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탄허택성의 선사상 연구

        권기완(문광)(Kwon, Ki-Wan(Ven. Mungua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6 佛敎學報 Vol.0 No.76

        이 논문은 탄허 택성(呑虛 宅成, 1913-1983)의 선사(禪師)로서의 정체성과 선관(禪觀)을 살펴보고, 역경관(譯經觀)과 수행관(修行觀)의 측면에서 그의 선사상(禪思想)을 고찰함으로써 그동안 학승 일변도로 알려진 스님의 선승으로서의 면모를 밝히려는 글이다. 탄허는 종지(宗旨)와 선지(禪旨)를 중시하는 ‘선(禪) 중심’적 역경원칙과 대의(大義)를 명확하게 드러내는 역경관을 고수해 왔으며, 사교입선(捨敎入禪)이 아닌 선체교용(禪體敎用)의 선교관을 중심으로 선(禪)과 교(敎)를 원융 · 회통했다. 수행관의 측면에서도 ‘간화선 지상주의’에서 벗어나 『원각경』과 『능엄경』, 천태학과 묵조선의 관법(觀法)을 폭넓게 수용하여 근기에 맞게 수행하도록 하는 열린 참선법을 제시했다. 간화선과 관법사이에 우열이 없다는 ‘간화 · 관법 무우열론(看話 · 觀法 無優劣論)’을 주장함으로써 근 · 현대 고승가운데 가장 무애하고 포용적인 수행관을 보여 주었다. 상근기를 위해서는 대혜의『서장(書狀)』에 직접 사기(私記)를 달아 화두를 참구하여 활구(活句)아래 제1구를 증득하고 불조의 혜명을 이을 것을 강조했다. 화엄의 사사무애도리마저도 사구(死句)요 제3구에 불과하니 언어 · 문자가 끊어진 언외(言外)의 종지(宗旨)를 체득하기 위해 끊임없이 향상일로(向上一路)할 것을 경책했다. 이러한 경향을 필자는 ‘향상선(向上禪)’이라는 술어로 명명하여 탄허 선사상의 한 특질로 정리해 보았다. Tanheo Taekseong (呑虛宅成, 1913-1983) has been well known as a scholar monk until now, so this report is intended to examine his identity as a Seon master.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look at his Seon Thought in terms of his views on translation and on practical methods. His principles of scripture translation are clearly focused on emphasizing the viewpoint of Seon. The perspectives of Seon and its Doctrines are centered around the Essence of Seon and its Doctrines (禪體敎用), not on the practice of Seon based on the Doctrines (捨敎入禪). Since he was out of the Ganhwaseon supremacy, he was open to the idea of accepting Vipassanā in terms of Practical Methods, and therefore his view maybe called “theory of no superiority between Ganwhaseon and Vipassanā (看話․ 觀法 無優劣論).” Tanheo made all efforts to get Linchis 1st Phrase by writing an Individual Commentary (私記) of Dahui (大慧,1089-1163)s Letters (書狀). I want to name these trends as “Beyond Seon (向上禪)” and evaluate it based on his Seon Thought.

