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적 인성이 내외적 수단성과 상황흥미 그리고 교직성적에 미치는 영향

        권유선(Kwon You Su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8 창의력교육연구 Vol.18 No.3

        A creative personality of pre-teach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ch influences not only teacher s capacity in the future, but also learner s creativity capacity.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how the creative personality of pre teacher would effect on endogenous & exogenous instrumentality, subject specific interest, and teaching subject grade. In order to do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by collecting tests about the creative personality, endogenous & exogenous instrumentality, subject specific interest, and teaching subject grade, targeting 161 people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three-year college in capital area.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creative person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endogenous instrumentality and situational interests. But it had a negative effect on exogenous instrumentality. Second, endogenous instrumentality and situational interests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ing subject grade. But exogenous instrumentality a negative effect on teaching subject grade. Creativity has a positive effect on internal instrumentation and situational interest which directly affects teaching achievement,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indirect effect is greater than direct effect on teaching achievement.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원의 창의적 인성이 내외적 수단성과 상황흥미 그리고 교직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3년제 전문대학교 유아교육과 161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인성, 내외적 수단성, 상황흥미 검사와 교직성적을 수집하여 자료를 분석하 였다. 분석결과 창의적 인성이 내적 수단성(β =.578, p <.000)과 상황흥미(β =.235, p <.05)에 미치는 영향과 내적 수단성이 상황흥미에 미치는 영향(β =.454, p <.000)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창의적 인성이 외적 수단성에 미치는 영향과 외적 수단성이 상황흥미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성적에 대한 내적 수단성(β =.340, p <.05)과 상황흥미(β =.242, p <.05)의 영향은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외적 수단성(β =-.245, p <.05)은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성적에 대한 창의적 인성의 직접효과는 -.222(p =.091)이었으며, 간접효과는 .297로 총 효과는 .075이었다. 요컨대 창의적 인성은 교직 성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내적 수단성과 상황흥미에는 긍정적 영향을 끼치며, 교직성 적에 대한 직접효과보다 간접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창의적 산출물을 위한 실습중심 교육의 질제고 방안 탐색: 콘텐츠 창작전공 강의평가를 중심으로

        권유선(Kwon, Yousu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0 창의력교육연구 Vol.2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콘텐츠 창작전공의 강의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창의적 산출물을 위한 실습중심 교육의 질제고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A대학의 콘텐츠 창작전공과 이론중심 전공의 실습수업과 이론수업 강의평가 355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콘텐츠 창작전공의 강의평가 평균이 이론중심전공보다 예복습(t=2.837, p<.01), 강의계획(t=2.644, p<.01), 출결관리(t=2.863, p<.01), 능동적참여유도(t=3.194, p<.01), 교수법(t=2.900, 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다. 둘째, 콘텐츠 창작전공 실습수업의 강의평가 결과 중 과제(t=-2.162, p<.05), 예복습(t=-4.557, p<.000), 학습목표(t=-3.431, p<.001), 강의계획운영(t=-2.227, p<.05), (t=-3.076, p<.01), 교수법(t=-2.362, p<.05)항목의 평균이 이론중심수업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콘텐츠 창작전공 실습수업에서 학습자의 지각된 학습목표 달성에 영향을 미친 교수자 변인을 확인한 결과, 상집단은 교수자의 강의계획 운영(β=.643, t=8.173, p=.000), 하집단은 능동적 참여유도(β=.469, t=4.047, p=.000)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콘텐츠 창작 실습수업을 운영하는 교수자가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bout how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actice-oriented education for the creative output based on the results of lecture evaluation in the content creation maj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355 practical and theoretical class lectures in content creation and theory-based majors are as follows; firstly, the lecture evaluation averages of contents creative maj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oretical majors. Secondly, the average of lecture evaluation in the practical class of contents creation major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the theory-based class. hirdly, the instructor variables that influenced the achievement of perceived learning goals were identified. It shows that the upper group was influenced by the teacher s lecture plan operation meaningfully, but the lower group was affected by an active induction of participation. Lastl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instructors who run the content creation practical classes.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하기 및 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권유선(Kwon Yoo-Seon),최혜진(Choi Hye-J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1

