으로, 자기실현을 위해 첫 번째로 해야 할 일은 의식 뿐 아니라 무의식 까지도 포함하는 ‘자기(self)’를 찾는 일이라고 말한다. 작가의 경우 예술을 통해 자기실현을 이루어 나간다고 볼 수 있으며 본인은 의식과 무의식으로 분리된 자아를 상징하는 샴쌍둥이를 시각화하는 작업을 통해 ‘자기’를 현실, 즉 작품 속에서 실현시키고자 하였다. ‘분리된 자아’는 인간의 의식과 그 너머에 내재된 무의식으로 분리된 정신의 세계를 의미한다. Ⅱ장에서 본인은 의식과 무의식으로 분리된 정신의 이중성에 대해 프로이트의 이론을 바탕으로 서술하고 뒤이어 칼 융의 자기와 자기실현의 개념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프로이트와 칼 융의 이론을 바탕으로 본인의 분리된 자아가 샴쌍둥이로 시각화된 과정과 그 의미에 대해 보여주고자 하였다. 샴쌍둥이(Siamese Twins)는 수정난이 둘로 나뉘는 것이 불완전하여 몸의 일부가 결합되어 태어난 중복기형쌍둥이다. Ⅲ장에서는 실제 샴쌍둥이의 예를 바탕으로 샴쌍둥이라는 용어의 유래와 역사속의 샴쌍둥이들, 이들의 속성, 그리고 이들이 사회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 지에 대해 서술하였다. 샴쌍둥이 뿐 아니라, 난쟁이, 거인, 남녀양성애자 등 기형(畸形)의 외형을 가진 존재는 사회 속에서 정상이 아닌 괴물로 상징된다고 볼 수 있고 본인은 또 다른 시각으로는 이들이 기묘한 아름다움의 존재가 될 수도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그리고 푸코의 <비정상인들>개념을 바탕으로 기형과 괴물을 포함하는 비정상과 정상의 경계가 사실은 정반대의 고정적이고 절대적인 개념이 아님을 말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예로 기형적 존재인 엘리펀트 맨(Elephant Man), 실제 기형인간들이 출연한 영화<Freaks>, 비정상 인물들을 모델로 한 사진작가 다이안 아버스(Dian Arbus)와 조엘 피터 위트킨(Joel Peter Witkin)의 작품들을 다루었다. Ⅳ장의 ‘샴쌍둥이 되기’는 본인이 샴쌍둥이로 만들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인은 분리된 자아를 상징하는 샴쌍둥이의 모티브가 되는 무의식 속 자아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본인의 유년기로 거슬러 올라가고 뒤이어 이렇게 분리된 자아가 어떻게 샴쌍둥이로 시각화 될 수 있는지에 대해 언급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고양이의 품종 중 하나인 샴고양이(Siamese Cat)의 샴(Siam, 옛 타이지방)은 발상지를 의미하는데 여기에 ‘샴쌍둥이가 된’의 의미를 더하고 고양이를 샴쌍둥이로 만드는 작업의 의미와 과정에 대해 서술하고자 하였고 또한 본인 작업의 중요한 방법적 요소가 되는 사진의 의미에 대해 서술하였다. Ⅴ장의 작품분석에서는 자궁 속에 존재하는 무의식의 자아에 대한 작업을 시작으로 본인이 샴쌍둥이가 되어 사진 속의 모델이 되는 작업, 인터넷상의 가상인간을 샴쌍둥이로 만드는 작업, 그리고 고양이를 샴쌍둥이로 만드는 작업 등 각 작품의 의도 및 내용, 의미, 방법, 구도 등에 대해 개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방법적인 면에서는 장지에 아교포수를 1~2번 칠한 뒤 그 위에 분채와 튜브물감, 먹 등을 사용하여 작품의 주제에 맞게 다양한 기법으로 묘사하여 표현하였다. 이처럼 샴쌍둥이 작업의 연구를 통해 본인은 그간 작업에 대한 이론적 토대와 작품의 의미, 과정, 방법 등을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본인이 작품 활동을 해 나가는 데에 있어 앞으로 나아갈 길을 모색하고 도움을 받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 나의 오늘

