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형 전술데이터링크(Link-K)의 무선통신 시험환경 구성 및 다중접속 프로토콜 성능분석
권구형,Kwon, Koo-Hyung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09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2 No.2
This paper describ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st environment for the Link-K system and shows the performance analysis of multiple access protocols. The test environment consists of data generator, modem, radio sets, attenuators, and antennas. In case of both CSMA and Roll-Call protocols, throughput performance and delay are measured. And test results are analyzed. The test results would be used for communication performance analysis and network design of Link-K system.
고유전율의 BMT 기판을 이용한 소형 헤어핀 구조의 듀플렉서 설계
권구형,한상민,남산,김영식,Kwon, Koo-Hyung,Han, Sang-Min,Nahm, San,Kim, Young-Sik 한국전자파학회 2003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4 No.10
In this paper, a compact planar microwave duplexer on the high dielectric substrate is presented. As the Ba(Mg$\sub$1/3/Ta$\sub$2/3/)O$_3$(BMT) has good dielectric performances with a high dielectric constant of $\varepsilon$$\sub$r/=23, it is suitable to apply to a printed circuit board fur reducing its circuit size. The BMT substrate is fabricated by using a tape casting fabrication process, and circuit patterns are screen-printed on it by suing silver paste. The open-loop ring type duplexer is designed and implemented on the BMT substrate, and it achieves the smaller size by 80% than one on a commercial substrate($\varepsilon$$\sub$r/=6.15) without degenerating its performance. Therefore the proposed BMT substrate has provided the miniaturization of the duplexer, moreover it can make a contribution towards reducing the size of microwave passive circuits. 본 논문에서는 고유전율의 BMT 물질을 기판에 적용하여 기판 위에 소형화된 평면형 구조의 마이크로웨이브 듀플렉서를 설계, 제작하였다. Ba(Mg$_{1}$3/Ta$_{2}$3/)O$_3$(BMT)는 품질계수, 온도계수 측면에서 뛰어난 유전 특성을 보이며 유전상수가 23인 고유전 물질로서 회로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기판에 적용하기가 적합하다. BMT 기판은 tape casting 공정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회로 패턴은 실크스크린을 이용하여 전극 패턴을 입혔다. Open-loop ring type의 듀플렉서를 BMT 기판 위에 설계, 제작하였으며 유전상수가 6.15인 상용 기판에 동일한 규격의 듀플렉서를 제작하여 비교한 결과, 특성의 저하 없이 약 80 % 정도 크기를 줄일 수 있었다. 따라서 제안된 BMT 기판은 예시된 듀플렉서 소형화를 구현하였으며, 마이크로웨이브 수동 소자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합성 데이터를 사용한 딥러닝 기반 다중모달 이미지 정합
한재웅(Jae-Woong Han),권경범(Kyung-Bum Kwon),정신영(Sin-Young Jung),이현재(Hyun-Jae Lee),구형일(Hyung-Il Koo) 한국정보통신학회 2024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8 No.1
현실 세계의 정보는 다양한 모달리티로 존재한다. 이를 통합하기 위해 컴퓨터 비전 및 딥러닝 분야에서 다중모달 이미지 정합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SIFT, ORB 등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은 EO와 IR의 도메인 차이로 인해 좋은 결과가 도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 딥러닝 기반 특징점 추출 모델에서는 데이터 취득의 어려움으로 기존 연구가 매우 제한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IR 이미지와 유사한 합성 이미지를 EO 이미지로부터 생성하였고 이를 통해 딥러닝 기반 특징점 추출 모델인 R2D2에 다중모달리티를 학습하였다. 다양한 환경에서 EO와 IR 이미지 쌍을 취득하여 실험한 결과 다중모달에서 R2D2의 이미지 정합 성공률은 단일모달에서 ORB의 정합 성공률과 비교하여 4.6% 정도의 차이만 보여 정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합성 데이터를 활용하여 R2D2에 다중모달리티를 학습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Real-world information exists in various modalities. To integrate this, research on multi-modal image matching has been conducted in the field of computer vision and deep learning. However, computer vision algorithms like SIFT and ORB face challenges in producing good results due to domain differences between EO and IR images. There’s also a limitation in deep learning models due to data acquisition challenges. This paper addresses these issues by generating synthetic images resembling IR images from EO images and trained the deep learning-based feature point extraction model R2D2 in multi-modality. Experiments with EO and IR image pairs in various environments showed that the image matching success rate of R2D2 in multi-modal scenarios is only about 4.6% different compared to ORB in single modality, demonstrating successful matching. This confirms the potential of using synthetic data for multi-modal training in R2D2.
김진규,강성원,정필수,김정민,백하은,권구형,김상수,Kim, Jingyu,Kang, Sungwon,Jung, Pilsu,Kim, Jungmin,Baek, Haeun,Kwon, Koo Hyung,Kim, Sang Soo 한국정보과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 2013 소프트웨어공학회지 Vol.26 No.1
가변 길이 정보 메시지는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하여 효율적인 정보 제공을 하기 위하여 개발된 통신 프로토콜 표준이다. 이러한 가변 길이 정보 메시지는 정보 수신자의 정보 요구 수준 및 정보 수신자의 정보 접근 수준에 따라 정보의 상세함을 가변적으로 조절 할 수 있도록 설계된 메시지이다. 정보 메시지 최적화 기술은 정보 메시지를 다양한 데이터 압축 기술을 사용하여, 메시지 전체의 물리적인 사이즈를 줄이려고 노력하였다. 정보 메시지 최적화에서는 정보의 정확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어, 최적화 전/후가 동일한 비손실 압축 기법을 응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비손실 압축 기법만을 사용하면, 압축효율성이 현저하게 떨어져, 제한된 대역폭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가변 길이 정보 메시지를 대상으로, 메시지 필드 단위로 정보의 최적화를 수행하여 메시지의 길이를 물리적으로 좀 더 효과적으로 최적화하도록 시도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시한 최적화 방법의 효율성을 보이기 위하여, 가변 길이 정보 메시지에 대한 최적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Variable length information message is a communication protocol standard in order for computer network systems to provide efficient delivery of information. The variable length information messages were developed for varying and controlling details of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message receiver's required information level or information access level. In the previous studies, data compressing techniques have been in use for information message optimization technologies in order to reduce physical sizes of information messages. In optimization technologies for information messages, accuracy of information i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erefore, only non-loss compression techniques are applied to the optimization technologies. However, the non-loss compression based information message optimization methods are not efficient in data compression, and these are limited to efficient delivery of information in wireless network environments that have constraint bandwidth. In this paper, we attempt to optimize information in the variable length information messages at message fields in order to reduce physical sizes of messages more efficiently. To demonstrate the efficiency of our approach, we conduct optimization experiments for variable length information mess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