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문화와 청렴정책 효과성 인식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윤리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권우덕(Kwon, Woo Deok),이선중(Lee, Sun Joong) 한국부패학회 2020 한국부패학회보 Vol.25 No.2

        본 연구는 조직의 청렴수준 향상과 관련하여 조직문화와 윤리적 리더십이 청렴정책 효과성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문화와 청렴정책 효과성 인식에 어떤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부패친화적 조직문화는 청렴정책 효과성 인식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렴친화적 문화는 청렴정책 효과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윤리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 직속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청렴정책 효과성을 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윤리적 리더십이 부패친화적 조직문화의 부정적 영향력을 보다 강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조직의 청렴수준 향상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ethical leadership in integrity policy effectiveness for the improvement of the level of integrity of the organization. In particular, we examined how ethical leadership has a moderating effect on recognition of integrity policy effectiven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corruption-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recognition of integrity policy effectiveness. The integrity-friendly cultur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ffectiveness of integrity policy.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integrity level of the organization were presented.

      • KCI등재

        지방공무원의 전문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권우덕(Woodeok Kwon),김영우(Youngwoo Kim) 한국인사행정학회 2018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7 No.2

        지방자치단체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행정수요의 증가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지방 공무원의 역량과 전문성 제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렇지만 지방공무원의 전문성은 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못하고 있다는 인식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는 지방공무원 전문성 향상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가 빈번한 순환보직이라는 문제인식을 가지고, 잦은 순환보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인사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직무 중심의 접근방법으로 전문직위제 확대와 경력개발제도의 도입을 들 수 있다. 공직분류체계 중심의 접근방법은 행정직렬의 재설계와 전문직공무원제도의 도입을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various problems faced by local governments and effectively cope with the increase of administrative demand, it is emphasized that the competence and expertise of local public officials should be raised. However, there is a general perception that the level of expertise of local public officials does not meet social needs. In this study, one of the main obstacles to the improvement of the expertise of the local public officials is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 of frequent job rotation,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personnel system to solve the problems of frequent job rotation. A job-centered approach is the expansion of professional positions and the introduction of a career development system. The approach centered on the public classification system includes the redesign of administrative series and the introduction of professional civil service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국가연구개발 분야 청렴 인식도 측정에 관한 연구 : 한국연구재단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이선중(Lee, Sun Joong),권우덕(Kwon, Woo Duck),김현성(Kim, Hyun Sung) 한국부패학회 2021 한국부패학회보 Vol.26 No.4

        지속적인 연구개발투자에 따라 국가연구개발사업 생산성 강화와 국가연구개발 분야의 청렴수준 제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지만 부정사례가 빈번히 발생하여 이에 대한 시스템적 관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국가연구개발 분야 청렴 인식도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지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가연구개발 분야 청렴 인식도 측정지표를 개발하기 위해서 청렴도 측정사례 및 연구윤리 측정사례를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가연구개발 분야 청렴 인식도 측정요인을 국가연구개발사업 절차에 따라 사업 이해관계자간 관계에서의 청렴위협요인을 도출하고 이에 따라 국가연구개발 분야 청렴 인식도를 측정할 수 있는 38개 측정항목을 도출하였다. 국가연구개발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청렴수준은 7.89점(10점 만점)으로 평가되었다.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정별 청렴 인식도는 사업기획 6.52점, 사업공고 및 신청 7.19점, 과제평가 및 선정 8.13점, 연구수행 8.88점, 연구비지급/사용/정산 7.62점, 결과보고 및 최종평가 8.23점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측정결과를 고려하여 국가연구개발 분야 청렴 수준 제고를 위해 첫째, 국가연구개발 분야 청렴수준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와 결과공표가 필요하다. 둘째, 국가연구개발분야 공정성 강화를 위한 평가위원 Pool 확대, 평가위원의 평가 관련 청렴 기준 재정비 등의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The government is continuously expanding investment in national R&D projects with the aim of strengthening national competitiveness, developing the national economy,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However, in the field of national R&D, cases such as fraudulent execution of research funds, plagiarism of thesis, and illegal use of patented technologies can lead to problems that do not effectively achieve the goals of national R&D projects. This study developed a measure of integrity awareness in the national R&D field and measured integrity awareness. Based on the results, a policy proposal to improve the level of transparency in the national R&D field was presented. In this study, the transparency perception level in the national R&D was defined as “the degree to which stakeholders of the national R&D project voluntarily comply with the internal ethical norms and strive to enhance social values and accountability required in the process of national R&D projects”. Based on this concept definition, the integrity threat factors among stakeholders in the national R&D field were derived, and these factors were configured as measurement items. Transparency perception level in the national R&D consists of a total of 38 measurement items. The level of transparency in the national R&D field was evaluated as 7.89 out of 10. The ‘Conducting Research’process and ‘Final Evaluation’ process received the most positive evaluation. The ‘Conducting Research’process received the highest evaluation at 8.88. Looking at the level of integrity for the national R&D project procedure, ‘Reporting of the Result and Final Evaluation’ were 8.23, ‘Project Evaluation and Selection’ 8.13, ‘Research fund payment/use/settlement’ 7.62, ‘Project Announcement and Application’ 7.19, and ‘Research Planning’ 6.52. The perception of the level of transparency in the ‘Research Planning’ process, ‘Project Announcement and Application’ process was relatively negative. The ‘Conducting Research’and ‘Reporting of the Result and Final Evaluation’ process were positively recognized. Therefore, effort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transparency of the ‘Research Planning’, ‘Project Announcement and Application’ proces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able implementation system in order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measuring the level of transparency perception in the national R&D field. In the long term, there is a need to index the indicators for measuring transparency perception in the national R&D field and develop policies to improve the level of integ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