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국시기 고등교육의 변화와 의의

        김덕삼(Kim, Dug-Sam)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敎育問題硏究 Vol.0 No.33

        본 연구는 정치·사회·문화적으로 격동기이자 전환기였고, 교육적으로 고등교육이 본격적으로 실행되었던 민국시기를 중심으로 고등교육의 상황과 의의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민국시기에 일어났던 고등교육 관련사건 등을 중심으로 북양정부시기(1912∼1928)와 남경민국정부시기(1928∼1949)로 구분하여, 민국시기 고등교육의 특징과 의미를 교육법령과 학제의 변화, 고등교육이념의 변화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 시기에는 다양한 개혁을 통해 변화를 시도했고 법규와 법령 등이 정비되었으며, 본격적인 근대학제로의 전환이 일어났다. 그리고 학교교육이 양적으로 증가했으며, 서양의 고등교육을 중국에 도입하여 적용시켰다. 고등교육이념의 변화 측면에서는 다양한 교육사상이 나타났고, 그 영향으로 다양한 교육모델을 현실에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이러한 움직임은 사회변화를 주도했고, 교육 평등권을 강조하여 여자 교육의 개혁과 개방을 유도하였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and significance of higher education, focusing on the Republican China age, a rapidly changing and transition era in terms of politics, society when culture and higher education was conducted to some extent. First, incidents related to higher education during the age were examined by dividing two periods; the Beiyang Government between 1912 and 1928 and the Nanking Government between 1928 and 1949. By doing this, features and significance of higher education during the Republican China age were examined in two terms: changes in education laws and school system and changes in ideology of higher education. During the age, changes were attempted through various reforms and statutes and regulations were organized, and transition to full-scale modern tertiary education system occurred. School education increased quantitatively and western higher education was applied to China. In terms of changes in ideology of higher education, various education thoughts made their appearances and this led to actions to apply various education models to the reality. Also, higher education led social changes and reform and opening of women's education were induced with the emphasis on education equality.

      • KCI등재

        일반논문 : 고대 중국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공자의 교육사상을 중심으로-

        김덕삼 ( Dug Sam Kim ),이경자 ( Kyung Ja Lee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科學 Vol.0 No.56

        본 연구에서는 공자의 교육 사상이 중국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이 교육뿐만 아니라 정치, 문화와 같은 교육 외적 방면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착안하여 교육과 사회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려 하였다. 공자에 의해 촉발된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는 배움과 깨달음의 일체화라는 철학적 토대 위에서 진행되었다. 이것은 사학(私學)의 출현, 지식인 계층의 활성화와 지식의 증가, 그리고 여기서 파생된 정치, 경제, 사회의 변화 등을 유도했다. 구체적으로 교육 내적으로는 교육적 평등 추구, 사교육의 시행, 지식의 공유화 등의 변화를 불러 일으켰다. 또한 외적으로는 사회공동체와 조직, 정치, 경제, 문화 등에 다양한 변화를 불러 일으켰다. 또한 이러한 것이 고착화되고 가속화될 수 있었던 것은 교육과 교육기관을 통해서였다. 하지만 2500여 년 정도 존속되던 공자의 사상은 근현대의 변화 속에 새로운 전환을 맞이하게 되었다. 그것은 초기의 행동과 자세 즉, 새롭고 광범위한 지식을 이용하고, 많은 백성의 생각을 수용하여 옛 학문을 발전시키고, 당시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려 하였던 정신과 행동을 잃어버리고 안주하려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의 변화와 사회의 변화는 매우 밀접하게 진행되고, 상호 깊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가 원만히 이루어지지 못할 때 사회나 교육이 변하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발생한다고 보았다. 다양한 시도 속에서 어느 정도 일정한 성과가 누적되면 기존의 패러다임은 조금씩 부정되고 새로운 패러다임이 자리를 대체하지만, 이 역시 영원히 지속될 수 없고, 생성, 발전, 쇠퇴, 대체의 과정을 거친다. 그러므로 교육은 과거의 낡은 유산을 전수하는 데서 그칠것이 아니라, 새로운 변화와 요구에 끊임없이 성찰하고 대답하는 능동적 자세로 임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Confucius’ idea of education that has exerted an enormous influence not only on Chinese but also on East Asian education in general. This study will, first of all, focus on how the educational changes promoted by Confucius led to a paradigm shift in education and how such a transformation exercised an effect not only on education but also on other external areas of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with regard to their social correlations. The final aim of this paper, therefore, is to figure out, based on these studies, the changes of educational paradigms and their social correlations. The changes of educational paradigms instigated by Confucius were based on a philosophical foundation that learning and enlightenment can be integrated into one idea. Such changes also brought about the establishment of private education, the following brisk activities of intellectual class, and the subsequent promotion of knowledge and social changes. Inside the realm of education, the changes generated an integration of learning and enlightenment, pursuance of educational equality, implementation of a private education system, and a sharing of knowledge. Outside the realm of education, it exerted diverse influences on social communities and organizations,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The Confucian idea of education raised by Confucius and his disciples gave rise to the promotion of private education and expanded reproduction of knowledge, thus leading to social changes. Such trends could be consolidated and accelerated thanks to education and educational institutes. The idea of Confucius, however, has taken a new turn amid the changes of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s some 2,500 years after its emergence. It is because intellectuals have lost the spirits and a sense of conduct upon which Confucius and his followers made use of up-to-date and broad knowledge, developed old learning by incorporating the thoughts of many people, and attempted to settle the hitherto unsolved problems in society. This study has reaffirmed that educational changes and social changes are closely related and deeply affect each other. When the relations are not smooth, however, society and education have to suffer from transformation. Although the existing paradigms are denied and replaced by new ones with the accumulation of outcomes resulting from diverse attempts, the new ones cannot be sustained permanently but will undergo a process of generation, development, decline, and replacement. In conclusion, education should not only remain in passing down the old and time-honored legacies but also take an active part in examining new changes and in requirements and finding solutions.

