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친환경적 태도-행동 분석 모형 구축을 통한 친환경소비 활성화 방안 연구

        곽소윤 ( So-yoon Kwak ),신정우 ( Jungwoo Shin ),이동현 ( Donghyun Lee ),강선아 ( Suna Kang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사업보고서 Vol.2016 No.-

        친환경 구매 촉진을 위한 정부의 다양한 정책이 수립·추진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친환경소비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친환경 제품에 대해 추가적인 지불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여전히 실천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친환경소비 현황을 진단하고, 친환경적 태도-행동 분석 모형 구축을 통해 친환경소비 확산의 장애요인을 파악하여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새로운 친환경소비 지표를 제안하여 국내 친환경소비 현황을 진단하였으며, 친환경적 태도-행동 분석 모형을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친환경적 태도-행동 분석 모형을 바탕으로 수집된 거시적인 친환경소비 지표 자료와 설문을 통해 수집된 친환경소비 행태에 대한 미시적 자료를 통합하여 친환경적 태도-행동 불일치성이 발생하는 의사결정 단계와 저해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를 완화시키기 위한 정책적 방안들을 도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빅데이터 기반의 검색어 쿼리를 이용한 친환경지표와 기존 지표들 간의 상관관계를 통해 새로운 지표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제안한 친환경소비 지표를 바탕으로 국내외 13개국(한국 포함)의 친환경소비 수준을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의 경우 평균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최근 3년간 친환경소비 수준이 점차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안된 지표를 활용하여 2004년부터 2015년까지 12년간 주요 13개 국가의 친환경소비 수준에 미치는 결정요인들을 파악한 결과, 의료비 지출수준과 65세 이상 인구비중은 친환경소비에 저해요인으로 나타난 반면 초등 이전 교육기간이 길수록, 미래지향적인 사람일수록 친환경소비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전 의사결정 단계의 선택이 그 다음 의사결정 단계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고려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친환경 제품에 대한 태도변화를 인지-관심-구매의사의 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하는 태도-행동 분석 모형을 구축하였다. 친환경 제품을 생활밀착형제품, 가전제품, 친환경자동차의 제품군으로 구분하고 친환경 세제, 무세제 세탁기, 하이브리드/전기 자동차를 각각 제품군별 대표 제품으로 선정하였고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제품별 저해요인/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친환경 세제의 경우, 제품 관점에서 실제 소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존 제품 대신에 친환경 세제를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없다는 제품의 호환성 측면을 강조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체 특성 관점에서는 이용후기 등에 대한 정보와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정보전달 방법보다 친환경 세제 구매행동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특성 관점에서 보면, 헤도닉 혁신성이 높은 소비자들을 타깃으로 한 제품 판매 전략을 수립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세제 세탁기의 경우는 제품 관점에서 실제 소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품의 호환성 측면을 친환경 세제와 동일하게 강조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의 복잡성의 경우는 소비자의 행동 단계에 음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체 특성 관점에서 살펴보면 전문성을 갖춘 정보들이 구매행동을 높이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의 의사결정 단계별 영향을 살펴보면, 소비자들의 인식 단계는 정서 단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정서 단계가 행동 단계에 음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태도-행동 불일치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 자동차의 경우는 제품 관점에서 실제 소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품의 상대적 이점과 호환성에 대한 부분이 강조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체 관점에서는 다양한 정보전달 방법 중에서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오히려 구매행동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특성 관점에서 보면, 기능적 혁신성과 인지적 혁신성이 오히려 전기 자동차 구매행동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의 의사결정 단계별 영향을 살펴보면, 소비자들의 인식 단계는 정서 단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 단계가 행동 단계에서는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태도-행동 분석 모형을 활용한 친환경 제품별 분석결과는 소비자, 제품, 매체의 관점을 고려하여 의사결정 단계의 저해요인들을 파악하였으므로, 향후 해당 관점에서 친환경소비 활성화 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government has been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for promoting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While it was surveyed that consumers have a positive awarenes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and are willing to pay extra for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still only a few have done so. This study aimed to diagnose the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domestic consumption and suggest policy improvements by identifying the obstacles to the spread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To that end, the study diagnosed the current statu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domestic consumption by proposing a new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index, and developed the environmental attitude-behavior model. Using the data gathered from a survey, it identified the decision-making stages with discrepancy between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attitude and behavior occurs and found out the deterrent factors, and derived the policy measures to mitigate the proble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ecured the reliability of the new index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index using the big data-based keyword query and the existing indices.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evel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of 13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based on the proposed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index, South Korea showed an average level, but the level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started to be reduced for the past 3 year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on the determinants that influence the level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of major 13 countries for 12 years from 2004 to 2015 using the proposed index, the level of health care spending and proportion of population of 65 and over citizens were the deterrent factors to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On the other hand, a longer preschool education period and more future-oriented people were identified to be the positive factors to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Second, given the influence of what was chosen in the previous decision making stage on the next decision-making stage, the study developed an attitude-behavior model after dividing the changes in consumer attitude to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into the stages of recognition, interest, and purchasing intention. The study categorized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into the product groups of lifestyle-oriented products, appliance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utomobiles; selected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detergent, detergent-free washing machine and hybrid/electric car as the representative products by product group; and analyzed the deterrent factors/determinants by product after collecting data from a survey. In the case of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detergent, it was necessary to emphasize the compatibility of the product that it is not inconvenient to use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detergent instead of the existing detergent products in order to improve practical consumption behavior from the aspect of the product. When it come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it was helpful to provide reviews and reliable information in order to improve purchase behavior of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detergent rather than other ways to provide information.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umers, it show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product sales strategies that target the consumers with high hedonic innovativeness. In the case of the detergent-free washing machine, it was required to emphasize the aspect of compatibility of the product to the same extent to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detergent to practically improve consumption behavior from the aspect of products. When the products have complicated functions and difficult instructions, the products had negative impacts on the behavior stage of the consumers and the professional information played a positive role in increasing purchase behavior when it come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umers, the consumers with high functional innovativeness tended to have lower purchase behavior on the detergent-free washing machine. In terms of the impacts by decision-making stage of the consumers, the recognition stage did not have impacts on the emotion stage but the emotion stage did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behavior stage, occurring the discrepancy between the attitude and behavior. In the case of the electric cars, it was needed to emphasize the relative advantages and compatibility of the product to practically improve consumption behavior from the aspect of the product. In terms of the impacts by consumers` decision-making stage, the recognition stage of the consumers did not have impacts on the emotion stage while the emotion stage did have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s on the behavior stage. The analysis by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 using the proposed attitude-behavior model identified the deterrent factors of the decision-making stages, given the perspectives of the consumers, products and medium. Therefore, it is expected to use the analyzed results as a basic resource to establish the polices to promote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ption in the future from the applicable perspective.

