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소하천 수자원 확보를 위한 하수재이용 및 수처리 고도화 기술 개발

        김현준 ( Kim Hj ),김일호 ( Kim Ih ),안재환 ( Ahn Jh ),김광수 ( Kim Ks ),김원재 ( Kim Wj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본 연구에서는 총 5년(2020년 현재, 4차년도)에 걸쳐 중소하천의 수자원 확보를 위한 하수재이용 및 수처리 고도화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 연구는 크게 다음의 네 연구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재이용수 리스크 저감을 목적으로 한 고도산화처리 시스템 개발’ 연구에서는 ① 자외선과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고도산화처리용 반응조 개발, ② 잔류성 유기물질(TOC) 외 이를 구성하는 특정 신종오염물질(의약품류)을 대상으로 한 평가를 통해 개발기술의 유효성 검증 및 ③ 다양한 파장(185 nm, 254 nm) 및 저압, 중압 자외선 램프를 활용한 적용성 평가를 통해 현장적용을 위한 최적 공정 도출 등을 수행하고 있다. 또, ‘저에너지 하수처리수 재이용 기술 개발’ 연구에서는 ① 하수재이용 시 저압 분리막(UF/NF)-CDI 연계공정으로 기존 역삼투 공정 대비 향상된 저에너지 공정 개발, ② 공공하수처리시설의 하수처리수를 대상으로 개발 기술의 단위공정 설계인자 도출 연구 수행 및 ③ 파일럿 규모의 CDI 시설(10 ㎥/d) 설계, 제작 및 운전을 통한 실용화 기반 구축을 수행하고 있다. 다음으로, ‘슬러지 발생없는 수중의 인산염 제거 무기흡착제 개발’ 연구에서는 ① 인산염 제거 흡착제의 흡착-탈착(재생) 회분식 실험 및 메카니즘 규명, ② 대규모 하수처리용 흡착소재인 철성분 함유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와 소규모 하수처리용 흡착소재인 아연-철 LDH (Layered double hydroxides)를 실험실규모로 합성 및 ③ 두 소재의 흡탈착 메카니즘 규명과 개발된 소재의 반복사용 가능성 실증 등을 수행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물 보호를 위한 영양물질 저감 및 회수 실용화 기술 개발’에서는 ① 물재생센터 내 반류수를 대상으로 인·질소 저감 신공정 개발 및 실용화, ② MAP 결정화 파일 럿플랜트(10 ㎥/d) 장기 운전결과, 물재생센터 반류수 내 PO<sub>4</sub>-P 평균 제거효율 90% 이상 달성 및 ③ MAP 결정 성장특성 검토 및 최적 결정 회수조건 도출 등을 수행하고 있다. 이상 연구개발의 성공적 수행을 통하여 하수재이용 및 고도 수처리기술을 확보함으로써, 중소하천의 가뭄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차세대 수자원 확보기술을 개발하고자 하고 있다.