      • KCI등재

        장소화의 양상과 의미 탐구 - 신화 공간을 중심으로

        김덕삼(Kim Dug-Sam)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22

        본 논문은 ‘공간’의 ‘장소화’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그 대상으로 신화를 이용했다. 본고에서 말하는 신화의 의미에는 신화학에서 말하는 정형화된 의미뿐만 아니라, 현대사회에 회자되는 광범위한 의미까지 포함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신화’라는 이름 속에 공간의 장소화가 끝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신화에서 어떻게 장소를 얘기하고, 이것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탐구했다. 그리고 인간의 속성과 성향을 성찰하는 질문을 던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를 위해 먼저 신화, 공간, 장소의 개념을 정리했다. 신화는 ‘광의적 의미’로서의 신화를 채택하고, 장소는 인문지리학자의 견해를 기초로 ‘인간’을 중심으로 공간과 구분하여 생각했다. 고대 신화 속 장소에서는 한국의 단군신화, 중국의 반고신화, 그리고 폴리네시아의 마우이(Maui) 신화를 고찰하였다. 이들은 각기 다르면서도 유사한 면이 있다. 현대 신화 속 장소에서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장소의 영역을 거대 도시와 건축물에서 우주까지 확장하는 장소화를 탐구했다. 특히, 거대 건축물이 들어서는 중국을 비롯하여, 공간의 장소화가 사회적 문제가 되는 현대 사회를 고찰했다. 그러면서 고대부터 현대와 중국에서 태평양까지, 신화 속 공간의 장소화가 보여주는 사례를 통해, 인간의 욕망에 의해 장소가 확장되는 오늘, 무엇이 올바른 장소화인지를 되묻고, 동시에 인류에게 가져올 위험을 거론하며 역지사지와 공감하는 자세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그것은 바로 온갖 신화로 덧칠된 이 공간은 나만의 장소가 아니기 때문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lace”" shown in “Mythology”. Through this study, I explored how to talk about Place in Mythology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times, and what it means. Through this, I expected that we could ask questions that reflect on human attributes and tendencies. In the text, I sorted out the concepts of Mythology, Space and Place, among which I identified Place in Mythology with the “optical meaning” of Mythology. Place was thought to be separated from Space by “Human”. As a characteristic of the place in ancient Mythology, the Dangun myth of Korea, the Pangu myth of China, the Maui myth of Polynesia was considered. They are different and have a common side. “The Place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Mythology” explored a new myth that extended the realm of place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t then looked at China, where a huge building was built. And Space"s Place looked at modern society, which is a social issue. Today, when the myth is dulled by human desire, the place is expanded, asked again what is the right place. And they warned each other of the dangers of conflict and hostility. As Place shows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Mythology, space will turn into a place and conflict of interest will continue to occur. We should change our positions and find a clue to the solution in our efforts to think and sympathize with each other. It"s because this space is not my own place that is painted with all sorts of Mythology.