        표상활동은 유아의 수학적 사고과정을 나타내는 중요한 의사소통 수단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하기 및 수학적 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최근 강조되고 있는 수학적 과정기술로서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공립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아 3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그림책을 활용한 수학적 표상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하기 및 표상활동이 유아의 전반적인 수학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대수(관계, 분류, 패턴)와 측정부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하기 및 표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창의성 하위영역 모두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Representation activity is one of the most common communication methods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effect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mathematical representation activity with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s abilities and creativity, and was to search recently emphasized application possibility of mathematical process skills. To this en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6 five-year-old young children from a pubic kindergarten, Young children were divided into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and, were executed mathematical representation activity with picture book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verall,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mathematical representation activity with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effect on enhancement of young children's mathematics abilities, mainly, it was presented to effect algebra(relation, classification, pattern) and measurement part. Seco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mathematical representation activity with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s abilities, it was presented significant to improve all creativity in subordinate areas.

      • KCI등재

        학습자가 지각한 교사애착관계와 학업성취의 종단적 관계 : 창의적 성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권유선(Kwon, You Sun),임신일(Im, Shin Il)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2 창의력교육연구 Vol.22 No.1

        이 연구는 교사애착관계가 창의적 성격을 매개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발달적 관점에서 탐색하고자 종단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8 (KYCPS 2018)의 중학교 1차년도에서 3차년도 종단 패널자료를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생의 교사애착관계와 창의적 성격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창의적 성격의 변화율이 교사애착관계의 변화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기치가 높을수록 변화율에 빠른 감소경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교사애착관계가 좋아질수록 창의적 성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애착관계가 좋아질수록 창의적 성격의 증가 정도가 가속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교사애착관계가 좋아질수록 학업성취도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사역량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a longitudinal study was conducted on the effect of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on academic achievement by mediating creative personality. The results of multivariate latent growth analysis on data of about 2,500 people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both the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and the creative personality gradually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passage of time. Also, the change rate of creative personality was higher than that of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Second, the higher the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the higher the creative personality. Similarly, the better the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increase in creative personality accelerated as the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improved. Also, the higher the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uture teacher competency improvement plans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질이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권유선 ( Yoo Seon Kwon ),최혜진 ( Hye Jin Choi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교사교육연구 Vol.49 No.2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기질이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최근 사회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유아기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의 기질적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밝히고 바람직한 가정에서의 양육태도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리더십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G시에 소재한 9개 유아교육기관의 157명의 어머니와 유아를 담당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아 기질, 유아 리더십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억압형`` 양육태도가 리더십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유아 기질의 ``적응성``이 정적 상관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억압형`` 양육태도가 유아 리더십의 도전과 자신감, 타인 존중, 자기행동 관리, 문제해결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기질의 ``적응성``이 리더십의 하위요소인 ``도전과 자신감``, ``문제해결력``, ``리더십 총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질 중 유아 기질의 ``적응성``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며 그 다음으로는 어머니의 ``억압형`` 양육태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ffects of preschool children`s leadership o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preschool children`s temperament, Recently preschool children`s leadership that socially has been emphasized showed some connection between individual`s temperament factors and preschool children`s leadership, rearing attitude of desirable family.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the effect of preschool children`s leadership. Participants were 157 mothers and preschool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preschool children. They responded to questionnairs of leadership and all of them were used to check mother`s rearing attitude, preschool children`s temperament and preschool children`s leadership. Statistical analyses using PASW ver.18.0 were conducted to determin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simplicity regression and multiple-regression. Results came out as follows: First, mother`s rearing attitude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about "oppression style" of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about "adaptation" of preschool children`s temperament. Second, "oppression style" of mother`s rearing attitude was a significant factor on challenge of preschool children`s leadership, self-confidence, respect of others, control of self-behavior and problem solution of preschool children`s. Third, "adaptation" of preschool children`s temperament was a significant factor on lower grades of leadership, which is "challenge&self- confidence", "problem solution of preschool children`s" and "total score of leadership". Finally, "adaptation" of preschool children`s temperament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of all things among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preschool children`s temperament followed by "oppression style" of mother`s rearing attitude.

