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근ㆍ현대불교의 普照 영향

        김경집(Kim Kyung-jib) 보조사상연구원 2007 보조사상 Vol.27 No.-

          보조국사 지눌은 한국불교 근 현대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 시기 계승된 보조의 사상 가운데 두드러진 것은 결사의 정신이다. 그런 정신은 경허와 한암에 의해 계승되었으며, 현대에는 재가 불자들에 의해서도 계승되었다.<BR>  보조의 사상은 한국불교 선종의 근간을 정립하는 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근대불교 연구자들은 한국불교 선종이 그의 사상을 계승하고 있음을 밝힘으로써 보조를 중심으로 역사적 의의를 정리하였다. 또한 근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불교의 선가에서 중요하게 여겼던 전적에서 보조의 저술은 강조되었다.<BR>  이런 보조사상은 현대 한국불교학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전문적인 보조 연구자가 배출되어 보조에 관한 깊은 연구 성과를 축적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연구에 의해 한국 현대불교에 있어 보조의 영향이 매우 컸음이 증명되었다.<BR>  또한 보조의 실천이 이어져 온 송광사에서 근 현대의 선지식인 효봉과 구산이 보조의 선사상을 계승함으로써 승보종찰의 이미지는 물론 가풍의 계승이라는 의의를 회복할 수 있었음도 역사적 영향의 중요한 부분이다.<BR>  따라서 이런 점을 종합해서 고찰할 때 근 현대 보조사상의 역사적 영향은 한국불교 전체에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큰 족적을 남겼고, 앞으로 다가올 미래의 한국불교에 선명한 방향을 제시하였다고 평가될 수 있다.   Ven. Bo-jo has many influenced to Korean Buddhism in modern times. In this time, the remarkable thing handed down in the mist of Ven. Bo-jo"s thoughts was the Sam?dhi-Praj?? Community. This spirits handed down by ven. Kyung-Heo, Man-gong and a believer in Buddhism in modern times. Researchers who attention to Korean Buddhism in modern times concluded that the Korea seon order succeed to ven. Bo-jo"s thoughts.<BR>  Ven. Bo-jo"s works emphasized in Korean Buddhism from in modern times to in the present age. He"s thoughts has a enormous effects on Korean Buddhist study. A specialist researchers appeared and accumulated a many research papers on ven. Bo-jo.<BR>  Such researchers works demonstrated that ven. Bo-jo"s thoughts has effected Korean Buddhism in the present age. And ven. Bo-jo"s thoughts succeed to Songkwongsa korean traditional Buddhist temple by ven. Hyo-bong and Gu-san who seon master from in modern times to in the present age.

