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동종골수이식을 받은 표준 위험군과 고 위험군 백혈병 환자간의 장기생존율 비교 - 성모병원에서의 7년간의 경험 -

        최정현 ( Choe Jeong Hyeon ),김희제 ( Kim Hui Je ),이종욱 ( Lee Jong Ug ),진종률 ( Jin Jong Lyul ),한치화 ( Han Chi Hwa ),민우성 ( Min U Seong ),박종원 ( Park Jong Won ),김춘추 ( Kim Chun Chu ),김동집 ( Kim Dong Jib ) 대한내과학회 1993 대한내과학회지 Vol.44 No.4

        연구배경 : 급성 및 만성 백혈병에서 동종 골수이식을 시행할 경우 이식 당시의 임상상태는 이식후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로서, 1차 관해시 혹은 조기에 이식을 할수록 진행된 상태 혹은 말기 상태에서 이식을 실시하는 경우에 비해 생존율이 높다고 한다. 저자들은 이식당시의 임상상태가 골수이식후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동종 골수이식을 받은 급성 및 만성 백혈병 환자들을 질환별로 표준 위험군과 고 위험군으로 분류하여 두 군간의 장기 무병생존율을 비교함으로써 이식시 관해상태와 이식후 장기생존율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83년 3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가톨릭의대 부속 성모병원에서 조직적합항원(HLA)이 일치하는 형제자매로부터 동종골수이식을 시행한 58명의 급성 및 만성백혈병환자들을 대상으로 이식 당시의 임상상태에 따라 표준 위험군과 고 위험군으로 분류하여 두군간의 생존율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표준 위험군은 AML 및 성인형 ALL에서는 1차 관해, 소아형 ALL에서는 2차 관해까지, 그리고 CML 에서는 만성기에 이식을 시행한 경우로 하였고, 그외의 진행된 상태나 재발된 경우에 이식을 실시한 경우는 모두 고 위험군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 1) 3개월부터 55개월(중앙치 26개월)까지 관찰한 결과 1차 관해시 이식한 AML(표준 위험군) 13명중 8명(62%) 이 생존하였고, 2차 관해 이상의 상태에서 이식한 AML(고 위험군)은 10명중 1명(10%)만 생존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2) 3개월부터 93개월(중앙치 36개월)까지 관찰한 결과 성인형 ALL은 1차 관해에서 이식을 시행한 6명중 4명(67%)이 생존하였고, 2차 관해 이상의 시기에 이식한 경우는 5명중 3명(60명)이 생존하여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p=0.2). 또한 소아형 ALL은 2차 관해이전(표준 위험군)에 이식을 시행한 4명중 3명(75%)이 생존하였고, 고 위험군에 속하는 예는 없었다. 3) 3개월부터 52개월(중앙치 36개월)까지 관찰한 결과 CML은 만성기(표준 위험군)에 이식을 시행한 9명중 8명(89%)이 생존하였고 가속기나 급성기에 이식을 시행한 경우는 11명중 4명(36%)이 생존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4) 표준 위험군에 속하는 백혈병에서는 32명중 23명이 생존함으로써 72%의 생존율을 보인반면, 고 위험군에서는 26명중 8명이 생존하여 31%의 생존율을 보였다(p<0.01). 5) 전체 대상환자 58예중 28예가 사망하였는데 사망원인으로는 백혈병 재발이 15예로 가장 많았으며 급성 이식편대 숙주반응이 4예, 생착부전 2예, 거부반응 1예, 간질성 폐염 1예, 패혈증 2예, veno-occlusive disease 1예, 급성 신부전 1예, 그리고 TTP-like syndrome 1예등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급성 및 만성 백혈병에서 골수이식을 시행할 경우 이식시 임상상태로 표준 위험군(1차 관해, 만성기)에 속하였을때 장기생존율이 증가됨을 알수 있었으며, 향후 이식후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식의 시기는 1차 관해 혹은 만성기, 즉 조기에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고 사료된다. Background: To asses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ease status at transplant and long-term disease-free survival (DFS) in patients with acute and chronic leukemia, we compared the DFS of standard risk group ad that of high risk group after allogeneic bone marrow trasplantation (BMT). Methods: Between March 1983 and December 1990, 58 patients with acute or chronic leukemia who had been underwent the allogeneic BMT at St. Mary`s Hospital of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were assigned to a retrospective study comparing DFS of standard risk group withe that of high risk group. We defined standard risk group(n=32) as the first complete remission(CR) in AML or ALL of adult type, the second CR or ALL of childhood type and the chronic phase of CML. Advanced disease state beyond the standard risk group was considered as high risk group (n=26). Results: 1) In AML, after median follow-up of 26 months (3~55 months) long-term DFS of standard risk group was higher (62%) than that of high risk group (10%) (p<0.01). 2) In ALL of adult type, after median follow-up of 36 months(3~93 months) long-term DFS between standard risk and high risk group was 67% and 60%, respectively(p=0.2). 3) In CML, after median follow-up of 27 months (3~52 months) long-term DFS of standard risk group was 89% and that of high risk group was 36% (p<0.01). 4) Compared to the 72% (23/32) survival rate of standard risk leukemia, that of high risk leukemia was 31%(8/26)(p<0.01). 5) Relapse of leukemia was th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complication (29%) and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54%) after allogeneic BMT. Conclusion: Our results show that the outcome of standard risk group appears to be superior to that of high risk group in patients with acute and chronic leukemia. Therefore we would like to recommend to perform BMT in the early stage of disease for the treatment of acute and chronic leukemia to improve the long-term DFS.