      • KCI등재

        탄허선사의 『장자(莊子)』에 대한 불교적 해석

        권기완(Kwon, Ki-Wa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81

        탄허는 유교와 불교 사이에서 노장학을 자득했다고 한다. 불교의 선교쌍수(禪敎雙修)를 통해 막혔던 『장자』가 해부가 되었다고 한 만큼 그의 『장자』 주해에는 불교적 주석과 해설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남화진경역해(南華眞經譯解)』에서 인용한 총33가(家)의 주석을 내편 7편으로 나누어 각각 분석하고, 박서계(朴西溪)와 초횡(焦竑)의 주석본과 채록횟수를 비교해 본 결과 탄허 자신의 주석이 압도적으로 많이 수록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자신의 불교적 안목과 자득한 경지를 집중적으로 개진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논자는 주석본과 특강강의를 병행하여 7편의 내용을 분석하고 각 편의 핵심을 ‘무기(無己)’, ‘물화(物化)’, ‘연독(緣督)’, ‘심재(心齋)’, ‘망형(忘形)’, ‘좌망(坐忘)’, ‘혼돈(渾沌)’의 키워드로 추출하고 이에 대한 탄허의 불교적 해석과 회통적 주석을 고찰했다. 아법구공(我法俱空)의 무아(無我), 중도(中道), 이근원통(耳根圓通), 생사해탈(生死解脫), 영지(靈知), 현존일념(現存一念)의 기멸(起滅) 이전의 경지 등의 불교적 교리를 통해 『장자』의 중심사상을 회석(會釋)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탄허는 불교를 통해서 『장자』를 온전히 이해하게 되었기에 그의 불교적 해석과 회통사상은 단순한 지향이나 관념이 아닌 본인의 수행과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귀결된 것으로 파악된다. 불교를 통하고 난 뒤 비로소 『장자』의 의문점이 환히 풀렸던 자신의 체험과 신념이 그의 경전번역 가운데 가장 많은 자가주석(自家註釋)을 채록한 특색 있는 주해본을 양산한 원인이 되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Tanheo Taekseong (呑虛宅成) asserted that he mastered Taoism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Because of this, there are many Buddhist commentaries and explanations for his Chuang Tzu (莊子) translation. In this paper, I catalogued seven of the 37 comments Tanheo quoted and analyzed them respectively. I also compared Park seo-kye (朴西溪) and Chiao Hung (焦竑) comments, and discovered that Tanheos own comments ware the most copious. In addition, I analyzed the contents of these works and distilled them into seven key-words. Those are no-self (無己), transformation of things (物化), middle way (緣督), the fasting of the mind (心齋), forgetting shape (忘形), sitting down and forgetting everything (坐忘), and chaos (渾沌). Then, I looked into Tanheos Buddhist interpretations and commentary. As a result, I discovered that he was interpreting the central idea of Chuang Tzu through Buddhist doctrines. Tanheo understood the contents of Chuang Tzu through Buddhism. For this reason, he translated and annotated the book using his own performance and experience. Therefore, he wrote a rare book that contained many of his own notes.

