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신임경찰관의 입직동기에 관한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김가은(Kim, Ka-Eun),박주혁(Park, Ju-Hyeok),박재풍(Park, Jae-Poong) 한국공안행정학회 2018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7 No.3

        이 연구는 경찰이라는 직업을 선택하게 된 신임경찰관의 입직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적합한 척도를 개발하고,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입직동기와 관련한 연구결과 및 측정도구를 고찰하였고, 이후 입 직동기 척도를 구성하는 요인들을 추출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척도개발을 위해 중앙경찰학교 입교전 신임경찰관들(292기 960명, 293기 1,7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한 입직동기는 6개 요인으로 구성되 었으나 이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서 5개의 요인(직업안정성, 대시민서비스, 우연성, 업무환경의 매력성, 권력성)을 최종적으로 추출하였다. 이 5개 요인은 이후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에서도 적합도를 확인하였으며, 문항의 변경없이 초기 5개요인에 대한 문항이 적합한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집중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확인하였는데, 타당도 검증 결과 5개 요인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최종적으로 이 논문에서는 앞선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입직동기에 관한 정책적 제언 및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uitable scale for measuring a new police officer s entry motive of selecting a job called police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cale. For this purpose, research results and measurement tools related to entry motive at home and abroad were examined, and after that preliminary questions were constructed by extracting the factors that make up the scale of the entry motive. New police officers (960 of 292th, 1,711 of 293th) were surveyed before entering the central police academy for scale development. The entry motive based on previous studies was composed of 6 factors but five factors were finally extracted (job stability, civic service, contingency, attractiveness of work environment and power) through the subsequen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suitability of these five factors was subsequently confirmed i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question of the initial five factors are appropriate scale without changing the question. Next, intensive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confirmed, and the validity of the five factors was ensured as a result of the validity test. Finally, this paper comprehensively reviewed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y and proposed policy suggestions and follow-up studies on the motivation for the entry motive.

      • KCI등재

        신임경찰관의 공공봉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가은(Kim, Ka-Eun),박주혁(Park, Ju-Hyeok),박재풍(Park, Jae-Poong) 한국공안행정학회 2020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9 No.1

        최근 우리나라는 취업난과 고용불안이 지속되면서 공직선택에 대한 선호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대상을 반영하듯 경찰공무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경찰인력이 지속적으로 증원됨에 따라 경찰조직은 경찰상에 부합한 적합한 인재를 채용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이 연구는 경찰상에 부합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공공봉사동기라고 판단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공공봉사동기에 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사회역사적 측면(성별, 결혼여부, 사회경제수준, 연령, 학력, 종교생활, 자원봉사, 공공분야 친척유무)과 성향적 측면(입직동기, 성역할 태도, 자아존중감, 권력거리)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공공봉사동기는 사회역사적 측면뿐만 아니라 성향적 측면 모두를 고려했을 때 설명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변수들 중에서는 성별과 자원봉사여부, 대시민 서비스 동기와 성역할 고정관념, 자아존중감은 공공봉사동기의 모든 하위변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밖에도 공통적이지는 않으나, 직업안정성과 경찰동경 및 권력성, 업무환경 매력성, 권력거리도 특정 하위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중앙경찰학교 내 교육 콘텐츠 개발 및 교육방식(남녀 혼반)의 변화와 경찰관 대상 공공봉사동기 척도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Recently, the preference for choice of public office has been rapidly increasing as employment difficulties and job insecurity persist, and reflecting this era, demand for police officers has been increasing. In particular, as the number of police officers continues to increase, the police organization is required to hire suitable personnel to meet the police talented. In this study, one of the factors corresponding to the right police officers was immediately identified as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th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se public service motivations, the effects of socio-history aspects (gender, marital status, social and economic level, age, academic background, religious life, volunteerism, public sector relative status) and propensity aspects (job motivation, gender role attitude, self-esteem, power distance) were analyzed. The study found that explanation power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has increased when considering both socio-history aspects as well as propensity aspects. Among the major variables, gender and volunteer status, civic service and gender role stereotypes, self-respect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all sub-variate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addition, job stability, police aspiration and power, attractiveness of working environment and power distance also affect certain sub-variat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 and education methods (male and female mixed) in the Central Police Academy and the developmen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scale for police officers are required.

