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과 압수ㆍ수색

        구동현 ( Donghyeon Koo ),김윤 ( Yoon Kim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의료·과학기술과 법센터 2016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 Vol.7 No.1

        디지털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행위 입증 증거로서 디지털 데이터의 역할과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으며, 형사소송법 역시 디지털 기술발달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위하여 변화하고 있다. 최근 디지털 증거와 관련하여 형사소송법 일부개정이 있었다. 개정안에 따라 증거능력에 있어서 전문법칙의 예외가 적용될 경우 디지털 증거의 수집과정에 있어서 적법절차의 보장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과 관련하여서 압수ㆍ수색절차의 보완이 필요하다는 점과 그에 대한 전문적이며 정확한 절차와 수단의 확보방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digital data has become crucial evidence of proven practices. The Criminal Procedure Law also has been changed to adapt to the digital technology development. In practice, the Criminal Procedure Law regarding digital evidence was partly revised recently. According to the amendments, the exceptional clause has been employed on the hearsay rule of evidence. In that case, the guarantees of due process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digital evidence will become more important. This paper analyzed the new amendments and found that the supplement of search and seizure procedures is necessary to secure the Admissible Digital Evidence. In addition, the practical measures to ensure the procedures to be professional and precise have been examined.

      • KCI등재

        불교적 敎育과 인간의 心性啓發

        구동현(Koo, Dong Hyeon) 한국불교연구원 2017 불교연구 Vol.47 No.-

        기초적 인성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현대사회의 교육적 현실과 사회적 환경 속에서 종교교육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불교의 인격교육의 이상은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는 지혜를 일깨우는 교육, 세계와 자기가 하나라는 자각에서 발현되는 자비의 실천교육, 어디에도 집착하지 않는 자유로운 마음의 계발교육, 스스로의 힘으로 주체적 자기완성을 추구하는 교육을 실현하려는데 있다. ‘불교적 교육’은 이러한 의미에서 불교이념의 구체적 실천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며 불교교육이 나아가야 할 이정표이기도 하다. 진각종의 정체성은 ‘心印을 밝혀서 敎民化俗’하는 불교이다. 불교교육의 목표가 상구보리·하화중생 이라면 심인교육의 목표는 인격완성·교민화속이 되고, 진각밀교의 입장에서 보면 진각의 실현인 즉신성불·현세정화를 의미한다. 심인교육은 생활 속에서의 수행실천 측면에서 참회의 생활화와 함께 삼밀수행으로 심인을 밝혀나가고, 육 바라밀의 실행 즉 육행실천을 통한 현세정화를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진각종의 교화의 정체성이자 심인교육의 방향으로 ‘불교의 생활화, 생활의 불교화’를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훌륭한 실천적 이론들을 대사회적으로 실현해 나갈 수 있는 대중적 심인교육 프로그램의 연구개발이 없이는 종교 기관으로서의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없고 대중적 불교 종단으로 자리매김 할 수도 없다. 이는 앞으로 심인교육이 풀어 나가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불교인성프로그램은 일반 대중들의 생활에 효율적으로 도움을 주는 차원에서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일상적 스트레스 관리, 감정 조절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 램으로 개발돼야 하고, 심인교육을 진각종의 틀에 묶어두지 말고 또한 불교를 종교라는 틀에 가두지 말고 보편적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심인교육의 場은 바로 천차만별로 染汚되고 병들어 있는 인간의 마음병을 고치는 정신정화의 전당이 되어야하고, 참회와 실천으로써 인격완성을 이루고 현실을 구제하는 무량공덕의 因을 짓는 교화의 場이어야 한다. In the reality of education and the environment of modern society which lacks the fundamental humanity education, the need for religious education is more essential than ever. The idea of personality education in Buddhism is to substantialize the education in order to awaken the wisdom having the people see the thing as it really is; practice the compassion manifested by the self-awareness of oneness between self and others; develop the free mind that does not attach to any object; and pursue the independent self-completion on one’s own. The ‘Buddhistic education’ is absolutely necessary for specific practice of Buddhist ideas, yet also the signpost to which Buddhist education steps forwards. The identity of Jingak Order of Korean Buddhism is ‘converting the secular through teaching the people by means of the enlightenment of Simin[Mind-seal].’ The goal of Buddhist education is ‘seeking bodhi above, and transforming sentient beings below.’ Likewise, the goal of Simin education is to ‘complete one s character and enlighten the people.’ and it signifies ‘attaining enlightenment with this very body and purifying this world from the standpoint of Jingak Esoteric Buddhism. Simin education enlightens the Simin by Three-secret Practice with the living of penitence in terms of daily practice, and underlines the purification of this life through the practice of Six Paramitas(charity, precept, forbearance, endeavor, meditation, and wisdom). The direction of Simin education is namely ‘Daily Life to Buddhism, Buddhism to Daily Life.’ Without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public Simin programs that can realize these great practical theories in a social context, however, Jingak Order cannot form a social consensus as a religious institution, nor can it establish itself as a popular Buddhist sect. The Buddhist personality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the programs that improve learning ability, manage daily stress, and help emotion control in order to give efficient hands to the public daily life. Therefore we need not to bind Simin education to the framework of the Jingak Order. It is also necessary to approach Buddhism from a universal perspective rather than confine it to the frame of religion As a result, the field of Simin education should be the place of spirit purification which cures human s mental disease variously defiled. Besides, it should be the place of edification which is sowing the seed of immeasurable merits through saving the people and completing one s character with practice and repentance.