      • KCI등재

        현대 한국 선사상의 두 지평: 성철의 "철(徹)"적 가풍과 탄허의 "탄(呑)"적 가풍

        권기완 ( Kwon Ki-wa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7

        성철의 『선문정로』가 나와 보조의 돈오점수를 강력히 비판하며 돈오돈수를 주창한 이래 한국의 불교계는 한국사상사 전체에 기록될 만큼 중요한 돈점논쟁이 이어졌다. 보조선(普照禪)과 성철선(性徹禪)의 전면전이라 할 만큼 활발한 토론과 논쟁이 이어졌으나 35년이 지난 지금은 그 의미가 많이 퇴색하여 활발발한 불교수행론 논의들이 잠잠한 형국이다. 본 논문은 성철의 가풍을 ``철(徹)``적 가풍으로, 탄허의 가풍을 ``탄(呑)``적 가풍으로 정리하여 지난 세기 한국의 선사상을 복기(復棋)해 보고자 한다. 돈오돈수와 태고법통론을 주장한 성철과 스승 한암의 보조선 영향을 받아 돈오점수와 보조종조론을 주장한 탄허의 선사상을 비교함으로써 현대 한국의 선사상을 두 갈래로 정리하였다. 성철은 돈오점수의 돈오는 구경의 증오(證悟)가 아닌 지해(知解)요 해오(解悟)로써 화두삼매에 들어 숙면일여를 투과하고 대사각활(大死却活)하여 제8아뢰야식의 미세망념을 제거한 대오견성이 아니므로 선문(禪門)의 바른 정론이 아니라고 비판했다. 하지만 탄허는 돈오돈수는 부처나 육조의 경우에만 해당되는 것으로 『전등록』의 조사들도 돈수의 경지에 도달한 이를 찾아보기 힘들기 때문에 돈오점수를 통해 발심주(發心住)의 견도위(見道位)를 거쳐 끊임없는 정진을 통해 정각을 이루는 화엄선(華嚴禪)적 점수론을 주장했다. 성철이 돈오점수를 주장하는 보조를 조계종의 법통으로 인정하지 않고 태고법통론을 주장한 반면 탄허는 종명을 ``조계종``으로 한다면 당연히 보조를 종조로 인정해야 함을 주장했고 스승 한 암 역시 보조종조론을 강력하게 역설했음을 법어에서 밝혔다. 성철이 간화독존론(看話獨尊論)적 경향을 띠며 숙면일여를 수행의 지침과 목표로 삼았던 것에 반해 탄허는 근기수행론(根機修行論)을 내세워 관법과 묵조선, 주력과 염불 등 다양한 수행법을 모두 포용하여 근기에 맞는 수행을 하도록 하는 회통선(會通禪)적 사상을 견지했다. 돈점논쟁이 학자들 중심의 토론으로 진행되었지만 선원을 중심으로 한 승가에서는 성철의 돈수론에 자극되어 가일층 엄격한 수행을 하는 선사들이 늘어났다. 본고에서는 여러 근거들을 모아 보조의 후신이 한암임을 주장하는 ``보조 후신한암설(普照後身漢巖說)``을 제기함으로써 과거의 보조가 아닌 현대의 한암과 탄허가 보여준 점수론적 사상을 중심으로 새로운 돈점논의를 재개할 것을 제안했다. 보조선-성철선의 패러다임이 아닌 한암선-성철선 내지 ``철``적 가풍-``탄``적 가풍의 구도로 잡아, 점검과 수행은 돈수론적 측면으로, 포교와 교육은 점수론적 측면으로 ``중도``적으로 ``회통``할 것을 제안했다. This paper is to rethink Korean Seon Thought of the last century by ``thoroughgoing(徹)`` style of Seongcheol(性徹) and ``swallowing(呑)`` style of Tanheo(呑虛). Seongcheol claimed that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cultivation and Taego lineage of the transmissioon of the precepts. Tanheo claimed that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and Bojo as founder of Jogye Order, and his teacher Han-am(漢巖) claimed the same theory. And I will summarize the Korean Seon Thought into two, by comparing Seongcheol and Tanheo`s thoughts. Seongcheol criticized understanding and awakening(解悟) to sudden enlightenment of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and that is not realization(證悟). And He also criticized that is just intelligence(知解) not great enlightment(大悟) and not meditative approach`s correct path(禪門正路). But Tanheo said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and sudden cultivation is applicable only to Buddha and Sixth patriarch, so he emphasized Hwayan Seon`s gradual cultivation. Whereas Seongcheol let continuous awareness during deep sleep(熟眠一如) as guidelines and objectives of the cultivation having tendency to the ganhwaseon supremacy, Tanheo maintained Interpenetration-Seon(會通禪) to cultivate by a variety of methods of contemplation(觀法), silent illumination meditation(?照禪), Mantra, remembrance of the Buddha on the basis of Theory of suggesting cultivation by the capacity for growth(根機修行論). In this paper, I was raised in this paper by ``Theory that Bojo`s afterlife is Han-am (普照後身漢巖說)`` and we must restart new sudden and gradual discussion as the center of Han-am and Tanheo`s theory of gradual cultivation. It is needed that Hanam-Seon and Seongcheol-Seon or ``thoroughgoing(徹)`` style of Seongcheol and ``swallowing(呑)`` style of Tanheo rather than Bojo-Seon and Seongcheol-Seon paradigm. I proposed to interpenetrate by Middle way for Check and meditation practice as sudden cultivation, Missionary activities and education as gradual cultiv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고객접점 여성 직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서울지역 특1급 호텔 식음료부서의 고용형태를 중심으로-

        권기완 ( Ki Wan Kwon ),우성근 ( Sung Keun Woo ) 한국호텔리조트학회(구 한국호텔리조트카지노산학학회) 2015 호텔리조트연구 Vol.14 No.1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novel reference data on human resource management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female staff``s emotional labor at customer contact points in hotel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to collect data, which was in turn processed with SPSS 18.0 statistics package program to verify hypotheses based on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alpha,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The T-test of emotional labor in line with employment types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face acting only. In regular staff,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were found in deep acting only. By contrast, in irregular staff,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in all aspects. To sum up, emotional labor was found to affec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which indicates that new measures must be sought in order to reduce the job stress resulting from emotional labor and thus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organizational culture need be renewed in favor of interactive communication to prevent regular staff``s turnover due to emotional labor by considering their emotion and by squaring it with the emotion that hotels expect of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