      • 중소하천 수자원 확보를 위한 하수재이용 및 수처리 고도화 기술 개발

        김현준 ( Kim Hj ),김일호 ( Kim Ih ),안재환 ( Ahn Jh ),김광수 ( Kim Ks ),김원재 ( Kim Wj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본 연구에서는 총 5년(2020년 현재, 4차년도)에 걸쳐 중소하천의 수자원 확보를 위한 하수재이용 및 수처리 고도화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 연구는 크게 다음의 네 연구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재이용수 리스크 저감을 목적으로 한 고도산화처리 시스템 개발’ 연구에서는 ① 자외선과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고도산화처리용 반응조 개발, ② 잔류성 유기물질(TOC) 외 이를 구성하는 특정 신종오염물질(의약품류)을 대상으로 한 평가를 통해 개발기술의 유효성 검증 및 ③ 다양한 파장(185 nm, 254 nm) 및 저압, 중압 자외선 램프를 활용한 적용성 평가를 통해 현장적용을 위한 최적 공정 도출 등을 수행하고 있다. 또, ‘저에너지 하수처리수 재이용 기술 개발’ 연구에서는 ① 하수재이용 시 저압 분리막(UF/NF)-CDI 연계공정으로 기존 역삼투 공정 대비 향상된 저에너지 공정 개발, ② 공공하수처리시설의 하수처리수를 대상으로 개발 기술의 단위공정 설계인자 도출 연구 수행 및 ③ 파일럿 규모의 CDI 시설(10 ㎥/d) 설계, 제작 및 운전을 통한 실용화 기반 구축을 수행하고 있다. 다음으로, ‘슬러지 발생없는 수중의 인산염 제거 무기흡착제 개발’ 연구에서는 ① 인산염 제거 흡착제의 흡착-탈착(재생) 회분식 실험 및 메카니즘 규명, ② 대규모 하수처리용 흡착소재인 철성분 함유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와 소규모 하수처리용 흡착소재인 아연-철 LDH (Layered double hydroxides)를 실험실규모로 합성 및 ③ 두 소재의 흡탈착 메카니즘 규명과 개발된 소재의 반복사용 가능성 실증 등을 수행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물 보호를 위한 영양물질 저감 및 회수 실용화 기술 개발’에서는 ① 물재생센터 내 반류수를 대상으로 인·질소 저감 신공정 개발 및 실용화, ② MAP 결정화 파일 럿플랜트(10 ㎥/d) 장기 운전결과, 물재생센터 반류수 내 PO<sub>4</sub>-P 평균 제거효율 90% 이상 달성 및 ③ MAP 결정 성장특성 검토 및 최적 결정 회수조건 도출 등을 수행하고 있다. 이상 연구개발의 성공적 수행을 통하여 하수재이용 및 고도 수처리기술을 확보함으로써, 중소하천의 가뭄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차세대 수자원 확보기술을 개발하고자 하고 있다.

      • 중소하천 수자원 확보를 위한 하수재이용 및 수처리 고도화 기술 개발

        김현준 ( Kim Hj ),김일호 ( Kim Ih ),안재환 ( Ahn Jh ),김광수 ( Kim Ks ),김원재 ( Kim Wj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본 연구에서는 총 5년(2020년 현재, 4차년도)에 걸쳐 중소하천의 수자원 확보를 위한 하수재이용 및 수처리 고도화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 연구는 크게 다음의 네 연구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재이용수 리스크 저감을 목적으로 한 고도산화처리 시스템 개발’ 연구에서는 ① 자외선과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고도산화처리용 반응조 개발, ② 잔류성 유기물질(TOC) 외 이를 구성하는 특정 신종오염물질(의약품류)을 대상으로 한 평가를 통해 개발기술의 유효성 검증 및 ③ 다양한 파장(185 nm, 254 nm) 및 저압, 중압 자외선 램프를 활용한 적용성 평가를 통해 현장적용을 위한 최적 공정 도출 등을 수행하고 있다. 또, ‘저에너지 하수처리수 재이용 기술 개발’ 연구에서는 ① 하수재이용 시 저압 분리막(UF/NF)-CDI 연계공정으로 기존 역삼투 공정 대비 향상된 저에너지 공정 개발, ② 공공하수처리시설의 하수처리수를 대상으로 개발 기술의 단위공정 설계인자 도출 연구 수행 및 ③ 파일럿 규모의 CDI 시설(10 ㎥/d) 설계, 제작 및 운전을 통한 실용화 기반 구축을 수행하고 있다. 다음으로, ‘슬러지 발생없는 수중의 인산염 제거 무기흡착제 개발’ 연구에서는 ① 인산염 제거 흡착제의 흡착-탈착(재생) 회분식 실험 및 메카니즘 규명, ② 대규모 하수처리용 흡착소재인 철성분 함유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와 소규모 하수처리용 흡착소재인 아연-철 LDH (Layered double hydroxides)를 실험실규모로 합성 및 ③ 두 소재의 흡탈착 메카니즘 규명과 개발된 소재의 반복사용 가능성 실증 등을 수행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물 보호를 위한 영양물질 저감 및 회수 실용화 기술 개발’에서는 ① 물재생센터 내 반류수를 대상으로 인·질소 저감 신공정 개발 및 실용화, ② MAP 결정화 파일 럿플랜트(10 ㎥/d) 장기 운전결과, 물재생센터 반류수 내 PO<sub>4</sub>-P 평균 제거효율 90% 이상 달성 및 ③ MAP 결정 성장특성 검토 및 최적 결정 회수조건 도출 등을 수행하고 있다. 이상 연구개발의 성공적 수행을 통하여 하수재이용 및 고도 수처리기술을 확보함으로써, 중소하천의 가뭄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차세대 수자원 확보기술을 개발하고자 하고 있다.

