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예외상태의 윤리-조선족 밀항을 재현하는 시선들-

        구재진 ( Koo Jae-ji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0 No.47

        이 논문에서는 한국으로 밀항하던 조선족들이 어창에서 질식, 사망한 실제 사건을 다룬 세 편의 텍스트를 비교하여 조선족 밀항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선들이 지닌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텍스트는 소설 <누가 나비의 집을 보았을까>(2004), 희곡 <해무>(2007), 그리고 영화 <해무>(2014)이다. 두 편의 <해무>에서는 법과 폭력의 경계에 놓여 있는 예외상태의 밀항선에서 조선족들이 질식하여 죽게 되고 이 시신을 한국인 선원들이 수장하는 사건이 벌어지는데 이로써 텍스트의 선상 공간은 일종의 윤리적 실험실과 같은 의미를 띤다. 두 편의 <해무>에서 나타나는 윤리의 양상은 주권자로서의 선장 또는 도덕적 포즈를 취하는 인물과 스스로 모든 죄를 떠안고 죽는 인물의 대조를 통해서 나타난다. 특히 자신의 죄에 대해 책임지고자 하는 대속자적인 인물의 모습에서 이 작품의 윤리적 지점이 발견된다. 반면 <누가 나비의 집을 보았을까>의 인물들은 책임의 윤리를 실현하기에는 너무 취약한 주체들로 그려지고 있다. 반복된 트라우마의 책임을 부모에게 돌리는 인물들의 모습은 한 편으로는 밀항 조선족의 근본적인 상처와 피해의식을 드러내는 것이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책임을 회피하는 모습에 다름 아니다. <나비의 집>과 희곡 및 영화 <해무>의 주인공들은 ‘준난민’ 혹은 ‘호모 사케르’로서 모두 ‘집’과 ‘가족’에 대한 갈망을 지니고 있다. 전통적으로 집-가족-고향과 대척점에 서 있는 ‘배’라는 환경에서 이들은 ‘배’ 자체를 집-공동체로 만들려는 시도를 하거나 ‘배’를 떠나 뭍에 안착하여 집-고향-국가의 품에 안기려는 열망을 품는다. 그러나 각 텍스트들에서 그러한 열망의 실현, 곧 구원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두 편의 <해무>와 <나비의 집>은 호모 사케르와 같은 이들에게 사랑 혹은 구원이란 현실 너머에 존재하는 (불)가능한 것임을 제시하고 있다고 하겠다. 본고는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밀항선이라는 예외상태의 윤리와 그 귀결점이 지니는 의미를 구명하였다. This paper is aimed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different views on Choseonjog(Korean-Chinese People in China) stowaway by comparing the three texts which deal with Choseonjog people who suffocated to death in the fish warehouse during stowaway to Korea. Such texts are Haemu(2007), a play by Kim Min-Jung, Haemu(2014), a film directed by Sim Seong-bo, and Who saw the butterfly's house(2004), a novel written by a Korean-Chinese writer Hoe Ryeon-Sun. This paper is based on three major issues. First, Choseonjog stowaways who are focused in Who saw the butterfly's house and Korean sailors who are focused in two texts of Haemu, share the shape of ‘Homo Sacer,’ However, the shape of ‘Homo Sacer’ is represented differently in all three texts. Second, the stowaway ship is at a state of exception at the borderline between law and violence. The space of ship seems as an ethical experiment as it is surrounded by danger and death of Choseonjog people. The patterns of ethics that appear in the two texts of Haemu appear by comparing the captain as a sovereign, the person who takes a moral pose, and the person who perpetuates all sins and death on their own.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s of Who saw the butterfly's house are depicted as subjects that are too weak to realize the ethics of responsibility. Irresponsible figures who blame their parents for their repeated trauma, reveal the fundamental injuries and victim’s mentality of Choseonjog people on the one hand, but on the other hand, they are only avoiding responsibility. Third, as the refugee or quasi-refugee, the most representative form of Homo-Sacer, the main characters of Who saw the butterfly's house and the drama and the film Haemu all have a longing for home and family. While they are in ‘boat’, an environmental opposite of home and family, they try to make the 'boat' itself a home-community, or leave the boat and come safe to land, with the desire to be in the arms of the nation. But the realization of such aspiration, salvation, appears as impossible in each text.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ree texts and explains the ethics of the exceptional state in a stowaway boat and the implications of its consequences.