      • KCI등재

        통계기법을 이용한 도시 하수처리시설의 합리적 소요면적 산정에 관한 연구

        구동현(Donghyun Koo),박노석(No-Suk Park),오정익(Jeong Ik Oh),윤석민(Sukmin Yoon) 대한환경공학회 2020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2 No.3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하 · 폐수처리설의 소요면적, 하부 시설물별 점용비율 및 처리 공법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자료 분석을 통해 합리적인 처리용량-소요면적 산정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러한 방법론을 적용하는 경우 실제 하 · 폐수처리설의 예상 소요면적 절감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국내 지자체에서 건설 및 운영 중인 하 · 폐수처리시설 중 500 m³/day 이상 654개소 자료 및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서 건설한 33개소 자료를 취득하여 총 687개소의 자료를 통계분석 하였다. 그리고 대상 표본 집단 중 LH 에서 건설한 33개소 하 · 폐수처리시설에 대해서는 기능별로 구성 면적을 구분하고 각 시설별 점용비율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및 토의 : 수집된 표본 집단들을 대상으로 처리용량-소요면적 관계식을 개발하고 기존의 연구들과 비교한 결과 관계식의 분포 형태는 분석 표본 집단 차이에 따라 2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었다. 그리고 전국 단위의 표본 집단을 활용한 관계식들의 추정 소요면적이 LH 단위의 표본 집단을 활용한 관계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소요면적을 추정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LH 단위의 표본 집단 분석결과를 활용해 하 · 폐수처리장의 녹지부지 점용비율 및 처리공법 집약화에 따른 예상 소요 면적 감소 효과를 포함한 처리용량-소요면적관계식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A=15.638 ×Q<SUP>0.7414</SUP> ×α×β , 여기서 α는 하 · 폐수처리장 내 녹지부지(녹지를 제외한 시설 면적의 10 ~ 150%)를 고려한 환산계수(α=0.44 ∼1.0)로 정의되며, β는 처리공법에 따른 환산계수로서 MBR/SBR 공법적용 시 0.75, A2O공법 및 관련 변법 적용 시에는 1.0을 적용하게 된다. 결론 : 최근 계획 및 설계단계의 하수처리 시설들은 분산화 및 소규모화 추세에 있으며, 도입되는 하수 고도처리공법이 MBR/SBR과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소요면적을 필요로 하는 공법의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음에 본 연구에서는 계획 및 설계 단계에서부터 적용 가능한 개선된 소요면적 관계식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안한 처리용량-소요면적 추정 방법론을 적용하여 실제 예상 소요 면적 절감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한 결과 최대 약 50~ 60% 정도의 규모에서 소요면적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 In this study, a adjusted sewage & wastewater treatment capacity-required area estimation methodology was proposed through various data analysis for the required area of domestic sewage & wastewater treatment, the occupancy ratio of each sub-facility, and the treatment processing method. In addition, the reduction rate of the required area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adjustment methodology presented in this study was evaluated quantitatively by comparing the actual area with the expected area. Methods :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collecting 654 data of more than 500 m³/day of treatment capacity in domestic sewage &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The 33 sewage &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constructed by the LH sample groups were divided into functional areas and analyzed for occupancy rates by each facility. Results and Discussion : A capacity-required area regression model was developed for the collected each samples. As a result, the distributions of the regression model were divided into two clust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sample differences. It was analyzed that the estimated required area using the local government sample group was estimated to be relatively higher than the LH sample group. In this study, a adjusted capacity-required area model based on regression model derived from LH sample was proposed by considering green site ratio and treatment processing methods in sewage & wastewater treatment pla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A=15.638 ×Q<SUP>0.7414</SUP> ×α×β (α : conversion factor for green site ratio, β : conversion factor for treatment processing method). Conclusions : Recently, th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have been in decentralization and small scale, and the introduction of the advanced treatment method that requires a relatively small area such as MBR or SBR has been accelerating. Consequently, it could be expected that the methodology proposed in this study will save about 50~60% of the required area for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 플래시 메모리 SSD를 이용한 알티베이스 확장 캐시의 구현