      • KCI등재후보

        성인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의 관해후 장기 생존율을 얻기 위한 치료 방침 - 골수이식과 항암요법의 생존율 비교 -

        이종욱 ( Lee Jong Ug ),민창기 ( Min Chang Gi ),김동욱 ( Kim Dong Ug ),진종률 ( Jin Jong Lyul ),한치화 ( Han Chi Hwa ),민우성 ( Min U Seong ),박종원 ( Park Jong Won ),김춘추 ( Kim Chun Chu ),김동집 ( Kim Dong Jib ),한창순 ( Han Cha 대한내과학회 1993 대한내과학회지 Vol.44 No.4

        연구배경 : 성인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의 치료성적은 복합 항암요법의 개발 및 보조요법의 발달에 힘입어 관해률이 60~80%의 수준까지 향상되었으나, 관해 후 재발방지를 위해 항암요법(공고요법)을 실시함에도 불구하고 관해 유지기간은 약 1년정도이고, 장기 생존율은 약 20~35%에 불과하다. 한편 AML의 1차 관해시 동종골수의식(BMT)을 실시할 경우 장기 생존율은 약 45~65%이다. 방법 : 1986년 7월부터 1991년 12월까지 가톨릭의대 부속 성모병원과 국립의료원에서 AML로 진단받고 관해유도요법을 실시하여 완전관해(CR)에 도달한 92명의 환자중 40세 이하에서 1회 이상의 항암요법을 실시한 군(41명) HLA가 일치하는 형제 자매로부터 BMT를 실시한 군(16명) 간의 장기 생존율 및 재발율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 1) 대상환자 57명중 50명에서 추적관찰이 가능하였으며 3개월부터 57개월(중앙치 21개월)까지 관찰한 결과, 4년간 장기 생존율은 BMT 군과 항암치료군에서 각각 66%와 27%이었고(p<0.05), 4년간 재발율은 각각 24%와 69%이었다(p<0.005). 2) 전체 생존기간 및 무병 생존기간의 중앙치는 BMT 군에서는 아직 중앙치에 도달하지 않았으며, 항암치료군에서는 각각 17개월 및 13개월이었다. 3) 사망원인으로는 BMT군(16명) 은 백혈병 재발이 2예(13%), 치료와 관련된 합병증으로 2예(13%)에서 사망하였고, 항암치료군(41명)은 백혈병 재발이 21예(51%), 치료와 관련된 합병증으로 4예(10%)에서 사망하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성인 AML의 관해후 치료방침으로서 BMT가 항암치료(공고요법)보다 성적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여, 1차 관해후 40세 이하에서 HLA가 일치하는 공여자가 있을 경우 높은 장기 생존율을 얻기위해서는 BMT를 추천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고 사료된다. Background: Although substantial progress in the treatment of acute myelogenous leukemia (AML) has produced complete remission (CR) in 60% to 80% of patients receiving induction chemotherapy, the median remissio duration is about 12 months and only 20% to 35% of patients undergoing consolidation chemotherapy achive long-term disease-free survival (DFS). Allogenei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in first remission has resulted in a 45% to 65% overall survival rate. Methods: From July 1986 to December 1991, 92 patients with AML who had reached a CR following induction chemotherapy were assigned to a retrospective study comparing allogeneic BMT with consolidation chemotherapy as a postremission treatment. The results in 16 patients, aged 16 to 40 years, who underwent a HLA matched BMT in first remission were compared with those in 41 patients, age-matched, lacked an HLA-identical sibling, treated with one or more cycles of consolidation chemotherapy. Results: 1) After a median follow-up of 21 months (3~57 months), the acturaial DFS at 4 year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ransplantation group than in the chemotherapy group (66% v 27%; p<0.05), and the actuarial probability of leukemic relapse was considerably lower in the group treated with BMT (24% v 69%; p<0.005). 2) The median survival and DFS has not yet been reached for BMT group, and 17 months, 13 months, respectively for chemotherapy group. 3) Treatment-reached mortality was similar in both groups (13% in BMT group, 10% in chemotherapy group). Conclusion: Our results show that allogeneic BMT appears to be superior to consolidation chemotherapy and offers the best chance of long-term DFS in patients with AML in first remission. It will therefore be appropriate postremission treatment strategy to undergo allogeneic BMT for patients with AML in first remission under the age of 40 who have an HLA-identical sibling donor.

