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복지문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서 템플스테이 활용방안

        권경임(Kwon, Kyung Yim)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2010 불교문화연구 Vol.11 No.1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성장과 사회변동으로 물질적 풍요를 가져왔지만 이로 인해 계층간 지역간 갈등을 초래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특정계층에 대한 사회적 배재가 심화되고 인간보다 물질을 우선시하는 비인간화 현상을 초래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현상 속에서 인간성을 회복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 키며 문화적 취약계층을 배려하고 소통할 수 있는 복지의 문화화 내지 문화의 복지화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사회복지가 물질적으로 균등한 배분에 기초한 복지사업들이 주를 이루어 왔다면, 앞으로의 복지문화는 진정한 자아실현을 목표로 개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풍요로운 삶을 지원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주5일 근무제가 실시되어 여가 및 관광이 활성화되고 있고 근로자만이 아니라 복지대상자에게도 복지관광이 시행되어 그성과가 입증되고 있는데, 템플스테이를 복지관광의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현대인들이 진정한 자아를 찾아서 인생의 참된 의미를 회복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복지문화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국사회의 새로운 문화현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템플스테 이를 복지문화 프로그램으로 활용하고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려고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우선 복지문화의 개념을 알아보고, 복지문화의 이론적 배경으로 정상화(Normalization), 인클루젼(Inclusion,당사자 참가), 임파워먼트(Empowerment, 역량강화), 삶의 질 (Quality of life), 복지의 문화화 및 문화의 복지화, 복지의 교육과 공동체 형성 등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템플스테이의 연구동향과 더불어 템플스테이의 현황과 프로그램에 대해 살펴보고, 복지문화 프로그램으로서 템플스테이 유형을 복지관광 프로그램과 정신문화복지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와 같이 복지문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서 템플스테이의 활용 방안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이 복지문화의 지평을 확대하고 정신문화복지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취지이다. This Paper is the rapid economic growth and drastic change of society has brought about material affluence along with the social conflicts in terms of region and class of people in Korea. In addition, that caused the dehumanization trend of society which put more value on material than humanity i.e human value. So we are urgently need the cultural welfare policy which restores humanity and upgrades the quality of life in the degenerated social phenomena. Especially we have to take care of and protect the weak in order to have a good communication and harmony among every class of the society. So far the welfare policy has put the emphasis on the equal distribution of material. However, the future welfare policy should be placed more emphasis on the realization of true self which upgrade the quality of each individual. In that respect, templestay can be applied as a good, mental welfare program which overcomes the alienated humanity and restores the true meaning of life through finding the original, true self. After establishment of five-working day a week, the vitalization of leasure and sightseeing has been popular in Korea. So the favorable outcome of the welfare sightseeing has been proved not only for workers but for the welfare recipient. Accordingly,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eek a plan to apply templestay that considered to be a newly established cultural phenomenon as a welfare and culture program in Korea. Firstly, in this paper, I defined the concept of welfare culture and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such as normalization, inclusion, empowerment, quality of life, enculturation of welfare, welfare-centered culture, the education of culture and the formation of community. The recent study of templestay mostly centered on religious and sightseeing aspect. However, I reviewed templestay in terms of welfare culture. Further more, I examined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gram of templestay as two patterns of welfare culture. One is sightseeing welfare program and the other is spiritual welfare program. Especially, I emphasized that templestay program will broaden the horizon of welfare culture and contribute to the spiritual welfare culture by the application of templestay.

      • 불교사회복지의 현황과 과제

        권경임(Kyung-Yim Kwon)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07 종교문화학보 Vol.4 No.-