        구동현(Koo Dong-hyun),오기환(Oh Gi-hwan),구슬기(Koo Seul-ki),강운학(Kang Woon-hak),이상원(Lee Sang-won) 한국정보과학회 201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8 No.2C

        DB에서 일반적인 연산 중 가장 큰 시간을 소모하는 부분은 I/O 시간이다. 이를 줄이기 위하여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최근 플래시 메모리 SSD가 상용화 되면서 SSD를 이용하여 I/O시간을 줄이기 위한 연구가 진척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메모리와 디스크로 구성된 기존 계층구조에 플래시 메모리 SSD를 추가해서 메모리 버퍼의 확장 캐시로 사용하는 기법을 국산 DBMS인 알티베이스에서 설계 구현 방안을 설명한다. 성능평가 수행 결과 DB사이즈 대비 10%의 SSD를 사용하여 최대 220%의 성능향상을 보였다.

      • 회당(悔堂) 대종사의생애와 진각종 불사의식 차제

        구동현 ( Koo Dong-hyeon )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15 密敎學報 Vol.16 No.-

        진각종에서는 종교적인 체험과 구경성불을 서원으로 主眞言으로 육자진언을 채택하고 있다. 회당은 일종의 복잡하고 과도한 의식 절차를 부정하고 부처님의 근본 가르침인 “상구보리 하화중생”으로의 회귀를 주창했다. “心功”이라는 마음공부를 통하여 “생활불교” “실천 불교”를 강조하였다. 그 결과 진각종의 불사의식 체계는 전래의 전통밀교 의식차제와 비교해서 축약된 구조를 수반하고 일정 부분들은 생략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儀式體系로써, 진 각종의 불사의식 차제는 전체의식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삼밀선정을 중심으로 懺悔文(교리참회, 회향참회, 실천참회)이 실행되는 일련의 대칭의 구조로 되어있다. 다른 전통 밀교의식에서처럼 매우 균형 잡힌 의식체계의 틀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진각종의 儀式體系는 일본의 진언종의 의식이나 티베트의 밀교 의식과는 달리 성직계중심의 의식주의, 맹목적 숭배, 과도한 의식절차를 거부하는 하나의 합리적이고 인본주위적 敎義로써 佛像이나 이미지에 대한 숭배를 거부하는 특이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혁신적인 경향을 보여주고 있는 것은 어느 면에서는 조금은 과도하게 단순화 되어 있고 현대화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밀교수행의 전통 의궤범과 그기에 따른 주석서는 수행자들이, 최소한 근기가 높은 관행자들은, 유롭게 자신의 偏愛에 따라 진언들을 첨가하고 빼고 혹은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는 것이다. 규정된 염송의 수를 늘리고 줄이며 혹은 한 부분을 완전히 생략하기도 한다. 밀교에서의 儀式은 관행자가 자신의 내재된 불성을 직접 경험하는데 방해가 되는 煩惱와 障碍들은 제거하는 것이 목적이다. 儀式자체는 하나의 方便이고 종교 수행이며, 종교생활의 개인적 경험영역을 제공하고 있다. 이것은 신비한 절차가 아니고 하나의 체계적이 고 진취적인 훈련이며 그로 인해 수행가누는 점점 자신에 내재된 불성의 진리를 보고 살 수 있도록 體得하게 된다. 깨달은 자의 입장 에서는 삼라만상 모든 것은 그 자체가 法의 實現이고, 因緣緣起이며, 空인 것이다. The ritual of the Jingak Order proves a particular form of ritual structur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 practice of three-secret contemplation centered on the Six-syllable Mantra. Hoedang denied a sort of complicated or inordinate procedures of rites and advocated a return to fundamental Buddhist teachings: the practice of inner realization and liberation of others, while accentuating “daily life Buddhism” and “practical Buddhism” through