      • KCI등재

        근대 불교계의 보조지눌에 대한 인식과 계승

        김경집(Kim, Kyung-Jib) 보조사상연구원 2020 보조사상 Vol.56 No.-

        보조지눌의 송광사 정혜결사 이후 그의 수행과 저술은 당대는 물론 현재까지 계승되면서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 가운데 근대에 이르러 보조지눌의 인식은 남달랐다. 조선후기 배불정책에서 벗어나고 외부로부터 들어온 서구문물에 힘입어 자강의식이 고조되면서 한국불교의 정체성에 대해 인식이 생겨났다. 그런 경향은 한국불교사와 불교계에 많은 영향을 준 인물들을 정리하는 작업으로 이어졌다. 그런 평가 가운데 보조지눌은 누구보다도 한국불교 중흥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 그의 사상과 실천 또한 근대 불교계의 수행 정립과 도제양성에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문제의식을 갖고 먼저 불교인 스스로 불교역사와 인물을 정리한 근대 불교사서 속에 나타난 보조지눌의 서술과, 그리고 근대 불교학 연구자에 의해 축적된 불교사학 속에 나타난 보조지눌의 시대적 위상과 평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불교인 스스로 수행을 진작시킬 때 보조지눌의 정혜결사를 어떻게 수용하고 계승하였는지, 그리고 새롭게 형성된 불교계의 후진 양성을 위해 보조지눌의 저술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그런 연구결과 근대 편찬된 불교사서의 보조지눌의 서술은 보조국사비의 내용을 답습하는 양상이었지만 그런 과정에서도 찬자들은 보조지눌을 한국불교 조계종의 개조로 보았고, 이는 앞서 구산선문을 계승한 것이며 이후 한국불교 조계종의 본령으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불교계에 근대적 교육이 도입되면서 시작된 불교사학은 보조지눌에 대한 역사적 위상을 서술하기 시작하였다. 그런 평가에 의하면 보조지눌은 고려후기 불교계의 혼란과 침체에서 조계선풍을 진작시켜 독립의 종을 연 중흥조이며, 이런 보조지눌의 종지는 禪門의 참학자들이 계승하여 조계종풍이 모두 부흥할 수 있었다고 평가하였다. 근대 보조지눌의 정혜결사는 경허와 한암의 결사운동에 잘 나타나고 있다. 경허는 조선조의 배불정책에서 법맥이 상실되었던 때 보조지눌의 사상을 계승하여 한국 근대불교를 중흥시켰고, 한암은 건봉사에서 보조지눌의 사상을 바탕으로 결사운동을 펼쳐 한국 근대불교의 실천방향이 명실상부 보조지눌의 계승이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보조지눌의 저술 가운데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와 『계초심학인문』은 근대 강원교육에서 꾸준히 강학되었다. 그리고 『수심결』, 『진심직설』, 『정혜결사문』, 『간화결의론』은 선수행의 지침서로 발간한 『선문촬요』에 수록되어 수행자의 지남이 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책이 경허에 의해 범어사에서 간행된 것으로 볼 때 선풍진작운동과 관련이 깊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지눌 인식과 계승을 살펴볼 때 보조지눌의 사상과 저술은 한국 근대불교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Ven. Boinul performed Samãdhi and Prajña Community at Songgwangsa Temple during the Goryeo Dynasty. His ideas and writings have been inherited to this day and greatly influenced Korean Buddhism. Joseon Dynasty began a friendly policy toward Buddhism The modern times. Western literature came from outside and people s self-consciousness has increased. Korean Buddhists began to think about their identity. Buddhists began to organize the people who influenced Korean Buddhism. Modern Buddhists chosed the Ven. BojoJinul as a person who influenced Korean Buddhism. His ideas and practices had a great influenced on modern Korean Buddhism. This paper focuses on the following. Modern Buddhists summarized history and monks. This is the history book of Korean Buddhism. The writers regarded the Ven. BojoJinul as a great monk. Modern Buddhist scholars also evaluated the Ven. BojoJinul. They were concerned with the role of the assistants in their time. They were interested in the succession of the Samãdhi and Prajña Communit and his writings that influenced the Korean Buddhist world. They thought that the Ven. BojoJinul was an important monk in Korean Buddhist Jogye-Order. They thought the Jogye-Order flourished by the Ven. BojoJinul. The evaluation of the Ven. BojoJinul of modern Buddhist history is similar. He is a contributor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m. Ven. BojoJinul’s Samãdhi and Prajña Communit was re-executed by the Ven. Kyung-heo and Hanam in modern times. His writing was used as a textbook for the modern monk. In this regard, the Ven. BojoJinul had a great influence in establishing Korean modern Buddhism.

      • KCI등재후보

        滿空 月面의 사상과 활동

        김경집(kim kyung-jib) 불교학연구회 2005 불교학연구 Vol.12 No.-

          In this paper, I present Ven. Mangong"s life and activity in modern Korean Buddhism.<BR>  Ven. mangong was an excellent zen master in modern times. His life agreed with the period when Korean Buddhism lost the fundamental meaning and the spirit of the times of religion. This period was very difficult but he gained new courage and he took actions.<BR>  First, he established the position of the Buddhist Priest and a foundation of the Buddhist Priesthood through the right way of devotion to the pursuit of Buddha"s faith.<BR>  Second, he reconstructed the new zen trend by improving Korean zen practicing method in depressed Korean Buddhism.<BR>  Finally, he made a fresh atmosphere by developing the various Buddhist activities.<BR>  He educated many Buddhist Priests and built many temples. His beliefs thoroughly succeed to the thoughts of ven. Kyungheo, who was his master.<BR>  Ven. Mangong guided a society of priests that influenced the idealogical meaning of the Sam?dhi and Praj?a Community, and published ven. Kyung-heo"s writing.<BR>  In this course, he reconstructed the new zen trend and popularization through the Sunhakwon, which was established as a zen Order in Korean Buddhism in November 1921.