      • KCI등재

        국가의 외부와 호모 사케르로서의 디아스포라-현월의〈그늘의 집〉연구

        구재진(Koo Jae-jin) 한국비평문학회 2009 批評文學 Vol.- No.32

        Korean diaspora in Japan paradoxically proves the history of Japan, Korea, and their shared borders. This essay focuses on Hy?n--wol, who belongs to the third generation in the tradition of Korean-Japanese literature, and tries to show the portrait of Homo Sacer in his fiction “The House in Shadow.” “The House in Shadow” represents the life of Korean-Japanese in Osaka, and represents the residents of ‘Korean town’ as Homo Sacer, who is included in the nation-state by exclusion. Korean-Japaneses have formed their own community outside the nation, and have exerted the ritual violence to displace and supplement the power of law of nation. There appears a governing figure who signifies the masculine power and imprints the desire for sovereignty in himself, but he is still the existence outside the nation. Korean-Japanese is sentenced to the exceptional life outside Korea and Japan at the same time, and it is the fundamental condition which bond them together even in mutual conflicts and struggles.

      • KCI등재후보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기억하기'와 탈식민성-<서유기>를 중심으로-

        구재진(Koo Jae-jin) 한국현대문학회 200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15

        This study analyzes Choi, In-Hoon's novel, especially Seo-Yu-Gy(<서유기>) focusing on 'remembering' from the viewpoint of post-colonialism. The memory of the subject has two kinds of aspect. First aspect is individual and existential. Second aspect is social and historical. So, in Seo-Yu-Gy, 'remembering' has two courses. 'Individual remembering' of Dok-Go, Jun, the main character in this novel via that he repeats traumatic experience of 'self-criticism' in W city raises a question about the individual identity. 'Historical remembering' the historical men, Non-Gae, Yi, Sun-sin, Yi, Gaung-Su whose meaning is related with Japan raises a question about the national identity.<b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makes clear several crucial points in Seo-Yu-Gy from the viewpoint of post-colonialism. First, this novel shows that the most important point in recognizing modern Korea is the speciality that Korea has experience of colony by Japan not by Western Europe. Second, this novel shows the veiwpoint in the base of not dominance but difference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 with the empire and the colony. The historian in this novel proposes that the center of arguments of national identity should be changed from the biological fixity to the type of culture(문화형), a way of thinking. Third, this novel shows that the colonialism is not simply the social and economic issue but also mental and psychological issue.<br/> Even though this novel is not projected from the viewpoint of post-colonialism by Choi, In-Hoon, we shouldn't overlook that the discourse of the Korean national identity in Seo-Yu-Gy raises a question about the looking at the modernity centering on Western Europe and gropes for the post-colonial modernity. The reason why this novel is noteworthy is that raising an issue about the modem and the colonial presented in this novel could be a first step to overcoming historical trauma of Korean colonial experience.