      • KCI등재

        중국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특징

        김덕삼 ( Kim Dug Sam )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8 中國學論叢 Vol.0 No.59

        In this paper, China’s educational system has gone through three big changes in a long time of history. What changed was not just an education. Society and education went through shifts responding to each other. Educational change from confucius’s idea induced change of education paradigm and this change influenced not only education, but also external direction of education like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I assumed three historical paradigmatic shifts in educational system in China which had big influences on the foundation of Chinese education, such as the introduction of Confucian Thoughts, the introduction of Civil Examination System in Sui Dynasty, and lastly the introduction of western educational system in the late Qing Dynasty. The biggest and recent shift among the changes was educational paradigm shift caused by transfer of Western education. It was also one of the many changes China had been forced to confront unvoluntarily. It was done for many other complicated factors such as the greed of western imperialistic countries, spreading of Christianity and missionary education, domestic resistance against long feudal reigning of Qing Dynasty, and lastly the intellect’s eagerness for new knowledge and new ways of thinking. In this paper, I explained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paradigm based on past research. The China’s educational paradigm has several features. In the text, examined fiv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paradigm. Educational Paradigm shifts occurred along with the changes in society. The educational paradigm shifts as society’s demands and the role of traditional education differ. Changes and characteristics in the educational paradigm also apply to modern education.