      • KCI등재

        창의성 검사의 측정내용과 지적개방성 투입 국면에 따른 지능과 창의성의 관계

        권유선(You Sun Kwon),하대현(Dae Hyun Ha)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지능과 창의성의 관계가 창의성 검사의 측정내용과 지적개방성의 투입국면에 따라 다르게 나타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경기.충북 지역의 4개교 대학생360명을 대상으로 Gf, Gc, Glr 지능검사와 창의성검사 2종류-사물의 비일상적인 사용법 검사와 창의적 은유 생성 검사- 그리고 지적개방성 성격검사를 실시하였다. 창의성 점수는 피검사자가 선택한 2개의 반응을 전문가가 사정하는 Top 2 사정기법을 통해 구해졌다. 지능과 지적개방성 그리고 창의성의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구조회귀모델 분석을 실시해 구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능 요인만투입되었을 때 비일상적 사용법 검사 점수에 Gc(β=.197, p<.05)의 영향이 유의하였고, 창의적 은유생성검사 점수에는 Gf(β=.312, p<.001), Gc(β=.177, p<.05), Glr(β=-.149, p<.05)의 영향이 모두 유의하였다. 이는 창의성 검사의 측정내용에 따라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능 하위요인이 상이함을 경험적으로 확인한 것이다. 둘째, 지능과 창의성의 구조모형에 지적개방성의 O/I국면을 추가로 투입했을 때두 종류 창의성 검사 점수 모두에서 Gc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반면에, O국면만 투입했을 때, 두종류의 창의성 검사 점수 모두에서 Gc의 영향은 유의하였다. 이는 지각된 지능을 반영하는 I국면과Gc의 공분산이 창의성에 대한 Gc의 영향을 과소추정하게 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지능과 창의성의 관계가 창의성 측정내용과 지적개방성의 투입 국면에 의해 달라질 수 있음을 경험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supposed to figure out whether the subfactor would be differ or not to the creativity measuring methods and contents empirically. This study would provide more accurate analysis about the relations between the intelligence and creativity through checking how the openness to intellect, which shows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creativity and the intelligence, could effect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intelligence and crea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0 university students from four different universities. 10 intelligence tests(Gf, Gc, and Glr) to measure and 2 divergent thinking tests(unusual uses test, and creative metaphor generation) and the openness to intellect test were conducted. As for the creativity measuring method, Top 2 scoring method was used that 3 experts examined 2 responses which showed the most creative responses selected by examinee. The result of structure regression model analysis, the uses of Top 2 was effected by Gc significantly, and Gf, Gc, and Glr effected on the metaphor of Top 2 measured value as well. This result proves that subfactor of the intelligence could be differ to the creative measuring methods empirically. When the aspects of O/I were all input, the effect of Gc to each creativity measured value was not significant. When O aspect was input, the effect of Gc to each creativity measured value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of Gc is differ to the aspect of the openness to intellect empirically.