      • KCI등재

        결혼 이주 여성, ‘불온한 자’의 운명 : 천운영, 공선옥, 허련순의 결혼 이주 여성 소설 연구

        구재진(Koo, Jaejin)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6

        세계가 글로벌화되면서 ‘이주의 여성화’와 ‘생존의 여성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결혼 이주 여성은 이러한 현상을 가장 특징적으로 보여주는 존재이다. 본고는 결혼 이주 여성을 재현한 소설 가운데 조선족 여성을 재현하는 소설들을 대상으로 ‘생존의 여성화’와 ‘불온한 자’로서 재현되는 결혼 이주 여성의 양상을 고찰하였다. 본고의 연구 대상은 천운영의 『잘가라 서커스』와 공선옥의 「가리봉연가」, 그리고 허련순의 소설 『중국 색시』이다. 이 작품들을 비교 고찰하여 한국 작가와 조선족 작가의 결혼 이주 여성 재현 양상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세 작품은 결혼 이주 조선족 여성의 삶을 천착하여 한국 사회에서 동일화/타자화라는 이중 기제 속에 놓인 결혼 이주 여성의 ‘불온한 자’로서의 존재론을 탐색하고 있다. 그러나 ‘생존의 여성화’의 문제와 ‘불온한 자’로서의 결혼 이주 여성의 모습, 그리고 연대와 경쟁의 문제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 우선 『잘가라 서커스』, 「가리봉연가」와는 달리 『중국색시』에서는 ‘생존의 여성화’의 결과로서가 아니라 탈주의 욕망으로서의 결혼 이주를 그리고 있다. 그리고 결혼 이주 여성이 자신에게 덧씌워진 타자성과 ‘불온성’을 저항성으로 전유함으로써 가시적인 존재로 주체화하는 모습을 제시한다. 또한 『잘가라 서커스』, 「가리봉연가」가 연대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이주 여성들에 대한 이상적인 관점을 나타낸다면 『중국색시』에서는 경쟁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현실적인 관점을 나타낸다. 나아가 『잘가라 서커스』와 「가리봉연가」에서는 결혼 이주 여성은 물론 이주 여성이 결혼한 한국 남성과 그 가족까지 피해자로 나타냄으로써 결혼 이주라는 기제 자체의 문제점을 드러낸다. 반면 『중국색시』에서는 결혼 이주 여성이 적극적이고 저항적인 모습으로 주체화되고 중국으로의 귀환, 아이의 출산, 남편과의 해후를 통하여 ‘본래적 의미의 결혼에 이를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가족주의의 도식을 반복한다는 점에서 진정한 가능성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작품들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차이는 한국 작가와 조선족 작가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며 현실에서 결혼 이주 여성을 바라보는 시선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할 것이다. As the world becomes global, the phenomenon of “feminization of migration” and “feminization of survival” are appearing. Married immigrant women are the most characteristic of this phenomenon.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of married immigrant women recreated as “feminization of survival” and “disquietude”, targeting novels representing Korean-Chinese women among novels representing married immigrant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heon Won-yeong s Goodbye Circus, Gong Seon-ok s Garibong Love, and Heo Ryeon-soon s Chinese Wife. By comparing and examining these works, I tried to clarify the differences in the represent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between Korean and Korean-Chinese artists. All three works explore the ontology of married immigrant woman as a “disquieting one” in Korean society under the dual mechanism of identification/otherization by delving into the lives of married immigrant Korean-Chinese women.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ssue of ‘feminization of survival,’ the appearance of a married migrant woman as a ‘disquieting one,’ and issues of solidarity and competition among migrant marriage women. First of all, unlike Goodbye Circus and Garibong Love, Chinese Wife depicts marriage migration as a way of a desire to escape, not as a result of “feminization of survival.” In addition, the immigrant marriage woman in Chinese Wife presents the appearance of transforming into a visible subject by appropriating the otherness and disquietude overlaid on her as resistance. In addition, while Goodbye Circus and Garibong Love focus on the aspect of solidarity and reveal the ideal point of view, Chinese Wife reveals a realistic view by focusing on competition. Furthermore, in Goodbye Circus and Garibong Love, not only migrant women but also Korean men and their families married by migrant women are represented as victims, revealing the problems of the mechanism of marriage migration. On the other hand, in Chinese Wife, married immigrant women become subjective in an active and resistive form, and the possibility of reaching a marriage in the original meaning is suggested through return to China, childbirth, and husband-to-be.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e it as a real possibility in that it repeats the schematic of familism. This difference in the works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Korean-Chinese writers, and also shows the difference in the perspectives of a married migrant woman in reality.

      • KCI등재

        민족-국가의 사이 혹은 너머에 대한 상상 ―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의 트랜스내셔널 양상

        구재진 ( Koo Jaejin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7 도시인문학연구 Vol.9 No.2