      • SCOPUSKCI등재

        폐쇄성 황달의 진단에 관한 핵의학적 고찰

        김동집,박용위,신경섭 대한핵의학회 1969 핵의학 분자영상 Vol.3 No.2

        개복 수술 및 병리조직학적 검사로 확인된 간외성 폐쇄성황달 환자 19예의 교양 198금 간주사와 혈중제거율치 (T½) 그리고 혈청빌리루빈과 알칼리성 인산효소측정치를 분석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간외성 폐쇄성황달환자 19예중 16예 즉 84%에서 간주사 사진상에 간문부위에 특이한 분지상결손상을 볼 수 있었다. 2) 간주사에서 간문부에 분지상결손이 나타난 환자에서의 황달지속 기간은 적어도 3주 이상이었으며 그 기간이 길수록 또 생화학적 검사소견이 나쁠수록 결손상 얼룩이는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3) 방사성 198금 혈중제거율치는 74%에서 정상 범위이었고 정상범위보다 연장된 예에서도 6.0분을 넘는 예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간주사 소견에서 간문주위에 특이한 분지상결손상 내지는 얼룩이가 있고 황달이 3주이상 지속되었으며 방사성 198금 혈중제거율이 정상이거나 조금 연장되는 것은 간외폐쇄성황달의 특징으로 믿는다. $quot; The present study has been undertaken to analyze scan manifestation in obstructive jaundice. Scan changes were correlated with the duration of jaundice. In addition, clearance rates of trace dose of colloidal radiogold were assessed in each case. The materials were consisted of 19 cases with surgically and/or histopathlogically verified obstructive jaundice, from various causes including common duct stone, empyema of the gall bladder and carcinoma of the pancreas head etc. Blood clearance rates of colloidal 198Au were determined after the injection of 8 uCi by simple geometrical drawing of recorded strip charts. Scan was performed following additional injection of the sam radiogold. In 16 out of 19 cases, the scan rather typical $quot;arborifrom$quot; mottlings around the porta hepatis. The intensity and appearance of such mottlings on the scan was related with the duration of jaundice and level of serum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The blood clearance rates remained to be within normal range in 74 percent of the patients. In the remaining 26 percent, clearance rate ranged between 4.1 and 6 minutes. It is concluded that the association of $quot;arboriform$quot; mottlings and normal or midly delayed clearance rates in the patients with jaundice is characterisic of obstructive change in the biliary system.