a mind―cultivation which is called “mind―study.” As a result, the Jingak ritual involves an abbreviated structure or even skips certain phases. However, it shows a sequential symmetry, as a ritual structure, with repentance liturgies centered on the three-secret contemplation which is most pivotal phase and becomes emphasized by recursive rites. Furthermore, the Jingak ritual, to the contrary of the Shingon, has an idiosyncrasy to disregard or dismiss the Buddhist veneration of images as a rational and humanistic creed that rejects sacerdotal ritualism, idolatry, and inordinate ritual. Likewise, based on his religious experience and hermeneutic approach to the esoteric philosophy, Hoedang organized a new ritual edifice which contains an innovative laity-oriented frame. Meanwhile, we can notice that the Manuals and commentaries agree that practitioners - or at least advanced practitioners - are free to add, subtract, or substitute mantras in accord with their own predilections, to augment or decrease the prescribed number of recitations, or to omit this section entirely. Ritual is employed to clear away the obscurations which stand in the way of directly experiencing one's own true enlightenment nature. Ritual itself is a skillful means and a religious practice as well, and provides individual experiential realm of religious life for the practitioners. This is not a magical procedure, but rather a systematic and progressive training by which one learns to increasingly see and live the truth of one's own inherent enlightenment. For those who become enlightened ones, everything in the universe manifests itself as an actualization of the Dharma, dependent co-origination, and emptiness.

      • OLTP 환경에서의 플래시 SSD 기반 해시 조인 성능에 대한 고찰

        구동현 ( Dong-hyun Koo ),심준 ( Jun-hyeon Sim ),김강년 ( Kang-nyeon Kim ),이상원 ( Sang-won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8 No.1

        OLTP(online transaction processing) 환경은 다수의 사용자의 질의 및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환경으로서 신속하고 정확한 질의 처리가 요구된다. 조인 연산은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자주 처리하게 되는 질의 가운데 하나이며, 그 중에서도 해시 조인은 현재 가장 좋은 성능을 보인다고 알려진 조인 알고리즘이다. 이 논문에서는 직접 해시 조인을 구현하여 읽기 및 쓰기 버퍼의 크기가 제한되었을 때 SSD와 하드디스크에서 해시 조인의 성능을 비교하고, 나아가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여러 개의 조인 연산을 요청했을 때의 상황을 시뮬레이션 하여 SSD에서의 최적화 방안을 생각해본다.

