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Exploring Children’s Concepts about Plants as Living Things

        권영례 미래유아교육학회 200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1 No.1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d concepts of living things that five- and six-year-old children held prior to formal instructional interventions and how their concepts were changed and developed over one semester in a kindergarten classroom. Six focal children in a class of 30 were interviewed the children in two phases, to determine their initial ideas, using an informal interview guide; using a formal interview guide, as to how their concepts of living things had changed and developed and their hands-on classroom activities and teacher-children interactions were observed. The teachers journal was also used to gather data. As the study was conducted, a number of alternative concepts related to the children's perceptions of living things were identified and described.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eacher education for teachers of young children should include a complex of instructions because teaching and learning concepts of living things and other related science concepts are complex processes.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형식교육을 받기 전 5-6세 유아들이 살아 있는 것에 대해 이미 형성하고 있는 개념과 한 학기 동안의 형식교육을 받는 동안 그 개념들이 어떻게 변화하고 발달되어 가는가를 탐색하였다. 자료의 수집을 위해 한 학급 정원이 30명인 서울의 한 유치원에서 5세 유아 남녀 각각 2명씩 4명과 6세 유아 남녀 각 1명씩 2명 등 총 6명의 유아들을 학기초에 비형식적 방법과 학기말에 형식적 방법을 사용하여 인터뷰한 자료와 연구대항 유아들의 직접 활동과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을 관찰하여 기록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교사의 일지 역시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연구수행과정에서, 살아있는 것에 대한 개념과 관련하여 유아들이 가지고 있는 많은 대안적 개념이 설명되고 기술되었다. 연구자는 유아들이 가지고 있는 기존 개념을 알아보기 위해 비형식적 인터뷰 도구를 사용하여 면접을 실시하였다. 또한 대집단, 소집단 그리고 개별 교실활동을 관찰하였다. 한 명의 보조 관찰자는 학습활동을 관찰하여 과학관련 교사-유아상호작용을 기록하고 유아들의 직접 활동과정을 관찰하면서 상호작용하여 그 결과를 기록하였다. 후에 연구자는 관찰자의 기록을 근거로 분석을 이한 관찰노트를 만들었다. 자료는 학급의 일일 학습활동과 교수-학습을 평가한 교사의 일지로부터도 수집되었다. 끝으로 16주간의 교수활동 후 형식적 인터뷰 도구를 사용하여 유아들이 갖고 있는 살아있는 것에 대한 기존개념이 어떻게 변화되고 발달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유아들로 하여금 살아있는 것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위한 교수와 사물들간의 상호 연계성을 강조하는 교수가 개념을 정교화시키고 확장시키는데 필수적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연구의 결과는 유아들의 개념적 변화를 위한 교수방법 개선을 제안하고 있다. 연구결과는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교수개입의 효과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 사용된 면접 및 관찰방법이 과학 교수-학습에서 기존 아이디어와 개념발달을 탐색하는 유용한 도구임을 나타내 주었다.

      • KCI우수등재

        유치원 교육의 효과와 지속성에 관한 연구

        권영례(Young Re Kwon) 한국아동학회 1982 아동학회지 Vol.3 No.-

        Problems This study was aim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Kindergarten education on primary school child`s learning achievement and it`s continuance. The specific question to be investigated in this study can he summarized as follows. 1. How did the kindergarten education effect upon primary school child`s learning achievement and behavioral development? 2. How did the differences of learning achievement and behavioral development between groups of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 and not attending kindergarten? Methods 1. Subjects One hundred and twenty children of sixth grade and one hundred primary school`s teachers were employed 1) Sixty of children were experimented groups who had received kindergarten education. Sixty of Children are Control group who had not received Kindergarten education. The subjects were sampled in N primary school in seoul and Y primary school in Taejeon. Sixty of children were boys and sixty of children were girls. 2) Fifty of teachers were sampled in N primary school in Seoul and Fifty of teachers were sampled in Y primary school in Taejeon. 2. Instrument 1) School cumulative record. School cumulative record was referr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school records on learning achievement in morality, National language, social studies, arithmatics, natural science, gymnastics, music, fine arts and behavioral development in industry, responsibility, coorperation, indeperdence, law abiding spirit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2) Questionnaire paper which constructed 10 articles. Questionnaire paper asked to primary school teachers for effects of kindergarten education. Results The results of date analysis can summarized as follows. 1. Kindergarten education, generally, is regarded effective at least for school work achievement but not so effective for morality and physical education. 2. Kindergarten education is not so effective in all school works of primary school in its continuance since its effectiveness begins to fade away from the 4th grade of primary school. But such continuance tends to be outstanding especially in national language, social subjects and arts. 3. The experiences of kindergarten education is not much helpful to behavioral development during primary school. 4. Primary school teachers recognize that kindergarten education contributes to curriculum work and behavioral development for primary school children.

      • KCI우수등재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형태와 유아의 과학적 태도 및 성취와의 관계

        권영례(Young Re Kwon) 한국아동학회 1990 아동학회지 Vol.11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inquiry-discovery verbal interaction which was compared with expository-directive verbal interaction. Two teachers from two different kindergarten groups were trained and observed during conversation and science corner activities. Sixty children were observed during science corner activities and tested with a scientific achievement instrument. Teacher`s inquiry-discovery verbal interaction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s than teacher`s expository-directive verbal interaction. Teacher`s inquiry-discovery verbal interaction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scientific achievement than teacher`s expository-directive verbal interaction.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s and children`s scientific achievement had a positive correlation.