      • KCI등재

        울산시 수돗물 수질개선의 편익 추정

        곽소윤,유승훈,Kwak, So-Yoon,Yoo, Seung-Hoon 한국수자원학회 201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5 No.1

        본 연구에서는 울산지역의 수돗물 수질 개선에 대한 응답자들의 지불의사액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조건부 가치측정법(CVM)을 활용하되, CVM 연구에서 지켜야하는 다양한 지침을 엄격하게 준수하여 가구조사를 시행하고 1.5경계 양분선택형 스파이크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울산광역시 400개 가구를 대상으로 가구조사를시행하였고 일대일 개별면접을 통해 수돗물 수질개선 프로그램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을 질문하였다. 응답자 중 71.5%가 지불할 의사가 없다고 응답한 것을 고려할 때 스파이크 모형의 적용은 적절하였으며, 분석결과 가구당 월 평균 1,611원의 지불의사액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불의사는 교육 및 소득과 같은 가구 특성변수에 유의하게 영향을 받았다. 이 값을 울산광역시 전체로 확장하면 2011년 6월 기준으로 연간 약 83억 원에 해당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돗물 수질개선이 경제적으로 타당성을 가지는지에 대한 판단을 할 때 편익정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attempts to measure the economic benefits of tap water quality improvement using a specific case study of Ulsan, one of the large cities in Korea. To this end, we apply the contingent valuation (CV) method by employing a one-and-one-half bounded spike dichotomous choice question format. We surveyed a randomly selected sample of 400 households in Ulsan and asked respondents questions in person-toperson interviews about how they would willing to pay for the program. Respondents overall accepted the contingent market and were willing to contribute a significant amount (1,611 won), on average, per household per month. This willingness varie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education level and income. The aggregate value of the program in Ulsan amounts to approximately 8 billion won per year.