      • KCI등재후보

        원효의 求法行路와 悟道處에 대한 재검토

        김경집(Kyung-Jib, Kim) 대행선연구원 2019 한마음연구 Vol.2 No.-

        원효(617-686)의 구법경로와 오도처에 관한 연구는 확실한 정황을 전하는 자료가 부족하여 오래전부터 여러 방향과 장소가 제시되었다. 본 논문은 선행연구와 다른 시각에서 자료를 분석하고 후대의 자료에서 관련된 내용을 찾아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원효는 1차 구법 때 해로가 가능했음에도 불구하고 고구려를 통한 육로를 택한 점을 주목하였다. 두 번째는 고려시대 의천이 완산주 고대산 경복사를 방문하고 원효, 의상 두 사람이 보덕화상에게 수학한 것을 회상한 시를 남긴 것에 주목하였다. 두 가지 의문점의 핵심은 보덕의 거주처였다. 원효와 의상은 중국 유학에 앞서 보덕에게 가르침을 받고 싶었다. 먼저 650년 1차 입당구법에서 원효가 쉬운 해로를 두고 어려운 육로를 선택한 것은 고구려에 있는 보덕화상에게 열반과 방등의 교를 수학한 후 당나라로 가려고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첩자로 몰려 되돌아왔다. 그 후 보덕화상은 고구려 도교정책에 반대하여 650년 6월 백제땅 완산주로 옮기고 후학을 양성하였다. 그곳에 갈 수 없었던 원효와 의상은 660년 7월 백제가 멸망하고 완산주로 갈 수 있는 길이 열리자 그에게 배운 후 당나라로 가려는 제2차 구법을 추진하였다. 따라서 원효의 2차 구법경로는 먼저 경주-경산-합천〔대야성〕-함양-장수-진안-완산주가 된다. 이곳에서 9∼10개월 보덕화상에게 가르침을 받은 후 중국으로 가기 위해 661년 당항진으로 갔다. 이 경로는 완산주-논산-공주-직산-당항진이 된다. 가는 도중 本國 海門 唐州界의 樴山에서 깨달음을 얻었으므로 원효의 2차 구법경로는 경주-경산-합천〔대야성〕-함양-장수-진안-완산주-논산-공주-직산이 된다. 시기는 苦雨를 만나 古冢에서 여러 날을 보냈으므로 6월 장마철 무렵으로 추정된다. 원효가 깨달음을 이룬 곳은 본국 해문 당주계이다. 해문은 고유명사가 아닌 일반명사로 보아야 하고, 여러 정황으로 볼 때 남양만의 해문보다 아산만에 있는 해문일 가능성이 크다. 원효의 오도처를 지목하고 있는 것은 月光寺 圓朗禪師 大寶禪光塔碑의 樴山이다. 그곳에 대해 당진, 평택, 화성 그리고 稷山 등 다양한 곳이 비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근거를 바탕으로 樴山을 현재의 稷山으로 보았다. 이곳은 원랑대사 비문에 나오는 樴山과 본국 해문 당주계에 가장 적합한 지역이며, 원효가 당항진으로 가는 도중 깨달음을 얻은 곳이라 비정할 수 있다. Wonhyo(617~686)’s the way go to learn Buddhism in China and where enlightenment obtained are several things. Yi-Chun visited the Kyongbuksa temple of Godaesan Mt. in Wansan province. He recorded Wonhyo and Uisang received ven. Boduk’s teaching. This is analyzed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I found relevant information in later data. Wonhyo chose to land by the sea in the first go to learn Buddhism in China in 650. Because he had to go to Tang after learning Buddhism from ven. Boduk in Goguryeo. But he was misunderstood as a spy and came back in Silla. ven, Boduk moved to Wansan province and taught his disciples in June of 650. Baekje was destroyed in July 660. Wonhyo and Uisang pursued the second method after learning Buddhism from ven. Boduk in Wansan province. Wonhyo’s second way go to learn Buddhism in China was Gyeongju-Gyeongsan-Hapcheon[Daeyasung]-Hamyang-Jangsu-Jinan-Wansan province. They have been taught by the ven. Boduk for 9-10 months here. In 661, They went to the Danghangjin. This route will be the Wansan province-Nonsan-Gongju-Jiksan-Danghangjin. Wonhyo gained enlightenment in the Jiksan(樴山) of the Haemun Dangjugye in the mainland. Therefore, the final route will be Gyeongju-Gyeongsan-Hapcheon [Daeyasung]-Hamyang-Jangsu-Jinan-Wansan-Nonsan-Gongju-Jiksan. Dangjin, Pyeongtaek, Hwaseong and Jiksan(稷山) etc, Various places were estimated to be Jiksan(樴山). In this study, I looked at Jiksan(樴山) as present Jiksan(稷山) based on various grounds.