      • KCI등재

        상생관의 비교와 확장 연구 - 강증산과 노장의 상생관을 중심으로

        김덕삼(Kim, Dug-sam)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78 No.-

        본 논문에서는 증산사상과 노장사상에 나타난 상생의 의미, 동이(同異), 한계와 가능성, 상생관의 확장 등을 탐구했다. ‘2장 상생관의 이해’에서는 증산, 노자, 장자의 상생관을 알아보았다. 강증산의 상생관은 해원상생, 보은상생 등의 가르침을 통해 상생의 이해와 실천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실천할 때 “인세에 낙원을 이룩할 수 있다”는 상생에 대한 보답을 제시한다. 노자의 상생관은 『노자』 2장을 중심으로, 도(道)의 관점에서 상생을 생각했다. 장자의 상생관은 입장론(立場論)과 더불어 생(生)과 사(死)처럼 기(氣)의 이합집산(離合集散)으로 생각했다. ‘3장 공통점과 차이점’에서는 증산사상과 노장사상에서 상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상호 관계적 측면’과 ‘방향성의 측면’에서 검토했다. 상생은 상호 관계에서 일어난다. 노자와 장자는 자신들의 상생관을 통해 분별을 없애고, 도의 경지에서 문제를 타파했다. 그런데 천하 사람은 도를 들어서 알기는 하지만 실천하기 어렵다. 반면 증산사상에서는 원한이 쌓이지 않기 위한 다양한 실천 덕목을 제시하며 상생을 실현하려 하였다. 상생에서 나와 너 모두가 주체지만, 증산사상에서 요구하는 내용을 보면, 먼저 나 스스로에게 원한을 풀도록 요청한다. ‘방향성의 측면’에서 보면, 노장은 굳이 내가 애쓰지 않아도 세상은 도에 따라 움직이기에, 결국 상생할 것이라 기대한다. 그 의미가 너무 크다. 반면 증산사상은 다양한 가르침을 통해 상생의 실천을 인도한다. 상생은 현실에서 실현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그러나 비전 제시를 통해 꿈과 희망, 나아가 살아갈 가치가 있다는 자긍심을 심어주는 일까지 접을 수 없다. 그래서 어렵더라도 상생의 방향은 도를 이루고, 이상적 세상을 구현(具現)하는 데 모아진다. 4장에서는 상생관의 ‘한계점과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노자와 장자의 상생은 도의 세계에서 실현되는 상생이기에, 공감은 되지만 너무 먼 이야기로 인식된다. 증산사상의 상생은 신앙을 바탕으로 교리의 실천 속에서 빛을 제대로 발휘한다. 이에 상생의 한계를 극복할 방법으로 이론적 확충, 친절한 인도, 성공사례의 제시를 언급했다. 상생관은 보다 많은 이론적 연구를 통해 외연을 확장하고, 일반 대중의 눈높이에 맞춰 상생을 실천하는 친절한 안내가 요청되며, 성공사례의 제시를 통해 가능성을 확인시켜 주어야 한다. 상생을 널리 사용하게 된 데에는 강증산을 따르는 종교의 역할이 있다. 향후 사회적 요구와 종교적 이론의 공고화를 위해서도, 상생관에 대한 체계적 연구와 외연을 확장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그 속에서 노자와 장자의 상생관은 미흡하나마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In this paper, I explore the meaning, differenc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Sangsaeng in Kang Jeongsan and Lao-zhuang, and explore the expansion of Sangsaeng view. ‘Chapter 2 Understanding Sangsaeng View’, recognized the Sangsaeng view of Kang Jeungsan, Laozi, and Zhuangzi. Kang Jeongsan"s Sangsaeng view presents Sangsaeng"s understanding and practice through the teachings of Haewon-sangsaeng and Boeun-sangsaeng. In doing so, Sangsaeng"s reward is "to achieve paradise in the human world." Laozi"s Sangsaeng view focused on 『Laozi』 and thought of Sangsaeng from Dao(道)"s point of view. Zhuangzi"s Sangsaeng view thought that along with the theory of stance(立場論), Qi gathered and scattered like life and death. ‘Chapter 3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Jeongsan and Lao-zhuang, Sangsaeng"s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ere considered in "interrelational aspects" and "direction aspects". The sangsaeng, not alone in mutual relationship. Laozi and Zhuangzi eliminated their sense based on their Sangsaeng view and broke down the problem in Dao"s position. But people in the world know Dao by listening to it, but it"s hard to do it. On the other hand, Jeongsan"s ideas tried to realize Sangsaeng by presenting various virtues of practice in order not to build hatred against each other. I and you are both main players in Sangsaeng. In Jeongsan"s thought, I first ask myself to release my bad heart. ‘In terms of direction’, Lao-Zhuang expects the world to move according to Dao without having to struggle, and eventually Sangsaeng. The meaning is too great. On the other hand, Jeongsan"s ideas presents Sangsaeng"s practice through various teachings. Sangsaeng has a difficult part of reality to realize. However, cannot give up our dreams and hopes by suggesting directions, and even our self-esteem that it is worth living. So even if it"s impossible, Sangsaeng is focused on achieving Dao and creating an ideal world. In Chapter 4, looked at the ‘Limits and Possibilities’ of Sangsaeng view. Be realized in the world of dao in the world of zhuangzi and laozi sangsaeng. It is understandable but considered to be a story too far from reality. Sangsaeng in Jeongsan"s ideas is based on faith and practiced in the practice of religious doctrine. Sangsaeng view is the general public"s expectation, and more a theoretical target to expand the study to the friendly guide to practice sangsaeng is requested. The success of the feasibility through the presentation should be confirmed. Sangsaeng"s expansion is due to Kang Jeongsan"s religion. In the future, systematic research on Sangsaeng views and attempts to expand targets are also needed for the systematization of social needs and religious theories.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도시발전과 사회적 합의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 - 원전건설과 방사성 폐기물 관리를 중심으로

        김덕삼 ( Dug Sam Kim ),송창학 ( Chang Hak Song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4 도시인문학연구 Vol.6 No.2

