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조선 왕실 의소묘(懿昭廟) 의례의 형성과 특징

        권용란 한국역사민속학회 2022 역사민속학 Vol.- No.62

        Within this paper I shall discuss the ways in which the religious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changes through ‘Euisomyo(懿昭廟) Ritual’ of Joseon Royal Family, which were performed as Joseon dynasty national rituals(國家儀 禮) by analyzing its formation and how the character. Euisoseson(懿昭世孫), the grandson of King Yongjo(英祖), who was the Crown Prince but has died early and childless, became the object of worship. Originally, a grandson like this one could not be made the object of ancestor worship for he was not a father of a king. This rituals’object of worship countered Confucianism orthodoxy. It would have to be classified as improper rituals(淫祀)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differentiation between proper rituals(正祀) and improper rituals(淫祀), but it was officially adopted as part of the national rites without any controversy. To fully understand the reason and motivation, this paper presents three elements. The first is reorganization of national rituals and sovereign strengthening in the days of King Sukjong(肅宗) and King Youngjo(英祖). The second is In the motivation of Sejamyo(順懷廟) ritual which practiced as the first same case during king Myeongjong’s(明宗) reign, the present of Sejamyo (世子墓) ritual in the national rituals(國家儀禮), the present of Tesangji(太常 志) which is the documentation of offerings and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This ritual was preserved even after the passing of the kings who had originally performed it. The third is the development of large kinship organizations and strength of Lagal-family system. This represents the importance of the firstborn son as a center of a family and its lineage. This ritual's characteristic is that it worships as the Crown Prince as he was alive. Through the formation process of Euisomyo Ritual, we can understand more widely that in Confucianism worship was not only at the center of the descent-focused patrilineage but also the various deaths from different lineages that came to be worshipped in the royal family. Also it shows us the meaning and the importance of deaths in the formation of new institutions and in the expansion of the boundaries of existing institutions and principles. Through the formation of this ritual, an lineage of the childless Crown Prince within the royal-family was formed.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 제 21대왕 영조의 세손이자 사도세자와 혜경궁의 아들로 태어난 의소세손(懿昭世孫, 1750~1752)을 국가 의례 길례의 대상 신(神)으로 삼고 영조 대부터 고종 대까지실천된 ‘의소묘(懿昭廟) 의례’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고, 그 특징과 의미를 규명하는 것이다. ‘의소묘’는 의소세손의 신주를 봉안한 사당을 지칭하는 이름이며, ‘의소묘 의례’는 상장례 이후 사당인의소묘에서 행해진 정기 및 비정기 의례를 말한다. 의소세손은 영조에 의해 세손으로 책봉되어 왕위에 오를 것이 예정되어 있었지만, 3세에 훙서하였다. 너무나도 어린 나이에 후사를 남기지 못하고 죽었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상장례 이후 길례의 대상이 될 수 없었다. 유교의 죽음관에 의하면 의소세손을 제사하려면 양자를 세워서 하거나윗세대와 합사시켜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왕)가 제사의 주체되어 의소묘 의례를 행하는 것은주체와 대상이 적합하지 못한 음사로 여겨질 수 있는 것이었다. 사당 의소묘는 특별한 논란이나 정치적인 쟁점이 되지 않고 건립되었다. 의소묘가 순조롭게 생성될 수 있었던 배경을 세 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첫째, 탕평책으로 인해 왕권 강화와 국가 의례의재정비 시기였다는 배경이다. 영조의 생모이자 후궁이었던 숙빈 최씨를 제향한 육상묘 의례가 국가의례로 등재된 것을 비롯하여 세자들의 묘소에서 행한 세자묘 의례가 마련되었다는 사실은 그 근거로 볼 수 있다. 이것은 국가에서 공식적으로 제향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었다. 두 번째 배경은 사당 의소묘 이전에 있었던 세자 사당들의 존재와 이곳에서의 의례를 국가가주관했다는 것이다. 시기적으로 가장 먼저 생성된 순회묘가 정당성을 획득하고 건립된 전례가 있었다. 그리고 국가 기관인 봉상시의 업무 내용을 정리한 태상지에서 의소 묘와 그 이전에 건립된세자 사당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세 번째 배경은 17세기 이후부터 부계 중심의 가계 의식이 이루어지면서 문중 조직과 종법 제도가 강화된 것이다. 장자는 그 아버지의 주요한 후사로서 그리고 조상 봉사의 주요한 주재자로서특권을 가진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 영조는 전주 이씨의 시조 이한의 사당인 조경묘를 건립하고국가 의례로까지 책정하였다. 부계 중심의 조상 의례는 왕실의 시조를 찾고 드러내는 일뿐 아니라적장자로서의 ‘세자’의 위격과 명분을 강조하는 일에도 영향을 미쳤다. 의소묘 의례는 다른 왕실 조상 의례보다는 낮은 격으로 행해졌지만, 정조대에는 소사로 격상되기도 하였다. 축문 호칭은 ‘할아버지-손자’의 관계가 아닌 ‘국왕-의소세손’의 관계로 설정되었다. 이후 왕대에도 변함이 없었다. 의소묘 의례의 특징은 생전과 동일하게 ‘세손’으로서의 공적인 신분을 유지하였고 이는 고종 대까지 이어졌다는 것이다. 의소묘의 건립과 의례의 생성 명분 및 동기는 유교 죽음관과 제례의 원칙만으로는 설명할 수없다. 의소묘의 건립 명분이 자신의 근본에 보답하고 생명의 근원을 돌이켜 본다는 보본반시의 조상 의례의 명분에는 해당되지 않지만, 왕실 조상들과 함께 국가 의례의 길례로서 실천되었다. 따라서 의소묘 의례를 기존 왕실 조상의 범주에 편입시키기보다는 독립된 ‘세자 의례’의 영역으로 분리해서 보는 것이 적절하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국가 祖上神과 四時儀禮에 관한 연구