        본고는 문학사의 ‘이방인’으로서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서 나타나는 트랜스내셔널한 양상을 고찰하였다. 특히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 대한 한국문학사의 영토화를 경계하고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이 디아스포라 문학으로서 지닌 새로운 방향성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의 새로운 경향을 대표하는 미중일의 세 작품을 검토하였다. 대상 작품은 허련순의 『누가 나비의 집을 보았을까』, 가네시로 가즈키의 『GO』, 그리고 이창래의 『영원한 이방인』 이다. 이 작품들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 나타나는 트랜스내셔널한 상상력의 세 가지 양상을 밝혔다. 허련순의 작품에서는 부유하는 노동와 트랜스로컬 주체를 통해서 트랜스내셔널한 상상력이 펼쳐진다. 코리안 드림이라는 판타지를 가지고 밀항선을 탔던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비극적인 결말은 그러한 판타지의 실현 불가능성과 허구성을 암시한다. 그러나 이 작품의 디아스포라들은 자본과 노동의 세계화 속에서 이동할 수밖에 없는 트랜스로컬 또는 트랜스내셔널 주체로서 나타나고 있다. 이창래의 작품은 원어민에 의해 타자화되는 디아스포라의 정체성이 ‘타자로의 열림’이라는 과정을 통하여 ‘통합’이 아닌 ‘공존’으로 나아갈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를 통해서 미국이라는 국가적 정체성을 넘어서는 트랜스내셔널한 지향성이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가네시로 가즈키의 작품은 민족-국가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폭력과 차별의 패러다임 자체를 문제 삼고 디아스포라의 자유와 일본인에 대한 디아스포라의 (윤리적) 우위성을 선언한다. 그럼으로써 일본인과 재일 디아스포라의 비대칭성을 전복시키고 트랜스내셔널한 지향성을 제시한다. 최근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세가지 양상은 하나의 민족-국가의 문학으로 영토화하는 민족주의적 기획에 맞선 디아스포라 문학만의 트랜스내셔널한 기획의 현실성을 입증해준다. This paper studied the transnational aspects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appearing as ‘stranger’ of history of literature. The purpose is to be alert of Korean literature history’s territorialization on Korean diaspora literature and to illuminate the directivity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as diaspora literature. Three literary works of America, China and Japan representing the new tendency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are examined. The works are Who Saw the Butterfly’s House by Heo, Ryeon-Sun, GO by Kaneshiro, Kazuki, and Native Speacker by Chang-Rae Lee. Three aspects of transnational imagination in Korean diaspora literature are clarified through analysis of these works. In the work by Heo, Ryeon-Sun, transnational imagination is presented through drifting labor and translocal subject. The tragic ending of Korean diaspora in China who took a smuggler with a fantasy of Korean Dream suggests fantasy is unrealistic and impossible to reach. However, the diaspora in this work are shown as translocal or transnational subjects who have no choice but to migrate within capital and globalization of labor. The work by Chang-Rae Lee shows the possibility of identity of diaspora that is otherized by natives to move towards ‘coexistence’ instead of ‘integration’ through the process of ‘opening towards others.’ Transnational directivity that overcome national identity as America is shown through such process. Lastly, work by Kaneshiro, Kazuki calls paradigm of violence and discrimination done under the name of nation into question and declares diaspora’s (moral) superiority on diaspora’s freedom. Thereby subvert the asymmetry between Japanese and korean diaspora in Japan and suggest transnational directivity. These three aspects in recent Korean diaspora literature proves the reality of diaspora literature’s unique transnational plan against nationalistic plan that territorialize as a single nation lit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이호철의 『서울은 만원이다』 연구

        구재진(Koo, Jaeji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3 외국문학연구 Vol.- No.52

        1960년대는 4.19가 내걸었던 자유와 평등이라는 가치와 5.16이 앞세운 빵과 성장의 대립, 즉 시민적 지향과 자본주의적 성장에 대한 지향이라는 이항대립 속에 놓인 시대였다. 『서울은 만원이다』는 1960년대 서울의 세태를 그림으로써 이러한 이항대립의 향방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본고는 이러한 이항대립을 기초로 하여 『서울은 만원이다』에 나타난 하위계층의 존재양상을 고찰하고 '동정'의 문제를 중심으로 그들의 윤리의식과 집단의식을 분석하였다. 우선 이 작품에서 나타나는 '돈'의 논리를 분석하였다. 인물들은 '돈'을 '빈곤'을 넘어서서 '풍요'로 가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수단으로서 인식하고 그것을 삶의 목적으로 삼고 있다. 그러나 '돈'이 삶의 목적이 되면서 '자유'의 문제, 즉 시민적 지향성의 문제는 유보되거나 배제된다. 이 작품에서 '무작정상경소녀'로 대표되는 하위계층들은 서울의 주변부를 형성하며 살아가고 있다. 주로 임시노동을 하는 그들은 노동의 불확정성과 거주의 불안정성 속에 놓여 있다. 이러한 불안정성으로 인해 그들은 서울에서 '정착'하지 못하고 변두리를 전전한다. 이 작품에서 하위계층은 도시의 중심부에서 배제됨으로써 오히려 도시에 포함되는 위치에 있는 존재로 제시된다. 소설 속에서 이러한 하위계층의 지배적인 감정은 동정과 자기 연민으로 나타난다. 인물들은 모든 죄와 책임을 '난세'의 탓으로 돌리고 행위의 도덕성이나 윤리성을 묻지 않은 채 서로를 동정하고 있다. 동정이 몰가치성을 띄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동정과 자기 연민을 기초로 '우리의식'이 형성된다. 우리와는 다른 그들을 '상상'함으로써 상상적 '우리'를 형성하고 서로를 동정하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우리의식'은 일종의 피해자 의식과 노예도덕으로 귀결된다. 이 작품의 의의는 무엇보다도 1960년대 서울의 하위계층에 주목하여 그들의 모습을 그렸다는 점 자체에 있다. 그러나 하위계층과 그들을 낳은 당대 현실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에 한계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e position and consciousness of subaltern in 1960's Seoul with Seoul is Full written by Lee, Ho-Cheol. In order to achieve such objectivity, this study performed research in two aspects. First of all, this study analyzed logic of money and position of subaltern. In 1960, there was binominal opposition view of directivity. Freedom oriented tendency of 4.19 was come into conflicted with economic growth oriented tendency of 5.16 is conflicted. This work reflected this situation. In this work, Seoul becomes modern city and money becomes everybody's purpose in this city. So economic growth oriented tendency holds lead over freedom oriented tendency. And this work represented subalterns who moved from province to Seoul exist as subaltern whose job is undetermined and whose residence is unstable. Secondly, this study analyzed subaltern's 'we-consciousness'. Most important emotion of characters is sympathy and self-pity in this work. Even though the characters commit immoral or unethical behavior, the characters justify their immorality with sympathy and self-pity. And they ascribe their immorality to the situation of 1960's Seoul rather than take responsibility. In that process, 'we-consciousness' is formed by consciousness of victim of situation. Meanwhile 'imagined we' is composed contrasted with 'imagined they'. So this consciousness results in morality of slave defined by Nietzsche.