      • KCI등재

        신임경찰관의 젠더감수성 인식에 관한 연구

        김가은(Ka-Eun, Kim),박재풍(Jae-Poong, Park) 한국범죄심리학회 2020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6 No.1

        젠더기반 폭력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며, 세계 각국은 정의와 안전에 대한 보다 나은 치안서비스를 보장함으로써 여성의 안전을 높이기 위한 ‘젠더대응 경찰활동’을 요구하고 있다. 세계적 흐름에 따라 한국도 그러한 경찰활동을 지향할 필요성이 제기되지만 여전히 경찰 내 발생하는 성비위 사건은 이러한 전략적 변화를 회의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게 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이 개인이 가진 성 인지부조화를 원인으로 판단하고, 경찰관의 젠더감수성 향상을 높여야 함을 시사한다.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신임경찰관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한 젠더감수성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다만, 미투운동 및 성별 간 혐오문제가 대두되는 현 시점에서 과연 응답자가 자기보고식 설문에 성실히 응답했을지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젠더감수성의 응답왜곡 여부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중앙경찰학교의 양성평등교육 시간의 확보와 남녀 혼반의 교육방식, 내실있는 커리큘럼, 향후 젠더감수성 연구의 응답왜곡 통제방안, 사회적 인식변화에 대한 제언을 도출하였다.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Gender-Based Violence,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calling for Gender-Responsive Policing to enhance women s safety by ensuring better security services for justice and safety. This global trend raises the need for Korea to pursue such police activities, but the sexual misconduct in the police still makes these strategic changes skeptical. This study suggests that such problems are attributed to the gender-incongruity perceived by individuals, and that the police officers gender sensitivity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derive these implication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perceived gender sensitivity of the new police officers. However, as the issue of the #MeToo movement and man and woman hatred is emerging, it can be questioned whether the respondents have sincerely answered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Based on this problem consciousness, we further analyzed whether the gender sensitivity is distorted. As a result, this study has drawn suggestions for securing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time of the Central Police Academy, the education method of mixed sex, solid curriculum, the control of the response distortion of future gender sensitivity research, and the change of social awareness.

      • KCI등재

        교육과정 실행 과정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갈등에 대한 고찰

        김선영(Kim Sun Young),김가은(Kim Ka 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

        교육과정은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에 의해서 현실화된다. 따라서 교사들이 교육 과정 실행 과정에서 겪는 다양한 어려움이나 혼란, 즉 갈등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력 있는 4명의 교사가 교육과정 실행가로서 현장에서 겪게 되는 갈등과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으며, 이것이 국가의 교육과정 개 발과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시행하는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 들이 교육과정 실행 과정에서 겪는 갈등은 교사마다 다른 모습을 보였다. 만족감과 부담감이라는 이중적인 감정, 평범함과 새로움 사이의 고민, 이론과 실천 사이에서 의 괴리감, 관리자와의 대립 속에서의 혁신적인 시도 등이 바로 그것이며, 이러한 갈 등은 교사 개인의 가치관이나 신념, 과거 경험, 현재 처한 삶의 맥락 등의 원인에서 비롯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국가는 교사가 처한 교육적 여건, 교사들의 삶의 맥락과 가치관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교사 역시도 자신의 갈등을 인식하고 이를 극 복할 수 있는 의지를 가져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The curriculum can be realized by the teachers’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In this respect, we need to understand various difficulties or confusion, in other words conflict, which the teachers face while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what are the aspects of the conflict and its cause which the 4 experienced teachers, as the implementers of curriculum, undergo in the field. And this study seeks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ing. In order to do so, interview based qualitative method was applied. As a result, the aspect of conflict, which the teachers face when implementing the curriculum, differ from each other among every teachers. The aspect of conflict are twofold emotion of satisfaction and pressure, worry between commonplaceness and newness, a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d innovative trial in a confrontation with administrators. These conflicts originate from teachers’ private values, belief, experience, and their own life context. From this, nation need to understand educational condition, personal context and belief of teachers and teachers also need to have will which can cognize their own conflicts and overcome them.