        권용란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08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4 No.-

        朝鮮時代の國家先祖神は、季節の最初月に行なわれた四時儀禮の宗敎時享と開化儀禮と密接な關連をもっている。宗廟時享で、國家先祖神がまつられて、その手續きの中には七社という小さい儀禮が行われる。七社は各季節に合う神靈を宗廟時享で一緖に迎える儀禮である。したがって宗廟時享で國家先祖神は最初月に四時を迎える象徵的な役割をすると見ることができる。火を作って古くなった火を交える改火儀禮は國家先祖神の神主を祀っている各殿と宮という祭場で行われる。宗廟時享と同じように改火儀禮での國家先祖神は、四時の最初の月ごとに該當季節を迎える象徵的な役割をしていることが分かる。

      • KCI등재

        조선 왕실 순회묘(順懷廟) 의례의 형성과 특징

        권용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3 동방학지 Vol.203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ause and background of the posthumous crown prince being the subject of ritual under the management of the nation through 'Sunhoimyo(順懷廟) Ritual' and to clarify i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 Sunhoiseja(順懷世子, 1551~1563), son of king MyeongJong(明宗, 1534~1563·1545~1567), who was the Crown Prince but has died early and childless, became the object of worship. Originally, if the crown prince died, neither the nation nor the king could administer the his ritual. This paper presented two backgrounds for the formation of rituals. First, King MyeongJong announced and practiced that he wanted to permanently establish a shrine and practice rituals without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formal discussion and agreement. The second is circumstance of no models and laws about this. Because of this, The expression of private emotion through the king’s ritual action allows the rediscovery and the reinterpretation of various Confucianism ideas other than those which existed as dominant principles. This ritual's characteristic is that worships as the Crown Prince as he was alive. Through the formation of this ritual, an lineage of the childless Crown Prince within the royal-family was formed.

      • KCI등재

        조선왕실 문희묘(文禧廟) 의례의 형성과 특징

        권용란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20 종교와 문화 Vol.0 No.38

        In this paper I discuses the ways in which the religious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Munheuimyo(文禧廟) shrine Ritual' of Joseon Royal Family, which were performed as Joseon dynasty national rituals(國家儀禮) by analyzing its formation and character. Munhoseja(文孝世子), the first son of king Jeongjo(正祖) who was the Crown Prince while he was alive but who died early and childless became the object of worship. Originally, he could not be made the object of public ritual for he was not parents of a king. There was no precedent for it.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differentiation between proper rituals(正祀) and improper rituals(淫祀) It would have to be classified as improper rituals(淫祀). But it was officially adopted as part of the national rite without any controversy. This ritual was preserved even after the passing of the kings who had originally performed it and led to the inception of Sejamyo ritual(世子廟儀禮). To fully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motivation for why it could be formed without any controversy, this paper is put on the two elements. In the motivation of Sejamyo(順懷廟) ritual which practiced as the first same case During king Myeongjong’s(明宗) reign and sovereign strengthening from SukJong's(肅宗) reign to Jeongjo's(正祖) reign. This ritual's characteristic is that worshipped the same as the Crown Prince as he was alive. This represents that day social circumstance that the importance the first son as a center of a family and lineage. Also, It means the outcome of sovereign strengthening of former king reign is to expanded to the rituals of Joseon Royal Family. Through the formation of this ritual, an ancestor lineage of childless biological sons of the royal-family was formed.