      • KCI등재

        徒弟敎育과 密敎儀式次第비교연구 : 일본 眞言宗과 한국 眞覺宗의 儀式을 중심으로

        구동현(Koo Dong Hyeon) 韓國佛敎硏究院 2016 불교연구 Vol.44 No.-

        십팔도염송차제는 일본 진언종 徒弟養成에서 근본이 되는 기초교육이면서 모든 密敎行法의 근간이 되는 儀式次第이다. 진각종에서는 敎化者와 신교도 및 일반인을 총망라한 가장 근본적이면서 진각밀교의 토대가 될 수 있는 도제양성차원의 기초교육은 다름 아닌 육자진언염송을 중심으로 하는 불사의식차제이다. 이들 두 밀교의식을 비교연구해보는 것은 밀교의식의 이해와 더불어 의식차제에 내재된 종교교육적인 내용을 탐구한다는 측면에서도 의미있는 시도이다. 밀교의식은 하나의 일반적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시작, 중간, 결말이 있다. 중심 국면인 一體化[救援論적으로 가장 중요한 부분]를 중심으로 對稱的인 균형이 잡혀있으며, 다섯 범주[淨化儀式, 法界建設, 本體와의 만남, 一體化, 廻向혹은 內面化]로 체계화 되어있다. 일본 진언종의 십팔도염송차제나 진각종의 육자진언염송 불사의식차제 또한 전형적인 밀교의식의 기본 형태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 체계 를 보여주고 있다. 밀교에서는 의식자체는 하나의 방편이자 종교수행이다. 그리고 관행자의 종교생활의 개인적 경험영역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진각종의 의식체계는 일본의 진언종의 의식과는 달리 성직자중심의 의식주의, 맹목적 숭배, 과도한 의식절차를 거부하는 하나의 합리적이고 인본주위적 敎義로써 佛像이나 이미지에 대한 숭배를 거부하는 특이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밀교의 사상과 삼밀선정 수행의 체계를 대중을 위한 교육적 불사로 받아들임으로써 복잡하고 지나치게 儀式化된 불사의식 체계를 일체대중들이 수행할 수 있도록 현대화하였고 그러면서도 기존의 전통의식체계가 가지고 있는 핵심적 의미를 고스란히 살리고 있다. J hachido nenju kubi shidai (the ritual manual of the eighteen ways of recitation) in Japanese Shingon tradition is the basic education for apprenticeship training, yet is also the root of all esoteric ritual practices which are now dominant on Mount Koya. Likewise, Jingak Order of Korean Buddhism has a ritual process focused on Six-syllable Mantra recitation, which is the basis of Jingak Esotric Buddhism and the most fundamental education in the dimension of apprenticeship covering all priests, followers and the others. It must be a meaningful attempt to study these two esoteric rituals in terms of comprehending ritual practices and researching the religious educational contents embedded in the ritual processes. Rituals have a general structure: a beginning, a middle, and an end. These two rituals show a mirror-image symmetry with the central phase - identification which is soteriologically most pivotal division, and well systematized with five categories which are purification, construction, encounter, identification, and interiorization. The Jingak ritual, to the contrary of the Shingon, has an idiosyncrasy to disregard or dismiss the Buddhist veneration of images as a rational and humanistic creed that rejects sacerdotal ritualism, idolatry, and a sort of complicated or inordinate procedures of rites. Futhermore, it structuralize its ritual to an innovative frame of laity-oriented one and put into shape as a particular form of ritual through embracing esoteric ideology into the\educational Buddhist services for the public. Likewise, the ritual system of the Jingak shows even a reformative disposition which is to a certain extent in excess of simplification or modernization. In Esoteric Buddhism, ritual itself is a skillful means and a religious practice as well, and provides individual experiential realm of religious life for the practitio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