      • KCI등재후보

        開港初 韓日佛敎 교류에 대한 연구

        김경집(Kim Kyung-Jib) 불교학연구회 2005 불교학연구 Vol.10 No.-

          Inter-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which was started after the opening a port in Korea in 1876 was one-sided activity of Japan that had a political intention. The Japanese government plotted penetration to Korea at that time. It also exhorted propagation in various sects of Japanese Buddhism to fit a national purpose in order to facilitate their plan. Japanese Buddhism was planned not only for national advantages but also religious advantages.<BR>  Korean Buddhism was heavily influenced by Japanese Buddhism and therefore could not help consistently relying on the Japanese, as it was incapable of being independent. Korean policy which was carried out by a matter of national policy, imitated Japanese Buddhism.<BR>  And also there was a strong tendency to rely on Japanese Buddhism by enlightened Buddhist priest and monk"s, who hoped to create a new era and set up a religious order in Korean Buddhism.<BR>  This sort of exchange extremely exposed Korean Buddhism"s lack of subjective capability. As a result, Korean Buddhism which was unable to renovate itself, was unintentionally dragged into the Japanese Buddhism policy.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사회와 불교문화

        김경집 ( Kyung Jib Kim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09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5 No.1

        불교문화는 불교를 신앙하는 곳에서 신앙자에 의해 사찰과 같은 신앙 공간 불구(佛具)와 같은 문화재 그리고 불교가 철학과 예술에 영향을 주어 우리 사회에 영향을 끼친 것 등 유형무형의 불교를 가리킨다. 삼국시대부터 전해진 불교는 우리 사회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유형적 유산은 물론이고 정신적 유산 역시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막대하다. 그런 불교문화는 앞으로도 우리 사회에 필요하다. 불교문화가 어떤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고 발전할 것인지 진단하는 것은 과거 형성된 불교문화를 살펴보고 분석한 다음 가능한 일이다. 그런 분석을 바탕으로 앞으로 우리 사회에 필요한 불교문화가 무엇인지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역사가 다양한 시대를 지나며 각기 특색을 형성한 것처럼 불교 역시 각 시대에 따라 형성된 불교문화는 지배이념과 사회구성 그리고 신앙적 열의에 의해 각기 다르게 표출되었다. 먼저 삼국과 통일신라 시대의 불교문화는 고대국가 형성과 경쟁의 시대로 새로운 지배층의 성립을 옹호하는 이념으로써 불교를 수용하면서 국민들의 정신세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상이 제시되었다. 고려시대 불교문화는 기복양재의 성격이 강해 사찰 창건은 물론 신앙의례 대부분이 그런 방향을 실시되었다. 조선의 불교문화는 지배이념의 변화로 사회적 인식이 저하되었으며 경제적인 악화로 우수한 불교문화를 창출하는데 실패하였다. 그리고 근대 불교문화는 전근대적 모순을 척결해야 했으며, 외세인 일제의 식민통치에 맞서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런 역사 속에서 성장한 불교문화는 70년대 이후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많은 성장을 이루었다. 이후 8,90년대는 자기발견과 정립을 계승하고 앞으로 다가올 미래의 지평을 확대하자는 인식이 두드러졌다. 이런 의식전환은 기복적인 신앙에서 불교의 실체를 이해하고 실천하려는 신행이 생겨났다. 앞으로 다가올 미래는 다양한 현상이 도래할 것으로 예측된다. 지금까지 예기치 못한 사회화가 예상된다. 산업화를 넘어 정보화로 대변되는 미래에 불교문화는 지금보다 전문화된 영역을 구축하여야 한다.