      • KCI등재

        조선시대 왕의 사친(私親)의례와 축문(祝文) : 의묘(懿廟) 의례의 축문을 중심으로

        권용란 종교문화비평학회 2019 종교문화비평 Vol.35 No.35

        This paper will discuss the legitimacy of the national rituals(國家儀禮)of the royal family ancestor worship of Yimyo ritual(懿廟儀禮), which is the biological father's ritual of the first king and its the written prayer(祝文) during Joseon dynasty. In this paper I will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ten prayer, naming the king Seongjong(成宗) and his biological direct father, Yi-Kyoung SeJa,(懿敬世子) through Yimyo ritual proceedings .Although Yi-Kyoung SeJa was not belong to the king’s direct lineage, He was adopted and officially declared as the legitimate inherit through the national rites.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built on the tenets of Confucian ideology, accepted ancestor ritual and attempted to realize it through a legal family system (宗法制度) which arranged for the worship of ancestors by the oldest legitimate sons(嫡長子). According to this legal family system(宗法制度), to endow the oldest legitimate son(嫡長子) with this duty was to not only a measure to structure the practice of the family ancestor ritual, but also a core institutional mechanism to keep up social and national order. To form an ancestor lineage and practice ancestor ritual was, therefore, not only central to the descent-focused patrilineal system, but also foundational for the preservation of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built on Confucian ideology. So, he worshipped in Jongmyo(宗廟), The top priority was the relationship of written prayer naming. Because king Seongjong and king Yejong(睿宗) was already set up son and father in written prayer naming of Jongmyo ritual. So, The relationship of written prayer naming was set up nephew and his father's elder brother. The most essential intention of Yimyo ritual is the expression of Jeong(情) to biological father. That is to say, biological bobonbansi(報本反始). Yimyo ritual was preserved even after then and accepted as proper ritual. It led to the inception of a new royal family ancestor lineage and the relationship setting of written prayer naming. 본 논문은 조선시대 최초로 국가의례 길례로 행해진 왕의 사친(私親) 의례였던 의묘(懿廟) 의례 형성과정에서부터 이후 종묘에 부묘되기 전까지 축문(祝文) 호칭을 둘러싼 주요 쟁점과 명분을 살펴보았다. 예종(睿宗)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성종(成宗)이종묘 의례의 축문에 부자(父子) 관계로 설정된 상황에서 원칙적으로는 성종의 생부, 의경세자[懿敬世子, 1438~1457, 덕종(德宗)으로 추증됨]를 아버지로 제사지낼 수 없었다. 의묘 의례의 축문 호칭은 성종과 의경세자를 조카(姪)와 큰아버지(伯考)의 관계로 설정하였다. 대통(大統)이라는 기존 질서에 어긋나지 않으면서 사친에 대한 정(情)도 온전하게 하기 위한 절충안이었다. 의경세자를 의묘에서 종묘로 부묘하는 문제에서 주요 쟁점이자 최우선적인 해결과제는 축문 호칭이었다. 축문 호칭은 단순한 이름이 아니라 관계를 맺고, 그 관계의 질서를 정리해주는 위격을 의미하며 이것을 표명하고 규범화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종묘부묘 논의에서 가장 쟁점이 된 실제적인 문제는 축문 호칭의 관계설정이었다. 결과적으로 의묘 의례에서처럼 조카와 큰아버지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종묘에 부묘되었다. 덕종으로 추존되어 종묘에 부묘된 의경세자는 성종 개인의 사친으로서가 아니라 왕실 조상신으로 이후 왕대에도 지속적으로 봉안되었다. 의묘 의례 형성과정에서 종묘부묘 전까지 축문 호칭을 둘러싼 논의를 통해서 왕실조상신의 이중적인 모델인 이념적인 왕실 조상신과 정서적인 왕실 조상신이라는 특징을볼 수 있다. 의묘 의례는 유교 조상신 의례의 명분, 보본반시가 구체적으로는 생물학적보본반시이자 정(情, 私情)의 명분이 수용되었다. 사친의례에 대한 명백한 법규가 없던조선 초기에 형성된 의묘 의례와 부자(父子) 관계로 설정되지 않은 축문 호칭은 이후 왕대에 조선 왕실의 전례로 삼아졌다. 성종 대 당시 생물학적 보본반시(報本反始)를 명분 으로 한 사친의례의 형성과 축문 호칭은 당시 조상신에 대한 관념과 실천 양상을 보여준다. 더 나아가 이를 통해서 여타의 유교의 신들과 다른 조상신의 특징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국가 祖上神과 四時儀禮에 관한 연구

        권용란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08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4 No.-

        朝鮮時代の国家先祖神は、季節の最初月に行なわれた四時儀禮の宗教時享と開化儀礼と密接な関連をもっている。宗廟時享で、国家先祖神がまつられて、その手続きの中には七社という小さい儀礼が行われる。七社は各季節に合う神霊を宗廟時享で一緒に迎える儀礼である。したがって宗廟時享で国家先祖神は最初月に四時を迎える象徴的な役割をすると見ることができる。火を作って古くなった火を交える改火儀礼は国家先祖神の神主を祀っている各殿と宮という祭場で行われる。宗廟時享と同じように改火儀礼での国家先祖神は、四時の最初の月ごとに該当季節を迎える象徴的な役割をしていることが分かる。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