      • KCI등재

        이호철의 1960년대 초반 소설에 나타난 4.19와 불안

        구재진(Koo, Jaeji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외국문학연구 Vol.- No.61

        본고의 문제의식은 월남 작가 이호철에게 1960년대 초반의 혁명의 시대, 4.19 와 5.16은 무엇이었는가, 그리고 이호철의 작품에서 4.19에서 5.16을 경유하는 시대는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는가에 있다. 1960년대 혁명의 시대에 대한 이호철의 의식을 해명하기 위해 본고는「용암류」와 「무너앉는 소리」연작을 고찰하였다.「용암류」는 자유를 둘러싼 1950년대의 사회 문화적인 현상인 두 개의 자유와 연관되어 있다. 하나는 개인의 실존적 자유이지만 윤리를 도외시한 방임으로 나아갈 수 있는 위험성을 지닌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정치적, 이념적인 가치로서의 자유이다. 그러나「용암류」는 자유의 문제를 선택의 문제로 제시하고 두 개의 자유가 만날 수 있는 가능성을 봉쇄함으로써 개인에게 부과된 혁명의 당위성만을 제시하게 된다. 이것은 이호철에게 4.19가 아직 판단 유보, 미결정의 역사였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상태는「무너앉는 소리」연작에서도 이어진다. 연작에서 집 안의 가족은 무위와 권태 속에서 속물화되어가고 집 밖은 4.19와 5.16의 소용돌이 속에 놓여 있다.「닳아지는 살들」에서는 이러한 미결정 상태의 혼란과 불안을 ‘꽝 당 꽝 당’하는 쇳소리를 통해서 상징화하고 있다. 이 소리는 1960년대 초반 작가가 겪고 있는 불안을 함축하고 있는데 그것은 전쟁과 피난, 그리고 월남 트라우마의 경험과 관련된다. 결말을 통해서 이호철이 미정형의 불안으로부터 벗어나기를 기대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1960년대 초반 혁명의 시대는 전후 세대 작가이자 월남 작가인 이호철에게 ‘자유’와 ‘민주’의 이념으로 빛나는 시대가 아니라 불안의 시대였다. 이 불안이 단지 한 작가의 개인적인 불안이 아니라 전쟁과 분단이라는 한국의 역사성 속에 놓여 있는 불안이라는 점에 이 작품들과 이호철이라는 작가가 지니는 문학사적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has critical perspective on what the early 1960s, April 19 revolution and May 16 Military Coup meant to Lee, Ho-Cheol as a writer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In order to clarify Lee, Ho-Cheol"s sense on the early 1960s, this study contemplated Volcano and continuation of The Sound of Collapse. Volcano is related with two kinds of freedom which ar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over freedom. One is an individual freedom that holds risk of neglection of ethics and the other is a freedom as a political and ideological value. However, Volcano suggests freedom as a matter of choice, in the end only propos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volution imposed to individual. This implies that April 19 revolution for Lee, Ho-Cheol was a history of judgment reserved. This status continues with continuation of The Sound of Collapse. The family within the continuation becomes materialistic and world outside is swirling by the impact of April 19 revolution and May 16 Military Coup. In Evil Spirits becoming worn, the chaos and horror in such the situation is symbolized as a metallic sound. This sound signifies the anxiety to be related with his trauma about war, refuge and defection. The ending suggests that Lee, Ho-Cheol hopes to escape from anxiety. The laborer in the ending who comes to clean up is similar to the serviceman of May 16 Military Coup who claimed to eradicate the chaos and corruption. The early 1960s were not a time shining with the value of freedom and democracy, but a time of anxiety. Such anxiety is within Korea"s historical background of war and division. It is what brings the meaning of this work and writer Lee Ho-Cheol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본고의 문제의식은 월남 작가 이호철에게 1960년대 초반의 혁명의 시대, 4.19 와 5.16은 무엇이었는가, 그리고 이호철의 작품에서 4.19에서 5.16을 경유하는 시대는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는가에 있다. 1960년대 혁명의 시대에 대한 이호철의 의식을 해명하기 위해 본고는「용암류」와 「무너앉는 소리」연작을 고찰하였다.