        김미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인에게 회화는 자신을 보호하고, 믿게 하는 긍정의 수단이다. 이러한 태도는 그림을 그리며 마주하게 되는 본인의 서투른 모습을 인정하고 솔직하게 반응함으로서 변화되는 본인의 삶으로 증명되며, 수행하듯 반복하는 움직임으로 그림 안에 드러나게 된다. 무심코 낙서하듯 긋게 된 선이 금세 종이 한 바닥을 꽉 채우던 경험은 본인이 지금까지 일관적으로 유지했던 완벽주의적인 삶의 태도에 의문을 제기했다. 항상 무엇인가를 시작하기 전에 거창한 계획이나 그럴듯한 이유를 필요로 했던 본인에게 아무런 준비를 요구하지 않았던 단순하고 반복적인 움직임은 무언가를 하고 있다는 그 순간에 집중하게 하며, 그렇게 쌓이는 작은 성취들로 만족하고 기뻐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우연한 경험은 하염없이 우러러보던 이상이 아닌 나로서 주어진 현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스스로를 바라보는 시선과 삶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고, 나만을 위한 적당한 목표와 알맞은 기준으로 오늘을 살아낼 수 있는 용기를 주었다. 본 논문은 한 사람이 오늘을 편안하게 말할 수 있도록 그림을 통해 홀로서는 방법을 찾아가는 연구이다. 그리하여 논문의 Ⅰ장에서는 작업의 동기가 되는 본인의 완벽주의적인 태도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이어지는 Ⅱ장에서는 나에게 주어진 오늘을 살아가기 위해 완벽주의로부터 한 발자국 물러나 그림 안에서 스스로를 보호할 공간을 만들어가는 과정과, 마음속의 말을 그림에 드러내는 과정들을 추적하며 작품 분석의 논거들을 마련한다. 그리하여 Ⅲ장에서는 크게 다섯 가지의 특징으로 나타나는 본인의 작품들을 앞장에서 살펴본 논거들을 토대로 적용 및 분석하여, 이상화된 기준이 아닌, 본인만을 위해 세워나가는 회화의 새로운 규칙과 구조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작가로서의 삶이라는 긴 여정의 출발점으로 본 논문은 ‘나’에 대해 살펴보는 소중한 시작이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앞으로 전개될 작품세계가 ‘나’뿐만 아니라‘너’와‘우리’의 이야기로 확장되기를 바라고, 이들에게 매일의 삶에서 마주하는 어려움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믿어줄 근거이자 위로가 되기를 기대한다. 존재함으로 주어진 오늘을 살아낼 이유가 충분한 모든 사람들에게 본인의 작품과 본인의 삶이 다정하고 튼튼한 위로가 되어주기를 바라며, 우리가 함께 살아갈 오늘을 편안하고 담담하게 말하는 작가로 성장하는데 본 연구가 유의미한 기여가 되기를 기대한다. For the author, painting is a positive means of protecting oneself and gaining confidence. This attitude is evidenced by the change in one's life by acknowledging and responding honestly to the gaucheness in painting and revealed in the painting through repeated movements like a performance. The experience of quickly filling a canvas with inadvertently drawn lines like scribbles raised questions about the author’s perfectionist attitude in the past. For the author who always needed a grand plan or a plausible reason before starting something, unprepared, simple, and repetitive movements allowed the author to focus on the very moment the author did something, and helped the author feel satisfied and rejoiced with the accumulations of small achievements. This accidental experience has positively changed how the author looked at oneself and the attitude toward life so that the author could focus on the present rather than the ideal the author had been looking at endlessly. This has given the author the courage to live today with an appropriate level of goals and standards. This paper covered the self-standing journey through painting where the author could comfortably talk about today. The chapter 1 of this paper provided an overview of the author’s perfectionist attitude, which was the background of the work. The chapter 2 traced the process of taking a step back from perfectionism and creating a space to protect oneself through painting in order to live the present given to the author and reveal the words of one’s own heart in the painting, which laid the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the work. The chapter 3 analyzed the author’s work with five major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discussions in the previous chapters. It explained the new painting rules and structures that the author set up only for oneself, not for an idealized upward standard. This paper,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long journey of life as an artist, is a valuable beginning to explore ‘me’. Starting with this paper, the author's world of work on the development will be expanded to the stories of 'you' and 'us' as well as 'me', providing them with a basis and comfort to protect and believe in them from the difficulties they face in everyday life. The author hopes that the work and personal life will be a kind and strong consolation for all those who have a reason to live today just as they exist, making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growing up as an artist who comfortably faces and share the day we live together.