        불교사회복지는 불교와 사회복지의 관계를 연구하고 실천하는 응용학문으로 불교에 의한 사회복지활동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불교사회복지의 이념이나 역사, 개념과 주체 및 대상, 그 사업이나 유형, 방법이나 대상 등에 관하여 연구하는 것으로, 역사적으로 사회적인 변동이 있을 때마다 민간복지로서 불교사회복지가 실천해온 모든 활동에 대한 인과법칙을 알아내고 의미를 규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불교는 인간이 고통의 속박에서 해탈하는 데 목적을 두며, 사회복지는 인간이 처한 상황이나 생활상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행복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는데, 모든 인간은 생로병사의 한계와 그로 인해 개인적인 고통을 겪으며 살아가고 있고, 착취와 억압, 불평등이나 소외와 같은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 의해서 사회적인 고통을 겪으며 살아가기도 한다. 인간은 이러한 고통으로부터 벗어나서 행복해지길 바라면서 다양한 제도와 이념, 과학적 기술들을 발전시켜왔으며 이러한 노력들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인간이 어떻게 하면 생로병사의 개인적 고통과 사회적인 고통에서 해탈하여 궁극적으로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불교사회복지는 출발하고 있다. 불교사회복지가 정립되기 위해서는 불교와 사회복지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인식해야 하는데, 불교의 관점은 주관과 객관의 양극단을 초월한 중도적 관점을 견지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복지의 입장은 주객을 분리해서 주관과 객관을 대립적인 관계로 인식하고 사실을 규명하려는 이분법적인 논리를 견지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불교사회복지는 불교의 사상을 사회과학으로서의 사회복지 관점에서 분석하고 재해석하여 응용 실천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불교의 측면에서는 사회과학적인 불교사회복지의 학관점이 부족하고 사회복지의 측면에서는 불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불교사회복지는 사회복지 현상에 대한 불교의 독자적인 해석이 전제되어야 하고 사회과학적이고 입증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또한 사회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실천방법이 불교사회복지만의 독자적이며 일관성 있는 접근이 되어야 하며, 불교가 갖는 사회복지적 성격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확보해야 한다. 사회복지는 역사적으로 자선구제사업에서 사회사업으로 현대의 사회복지사업으로 발전해 왔으며, 학문적으로도 처음에는 사회학의 한 분파로 시작해서 여러 학문을 수용하면서 오늘날의 전문화된 사회복지의 형태로 발전해왔지만 완전한 학문의 틀을 갖추고 있는 것은 아니며 지금도 학문적 진화를 계속해 가고 있는 과정이기 때문에 인류의 보편적 복지로서 비젼을 담아내지 못하고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불교는 독자적인 불교사회복지체계가 확립될 수 있을 만큼 풍부한 사상을 가지고 있어서, 인류의 보편적인 사회복지의 패러다임을 제시하는데 비젼을 제시해 줄 수도 있다. 따라서 인간과 사회와 세계를 포함한 총체적인 접근을 통해 바람직한 방향으로 보편적인 복지를 실현할 수 있는 사회복지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종교와 사회복지의 관계를 논하고, 불교사회복지의 이념과 역사를 고찰하고, 불교사회복지의 실천현황과 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Buddhists regard desire and attachment, which are the fundamental elements bring sufferings to human beings, as ignorance. When we adhere to materials and mind regarding them as real and eternal, repetition of a vicious circle of inequality of possession and confrontation occurs. People do not realize that every action occurs depending on causes, and their inverted thought to maintain their possession bring alienation and confrontation. Thus, the necessity to understand the problem of the modern society from the viewpoint of the Buddhist Welfare and to suggest its social role is being raised. All the problems in the modern society such as consumptionoriented life style, competitiveness, poverty in affluence, unemployment, human estrangement, lack of view of value, environment exploitation and destruction, and nuclear weapons seem to be the result of imprudence of science and ethics. The position of Buddhism is to understand the complex of existence and value in the modern sense and to show what they should be. According to this, the task of the Buddhist Social Welfare lies in overcoming the dual thought such as dividing mind and material, subject and object, in getting back human independence, and in accomplishing the commensal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society. In the thesis, I looked into the research method of the Buddhist Social Welfare, and I focused on the way to adapt the thought of the Buddhist Social Welfare and its way of practice to the modern society. And I considered the means to activate the Buddhist Social Welfare by constructing the system of practice for the Buddhist Social Welfare and its supporting and transferring system.

      • KCI등재

        학술상 수상논문 : 불교계 사회적기업과 복지경영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권경임 ( Kyung Yim Kwon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1 禪文化硏究 Vol.10 No.-