        현대문명이 발달하면서 도시가 생겨나고, 도시가 생겨나면서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함께 발생하였다. 긍정과 부정의 양극단을 잘 조정하는 것이 바로 합의이고, 이러한 합의가 원만 히 이루어질 때 도시는 안정되게 발전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에서 본 연구는 도시발전과 사회적 합의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 을 시도하면서, 원전건설과 방사성 폐기물 관리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원전건설과 방사성 폐기물에 대한 국내외 상황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를 둘러싼 갈등 요인과 그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원자력발전소와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 건설 을 위해 한국사회가 겪었던 갈등의 내용을 사항별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향후 사회적 합의를 위해 필요한 지식을 얻고자 하 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합의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을 시도해 보 았다.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많은 문제는 과학기술, 자원, 경제 력 등이 부족해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풀려는 마음이 모아지 지 않았기 때문이다. 결국 많은 문제점과 구체적 대안들은 “사 람”에게 달려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에서는 사회적 갈등과 합의에 있어 가장 큰 문제점은 이성적 접근의 결여와 정책적 미흡으로 보았고, 가장 필요한 것은 믿음과 공감으로 보았다. 그러면서 “사람”과 “사람이 만든 조직”을 중심으로 하는 여섯 가 지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것이 향후 정책을 수립하는 데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 The modern civilization development which created lots of cities came to arise both aspects of the negatives and the positives. What the consensus is to mediate both the extremes, and satisfactory conclusion of consensus could bring the city developed stably. In this respect, while attempting to study the humanistic reflexivity for urban development and social consensus, this paper took social consensus on the construction of nuclear power plants and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as subjects for this inquiry. To achieve this, this study check on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s about the construction of nuclear power plants and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and have attempted an analysis on conflicting factors surrounding this. Especially, by examining conflicts Korea has suffered from controversy over the establishment of a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case by case, this study try to get the knowledge needed for afterwards consensus. Finally, this approach experimented the humanistic reflexivity for social consensus. Many problems that exists in our society are not caused by lack of such technology, resources, economic power but by lack of gathering of the will to resolve problems. After all both problems and concrete alternatives are up to “people”. In this context, this paper saw lack of a rational approach and poor policy as most important problem and what the most necessary are trust and empathy. Then, this paper proposed six kinds of action plans centered “man” and “man-made organization”. This paper is also aimed to help a little bit to establish a next policy.

      • KCI등재

        이덕형과 안원의 실천적 삶의 동인과 교육적 의미

        김덕삼(Kim Dug sam),조득창(Cho Deuk cha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敎育問題硏究 Vol.29 No.4

        본 연구에서는 이덕형과 안원의 실천적 삶의 동인과 교육적 의미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이들의 시대상황, 생활, 교육의 측면에서 실천적 삶을 비교해 보았다. 이를 기초로 정명(正名)을 기초로 한 실천적 삶과 교육적 의미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이덕형과 안원에 대한 연구의 확산, 둘째, 실천의 교육적 가치 강조, 셋째, 정명론의 교육적 활용에 기여하게 되기를 희망한다. 이덕형은 행정가로서 자신이 배운 것을 근거로 실천하여 한반도에서 일본의 침략을 물리치고 조선의 평화를 찾는데 기여하였다. 안원은 교육과 실천적 행위를 통하여, 실천을 강조하면서 당시 사회의 문제점을 비판하며 개혁과 변화의 불씨를 후대에 남겼다. 이덕형과 안원의 삶은 실천의 드러남에서 다를 수밖에 없지만, 이들은 자신의 처지와 상황에서 실천적 사상으로 임하였다. 특히 이덕형과 안원의 사상은 공자의 가르침에 토대를 두고 있기에 각자의 위치에서 이름값을 하라는 정명론은 이들의 실천적 삶에 기초가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이덕형은 난세에 행정가의 위치에서 실천적 삶에 충실하였고, 안원은 교육가의 위치에서 실천적 삶을 중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이들의 실천의 삶은 한국과 중국에서 교육적으로 지금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정명과 실천의 가치를 온고지신하고자 하였다. 시대와 상황과 지역이 다른 곳의 인물이지만, 각자의 위치에서 맡은바 임무를 충실히 해내는 것, 그리고 이러한 행동의 토대로서 정명론은 바로 여기 오늘을 살고 있는 많은 지도층과 학생들에게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is aimed at comparing Lee Deok-hyeong(李德馨, 1561-1613) and Yan Yuan(顔元, 1635-1704)who lived in the different regions, age and the way of life. The main reason to compare the two figures in this article are to remind the meanings of Zheng Ming(Rectification of Names, 正名) and practice today through comparing the two persons who have many points of the commons though apparently different. In this article, their thoughts are attempted to compare in three aspects in order to identify their strengths and ideas. In other words, historical background and practical action, a review of the educational aspects. Based on this, Living as a Praxis based on Zheng Ming is illuminated. Lee Deok-hyeong based on things he learned as administrators, properly practiced the role of administrator, a political administrator, a diplomat protecting physical aggression of Japan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contributed to finding peace in Korea. Emphasizing the practice through education and practical actions and criticizing the social problems at that time, Yan Yuan left the embers of reform and change to future generations. The Life of Lee Deok-hyeong and Yan Yuan was different. The Life of Lee Deok-hyeong and Yan Yuan looks different in surface but common in inner area. In other words, though Lee Deok-hyeong protected National Crisis as a prime minister and Yan Yuan experienced National Crisis as a educator differently, they faced the war at practical attitudes in commons from their plight and circumstances. Especially Rectification of names by Kongzi is the basis of the commons in living as a praxis of the two forerunner. Through Rectification of names by Kongzi Lee Deok-hyeong was so faithful to the practical life at the location of the administrators, and Yan Yuan could focus on the practical life at the location of the educator. In this paper, through this study, ultimately, Reviewing the Old and Learning the New(溫故知新) is pursued on the value of Zheng Ming and practice in our lives here and now. Though they lived in different places and times, they faithfully executed their duties in their respective positions on the Zheng Ming ideas of Confucius as a basis for these actions, which should be considered and treasured as practice virtue to be done by the many leaders who live right here today.