      • KCI등재

        근대 開化僧의 활동과 현실인식 - 李東仁과 無不을 중심으로

        김경집(Kim Kyung-jib) 보조사상연구원 2006 보조사상 Vol.25 No.-

          1876년 개항 이후 새로운 문물을 도입하여 불교계를 변화시키려고 노력한 승려가 開化僧이다. 그들의 활동이 비교적 자세하게 전해지는 사람은 이동인과 무불이다. 두 사람 당시 사회변화를 주도하던 개화파와 연계하여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당시 일본불교가 적극적으로 전개했던 한국인의 일본시찰 계획도 이들의 활동을 도와주는 배경이 되었다.   개화승은 일본을 왕래하면서 세계의 동향과 일본의 발전을 주의깊게 살펴보았다. 이들은 한국의 발전을 위해 한일간의 교류와 서구 열강과의 외교, 그리고 한국사회의 개화를 위한 정책에 책임자가 되어 많은 조언과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들은 한국사회가 가난하고 문명의 개화가 없어 어려운 현실이라고 판단하였다. 반면에 서구와 일본이 부강한 것은 상공업의 발달과 군사력에 있음을 간파하고 한국도 공업과 상업을 발달시켜 그들과 맞설 수 있는 힘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런 활동과 현실인식은 근대 서양문물의 유입에 대한 견제와 한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심각하게 고민한 결과이다. 그렇지만 일본을 모방하여 한계를 극복하려는 점은 개화기의 다변화되지 못한 우리의 현실과도 일치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화기의 변화를 예견하지 못했던 당시 그와 같이 진지하고 세심하게 분석한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After the opening of a port in Korea in 1876, an enlightened Buddhist monk who changed the Korean buddhism by introducing a new civilization, appeared in Korean society. The works of Ven. Dong-in Lee and Ven. Moobul were known in details all over the world. The two Buddhist monks were able to work supported by the enlightenment party and Japanese Buddhism. They carefully studied world trends and the development of Japan.   They realized that the wealth and power of Western Europe and Japan were results of their successful development of industry and commerce, and therefore asserted that Korea would have to do the same in order to measure up to them.   These activities and realistic recognitions were results of their concerns of a restraint of an inflow of Western civilization and a progressive direction of Korea in modern times.   Nevertheless their views that only followed the Japanese style so that overcome of the limitation, corresponded with our un-diversified actuality. However it wasn"t easy to foresee the changes of the enlightenment period at that time, and their serious and carefully analyzed views were rated highly.

      • KCI등재

        九山(구산) 秀蓮(수련)의 정화와 결사운동

        김경집 ( Kyung Jib Kim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4 禪文化硏究 Vol.16 No.-

        구산 수련(1910~1983)은 일제강점기와 광복 후 현대불교의 정화운동 등 근, 현대의 변화를 몸소 체험한 수행자였다. 1937년 불문에 귀의하여 46년 동안 올곧은 수행으로 일관하면서 한국불교를 위해 많은 역할을 하였다. 이처럼 다양한 역할을 실천한 구산의 생애에서 크게 주목할 것이 두 가지이다. 하나는 스승인 효봉을 도와 한국 현대불교의 전환점인 정화운동에 참여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송광사를 중창하고 총림을 건설한 후 이곳에서 면면히 흘렀던 정혜결사운동을 재건하여 한국불교의 승풍을 정립한 일이다. 불교정화운동은 현대불교사에서 한 획을 긋는 중요한 일이었다. 그것은 일제의 한국불교 통제정책으로 훼손된 지계정신을 복원하여 한국불교 전통을 회복하려는 움직임이었기 때문이다. 구산도 이런 종단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구산의 정화운동 가운데 가장 극적인 활동은 1955년 8월 2일 조계사에서 작성한 500자 혈서이다. 이런 결단은 피로써 정화운동의 당위성과 결의를 굳게 다지는 계기가 되었으며, 그 결과 정화운동의 흐름이 비구 측의 주장대로 진행될 수 있는 전환점이 되었다. 구산은 1966년 5월 밀양 표충사에서 수행할 때 효봉에게 조계산 송광사를 재건하여 현전승보를 양성하라는 유훈을 받았다. 그 후 이런 유시를 자신의 평생 사업으로 받아들이고 불사에 진력하여 사찰을 중창하고 여기에서 정혜결사운동을 전개하였다. 1969년 11월 1일 조계총림을 개원하고 修禪社를 재건한 이후 1970년, 1975년, 그리고 1978년 3회에 걸쳐 3년 기간의 결사운동을 실시하여 한국불교의 수행정신을 드높였다. 이런 두 가지 활동은 현대 한국불교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일이다. 첫 번째는 대한 불교조계종의 성립과 정체성을 이해하는 일이며, 두 번째는 송광사의 선풍은 물론 한국 선불교의 정신과 방향을 이해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Ven. Gu - san (1910~1983) was an ascetic who underwent transition of modern times like the purification movement after Japanese colonial era and Independence. He was converted to Buddhism in 1937 when he was 29 years old and did lots of roles for Korean Buddhism practicing asceticism constantly during 46years. In this way, Ven. Gu - san`s life to practice many roles is worthy of notice in two ways. One is that he participated in the purification movement which was a turning point of Korean Buddhism with ven. Hyo - bong who was Ven. Gu - san`s master. The other is that he rebuilted the Songkwongsa korea traditional temple and built a religious house then reestablished the Samadhi and Prajna Community to set up the religious atmosphere on Korean Buddhism. As stated above, these two ways were really important in Korean Buddhism. First how Jogye Order Korean Buddhism came into existent and Jogye Order Korean Buddhism`s identity could be understood because of these ways. Second the religious atmosphere on Korean Buddhism of Songkwongsa korea traditional temple and Korea seon Buddhism`s thought and aims also could be understood