      • KCI등재

        창의성과 지능 그리고 개방성의 구조모형 검증

        권유선(Kwon, Yousun),표정민(Pyo, Jungmin),이희현(Lee, Heehyun),안동근(An, Donggu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7 창의력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에 대한 지능과 개방성의 구조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4개 대학교 학생 296명에게 창의적 은유 생성 검사와 Gf, Gc, Glr 지능 검사, 그리고 개방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창의성 점수는 피험자들이 가장 창의적이라고 선택한 반응 2개를 전문가 3인이 사정하는 Top 2 방법으로 산출하였다. 연구문제 1에서 지능의 구조에 따라 창의성에 대한 예측력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상위 지능요인이 하위 지능요인들보다 창의성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지능요인들은 창의성의 21.4%를 설명하였으며, Gf( β =.364, p<.001)와 Gc( β =.251, p<.01)의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상위 지능요인은 창의성을 28.5% 설명하였으며, β 값은 .534(p<.001)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성격의 개방성 요인에서 지적 국면을 제외하는 경우, 모델이 보다 간명해지고, 창의성을 보다 적합하게 예측하는지를 확인해보았다. 지적국면을 포함한 모형(X 2 /df=1.633, IFI=.899, CFI=.897, RMSEA=.046, AIC= 475.812)보다 제외한 모형(X 2 /df = 1.490, IFI=.923, CFI=.921, RMSEA=.041, AIC=411.185)이 보 다 간명하게 모델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lligence and openness on creativity. A sample of 296 college students completed two tasks of creative metaphor generation, measures of fluid intelligence, crystalized intelligence, long-term storage and retrieval, and a measure of openness. Results indicate that the three lower-order intelligence factors accounted for 21.4% of the variance in the creativity scores, and the effects of fluid intelligence ( β = .364, p < .001) and crystallized intelligence ( β = .251, p < .01) were significant. A higher-order intelligence factor ( β = .534, p < .001) composed of the lower-order factors accounted for 28.5% of the variance in the creativity scores. Also, we examined if the models were simpler and predicted creativity better when the intellect aspect was excluded from openness. Although the variances of explanation and β values between the two models were very similar, the model fits were more appropriate when the intellect aspect was excluded (X2/df = 1.490, IFI = .923, CFI = .921, RMSEA = .041, AIC = 411.185) than when it was included (X2/df = 1.633, IFI = .899, CFI = .897, RMSEA = .046, AIC = 475.812).

      • KCI등재

        유치원 지도서의 활동목표와 활동방법에 나타난 창의성 관련 요소 분석

        권유선(Kwon Yoo-Seon),김민정(Kim Min-Jung),최혜진(Choi Hye-J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지도서」의 활동목표와 활동방법에 포함되어 있는 창의성 관련 내용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론’과 ‘종일반’을 제외한「유치원 지도서」11권을 대상으로 하였다. 창의성관련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 준거는 인지적 요소(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상상력)와 정의적 요소(민감성, 자발성, 호기심, 개방성, 집착성)이다. 이들 분석준거에 의해 유치원 지도서의 활동 목표와 활동 방법에 따른 생활주제, 활동유형, 연령에 나타난 창의성 교육 내용의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치원 지도서의 목표에는 정의적 요소가 인지적 요소보다 매우 높았으며, 생활주제에서는 ‘세계 여러 나라’, 활동유형에서는 자유선택활동에서 창의성 관련 내용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활동방법에서도 정의적 요소가 더 많았으나 활동목표보다 인지적 요소가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주제별에서는 ‘생활도구’, 활동유형에서는 자유선택활동에서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창의성 관련 요소를 더 많이 포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urnish reflection extent of creativity-related factors included in the activity purpose and activity method of Guiding Materials for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that was published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 Technology, revised in 2007. The Guiding Materials for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consisted of 11 categories except for general summary and all day class. This analyzed the activity purpose and activity method in 11 content areas. First, creativity-related factors in the purpose of Guiding Materials for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presented the defined factors twice more than the cognitive factors. The ‘fluency’(cognitive factors) and ‘curiosity’ (defined factors) were the most frequently. The creativity-related factors presented to contain by life subject ‘countries around the world’, ‘life tools’ and ‘nation’. activity pattern presented to contain the purpose of freedom choice activity more than the purpose of large&small size group. Especially, the purpose of ‘molding activity’ and ‘to talk’ presented a lot frequency creativity -related factors. also with increasing age, reflect creativity-related factors more than others, in all age groups was reflected the purpose of ‘curiosity’, ‘sensitivity’ and ‘fluency’ Second, the creativity-related factors presented activity method in Guiding Materials for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also, presented defined factors more than others. The ‘imagination’(cognitive factors) and ‘sensitivity’(defined factors) were the most frequent. by life subject ‘life tools’, ‘environment & life’ and ‘spring, summer, fall, winter’ presented to contain a lot creativity-related factors. This showed not-suitable the activity method development in the purpose. The activity pattern presented activity method of freedom choice activity more frequency than activity method of large&small size group. The activity method of ‘molding & outdoor activity’ presented to reflect creativity-related factors more than others. And with increasing age, reflect creativity-related factors more than others, but when 5-year-old, creativity presented to contain cognitive factors more than defined factors.