      • 의류매장에서의 체험마케팅이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 싱글족중심으로

        김미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presents the current event on the creative strategy of fashion market by finding out the type of single's life. which is currently rising as a new market. And modern fashion market is being developed by emotional values. Experiential marketing is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for fashion marketplace because customers tend to consider fashion shopping as an enjoyable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certain sense marketing factors in the syores on any emotional experience, relational experience on commitment and customer loyalty. To be more specific, the conten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to better understand the emotional experience and relational experience of a store customer by considering each of the sensual experience that may be present in a store. Affective fators such as atmosphere of fashion store, kind attitudes of salesperson, special treatment should be regarded as a essential selling point and effectively enhance customer loyalty. Second,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 sensual experience and emotional experience in the store has an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both commitment to fashion store and salesperson, loyalty. Sensual experience and emotional experience had an effect on both the attitude of salesperson and commitments to store and result showed that it highly affected on satisfaction and trust as well. In addition to this, fashion relational experience had influenced on customer loyalty in a positive way. To verify the hypotheses, I addressed a questionnaire to men and women aged between 25 and 40 who had visited fashion stores within a six month period, using 251 copies for my analysis. I also used SPSS 17.0 and AMOS 5.0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adequacy of proposed model was found to be acceptable.

      • 대학캠퍼스주변지역의 물리적 환경에 관한 만족도 분석 : 연세대학교와 홍익대학교주변의 경우

        김미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연세대학교와 홍익대학교 캠퍼스 주변지역의 물리적 환경 비교에 따른 만족도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와 홍익대학교 캠퍼스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건축물관리대장과 지적도를 기준으로 시설이용특성을 비교 검토하였고 연구대상지를 이용하는 이용객을 대상으로 수행된 설문조사 자료가 이용되었다. 이러한 자료를 이용하여 두 대학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통계적인 방법으로써 T-test를 사용하였으며, 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분석을 위해 선형회귀분석(Linear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두 대상지의 시설이용현황을 분석한 결과, 일반주거지역으로써 주 용도는 단독주택, 다가구주택, 다세대주택, 공동주택(연립주택), 근린생활시설, 복합시설, 기타 등으로 유사하게 분포되어 있다. 연세대학교 주변지역의 주 용도에서 다가구용 단독주택, 다세대주택, 연립주택의 비율이 홍익대학교에 비해 낮게 나타난 반면, 근린생활시설과 복합시설의 비율은 연세대학교 주변이 홍익대학교 주변 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세대학교 주변의 전체 층별 비율을 볼 때 지상1층의 비율이 가장 높고, 지상2층, 지하1층, 지상3층, 지상4층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홍익대학교 주변의 전체 층별 비율에서는, 지상1층의 비율이 가장 높고, 지하1층, 지상2층, 지상3층, 지상4층, 지상5층, 지상6층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세대학교 주변의 최고층은 지상6층인데 비해 홍익대학교 주변의 경우는 지상8층까지 이루어져, 지하철과의 연계가 개발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추론된다. 두 대학 모두 최하층과 최상층은 근린생활시설로 이용되는 공통점을 나타내었다.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연세대학교 주변의 이용자들은 대학시설로의 접근 시 편리함이 만족도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학가이미지보다 연세대학교의 특성을 느끼는 것이 연세대학교주변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홍익대학교 주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대학주변 이미지가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대학시설로의 접근시 편리함과 녹지공간 및 미적공간이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전체적인 결과를 살펴보면 연세대학교와 홍익대학교를 포함한 전체만족도의 경우에는 연세대학교보다 홍익대학교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추론되었다. 학생보다는 비 학생이 더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만족도에서는 대학시설로의 접근 시 편리성과 대학주변거리로서의 청결성, 녹지공간 및 미적공간, 대학가 이미지가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대학가 이미지’가 대학가의 전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추론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hysical environment near Yonsei University campus and Hongik University campus. As for the data, Building-Management-Register and acreage map near Yonsei University and Hongik University were selected for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facility usages in two sites. To obtain a sample for the survey study, users who dwell in two sites were selected. For making a comparative study of two university campuses, the T-test was used. Factors that influenced the satisfaction level were analyzed through Linear Regress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present facilities using conditions in two sites shows that the main conditions used in the general residential area are Individual housings consisting of one residence (often called detached), complex housing consisting of more than two residences, multi-family housing, villa, community facility, multiplex facility, and more. The percentages for the results are very similar among the seven forms. In the case of Yonsei University, the rates of detached, complex housing consisting of more than two residences, multi-family housing, and villa, were measured lower than in the case of Hongik University. However, the rates of the community facility and multiplex facility in the case of Yonsei University were higher than that of Hongik University. The resulting analysis of the composition of building stories in Yonsei University shows that the rate of 1F is highest, followed by 2F, B1, 3F, 4F, while in Hongik University, the rate of 1F is highest, followed by B1, 2F, 3F, 4F, 5F, 6F. The Highest story in Yonsei University is 6F. On the other hand, 8F is the highest story in Hongik University and it was predicted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subway system had influenced the development in this case. Both Universities have similarities in using the highest and lowest story as a community facility. Through Linear Regression, the convenience of reaching University facilities had greatly affected the satisfaction level for respondents from Yonsei University. In the case of Yonsei University, recognizing the characteristics of Yonsei University itself had influenced the satisfaction level more than that of image of campus. On the other hand, although convenience, open space, and aesthetic space also did have an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level for respondents from Hongik University, the factor that had the most influence was the image of campus. In the total satisfaction level, Yonsei University ranks higher than Hongik University. The satisfaction levels of those who were not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students. Convenience, cleanliness, open space, aesthetic space, and image of campus influenced the total satisfaction levels. In particular, it was predicted that the appearance or image of a campus was a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total satisfaction level of the physical environment.

