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閒情錄』 現傳本에 나타난 문헌의 인용방식과 그 체계

        김은슬 한국서지학회 2009 서지학보 Vol.0 No.33

        許筠(1569-1618)의 ꡔ閒情錄ꡕ은 16類門으로 이루어진 책으로, 類書의 성격을 띠는 책이다. 이 책에는 96종의 책이 인용되었는데, 이는 모두 중국책이다. 그 인용문헌은 類書類나 叢書類의 책을 재인용한 것이 많다. 허균은 유서류․총서류의 책을 인용하여 다른 유서류 저작물인 ꡔ한정록ꡕ을 편찬한 것이다. 현재 남아있는 ꡔ한정록ꡕ의 필사본이 몇 종인지 조사해본 결과, 17종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은 크게 16유문과 附錄로 구성된 것과 16유문 이하로 구성된 것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현재 善本으로 알려진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ꡔ한정록ꡕ(古貴1570-11)은 前者에 속한다. 그러나 16유문과 부록으로 구성된 필사본은 허균이 직접 구성한 체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그 이유는 첫 번째, 규장각 소장본 ꡔ한정록ꡕ(一簑古814.54-Anlg)의 권말 기록에 근거하여 볼 때 16유문과 附錄로 구성된 사본은 후대에 이루어졌음이 밝혀졌다. 두 번째,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ꡔ한정록ꡕ(古貴1570-11)의 부록 내용 일부가 문경새재박물관 소장본 ꡔ한정록ꡕ(유물번호994)의 제 13번째 類門 「玄賞」의 글에 포함되어 있는데, 이 문경새재박물관 소장본은 부록이 구성되기 이전의 자료로 판단된다. 세 번째, 전자의 紙質은 조선후기~대한제국기의 것으로 추정되고 후자의 지질은 그보다 훨씬 전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Hanjeongnok by Heo Kyoon(1569-1618) is a book with a sub-title (Yumun) composed of 16 types of short themes, while featuring the characteristics of books of the same kind. In this book, 96 types of books are quoted, all of which are Chinese. The quoted books are mostly re-quotations of books of the same kind or a series of books. Heo Kyoon complied Hanjeongnok, which is a writing of other books of the same kind by quoting from books of the same kind and a series of book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how many types there are of the currently remaining written texts of Hanjeongnok, it was found that there are 17 types. These may be classified generally into two categories: one is made up of 16 yumun along with an appendix and the other is made up of less than 16 yumun. Hanjeongnok (Gogui 1570-11), which is a known as a rare and precious copy of the book that is kept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belongs to the former category. However, written texts comprising 16 yumun and a appendix are not regarded as being of a system composed directly by Heo Kyoon because, first, a copy composed of 16 yumun and an appendix was discovered to be made in the later period on the basis of a record in the Hanjeongnok (Ilsago 814.54-Anlg), which is a copy kept in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Second, part of the contents of the appendix to Hanjeongnok (Gogui 1570-11), a copy kept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s included in the writing of the 13th book of the same kind, 「Hyeonsang」 of Hanjeongnok (relic No.994), a copy kept in the Mungyeongsaejae Museum, and this copy kept in the Mungyeongsaejae Museum is estimated to have been produced prior to the composition of the appendix. Third, the paper quality of the former is estimated to be of the later Joseon period ~ the Korean Empire period, and that of the latter is estimated to be of a much earlier period.

      • KCI등재

        조선 궁궐 서목에서의 중국 총서 분류(1) - 「奎章總目」 저록 중국 총서를 중심으로 -

        김은슬 한국서지학회 2023 서지학연구 Vol.94 No.-

        Chinese books collected from before King Jeongjo are recorded in the Kyujang Chongmok(奎章總目), and Chinese books collected during King Gojong’s reign are recorded in the Jibokjae-Seojeokmokrok(集玉齋書籍目錄)․Jipkyeongdang-Posoiseomok(緝敬堂曝曬書目). Among the Chinese books, Chinese Ancient Book Series(叢書, Congshu) is a form of book compilation in which two or more works are included under one title by editors with certain compilation intentions. In this paper, I will analyze the classification and meaning of Chinese Ancient Book Series in Kyujang Chongmok, Jipkyeongdang-Posoiseomok in a follow-up paper to examine the change in perception. Among the Chinese books listed in the Jabu(子部) Chongseoryu(叢書類), 「說郛」, 「漢魏叢書」, 「唐宋叢書」, 「稗海」, 「眉公秘笈」, 「津逮秘書」, 「知不足齋叢書」, 7 types of various contained Chinese Ancient Book Series, 「諸子彙函」, 「六子全書」, and 2 types of small classified Chinese Ancient Book Series were analyzed. Cases in which the name of the subject was saved instead of the general statement of expertise and the general signature stored in each category were summarized. 조선의 왕실에서는 필요한 서적을 수집한 후 전각별로 목록을 작성하여 관리해 왔다. 정조 이전부터 수집한 궐내의 중국서는 「奎章總目」에, 고종대에 수집한 중국서는 「集玉齋書籍目錄」․「緝敬堂曝曬書目」 등의 조선 궁궐 서목에 저록되어 있다. 그 중국서 중 叢書는 일정한 편찬 의도를 가진 편집자가 2종 이상의 저작을 하나의 叢名 아래 수록한 서적 편찬의 한 형태이다. 본고에서는 「규장총목」에서의 중국 총서 분류와 그 의미를 분석하고, 후속 논문에서 「집경당포쇄서목」에서의 중국 총서 분류를 분석하여 그 인식 변화를 살피도록 하겠다. 궁궐 서목에서의 중국 총서 분류를 분석하는 이유는 당시 미비했던 총서 분류 체계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그 연원을 살펴야만 현재의 분류를 보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규장총목」 자부 총서류에 저록된 중국 총서 중 종합성 총서인 「說郛」, 「漢魏叢書」, 「唐宋叢書」, 「稗海」, 「眉公秘笈」, 「津逮秘書」, 「知不足齋叢書」 7종, 전문성 총서인 「諸子彙函」, 「六子全書」 2종의 내용과 「규장총목」의 해제를 분석하였다. 각 부류에 저록된 전문성 총서 및 총서명 대신 자목명을 저록한 경우를 개괄하였다. 현전하는 궁궐 서목 중 가장 오래된 궁궐 서목인 「규장총목」에서는 중국 총서를 ‘자부 총서류’에 저록하고 있다. 「규장총목」의 편찬 주체가 총서라는 서적의 편찬 형태를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총서류를 자부의 마지막에 위치시킨 것은 집부 총집류와의 연결성을 고려했다고 분석하였다.