      • KCI등재

        영역특수적 창의성의 발현기제 비교: 개방성의 하위측면과 성장 마인드셋의 역할을 중심으로

        안동근(An, Donggun),권유선(Kwon, Yousun),표정민(Pyo, Jungmin),윤선인(Yun, SunIn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0 창의력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개방성의 하위요인과 영역특수적 창의성(과학, 예술, 학문)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창의, 지능)의 매개역할을 살펴봄으로써 영역마다 상이하게 나타나는 창의성의 발현 기제와 관계패턴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298명을 대상으로 영역특수적 창의성(과학, 예술, 학문)과 개방성의 6요인(상상, 심미, 감수성, 신기, 지성, 가치), 창의성장 마인드셋과 지능 성장 마인드셋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감수성은 창의성장 마인드셋을 매개하여 예술적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심미는 지능성장 마인드셋을 매개하여 학문적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신기와 감수성은 창의성장 마인드셋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신기와 심미는 지능성장 마인드셋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과학적 창의성에는 지성의 영향력이 높았고, 예술적 창의성에는 감수성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학문적 창의성에는 지성과 심미가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실제적 함의와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growth mindsets (creativity,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ets of openness and domain-specific creativity (scientific, artistic, scholarly),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t mechanisms that underlie creativity across domains. A total of 298 college students completed measures of domain-specific creativity (scientific, artistic, scholarly), 6 sub-facets of openness (fantasy, aesthetics, feelings, novelty, ideas, and values), and the growth mindsets of creativity and intelligence. Results showed that feeling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rtistic creativity by mediating the growth mindsets of creativity, and aesthetics g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scholarly creativity by mediating the growth mindsets of intelligence. Novelty and feelings influenced the growth mindsets of creativity significantly, and novelty and aesthetic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growth mindsets of intelligence. The impact of ideas was significant on scientific creativity, and the influence of feelings was significant on artistic creativity. For scholarly creativity, the impacts of ideas and aesthetics were signific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창의적 메타인지 척도(CMCS)의 개발 및 타당화

        안동근(Donggun An),권유선(Yousun Kwon),표정민(Jungmin Pyo)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3 창의력교육연구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의 특성이 반영된 특수한 형태의 창의적 메타인지 척도(Creative Metacognition Scale; CMCS)를 개발하고, 이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창의적 메타인지(creative metacognition)를 다루고 있는 최근 연구에서 창의적 과정과 메타인지 통제에 대한고려가 부족하고, 실제로 이 개념을 다측면적 요인으로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가 부재하다는 한계점을 반영하여, 창의적 문제해결 단계(문제확인, 아이디어 생성, 아이디어 개선, 아이디어 실행)와 메타인지 통제의 요소(계획, 점검, 조절)가 구성요인으로 포함된 다측면적 척도를개발하였다. 초기에는 4개의 상위요인(12개의 하위요인), 60문항을 개발하였으며, 문항분석과타당도 검증을 거쳐 최종적으로 4개의 상위요인(12개의 하위요인), 36문항으로 구성된 창의적메타인지 척도를 완성하였다. 대학생 341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본 척도의 구성요인을 탐색하고(탐색적 요인분석) 구인타당도(확인적 요인분석)와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위해 191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과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150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창의적 메타인지 척도의 구인타당도와 공인타당도는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실제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developed the Creative Metacognition Scale (CMCS), a specific type of measure that reflects creativity characteristics, and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scale. This study developed a multidimensional scale including creative problem solving stages (problem identification, idea generation, idea development, and idea implementation) and metacognitive control components (planning, monitoring, regulation) as the constituent factors of the scale. This is due to the lack of considering the creative process and metacognitive control in recent studies dealing with creative metacognition and a measure assessing the concept with the multidimensional factors. In the initial stage, we developed 80 items consisting of four upper factors (12 sub-factors) and completed the final scale including four upper factors (12 sub-factors) and 36 items through item analysis and validity examina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341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We explored the component factors of the scal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examined its construct validit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current validity.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ata from 191 students were used, and data from 150 students were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current validity examin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reative Metacognition Scale developed in the current study had good construc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