      • 경도 지적장애 대학생의 자기표현적 글쓰기에 나타난 용언의 의미범주 특성 연구

        김미지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경도 지적장애 대학생의 자기표현적 글쓰기에 나타난 용언의 의미범주 특성을 알아보는 실험연구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도 지적장애 대학생과 일반 대학생의 자기 표현적 글쓰기에 나타난 의미 범주별 동사 표현(사용비율, 평균, 고빈도 어휘)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경도 지적장애 대학생과 일반 대학생의 자기 표현적 글쓰기에 나타난 의미 범주별 형용사 표현(사용비율, 평균, 고빈도 어휘)에 차이가 있는가?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언어 연령이 만 9세 이상으로 일반적인 글쓰기가 가능한 경도 지적장애 대학생 15명과 일반 대학생 15명을 선정하였다. 두 집단을 대상으로 자기 표현적 글쓰기(일기 쓰기, 편지 쓰기)를 실시하고, 의미범주별 사용비율, 평균 비교, 고빈도 어휘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경도 지적장애 대학생 집단은 일반대학생 집단보다 동사, 형용사 사용비율이 각각 하나의 범주(동사-행위, 형용사-정서)에 지나치게 편향된 모습을 보여 다양하게 의미범주를 사용하지 못했다. 또한 평균 점수에서 경도 지적장애 대학생 집단은 일반대학생 집단보다 동사, 형용사 평균 점수가 각각 하나의 범주(동사-존재, 형용사-감각)를 제외한 모든 범주에서 더 낮은 점수를 보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 과제에 대해 제언한다면, 대상자의 수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검사 도구로 사용된 자기 표현적 글쓰기 종류를 다양화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경도 지적장애 대학생과 일반 대학생의 자기 표현적 글쓰기에 나타난 용언의 의미표현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기반으로 의미 영역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경도 지적장애인의 언어 중재에도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is an experimental study that examines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words in self-expressive writing by university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pecific research issue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s about writing a self-expressive composi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general university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emantic verb expressions (usage ratio, average, frequently used vocabulary)? Second, it's about writing a self-expressive composition by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general university students.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emantic adjective expressions (usage ratio, average, frequently used vocabulary)?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15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15 students with general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are over 9 years old and who can write general essays were selected. Self-expressive writing (diary and letter) was conducted for two groups, and the usage rate, average comparison, and frequently used vocabulary were analyzed by semantic category. Studies showed that the ratio of verb and adjective usage was overly biased to one category (verb-action, adjective-emotion) and that the university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could not use many different semantic categories. In addition, the average score of university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ed lower scores in all categories except verbs and adjectives (verb-existence, adjective-sensor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f we were to make recommendations on future research issues, it would be a little difficult to generalize because of the limited number of participants,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diversify the types of self-expressive writing used as an inspection tool. Despite these limitations, however,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basic data on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words used in self-expressive writing by university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general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language arbitration for people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have difficulty in semantic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