      • SCOPUSKCI등재

        정상인 및 각종 갑상선 질환 환자의 혈청 Thyroxine

        김부성,민병석,박용휘,김동집 대한핵의학회 1969 핵의학 분자영상 Vol.3 No.2

        저자등은 30대 한국 여자 정상 대조군 13예, 갑상선 기능항진증 31예, 갑상선 기능 저하증 5예, 비독성 미만성 갑상선종 13예 및 비독성 결절성 갑상선종 7예, 도합 69예에 Tetrasorb 125I test에 의한 혈청 thyroxine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30대 한국 여자 정상인의 혈청 thyroxine치는 6.0∼14.4μg/dl. of serum로 평균 9.4μg/dl. of serum이었다. 2) 혈청 thyroxine치와 각종 갑상선 기능 상태와의 사이에는 갑상선 기능항진증에서는 93.5%, 갑상선 기능 저하증에서는 100%, 비독성 미만성 갑상선종에서는 100%, 또 비독성 결절성 갑상선종에서는 86%, 통틀어서 95.8%에서 부합되었다. 3) 131I 갑상선 섭취율 및 PB131I 전화율 검사는 혈청 thyroxine 측정에 비하여 훨씬 갑상선 기능 상태와 부합되지 못하였고 특히 비독성 미만성 갑상선종에서 더하였다. 4) 갑상선 억제검사를 실시한 5예중 혈청 thyroxine치와 부합되지 않은 2예를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다시 종합하여 볼 때 혈청 thyroxine측정은 갑상선 기능을 나타내는 검사로써 가장 좋은 방법이라 하겠으나 갑상선 질환의 원인적 진단에는 어떤 한 두가지의 검사법만으로는 부족하고 몇가지 표준화된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와 임상증상과를 종합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The serum thyroxine levels were measured by method of Tetrasorb Kit in 69 subjects including 13 subjects in euthyroid state, 31 with hyperthyroidism, 5 with hypothyroidism, 13 with nontoxic diffuse goiter, and 7 with nontoxic nodular goiter. Three parameters of the thyroid function test including thyroxine (T₄) levels, (131)^I uptake (24 hrs) values and PB(131)^I conversion ratio were correlated with clinical manifestations and courses of the disease. 1) The serum T4 levels in the normal subjects were in range of 6.0μg/dl to 14.4μg/dl. (The mean 9.4μg/dl). 2) The diagnostic compatibility of the serum T4 was 93.5% in hyperthyroidism, 100% both in hypothyroidism and in nontoxic diffuse goiter, 86% in nontoxic nodular goiter, or 95.8% in the entire series (Table 1). 3) The diagnosis compatibility of 131I uptake (24 hrs) values and PB(131)^I conversion ratio were less than the serum T4 levels as summarized in Tables 2 & 3. The serum T₄ determination by Tetrasorb Kit is a simple, accurate and very useful test of the thyd function.