      • KCI등재

        불임환자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난소용적의 측정 및 난소 능력 평가의 예측인자로서의 임상적 유용성에 관한 연구

        조영래,전상식,김진홍,이택후,김대한,김광수,박철민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9

        본원 산부인과 불임클리닉에서 37명의 불임환자들을 대상으로 초음파를 이용하여 난소용적을 측정하고 측정한 총 난소용적과 환자의 나이, 기초 난포자극호르몬치, 기초 난포호르몬치와의 상관관계를 조사 연구하였다. 조사대상 환자의 연령 분포는 23세에서 41세였고 평균 연령은 30.27±4.79세였다. 월경주기 3일에서 5일 사이의 평균 기초 난포자극호르몬치 및 기초 난포호르몬치는 각각 7.79±2.54 mIU/ml, 47.58±30.38 pg/ml로 측정되었다. 대상 환자 중에서 초음파로 양측 난소 모두의 삼차원적인 크기 측정이 가능한 경우는 62%로써 그 외에는 어느 한 쪽의 난소만 측정이 가능하였다. 좌우측 난소의 평균값은 각각 7.99±3.63 cm3 및 7.48±4.63 cm3, 전체 난소의 평균값은 7.77±4.07 cm3였으며 총 난소용적(좌우측 난소의 합)의 평균값은 14.88±7.05 cm3로 측정되었다. 좌우측 난소용적을 비교한 결과, 양측 난소용적간에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양측 난소용적 사이에 큰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총 난소용적과 환자 나이와의 관련성 에서는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나이에 대한 난소용적의 뚜렷한 변화는 없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난소용적과 기초 난포자극호르몬치 및 기초 난포호르몬치와의 관련성 에서 기초 난포자극호르몬치와는 전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초 난포호르몬치와는 뚜렷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볼 때 가임기의 국내 여성-적어도 불임환자들의 경우 외국 여성에 비하여 각각의 난소용 적 및 총 난소용적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을 알 수 있고 총 난소용적과 기초 난포호르몬치와는 유의한 상관관계 가 있는 것으로 보아 궁극적으로 난포의 발달 숫자와 임신율과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많은 지표들 중에서 어느 것도 난소 기능(반응) 평 가나 보조생식술의 결과(임신)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는 없으나 초음파를 이용한 난소용적 측정이 난소기능 평 가 및 보조생식술 결과 예측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한국인의 평균 난소용적을 국내 최초로 보고하는 바이다. A number of parameters such as a women`s age, basal FSH and E2 value have been identified as predictors of success with assi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primarily by predicting ovarian responsiveness to ovulation induction but there are very few non-inavsive unstimulated outcome predictors available to patients before starting on ART cycle. The objective of our study was to determine ovarian volume in infertile women with ultrasound on cycle day 3∼5, to compare ovarian volume with patients` age, basal FSH, E2 level and to assess the usefulness of ovarian volume as a predictor of ovarian reserve. Total thirty seven infertile women met the following study entrance criteria: (1) both ovaries were present and contained no ovarian cysts ≥10 mm or greater in diameter, (2) no history of endometrioma, dermoid or PCO, (3) no recent use of infertility drugs and (4) no history of ovarian surgery. On cycle day 3∼5, the length, height, and width of each ovaries were determined by transabdominal ultrasound in the parasagittal and transverse planes. All patients had blood samples for measure of basal FSH and E2 drawn at the same day. The basal serum FSH and E2 value (mean±SD) were 7.79±2.54 IU/L and 47.58±30.48 pg/ml. The mean volume of right ovary, left ovary and total ovaries was 7.99±3.63 cm3, 7.48±4.63 cm3 and 7.7±4.07 cm3 respectively and the mean total ovarian volume (sum of right and left ovaries) was 14.88±7.05 cm3.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olume were noted between right and left ovar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ovarian volume and age was somewhat correlated (r=0.37) but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with age in this study group.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otal ovarian volume and basal FSH level (r=-0.03) but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otal ovarian volume and basal E2 level (r=0.5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