      • KCI등재

        문화,문학 : 중국(中國) 소수민족(少數民族) 문화접변(文化接變) 양상(樣相)의 변화(變化): 회족(回族)과 이족(彛族)의 문화(文化)를 중심으로

        김덕삼 ( Dug Sam Kim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2 비교문화연구 Vol.29 No.-

        This study focused on concretely how minority group`s attitude accepting han-zu`s culture changes. In the past, minority group`s culture and han-zu`s culture were acculturated spontaneously, not forcibly. But as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as founded and control of chinese government was intensified, control and interference of minority group area became aggressive, and acculturation became compulsory. However, after chinese economic reform, by economic affluence and modernization and urbanization according to economic affluence, acculturation of minority group`s culture and han-zu`s culture is changing from forced acculturation to spontaneous acculturation. Still there are some areas where mutual friction lasts because of forced acculturation. But except some areas the stream is changing rapidly to spontaneous acculturation. In the text, this study investigated process and present state of acculturation focused on hui-zu that implemented aggressive acceptance of han-zu`s culture relatively early. Then this study investigated yi-zu society and cultural change focused on their spontaneous acculturation. In the modern society setting a high value on convenience and personal happiness rather than ideology and value, value of race becomes less attractive to young people of minority group who know modern civilization and convenience of city. In this respect, maybe hui-zu society is future of yi-zu society and minority group society.

      • KCI등재

        <논문(論文)> : ≪장자(莊子)≫에 나타난 "변(變)"의 사용과 가치

        김덕삼 ( Dug Sam Kim )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6 中國學論叢 Vol.5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use of ‘change(變)’ in the text ≪Zhuang-zi≫, and to review the value of the messages released and the meaning of ‘change’ in ≪Zhuang-zi≫. The fact that the meaning of “Change(變)” in modern society is used even more important is the reason to place importance in the meaning of “Change(變)”.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meaningful to investigate how Zhuang-zi, the free spirit of the axile era thought about the meaning of “Change(變)”. To do this, the meaning of ‘change(變)’ and the usage of ‘change(變)’ in ≪Zhuang-zi≫ are looked through. The number ‘change(變)’ used in ≪Zhuang-zi≫ is a total of 31 times with the exception used in the sense of 辯. Of course, the use of “change(變)” in ≪Zhuang-zi≫ is not very different from normal use. In some sense this is a kind of Tautology, because “change(變)” in some sense already contains the meaning of “change(變)” in premise of “change(變)”. In this paper, based on these objective indicators,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used in each example and the features of the back side of each used example are examined. This is similar in relation of Signifier and Signifee in semiotics. In this paper, focusing on Signifier, patterns of “change(變)” found in ≪Zhuang-zi≫are learned.. This work was approached structurally in connection with ‘nature(自然)’. Unlike the other ideas, “Change(變)” in ≪Zhuang-zi≫ has a deep connection with nature. Zhuang-zi discovered the changes in nature, and it was philosophically sublimated through the reason in that place. Phenomenon changed, but the principles and the source of its back has always maintenance. Knowing Tao and Reaching the state of acquaintances is possible when one interacts with the maintenance to face the changes, This can be still valid to be applied to the modern world. To observe the nature and to apply the Tao of the change to the human society seems in line with analogical and correlative characters of Oriental Thought. Humans can not live away from nature. At large human beings also is a natural after all. As the correlative thoughts has been extended to Chinese medical to heal human body, the natural principles of “Change(變)” observed in nature also can be extended correlatively to treat human and cure human society meaningfully. So today even though fatigue of change is experienced here, the philosophy of ‘change’ in ≪Zhuang-zi≫ can present a plan of solving the problem faced in this era beyond refreshing to us.