      • KCI등재

        일제강점기 평양불교청년회의 설립과 활동

        김경집 ( Kim¸ Kyung-Jib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0 禪文化硏究 Vol.29 No.-

        1911년 6월 사찰령을 제정한 일제는 한국불교를 30본산 체제로 재편하며 식민지 통치에 유리하도록 통제하였다. 일제의 지원을 받은 일본불교의 종파들은 왕성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런 이중고 속에서 한국불교는 포교당을 세우고 근대적 활동을 모색하였다. 일제강점기 북한지역 제일의 도시는 평양이었다. 그곳의 본산은 영명사였다. 경제력이 약해 포교에 적극적이지 못했다. 이런 문제점을 파악한 유점사는 평양불교의 발전을 위해 1914년 포교당을 세웠다. 포교당 책임자와 젊은 불자들이 1918년 평양불교청년회를 조직하였다. 청년회는 평양 불자들의 신행을 바꿔나갔다. 화복을 비는 신앙에서 민중행복과 사회 안녕을 인도하는 사회적 불교를 추구하였다. 1920년 6월 20일 서울에 조선불교청년회가 설립되자 조선불교청년회 평양지회로 가입하였다. 평양지회는 중앙의 노선을 따라 청년 불자들의 계몽을 위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평양지회 역시 조선불교청년회의 항일적인 의식을 계승한 탓에 활동 가운데 항일적인 내용이 많았다. 당연히 일제의 감시를 받을 수밖에 없었다. 평양지회는 1923년 2월 말 다시 평양불교청년회로 회귀하였다. 개편 직후 평양의 모든 청년 불자와 포교당 대중들을 포용하기 위한 신행증진의 불사를 추진하였다. 그 결과 불자들의 호응은 물론 포교당 내 여러 신행단체가 설립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나아가 이교도가 불교로 개종하는 성과를 올렸다. 평양불교청년회 구성원들은 자신들의 직업이나 위치에서 행한 활동과 청년회이름으로 사회활동에 참여하였다. 먼저 개인적인 활동으로는 자신들의 직업이나 위치에서 전개한 노동운동과 1920년 말에서 30년대에 진행된 공공기관 설립에 참여한 예를 들 수 있다. 다음 청년회 이름으로 참여한 사회활동은 다른 청년단체 및 타종교 청년회와 연계한 사회참여였다. 이와 같은 평양불교청년회의 사회활동은 불자를 포함한 일반시민들에게 불교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고, 그 결과 불교신도가 증가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In June 1911, Japanese colonial rule enacted laws governing Korean Buddhism. Korean Buddhism became the 30 headquarters system. The Japanese Empire used Korean Buddhism for colonial rule. Japanese Buddhism showed outstanding activity in Korea. The Korean Buddhist denomination has made plans to build a temple for missionary purposes. Pyongyang was the largest city in North Kore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In 1914, Yujeomsa built a temple for missionary work in Pyongyang. Pyongyang Buddhist Youth Association was organized there in 1918. In June 1920, joined the Pyongyang Branch of the Chosun Buddhist Youth Association. The Pyongyang branch carried out activities for the enlightenment of young Buddhists along the central line. The Pyongyang branch inherited the anti-Japanese spirit of the Korean Buddhist Youth Association. It was the subject of Japanese colonial surveillance. The Pyongyang branch became the Pyongyang Buddhist Youth Association again in February 1923. Immediately after the reorganization, the immortality of new progress was promoted to embrace all young Buddhists and the public in Pyongyang. As a result of such activities, several new organizations were established within the temple. Some people of other religions practiced Buddhism. Pyongyang Buddhist youth members participated in social activities at their positions. First of all, personal activities include labor movements in their professions or positions, and participation in the establishment of public institutions in the late 1920s and 30s. The next social activity in the name of the Pyongyang Buddhist Youth Association was social participation in connection with other youth groups and youth associations of other religions. Such social activities of the Pyongyang Buddhist Youth Association became an opportunity to raise awareness of Buddhism among ordinary citizens, including Buddhists, and as a result, the number of Buddhists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