      • 2016국민환경의식조사 연구

        곽소윤 ( So-yoon Kwak ),이창훈 ( Chang-hoon Lee ),임용빈 ( Yong-bin Im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초연구보고서 Vol.2016 No.-

        본 연구는 정기적으로 환경 전반에 대한 국민의 의식과 태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획되었으며, 매해 반복되는 기본부문과 당해 연도 정책이슈를 다루는 특별부문으로 구성된 2016년 국민 환경의식조사를 수행하고 환경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2012년부터 시작된 국민환경의식조사의 기본 부문은 환경인식, 환경의식 및 태도, 환경 실천, 환경정책 수요, 삶의 질·지속가능성 부문으로 구성된다. 2016년 조사에서는 기후변화와 미세먼지가 특별 부문의 주제로 선정되었다. 본 설문조사는 전국의 만 19세 이상 69세 이하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전문기관의 방문면접조사를 통해 수행되었다. 환경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로 ‘기후 변화’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왔고,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자연 경관’에 대해 높게 나타났다. 국민의 과반수가 평소 환경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환경보전이 개인에게 중요한 정도는 2015년에 비해 약간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이며 국민의 대다수가 환경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생태주의적 세계관을 나타내는 점수는 2012년 조사 시작 이래 2015년까지 증가해오다 올해 조사 결과에서는 다소 감소하였다. 가장 우려하는 환경문제로는 ‘쓰레기 증가’를 꼽았고, 정보가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환경문제로는 ‘자연자원의 고갈’을 응답하였다. 한편 환경오염 및 훼손에 대한 책임은 일반국민에게 있다고 생각하지만, 환경보전에 대한 책임은 주로 중앙정부에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부문인 기후변화에서는 대부분의 응답자가 기후변화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후변화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로 ‘평균 기온 상승’을 응답하였다. 대다수의 국민이 미세먼지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수준에 대해서는 불만족스러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의 미세먼지 감축 노력에 대해서는 과반수의 국민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은 연속적인 국민환경의식조사 결과에 대한 정보를 통해 국민들의 인식 및 태도를 파악하고, 나아가 조사결과가 다양한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정책의 활용도를 높이는 데에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planned to identify public awareness of and attitudes towards the environment on a regular basis. It conducted the 2016 survey of public attitudes towards the environment, which is consisting of the yearly repetitive basic parts and the special parts discussing issues of the year, and reviewed public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The basic parts of the survey of public attitudes towards the environment that started from 2012 are composed of environmental perception, awareness of and attitudes towards the environment, environmental practice, demands for the environmental policies, and quality of life and sustainability. In the survey in 2016, climate change and particulate matter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e special parts. The survey was carried out on 1,000 men and women aged 19-69 years across the country through a face-to-face interview by a specialized survey agency. The image most associated with the environment was ‘climate change’, and the satisfaction for the environment was high with ‘natural landscape.’ It was identified that the majority of people were interested into the environmental issues in their everyday life. Whil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to individuals slightly dropped from 2015, it was still high and most people was considering that the environment matters. The score of ecological world view had increased to 2015 from 2012 but slightly decreased this year. People chose ‘a rise in garbage’ as their most concerned environmental issue and ‘lacking natural resources’ as an environmental issue that they did not have enough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people thought that the public was responsible for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amages but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be held accountable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In the special parts about climate change,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aware of climate change and answered that the image most associated with climate change was ‘average temperature rise’ It was figured out that most of the people were interested in particulate matter but dissatisfied with the level of particulate matter in South Korea. In addition, the majority of people thought that the government’s efforts to reducing particulate matter were not enough. It is expected to identify public awareness of and attitudes towards the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nual survey of public attitudes towards the environment, and that the results can contribute to making policies as a fundamental data for various analys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소프트웨어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이주석(Joo-Suk Lee),곽소윤(So-Yoon Kwak) 한국산업경제학회 2012 산업경제연구 Vol.25 No.5

        소프트웨어 산업은 대표적인 고부가가치형 지식산업으로서 향후 우리 경제를 이끌어갈 지식정보화 시대의 주요 분야로 여겨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산업이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역할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미국·일본·영국과 같은 선진국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투입산출분석을 적용하되, 외생화기법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 산업이 타 산업에 미치는 순수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도출하고, 수요유도형 모형뿐만 아니라 공급유도형 모형 및 레온티에프 모형을 통해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공급지장효과, 물가파급효과, 산업 간 연쇄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프트웨어 산업에서의 1원 생산 증가는 타 산업에서 0.5342원의 생산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총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0.9267원으로 나타났다. 소프트웨어 산업의 산출액 1원 감소에 의해 타 부분에 발생하는 생산감소분은 0.5357원으로 나타났고, 물가파급효과는 0.0558% 수준이었으며 소프트웨어 산업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는 모두 1보다 작은 값이었다. 한편, 미국, 일본, 영국의 소프트웨어 산업의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공급지장효과, 물가파급효과를 도출하여 우리나라의 수치와 비교 분석하였다. 우리나라는 모든 항목에서 다른 국가에 비해 낮은 수치를 보였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산업의 성장시 타 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클 수 있도록 하는 전략적인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The software industry as the high value-added knowledge-based industries is regarded as the main industry to lead a future knowledge and information economy. To identify and to quantify the software industry"s role in the national economy, this study applied input-output analysis and compared with that of the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Japan and the UK. According to the results, 1 Korean won increase of software industry induced to increase 0.5342 Korean won in other industries’ production and to win 0.9267 Korean won in total value-added effect. In addition, the influential factors and the sensitivity factors were smaller than 1. In addition, the economic effect of software in Korea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United States, Japan and the UK.