      • KCI등재

        치안산업 진흥법의 필요성과 정책방향 연구

        김연수(Kim Yeon Soo),이승주(Lee Seung Joo),김가은(Kim Ka Eun) 한국공안행정학회 2017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6 No.4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IT 기술을 이용한 신종 범죄들의 위협이 증대되고 있다. 이는 국민들의 높은 범죄두려움과 안전욕구는 증가로 이어지고 있으나 기존 경찰인력 중심의 치안활동은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경찰은 치안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대안책을 요구받고 있으며, 그 해결방안으로 치안분야 과학기술 연구개발(R&D)과 관련 산업의 육성이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정부투자 중심의 치안분야 과학기술 연구개발이 산업의 영역으로 확산되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지원이 요구된다. 관련 논의로 이 연구에서는 치안산업 진흥법의 필요성을 치안산업의 전망과 현황검토를 통해 도출하고, 바람직한 정책의 방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① 기본계획과 시행계획의 수립, ② 치안산업 기반조성을 위한 노력(전문인력 양성, 치안장비 등의 표준화, 치안장비보급의 확대, 치안산업의 부문별 활성화 지원, 세제·금융지원, 치안산업진흥원 설립), ③ 치안산업의 활성화 전략수립(치안산업의 창업 지원, 치안기술의 사업화 지원), ④ 관련 산업 정보관리와 국제협력(치안산업에 관한 통계조사, 치안사업자의 신고와 정보관리, 해외진출 지원 및 국제협력, 해외 우수 기술인력과 연구기관 유치) 등이 그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의 치안산업을 활성화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가칭 「치안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 제정의 방향을 제시해 주는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rought increased danger of new, IT-based crimes. Citizens’ fear of crime and safety needs are accordingly increasing, yet conventional security activities centered around the police may not be enough to cope with this new threat. The police therefore has invested much energy into the R&D of the security industry. However, in order to spread the R&D of the security industry centered on government investment into the field of industry, national support is required.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ecessity of The Policing Industry Promotion Act through the prospect and review status of the Policing Industry and to examine the desirable direction of policy. Based on these, the content of the aforementioned policy will be examined.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following. ① establishment of basic and implementation plans, ② efforts to create a foundation for the policing industry (cultivation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standardization of policing equipment, expansion of distribution of policing equipment, support for revitalization of policing industry by sector, tax and financial support, the Policing Industry Promotion Agency), ③ establish strategy to revitalize the policing industry(support for start-up in policing industry, support for commercialization of policing technology), ④ policing industry information management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reporting by policing business owners, management of information on policing industry, statistical research of policing industry, support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overseas expansion, promotion of utilization of excellent overseas technical human resources and R&D institution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opefully inform the legislation of 「The Policing Industry Promotion Act」that will efficiently manage and invigorate the national security industry.

      • 발목 삠을 경험한 20대 성인에게 적용한 종아리뼈 재위치 테이핑이 균형과 심리적 수준에 미치는 영향

        임진구 ( Jin-gu Im ),김가은 ( Ka-eun Kim ),김주원 ( Joo-won Kim ),염민우 ( Min-woo Yum ),위정은 ( Jeong-eun Wi ),장윤정 ( Yoon-jeong Jang ),최용준 ( Yong-jun Choi ),김선엽 ( Suhn-yeop Kim )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23 혜화보건의료학회지 Vol.1 No.1