「용암류」는 자유를 둘러싼 1950년대의 사회 문화적인 현상인 두 개의 자유와 연관되어 있다. 하나는 개인의 실존적 자유이지만 윤리를 도외시한 방임으로 나아갈 수 있는 위험성을 지닌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정치적, 이념적인 가치로서의 자유이다. 그러나「용암류」는 자유의 문제를 선택의 문제로 제시하고 두 개의 자유가 만날 수 있는 가능성을 봉쇄함으로써 개인에게 부과된 혁명의 당위성만을 제시하게 된다. 이것은 이호철에게 4.19가 아직 판단 유보, 미결정의 역사였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상태는「무너앉는 소리」연작에서도 이어진다. 연작에서 집 안의 가족은 무위와 권태 속에서 속물화되어가고 집 밖은 4.19와 5.16의 소용돌이 속에 놓여 있다.「닳아지는 살들」에서는 이러한 미결정 상태의 혼란과 불안을 ‘꽝 당 꽝 당’하는 쇳소리를 통해서 상징화하고 있다. 이 소리는 1960년대 초반 작가가 겪고 있는 불안을 함축하고 있는데 그것은 전쟁과 피난, 그리고 월남 트라우마의 경험과 관련된다. 결말을 통해서 이호철이 미정형의 불안으로부터 벗어나기를 기대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1960년대 초반 혁명의 시대는 전후 세대 작가이자 월남 작가인 이호철에게 ‘자유’와 ‘민주’의 이념으로 빛나는 시대가 아니라 불안의 시대였다. 이 불안이 단지 한 작가의 개인적인 불안이 아니라 전쟁과 분단이라는 한국의 역사성 속에 놓여 있는 불안이라는 점에 이 작품들과 이호철이라는 작가가 지니는 문학사적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has critical perspective on what the early 1960s, April 19 revolution and May 16 Military Coup meant to Lee, Ho-Cheol as a writer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In order to clarify Lee, Ho-Cheol"s sense on the early 1960s, this study contemplated Volcano and continuation of The Sound of Collapse. Volcano is related with two kinds of freedom which ar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over freedom. One is an individual freedom that holds risk of neglection of ethics and the other is a freedom as a political and ideological value. However, Volcano suggests freedom as a matter of choice, in the end only propos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volution imposed to individual. This implies that April 19 revolution for Lee, Ho-Cheol was a history of judgment reserved. This status continues with continuation of The Sound of Collapse. The family within the continuation becomes materialistic and world outside is swirling by the impact of April 19 revolution and May 16 Military Coup. In Evil Spirits becoming worn, the chaos and horror in such the situation is symbolized as a metallic sound. This sound signifies the anxiety to be related with his trauma about war, refuge and defection. The ending suggests that Lee, Ho-Cheol hopes to escape from anxiety. The laborer in the ending who comes to clean up is similar to the serviceman of May 16 Military Coup who claimed to eradicate the chaos and corruption. The early 1960s were not a time shining with the value of freedom and democracy, but a time of anxiety. Such anxiety is within Korea"s historical background of war and division. It is what brings the meaning of this work and writer Lee Ho-Cheol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