      • 화학사고의 경제적 손실 추정을 위한 방법론 진단 및 선정 방안 연구 - 인적·생태적 피해액 추정을 중심으로

        서양원 ( Yang-won Suh ),곽소윤 ( So-yoon Kwak ),김진산 ( Jin-san Kim ) 한국환경연구원 2016 수시연구보고서 Vol.2016 No.-

        국내 화학사고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로 이로 인한 인명, 환경 및 재산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2015년 9월부터 화학사고 영향조사의 근거 법령 및 지침이 시행되고 있으나 실제로 피해액 산정이 가능한 항목은 매우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피해액 산정 방법이나 절차 또한 구체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못해 별도의 산정 지침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시장가격 및 단가 등 관련 정보 획득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물적 피해와 달리 인적·생태적 피해의 경우 적합한 피해액 추정 기법 및 원단위 정보 선정·생산을 위한 기반 연구 수행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인적·생태적 피해액 추정 대상을 제안하였고 피해액 추정 시 활용 가능한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향후 피해액 추정에 관한 연구 추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국내외 화학사고 관련 지침 및 연구를 통해 지침과 관련 연구에서 피해 조사 대상으로 선정된 항목을 검토하였다. 또한 국내외 화학사고 사례 분석을 통해 실제 화학사고 발생시 피해 조사 대상이 되었던 항목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인체는 피해 유형을 육체적 피해, 정신적 피해, 사망 및 부상으로 분류하였고 육체적 및 정신적 피해 항목에 대한 하위분류로는 실제 사례가 존재하는 증상과 화학사고 발생 가능한 증상으로 나누었다. 사망과 부상은 의사 진단에 의해 상대적으로 쉽게 피해 판정이 가능한 반면 여타 항목은 피해액 추정이 필요하나 인과관계 증명이 쉽지 않은 경우가 적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일부 항목은 중장기적인 방법론 연구 및 자료 확보가 필요할 것이다. 생태 피해는 동물, 식물, 기타 생물, 식생 및 비오톱 등을 피해액 추정 대상 후보로 검토하였다. 이중 동물과 식물의 법정보호종 및 지표종 등 일부 종과, 법정보호종인 기타 생물이 추정 필요 항목으로 제안되었고 개체별 가치 추정이 어려운 경우를 감안하여 전국적 등급 자료가 존재하여 단위면적(지역)에 대한 가치 평가가 상대적으로 용이한 식생을 피해액 추정 필요 항목으로 제안하였다. 비오톱 또한 일정 단위 당 피해액 평가가 가능할 수 있으나 전국적인 관련 등급자료 미흡 및 방법론에 대한 추가 연구 등이 필요해 추정 필요 항목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피해 유형 및 특성별로 적용 가능한 피해액 추정 방법론을 살펴보았다. 물적 피해에 비해 인과관계 증명 및 피해 판정이 용이하지 않고, 관련 시장이 존재하지 않기에 피해액의 추정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단위가치 자료가 부족하다는 특징을 반영하여 추정과정에서 활용 가능한 방법론의 종류 및 특성에 대해 검토하였고, 언급된 방법론을 활용하여 피해액을 추정한 선행연구 사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또한 피해액 추정 방법론의 제안 및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제시된 방법론들 중 다양한 유형의 비시장재화에 널리 활용되어온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활용해 산림피해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화학사고로 인한 산림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지불의사금액을 추정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 대한 활용방안을 살펴보기 위하여 화학사고 발생 시 피해액 추정 가상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이에 설문조사 결과를 적용한 후 보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인체·생태피해액 추정 방법론 선정 및 관련 기반의 마련을 위한 연구 추진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number of accidents caused by chemical substances is on the rise every year, continuing to cause the cost of lives as well as inflicting damage on property and the environment. Legislation was enacted in September 2015 to enable cost estimations for chemical accidents. However, it stipulates cost estimation for a very limited range of items and it fails to define a specific procedure for estimating costs. As such, there is an urgent need to establish a dedicated guideline for cost estimation with regard to chemical accidents. In particular, unlike property, for which costs can be evaluated much easier with available market values and unit values, research must be undertaken to lay the foundation for identifying and defining cost estimation methods in addition to unit cost information appropriate for human health and ecological damages. This research, therefore, identifies items to be evaluated in terms of human health and ecological cost, and reviews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different cost estimation methods. In doing so, this research aims to set the future direction for research into cost estimation. First, this study reviews various guidelines and studies found in Korea and abroad for chemical accidents in order to examine some of the targets identified in those guidelines and studies as assessment items in chemical accidents. This study also studies chemical accident cases that have occurred in Korea and overseas to find and identify items that were actually investigated in those incidents. Then, for physical damages, this research categorizes damage into bodily harm, mental harm, death and injury. Bodily and mental harm is subdivided into symptoms that were found after actual chemical accidents, and those that could potentially occur. Although death and injury can be assessed more readily, there is a need to find another way to assess damages associated with other items. Given the difficulty of proving causality for some of those items, there is a need to collect more data and conduct mid- to long-term research into the methodology of assessing those items. For damages to the ecosystem, this paper reviews items such as animals, plants, other organisms, vegetables, and biotopes as factors that can be used during cost estimations. Among animals and plants, this study suggests a few select species such as legally protected species and indicator species as well as a few other species as necessary items when assessing any damages caused. For cases where it is difficult to assess the value of each individual plant, this study recommends using vegetation that is relatively easier to assess the value of by unit area (region) based on data for nationwide groupings of vegetation. As for biotopes, although cost estimation is possible for specific units, this study excludes biotopes from the list of items that need assessment due to the lack of relevant national-level data and the need for additional studies on methodology. This study also looks at cost estimation methods that can be implemented for different damages and characteristics. Unlike damage on property, it is difficult to prove causality and assess damage in cases of damages on human health and the ecosystem. In addition, there is insufficient information on unit value that can be used directly in estimating those costs due to the fact that there is no relevant market. As such, this study reviews the different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methods that can be used in cost estimation. It also looks at previous research that uses such methods to estimate damages. Furthermore, among the methods recommended to estimate costs and to review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them, this paper uses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s that had been used for various non-market goods to conduct a survey on damages to forests. By doing so, this research aims to estimate the willingness to pay for preventing damages to forests caused by chemical accidents. In order to explore ways to utilize such results, this study creates a virtual scenario of estimating costs from a chemical accident, and applies survey results to the scenario to deduce implica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 study. Finally, this paper recommends a future direction for research to prepare the foundation for identifying methods to assess costs to human health and the ecosystem.