      • SCOPUSKCI등재

        원발성 간암과 아메바성 간농양의 진단에 관한 핵의학적 고찰

        박용휘,김동집 대한핵의학회 1968 핵의학 분자영상 Vol.2 No.1

        $quot;병리조직학검사로 진단이 확정된 원발성간암환자 34명과 아메바성 간농양환자 30명의 교양 198금을 사용한 간주사와 혈중제거율검사 (T½)을 분석 검토하여 두 질환의 감별이 가능한지를 알아보았다. 1) 간주사에서 결손상의 크기와 위치는 두 질환에서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결손상의 윤곽과 형태를 살펴볼때에 원발성 간암에서는 아메바성 간농양에서 보다 한계가 뚜렷한 경향이 있으며, 특히 $quot;$quot;반구형$quot;$quot;인것이 많다. 2) 잔여간의 비대는 원발성 간암에서 82.3%의 고율로 나타나나 아메바성 간농양에서는 그 약 절반인 40%에서 나타난다. 3) 교양 198금의 혈중제거율 (T½)은 원발성간암환자의 65%에서 연장되나 아메바성 간농양환자의 13.6%에서만 다소 연장된다. 이상 주사소견 중 특히 $quot;$quot;잔여간의 배대$quot;$quot;와 $quot;$quot;반구형결손상$quot;$quot;, $quot;$quot;비장섭취$quot;$quot;, 교양 198금의 혈중제거율치의 연장은 원발성간암에서 휠씬 자주 관찰되며, 이들을 근거로 하면 원발성간암과 아메바성 간농양을 상당히 정확하게 감별해 낼 수 있을 것으로 결론된다. $quot; Both primary hepatoma and amebic liver abscess are probably the most common space-occupying disease of the liver in Korea, and the importance of their accurate distinction can not be overemphasized. Radiogold hepatoscanning has been widely used at St. Mary's Hospital, and recently blood disappearance rate of colloidal (198)^Au has been introduced in the study of hepatic ailments. A review of the literture revealed few previous publications concerning the differential features of the two conditions although some characteristic scan findings of each condi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study is aimed at a critical review and analysis of various photoscan findings and blood disappearance rate determinations of colloidal (198)^Au of 34 cases of primary hepatoma and 30 cases of amebic liver abscess. Among many scan manifestations, prominence of the uninvolved liver tissue, $quot;hemispherical cold area,$quot; and splenic uptake are much more commonly encountered in primary hepatoma and the blood disappearance rate tends to be far more frequently delayed in primary hepatoma than in abscess providing at least a statistically useful basis of distinction of the two diseases. $quot;

      • SCOPUSKCI등재

        구충증에 관한 연구

        이문호,이장규,김동집,서병설 대한핵의학회 1967 핵의학 분자영상 Vol.1 No.2

        인체에 경구투여된 구충자충에 따른 각종 임상증상의 발현상태를 관찰하고 각종 약물의 이들에 미치는 영향과 특히 철제제로 인한 구충성빈혈의 치료 및 예방 가능성여부, 그리고 투여된 자충수에 따른 빈혈의 경중, 개체의 전신영양상태와의 관계 및 적혈구 수명등을 관찰할 목적으로 실험대상을 자원한 10예를 3군으로 나누어 1군의 4예에는 각각 500마리, 2군의 3예에는 각각 250마리, 3군의 3예에는 각각 100마리씩의 구충자충을 경구적으로 투여하여 이들에게 발현되는 자타각증상을 조사하고 각종 혈액학적소견 및 방사성동위원소에 의한 검사등을 실시함과 동시에 각 군간의 차이를 비교관찰하고 또 부신피질호르몬, 항 histamine제, 철제의 투여로 인한 변동을 비교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임상증상: 1) 임상증상중 가장 중요한 자각증상으로는 전신권태감, 해수, 사성등과 기관부의 소양감 및 동통, 요통, 관절통, 객담, 유연, 신트림, 식욕감퇴, 복통, 구역 등이었다. 2) 「두비니」구충자충의 투여수가 많을수록 이러한 자각증상이 더 심하였다. 3) Prednisolone의 경구투여로 약간의 임상증상의 호전을 보았으나 항 histamine제는 무효이었고 codeine 및 ephedrine등의 진 변동으로 구충자충의 투여수에 관계없이 전예에서 백혈구증다증이 있었고 그 극기는 제 25∼35일이었다. 3) 호산구수의 변동으로 전예에서 그 증다증을 볼 수 있었고 이는 구충자충투여수가 많을수록 현저하였으며 prednisolone 투여예에서 다소 경하였다. 4. 적혈구 수명:적혈구수명은 심한 빈혈예 외에는 정상범위내에 있었다. This study was aimed;firstly to observe various clinical symptomatology with relation to the number of Ancylostoma duodenale larvae orally given to the human beings, secondly to evaluate the effects of some drugs like steroid hormones, antihistaminics and antitussives, and, thirdly to study the influences of some iron compounds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nemia of such origin. Ten healthy volunteers free from the previous history of hookworm infection were divided into 4 groups, to whom various numbers of actively moving filariform Ancylostoma duodenale larvae were orally given;500 to 4 cases, 250 to 3 cases and 100 to 3 cases. Following were the results: 1. Clinical symptomatology. 1) Th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symptoms and signs were general malaise, cough and hoarseness. The tracheal itching and pain, low back pain, arthralgia, sputum and salivation, acid belching, loss of appetite, abdominal pain and vomiting were also noted. 2) If the larger number of the larvae was given, the clinical symptomatology was more severe. 3) Prednisolone medication caused some improvement of such symptomatology, while the antihistaminics and antitussives like codeine or ephedrine were ineffective. 4) In volunteers whose nutritional conditions were rather poor appeared to show more severe symptomatology. 2. Effects of iron compounds. 1) The oral administration of ferrous fumarate induced a slight increase of serum iron levels in the initial stage of the infection, then a decrease from 15∼20 days later and a recovery after 2 months. 2) The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saccharated ferric oxide induced a steady upkeep of the serum iron levels. 3) The hemoglobin contents also showed the upkeeps after either the oral or intravenous administraion of the iron compounds. 4) The iron compounds, therefore, are considered to have the preventive as well as the therapeutic effects on hookworm anemia, which may strongly suggest that hookworm anemia is essentially the iron deficiency type. 3. Hematological changes. 1) The severity of hokworm anemia general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larvae given. 2) The moderate leucocytosis was observed in all cases regardless of the number of larvae given, which reached to a peak in 25∼35 days. 3) Eosinophilia was observed in all cases, but was more severe in cases given larger number of larvae, which was slightly less evident after the medication of prednisolone. 4) Red cell survival time. The red cell survival time determined by (51)^Cr was generally in the normal ranges except for the severe anemia patients. $quot;