        Background: Many people suffer from an ankle sprain, which is damaged by a sudden external rotation of the ankle. Ankle sprain causes the distal fibula to be positioned anteriorly and ankle instability develops after an injury.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ibular repositioning taping (FRT) on the static, dynamic balance and perception level of stability, confidence, and reassurance of the ankle in subjects who have experienced ankle sprain (AS) and subjects who have never experienced it (NAS).Methods: In this study, 54 young adults (male: 30, female: 24) participated and were divided into AS group (n=24) and the NAS group (n=30). Subjects were tested in the single-leg stance test for static balance, the star excursion balance test, and the dynamic leap balance test for dynamic balance in a randomized trial. After the FRT was applied, three tests were performed once again and a perception level test was performed last. The static balance test was measured by using Wii balance board.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ubject groups. However, after FRT was applied, two subject group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static and dynamic balance regardless of experienced an ankle sprain or not. In the perception level test, two subject groups showed increased stability, confidence, and reassurance after applying the FRT. Conclusions: The FRT is effective for improving static balance, dynamic balance, perception level.

      • KCI등재

        신임경찰관의 직무소진과 직무만족의 사이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 및 조절 효과 검증

        박주혁 ( Park¸ Ju Hyeok ),박재풍 ( Kim¸ Ka Eun ),김가은 ( Park¸ Jae Poong ) 한국경찰학회 2021 한국경찰학회보 Vol.2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임경찰관의 직무소진을 해소하고,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대안으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실제로 작용하는지를 검증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임경찰관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직무소진과 직무만족 사이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의 검토에서 개인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은 긍정적인 심리로 작용하여, 직무만족을 높여 조직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 논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근거를 기반으로 해서 종합적인 이론적 가설을 세워 검증했다. 신임경찰관(768명)을 대상으로 직무소진과 직무만족 사이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를 조절된 매개효과로 실증 분석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이 변인 사이에 인과성을 검증하게 되었다. 우선 직무소진과 직무만족 간에는 부(-)적으로 작용한다. 다음으로 회복탄력성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할 때 직무소진은 회복탄력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따라서 회복탄력성은 직무소진과 직무만족 사이에서 긍정적인 효과로 작용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의 표본에서는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을 조절된 매개효과로 설정할 때 사회적 지지의 인과성은 검증되지 않았고, 직무 만족에 직접적인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근거로 하여 신임경찰관의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등 방안을 제시하면 조직의 효과성이 높아질 것이다. 한편에서 이 연구의 결과를 조직관리 정책에 활용할 때, 표본의 특성을 고려해서(경찰서나 파출소/지구대에서 주로 외근을 하는 경찰관을 중심으로) 개인의 회복탄력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의 정책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ctually work as an alternative to relieve job burnout and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new police officer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how the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f new police officers work between job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In the theoretical review and previous studies, it was discussed that the influence of individual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can act as a positive psychological effect, thereby increas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this study, a comprehensive theoretical hypothesis was established and tested based on the above evidence. An empirical analysis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between job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was conducted as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among new police officers (768 people). As a result, causality between variables was verifi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gative (-) relationship between job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Next, when resilience was set as a mediating variable, job burnout had a negative (-) effect on resilience, bu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refore, it has been verified that resilience acts as a positive effect between job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However, in the sample of this study, when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were set as moderated mediating effects, the causality of social support was not verified, and it was verified that there was a direc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 KCI등재

        신임경찰관 입직동기와 공공봉사동기 사이에 대한 인과성 분석

        박재풍 ( Park Jae Poong ),박주혁 ( Park Ju Hyeok ),김가은 ( Kim Ka Eun ) 한국경찰학회 2018 한국경찰학회보 Vol.20 No.5