      • KCI등재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일본 방송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민용식(Yong Sik Min),임응순(Eung Soon Lim),곽소윤(So Yoon Kwak) 한국아시아학회 2008 아시아연구 Vol.10 No.3

        본 논문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일본 방송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살펴본다. 아울러 공급유도형 모형 및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을 적용하여 방송산업의 공급지장효과 및 물가파급효과를 살펴본다. 이러한 분석은 모두 방송산업을 내생부문이 아닌 외생부문으로 다룸으로써 방송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방송산업의 1엔 생산은 타 산업의 생산을 0.9653엔 만큼 유발하며, 타 산업의 부가가치를 0.5323엔 만큼 유발한다. 한편 방송산업에서 1엔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할 때, 타 산업에서는 1.7383엔의 생산차질이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방송산업 산출물의 가격이 10% 상승했을 때, 국민경제 전체에 미치는 물가파급효과는 0.5596%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conomic impacts of broadcasting industry in Japan using an inter-industry analysis.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s production-inducing effect and value added inducing effect of the broadcasting industry in Japan based on demand-driven model. Moreover, the study deals with supply shortage effect and sectoral price effect by using supply-driven model and Leontief price model, respectively, which have been rarely used. These analyses pay particular and close attention to the broadcasting industry of Japan by taking it as exogenous rather than endogenous. Some interesting findings emerge from the study. First, the production of 1.0 yen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in Japan induces the production of 0.9653 yen and the value-added of 0.5323 yen in other industries. Second, the supply shortage of 1.0 yen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in Japan disables other industries to produce 1.7383 yen. Finally, an increase of 10% in price level of the broadcasting industry in Japan raises the overall price level by 0.559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