      • SCOPUSKCI등재

        구충증에 관한 연구 : 제 1편-구충의 감염 및 구충성빈혈에 관한 고찰 1.An Experimental Study on Hookworm Infection and Anemia

        이문호,이순형,이장규,김동집,서병설 대한핵의학회 1967 핵의학 분자영상 Vol.1 No.1

        구충성빈혈의 본능과 구충증의 여러 임상소견을 구명할 목적으로 인공적으로 배양한 「두비니」구충의 유충 (filariform larva) 150마리를 각각 유충감염의 개왕력이 없는 건강한 성인남자 (의사, 학생 및 기술원)로서 실험대상을 자원한 10예에서 경구투여한 후 나타나는 자각적 및 타학적 임상소견과 각종 혈액검사성적 (적혈구, 혈색소, 혈장철, 백혈구 및 호산구 등) 및 59Fe, 51Cr을 사용한 철대사의 변동, 장관내실혈량등을 측정하는 동시에 감염성숙율, 분변내 잠혈반응이 양성으로 나타나는 일수 등을 각각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자각증상으로 기침, 객담등의 호흡기계의 증상은 거의 전예에서 볼 수 있었으며 이들 증상은 유충투여후 1주이내에 발현하여 총 2주이상 계속되었다. 2) 구역, 팽만감, 복통 및 설사 등 소화기계의 증상은 유충투여후로부터 발현하여 2∼13일간 계속되었다. 3) 적혈구수의 변화는 현저하지 않았으나 혈색소치 및 혈장철치는 감염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점감되었으며 특히 혈장철의 감소가 현저하였다. 4) 백혈구 및 호산구의 증가를 볼 수 있었으며 이들이 최고에 달한 시기는 20∼30일경이었고 그후부터 점감하여 6주경에는 정상치에 복귀하였다평균 0.80시간)으로 약간 촉진되어 구충성빈혈은 계속적인 장관실혈로 인한 철결핍성빈혈인 것 같다. In view of its prevalence in the Far East area, a more detailed knowledge on the hookworm infection is one of the very important medical problem.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determine the infectivity of the artificially hatched ancylosotma duodenale larvae in man after its oral administration, evaluate the clinical symptomatology of such infection, determine the date of first appearance of ova in the stool, calculate the blood loss per worm per day, asses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ova count, infectivity (worm load), blood loss and severity of anemia. An erythrokinetic study was also done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hookworm anemia by means of 59Fe and 51C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