        사회적기업은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시작단계이지만 사회복지만이 아니라 경제문제의 해결을 위한 대안의 하나로 제시되고 있고,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도국에서 제3세계에 이르기까지 세계적인 추세가 되어가고 있다. 불교계 사회적기업인 (주)연우와 함께의 이념과 비전에 의하면 대승불교의 불이사상과 연기사상을 바탕으로 나눔을 실천하는 글로벌한 사회적기업을 추구한다. 또한 함께 나누는 것(共有), 함께 일하는 것(共業), 함께 생활하는 것(共生), 하나 되는 것(共同)의 가치를 추구하며, 생산자와 소비자의 네트워크를 균형있게 발전시켜 바른 소비문화와 환경운동을 펼쳐 불교이념의 사회화를 실현한다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불교의 연기적 이념에 입각해서 상생의 사회를 선도하고, 보시에 의존하는 현실에서 자립의 기반을 확보하고 사회에 나눔을 실현하며, 사회문제에 불교적 관심과 대안을 마련하고 사회를 선도한다는 차원에서도 중요하기 때문에 불교계에서 사회적기업의 참여가 당위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불교계 사회적기업의 참여와 관심을 제고하고 지속 가능하고 성공적인 사회적 기업의 운영을 위해 사회적기업의 개념과 역할을 고찰하고, 사회적기업의 운영과 실태를 살펴보았으며, 불교계 사회적기업의 특성을 고찰하고, 불교계 사회적기업에 적합한 복지경영 패러다임을 모색해 보았다. 새로운 복지경영 패러다임에 연기사상이나 화엄사상, 그리고 선수행과 같은 불교사상과 수행방식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현상을 보면서 불교계 사회적 기업의 기본가치와 이념이 복지경영의 패러다임이 제시하는 중도의 경영이 념으로 상생경영을 실현하는데 있어 추구하는 바가 같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불교계 사회적기업에도 적용할 수 있는 중도의 경영이념과 이를 기반으로 한 상생의 경영방식을 불교적 복지경영의 패러다임으로 제시하고, 이러한 불교적 복지경영방식을 실천해 나가고 있는 복지공동체모델을 사례를 통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re are social crises, such as economic polarization, aging society, and unbalanced growth in today`s world, and every nation tries to resolve these social crises by running social enterprises. Our society has had social and economic difficulties since IMF crisis. As the numbers of the poor and the unemployed have increased, the issue of increasing employment emerg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olicies of the government. The government established Social Enterprises as a positive measure for increasing employment and income, and subsequently enacted the Law of Social Enterprise in 2007. Social Enterprises is a non - profit organization that earns profits for supply personnel who provide social services. It is hard for general enterprises to enter and re - investment in communities for the purposes of reinforcing social incorporation and solidarity to help the poor and the unemployed. The current situation of our society requires the participation of Buddhist communities in the social enterprises. Also non - profit business needs a new approach to welfare management Paradigm,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develop a theoretical base for Korean style social enterprises that can be applied for Buddhist Social Enterprises. The religious Thought of Buddhism is oriented "win - win" management. So, we can develop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ist Social Enterprises and Paradigm of welfare management. In addition, the definition and types of social enterprises, Case study of social enterprises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and Buddhist communities are to be discussed. Heretofore, it is found that raising the capability of the enterprise is more important than government support. and social system improvement, sustainable management support, social enterpreneurship, social network and introduction of linked system with major companies are required to enhance the success of the enterprise. It is expected that stud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Buddhist social enterprises and promotes idea of Middle Path and Sang - Saeng management as win - win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welfare management Paradigm.

      • KCI등재
      • KCI등재

        불교계 사회적기업의 실천모형에 관한 연구

        권경임 ( Kyung Yim Kwon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2 禪文化硏究 Vol.13 No.-

        현재 사회적기업은 경제와 복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해법으로서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으로 대두되고 있다. 사회적기업은 세계 여러 나라의 사회경제체제나 시민사회의 성숙도에 따라 출현배경이나 맥락을 달리하고 있고, 그 형태나 정책도 다양하고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지고 발달해왔다. 한국은 사회적기업을 취약계층의 고용복지 뿐만 아니라 저출산 고령화사회의 대비책이나 지역간 불균형발전의 해법으로 활용방안이 검토되었다. 현재 세계적인 경제위기로 인해 실업이 증가하고 사회계층간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사회적기업이 일자리 창출과 양극화 해소를 위한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본 논문은 불교계 사회적기업의 실천모형을 제시하기 위하여, 사회적기업의 현황과 사례를 바탕으로, 사회적기업의 정의와 유형을 고찰하고, 실천현황과 사업방향을 검토하며, 불교계 사회적기업의 비즈니스모델에 대해 모색함으로써, 불교계 사회적기업의 전망과 실천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불교계 사회적기업의 실천모형에 관한 연구의 기대효과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suggest implications to social enterprise in Buddhist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develop a pratical model for Buddhist style that can be applied for Buddhist Social Enterprises. This project is based on the Thought of Buddhism is oriented social solidarity and interdependence in the world. And the definition and types of social enterprises, case study of social enterprises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and Buddhist communities are to be discussed. also it is found that raising the capability of the enterprise is more important than Buddhist communities and government of support. The origin of social enterprise in Korea is based on the former governmental welfare programs like self supporting program and job creation program, but other countries` social enterprise is originated from the third sector such as social cooperative, voluntary groups, and non profit organizations. The Korean government has enacted a fundamental law for creating and promoting social enterprise in 2007. In the discussion about social system improvement, sustainable management support, social enterpreneurship, social network and introduction of linked system with Buddhist Social Enterprises Association are required to enhance the success of the enterprise. This study to develop a pratical model for Buddhist Social Enterprises. and it requires consideration in all its aspects to practical situation, business contents and model, furthermore prospect and problem of Buddhist communities in the social enterprises. It is expected that study contributes to the practical model of Buddhist Social Enterprises and promotes the development of Buddhist Social Enterprises.