      • KCI등재

        Exploring Children's Concepts about Plants as Living Things

        Kwon, Young Lye 미래유아교육학회 200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형식교육을 받기 전 5-6세 유아들이 살아 있는 것에 대해 이미 형성하고 있는 개념과 한 학기 동안의 형식교육을 받는 동안 그 개념들이 어떻게 변화하고 발달되어 가는가를 탐색하였다. 자료의 수집을 위해 한 학급 정원이 30명인 서울의 한 유치원에서 5세 유아 남녀 각각 2명씩 4명과 6세 유아 남녀 각 1명씩 2명 등 총 6명의 유아들을 학기초에 비형식적 방법과 학기말에 형식적 방법을 사용하여 인터뷰한 자료와 연구대항 유아들의 직접 활동과 교사-유아, 유아-유아 상호작용을 관찰하여 기록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교사의 일지 역시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연구수행과정에서, 살아있는 것에 대한 개념과 관련하여 유아들이 가지고 있는 많은 대안적 개념이 설명되고 기술되었다. 연구자는 유아들이 가지고 있는 기존 개념을 알아보기 위해 비형식적 인터뷰 도구를 사용하여 면접을 실시하였다. 또한 대집단, 소집단 그리고 개별 교실활동을 관찰하였다. 한 명의 보조 관찰자는 학습활동을 관찰하여 과학관련 교사-유아상호작용을 기록하고 유아들의 직접 활동과정을 관찰하면서 상호작용하여 그 결과를 기록하였다. 후에 연구자는 관찰자의 기록을 근거로 분석을 이한 관찰노트를 만들었다. 자료는 학급의 일일 학습활동과 교수-학습을 평가한 교사의 일지로부터도 수집되었다. 끝으로 16주간의 교수활동 후 형식적 인터뷰 도구를 사용하여 유아들이 갖고 있는 살아있는 것에 대한 기존개념이 어떻게 변화되고 발달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유아들로 하여금 살아있는 것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위한 교수와 사물들 간의 상호 연계성을 강조하는 교수가 개념을 정교화시키고 확장시키는데 필수적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연구의 결과는 유아들의 개념적 변화를 위한 교수방법 개선을 제안하고 있다. 연구결과는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교수개입의 효과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 사용된 면접 및 관찰방법이 과학 교수-학습에서 기존 아이디어와 개념발달을 탐색하는 유용한 도구임을 나타내 주었다.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d concepts of living things that five- and six-year-old children held prior to formal instructional interventions and how their concepts were changed and developed over one semester in a kindergarten classroom. Six focal children in a class of 30 were interviewed the children in two phases, to determine their initial ideas, using an informal interview guide ; using a formal interview guide, as to how their concepts of living things had changed and developed and their hands-on classroom activities and teacher-children interactions were observed. The teachers journal was also used to gather data. As the study was conducted, a number of alternative concepts related to the children’s perceptions of living things were identified and described.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eacher education for teachers of young children should include a complex of instructions because teaching and learning concepts of living things and other related science concepts are complex processes.

      • KCI등재

        An Inquiry into CLD Parent/Family Involvement

        Kwon, Young Re,Lee, Myung Sook 미래유아교육학회 200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9 No.1

        본 연구는 미국의 펜실바니아주의 한 대학도시에 거주하는 아시안 부모들이 미국학교에서 교육받고있는 자녀들의 교육을 위한 부모개입을 어떻게 인식하고 학교에 대한 어떤 기대를 가지고 있는지를 탐색해 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미국에 살고 잇는 15명의 어머니들로서 11명의 한국어머니들과 4명의 대만 어머니들이며 미국유치원부터 초등학교 3학년까지의 자녀들이 있었다. 연구자가 12문항의 반구조화된 질문을 작성하여 어머니들을 면담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1) CLD 부모들은 언어와 문화장벽 때문에 CLD부모들을 위한 부모개입이 이루었으면 한다. 2) CLD 어린이들 위한 정보제공을 받기 원했다. 3) 부모와 지녀간의언어 문화적 갈등을 겪고 있다. 미국에 있는 교사나 교육자들이 CLD 부모나 그들의 자녀들을 올바르게 이해하여 이들을 위한 부모개입을 제공하는데 이 논문이 활용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환경 평가 척도 개발 예비연구

        이영자,권영례,Harms, T . 한국초등교육학회 1998 초등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의 교육환경을 평가하는 평정척도를 개발함으로써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준거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교육환경을 물리적 환경, 건강/영양/안전, 일과계획과 운영, 상호작용, 교육과정운영, 교직원 개발, 운영관리, 평가의 8개 하위영역으로 나누고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 각각 172개 문항을 구성한 후 교육환경 평정척도로서 문항의 5점 척도에 의한 전문가의 평가로 항목 내용 타당도를 검토 후 각각 159문항, 162문항의 예비척도를 개발하였다. 교사들의 문항별 중요성 인식 정도 평가로 예비척도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이미 개발된 2개 척도와 비교하여 공인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본 유치원·초등학교 환경평정척도는 내용 타당도, 신뢰도, 공인 타당도가 높은 도구임이 입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ducational environment rating scales for kindergarten and lower grade levels of elementary school to provide a criteria for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cale includes eight sub-areas such as physical environment, health/nutrition/safety, schedule, interaction, curriculum, staff development, administration, evaluation and is composed of 172 items both for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with five point rating scale in terms of importance as an evaluation criteria. The rating scale was administered to 43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experts and 82 teachers. The methods for data analysis were item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and t-test for content validity, Cronbach's Alphas and intraclass correlations for reliability and correlation's coefficiency with other scales for construct validity. Most items in 8 areas were rated as moderate to highly important(above 3.50). Cronbach's Alphas level were .70 or higher except three areas in kindergarten and each of the sub-areas showed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s.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were r = .65 with the Educational Assessment Instrument of National Evaluation and r = .97 with the Instrument for Measuring Openness of Primary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pilot study, 159 items in kindergarten and 162 items in elementary school were selected fo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rating scale for the following stud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