        경찰이 치안서비스 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제도적·행태적 노력과 실제 많은 개선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시민이 인식하는 치안서비스의 양과 질은 여전히 부족하다는 여론이 존재한다. 경찰과 시민의 치안서비스에 대한 인식차이요인은 매우 다양하겠지만 이 연구에서는 공공봉사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 PSM)라는 경찰 개인인식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신임경찰관의 입직동기와 공공봉사동기와의 인과성을 분석하여 치안서비스라는 공공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신임경찰관은 개인을 둘러싼 환경에 따라 다양한 동기를 가지고 경찰이 되고 중앙경찰학교에서 일정기간동안 교육훈련과 조직사회화 과정을 거치면서 경찰관이 된다. 그리고 교육훈련을 통해 공공조직에서 추구하는 공직가치관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뒷받침해주는 공공봉사동기의 세가지 차원 중 정서적 차원에서 협소하게 나타났다. 특히 신임경찰관은 입직동기에서 대시민 서비스가 정서적 차원에서 “희생”과 “동정”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권력성은 “희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신임경찰관이 조직사회화 과정 이전에 나타난 입직동기가 공공봉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앙경찰학교 교육훈련과정에서 권력적 작용에 해당하는 교과목이 향후 공공봉사동기 발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신임경찰관을 대상으로 한 교육훈련 교과목에 대하여 공공봉사동기에 기반이 되는 공공성을 형성할 수 있는 적절하고 합리적인 균형점을 제공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ere is a consensus that the amount and quality of policing services that citizens perceive are still insufficient, despite the ongoing institutional and behavioral efforts to improve police services and many improvements.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police and citizen policing services, but in this study, the police service approach is called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of the new police officer and the motivation of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A new police officer becomes a police officer with varying motivation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individual, and becomes a police officer while undergoing training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process in the central police school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ddition, the public service values pursued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are formed in the emotional dimension of three dimension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In particular, new police officers showed positive impacts on "sacrifice" and "sympathy" in emotional dimensions of motivations for “recruitment”, while “power” has a negative effect on "sacrifice".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otivation of the new police officer before the proces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ffected the motivation of the public service, and the subject of the power action in the central police school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 was negati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actical education program that can provide appropriate and reasonable equilibrium to form the publicity based on public service motive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subject for the new police officer.

      • KCI등재

        정서인식과 권력의 관계: 정서지능과 목표관련성의 조절효과 검증

        이수란 ( Su Ran Lee ),이원표 ( Won Pyo Lee ),김가은 ( Ka Eun Kim ),염준규 ( Joon Kyoo Youm ),손영우 ( Young Woo Sohn ) 한국감성과학회 2013 감성과학 Vol.16 No.4

        본 연구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정서지능 수준의 차이와 타인이 표현하는 정서가 가지는 목표관련성의 차이에 따라서 권력이 타인정서 인식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지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참가자들의 정서지능을 측정한 후, 권력을 조작하여 사진 속 주인공의 정서를 판단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사진 속 주인공의 정서가 가지고 있는 목표관련성을 조작 한 후, 실험 1과 동일하게 권력을 조작하고 정서판단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권력을 가진 집단은 기존의 연구 결과와 마찬가지로 권력을 갖지 못한 집단보다 타인의 정서에 대한 민감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인의 정서지능이 높은 경우에는 권력이 타인정서 인식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작았으나 중간 정도의 정서지능을 가진 참가자들은 권력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또한, 사진 속 정서의 목표관련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권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높은 수준의 정서판단의 정확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권력과 타인정서 인식능력의 관계를 밝힌 기존의 연구들이 살펴보지 않았던 개인의 정서지능과 정보의 목표관련성의 역할을 밝혔다는 것에 있다. 또한, 능력으로써 정서지능의 역할을 확인하였고 권력을 가졌다 할지라도 타인의 정보에 대한 동기수준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는 점에서 이론적 공헌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EI) and goal-relev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emotional awareness. In Study 1, participants were ask to correctly indicate presented facial expressions of others after completing EI survey. Half of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power" condition and the other half to the "powerless" condition. In Study 2, goal-relevance of expressed emotion was manipulated. The results showed that EI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emotion decoding ability. While participants with high and low levels of EI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power condition, participants with middle level of EI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effect of power. In addition, the role of goal-relevance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emotional awareness. When correctly indicating other`s emotion became important and thus emotional awareness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participants` goal, those who had power performed better than bef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