      • KCI등재

        선,명상의 웰빙과 힐링에 관한 불교적 담론

        권경임 ( Kyung Yim Kwon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4 禪文化硏究 Vol.17 No.-

        현대사회의 특성은 급속한 사회변화와 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불확실성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러한 사회현상은 불안의식을 동반하게 되는데 사회보장제도가 잘갖추어진 서구 복지국가에서도 불안을 이기지 못하고 자살하는 사람이 많은 것은 사회제도에 의한 복지만으로는 진정한 복지와 행복을 담보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2천 년대를 전후해서 사회적 화두는 웰빙(well - being)에서 힐링(healing)으로 변화되고 있는데, 현대인들이 처한 심리사회적인 상황들이 치유가 필요할 정도로 힘들고 괴롭다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라 하겠다. 웰빙(well - being)은 정신과 신체의 조화와 균형을 통해 행복한 삶을 지향하려는 문화현상으로, 웰빙은 신체적 건강과 삶의 만족도를 제고하는 것을 의미하고, 힐링은 마음과 정신의 상처치유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나 웰빙은 개인적인 욕구(needs)에서부터 사회적 차원으로 확대되었으며, 힐링도 개인적인 마음의 치유가 사회공동체로 확대되어 사회적 치유를 가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웰빙과 힐링은 공통적으로 복지(福祉)를 추구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불교의 궁극적인 목적은 고통(苦痛)에서 벗어나 안락을 얻는 이고득락(離苦得樂)을 지향하는데, 현대사회에서 행복하게 잘사는 것을 지향하는 웰빙(well-being)과 힐링(healing) 트렌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선과 명상을 불교적 관점에서 논의해 봄으로써 선·명상의 복지와 치유에 관한 불교적 논의를 시도하였다. 최근 불교와 심리치료의 접목을 시도한 연구가 진행되어 여러 가지 심리치료를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는데, 특히 개인의 특성에 맞춘 심리치유 프로그램의 개발만이 아니라 사회적 치유를 위한 방안이 마련된다면, 웰빙과 힐링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선과 명상의 복지(well - being)와 치유(healing)적 역량은 더욱 증대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at zen and meditation are related to the way how to be a good person during one’s life. Also, this study``s aims is to investigate the Buddhistic discourse about well - being and healing. Well - being and healing trends have boomed in recent years. Many Korean people consider the health(including mental health) and well-being life as more important value to live than earing money. So, It was the social agenda in diverse arenas of Korean society. Buddhism teaches that People should pursues not only the self-healing but also the social - healing. That is to say, Buddhism is specially interested in the well - being. As this, this paper emphasized the need the fulfillment of the self - healing of the Buddhist should be corresponded with the social - healing. Also, this paper attempted to find out the Buddhistic models of well - being & healing. Buddhist psychology derives a psychological model and therapy ideas from the Buddha sutra. So,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integrate Western psychology and Buddhism from the point of psychological view for the sake of propose therapeutic applications. I think that this is the healing model of convergence & consilience It is one of the examples that is high interests in mindfulness in our society. Mindfulness - Based programs as MBSR(Mindfulness - Based Stress Reduction), MBCT(Mindfulness - Based Cognitive Therapy), DBT(Dialectical Behavioral Therapy), ACT(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etc go current.

      • 佛敎兒童福社에 관한 考察

        權景任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9 大學院硏究論集-東國大學校 大學院 Vol.29 No.-

        I focused on the child welfare, the most important matter in the Buddhist Social Welfare. I examined the Buddhist child welfare and devices for practicing it. First, I compared the Buddhist concept of child appeared on the sutras with that of Social Welfare. According to the Buddhist sutras, though they need protection and cultivation, children are independent and existences who have the possibility of enlightenment, which follows the thought that every human has Buddha nature, and that is the characteristic of Buddhist view on children. Before considering the Buddhist child welfare, I looked into the Korea's child welfare policy, and I tried to suggest the practicing direction of the Buddhist child welfare. Regarding the activity of the Buddhist child welfare in the temples, we can use the facility of the temple and human resources for counselling and volunteering. Also we can contribute to the child mental welfare by developing humanity, spirituality, and sociality of the children through such as children's Buddhist assemb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