      • KCI등재

        동서양 문명 교류에서 본 ‘공감’

        김덕삼(Kim Dug Sam),최원혁(Choi Won Hyuk),이경자(Lee Kyung Ja)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2017 중국과 중국학 Vol.- No.30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주목받았던 인간 이성에 대한 불만족에서 사람들은 ‘공감’에 주목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에 부응하여 공감에 대하여 그 시원에서부터 의미를 추적하여 현대에서의 공감의 가치를 올바로 확립하는 데 기여하려 한다. 특히 공감의 시원을 동양과 서양의 교류사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공감의 출발과 근원을 추적하고, 동양과 서양에서 어떠한 형태로 해석하고 어떠한 형태로 발전되어 왔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의 연구와 달리 공감을 동서양 문명교류의 과정, 동양에서의 발전 과정, 현대에서의 변화 과정을 통해, 공감의 의미가 공자의 사상에서 출발하여 서구를 거쳐 발전하고, 이것이 현대사회에 어떻게 중요한 요소로 주목받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동서양 교류에서 본 공감을 통해 동서양의 문명교류와 그 속에서 유럽에 영향을 주었던 정신문화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계몽주의 사상에 영향을 준 것으로서 공자의 사상을 추적할 수 있고, 이는 공감의 시원으로서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3장에서는 동양에서의 공감을 중심으로 공자의 공감이론이 그의 서(恕)에서 출발하고 있음을 기초로, 맹자와 소강절에 이르러 변화된 것을 알아보았고 동양에서의 공감의 온고지신(溫故知新)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마지막 4장에서는 현대적 시각에서 본 공감을 통해 현대 사회에서의 공감의 의미와 공감의 현대적 기원 등을 알아보고, 공감이 동서를 막론한 학자들에 의해서 다양하게 연구됨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장점과 특징을 감안하여 공감의 의미를 확장하고, 서양의 상황에 편중되어 있는 공감의 가치와 의미를 동양의 상황에 맞춰 적극적으로 해석하고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동양의 발전과 서구의 동양에 대한 변화된 시각을 기초로 현대의 동양사회에서 공감의 가치를 올바로 확립하여 사용함으로서 현대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를 명확하게 접근할 수 있는 기초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People are paying attention to ‘empathy’ in dissatisfaction with human reason, which has been noted in postmodernism. In this paper, in response to this, we will try to contribute to properly establish the value of empathy in the present age by pursuing meaning of empathy from the beginning. Especially, by grasping the origins of empathy in the Perspective of East-West Cultural Exchange, I try to trace the origins and origins of empathy and analyze and interpret what kind of forms are developed in East and West. Especially, unlike conventional research, by examining the process of East-West civilization exchange,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the East, and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modern world I tried to see how empathy departs from Confucius thought and is drawing attention as an important element in modern society. For this reason, in Chapter 2, we examined the spiritual culture that influenced Europe and the civilization exchange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hrough empathy as seen from the exchange.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trace Confucius’s thought as an influence on Enlightenment thought, and it was necessary to look at it as a source of sympathy. In chapter 3, based on what Confucius’ s empathic theory is from his book(恕), focusing on the empathy in the East, we have noticed a change in Mencius and Sogang-jeol and emphasized Reviewing Method of Old and New(溫故知新).In the last chapter 4, through empathy from a modern perspective, we examine the meaning of empathy in contemporary society and the contemporary origins of empathy, etc, and and confirmed that empathy has been studied variously by scholars regardless of the East and the West. In the future, based on the cultural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East and the West, expanding the meaning of empathy, actively interpreting the value and meaning of sympathy from biased towards the West situation to the situation of the Orient and developing it are needed. In particular,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Orient and the changed perspective of the Orient in the West,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a basis for a clear approach to the problems of modern society by properly establishing and using the values of empathy in the modern society, especially in the Asi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