      • KCI등재

        조선 궁궐 장서목록에 저록된 中國 叢書의 목록화에 대한 試論

        김은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3 규장각 Vol.62 No.-

        The ancient books kept in Gyujanggak in Changgyeonggung Palace in Joseon Dynasty were moved from place to place before being transferred to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this process, the arrangement of books wa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Joseon Dynasty. The Chinese Ancient Book Series (叢書, Congshu) contains many books, which are also divided into each books. In this paper, by examining the cases of contained in the Joseon Palace Library Inventory, Jibokjae-Seojeokmokrok(集玉齋書籍目錄) and Jipkyeongdang-Posoiseomok(緝敬堂曝曬書目) , a plan for a catalog of Chinese books was presented. ChossiChongseo(焦氏叢書) is a book owned by the Kyujanggak Institute of Korean Studies, and you can most certainly see the current situation. The original appearance at the time of publication was re-connected through the work of finding and confirming the part where the “Chossi Chongseo” was saved in the west neck of the Joseon Dynasty. The cataloging methodology of the Chinese Ancient Book Series(叢書, Congshu), which is not currently being carried out in the ancient book catalog of Korean libraries, was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ok can be properly identified only when the Series Statement is recorded in both the Chinese General Book and the Memorandum of Understanding. This cataloging method is already being carried out in China, Japa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but has not yet been carried out in Korea. After this, it will be possible to connect the current books with the Joseon Palace Library Inventory. This will enhance the value of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collection and the excellence of the Joseon Palace Library Inventory. Such work should be generally preceded when cataloging Chinese ancient books, and if it is carried out, it will be able to provide more detailed and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book.

      • KCI등재

        규장각 소장 經部 자료 목록․해제 정리사업의 경과(1) - 2018년도 사업결과를 중심으로

        구슬아,우나영,김은슬,서진원,조성열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9 규장각 Vol.54 No.-

        ‘규장각 소장 자료 목록․해제 정리사업’은 규장각 소장 經部 자료의 전수조사와 개별 상세서지조사카드 작성을 통해 『규장각도서한국본종합목록』(수정판, 1994) 및 『규장각도서중국본종합목록』(1982)의 정보 오류, 중복․合帙․누락 사항 등을 전면 수정하고 가칭 『규장각 소장 經部 자료 종합목록』을 발간하는 데 1차 목표를 둔다. 동시에 수정을 긴급히 요하는 기해제도서에 대한 수정과 우선해제대상서에 대한 해제 작성을 통해 규장각 소장 경부 자료의 가치를 제고하고 이용과 관리 양측면에 정확성․전문성을 기하는 데 2차 목표를 둔다. 이 논문에서는 목록 오류 수정의 기준 등 주요 사업 방법을 소개하고 2018년도 사업대상인 詩類․春秋類․禮類․樂類․孝經類․四書類 도서 약 1,200여 건에 대한 상세서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오류 수정의 주요 성과를 제시하였다. 조사 결과 서명․편저자․판사항․발행사항․동판본 및 사부분류 등 주요 항목에서 未詳의 정보를 새롭게 밝혀내거나 정보 오류를 수정하였다. 나아가 규장각 소장 경부 자료의 가치를 발굴하기 위한 심화조사를 새롭게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주요 성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규장각 자료에 국가나 官署 주도의 경서 향유 양상을 드러내는 정보가 많다는 점을 부각하였다. 자료에 기재된 口訣, 諺解 등의 항목을 ‘비고’란에 기술하고 관련 내용을 목록화 하는 한편, 經筵에서 교재로 활용되었음을 증명하는 標識는 심화 조사하여 내용 서지를 대폭 보완하였다. 둘째, 형태서지 및 내용서지에 대한 기술이 미비한 중국본 경부 자료의 특징을 드러낼 수 있는 기술규칙을 수립하고 추후 목록집에 중복 수록을 방지할 수 있는 조사방법을 구체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古刊本, 희귀본 擧業書 등이 규장각에 다수 소장되어 있음을 새롭게 밝히고, 한국본 경부 자료의 底本이 된 중국본 경부 자료의 구체적 활용 양상을 실증하였다. 이와 같은 심화조사 및 목록화를 통해 이용자들을 위한 정확한 서지 정보 제공, 규장각 소장 자료의 효율적 보존 관리 및 활용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