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젠탱글 활용 미술치료가 평생교육센터 이용 발달장애인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공마리아(Maria Kong),곽봉철(Bong-Cheol Kwak),김준수(Joon-Soo Kim),정여진(Yeo-Jin Jeo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9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센터 이용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잰탱글 활용 미술치료가 발달장애인의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K시 D대내 평생교육센터 이용 발달장애인 19명으로 실험집단인 젠탱글 활용 미술치료 집단에 9명, 통제집단 대상자가 10명 배정하였다. 연구도구는 실험집단의 경우, 3.5X3.5인치의 종이카드, 다양한 색상의 데코마카, 젠탱글 시범카드를 준비하였으며, 효과 측정도구로는 주의력 및 뇌파 측정을 위한 FAIR검사와 MindwaveMobile (MWM)기기를 사용하였다. 2018년 10월부터 12월까지 회기당 30분씩, 총 15회기동안 프로그램을 진행한 결과, 통제집단에 비해 젠탱글 활용 미술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에서 주의집중력이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effect of using Zentangle art therapy on improving the attention spa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Lifelong Education Center. The 29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Lifelong Education Center of D-University in K-city were the subjects to reach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Nine of the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f the Zentangle art therapy, ten to the control group. As for the study tools, 3.5x3.5 inch paper card, various colors of Deco Markers, and Zentangle card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FAIR and MindWaveMobile (MWM) were us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The twelve 30-minute sessions of the program, held from October to December in 2018, has shown the result that the attention span improved on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the Zentangle art therapy.

      • KCI등재

        뉴로피드백 활용 기능성 게임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공마리아(Maria Kong),이미란(Miran Lee)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20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4 No.1

        본 연구는 뉴로피드백이 지적장애청소년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지적장애청소년 7명을 대상으로 인지능력 증진을 위해 개발한 MiND-RACE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험했다. 프로그램 실시 전 K-WISC-IV를 이용하여 지능지수를 확인하고, 프로그램 종료 후 K-WISC-IV 지능검사를 재 실시하여 사전, 사후 지능지수 점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인지 훈련에서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뉴로피드백 훈련을 받기 전과 후의 추정 IQ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다(Z=-1.99, p<.01). 이러한 결과는 뉴로피드백 훈련이 지적장애청소년의 인지능력 증진에 효과적임을 입증한다. In this paper, the effect of the Neurofeedback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youth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was examined. The research tool used in this study is MiND RACER program of MiNDERS Inc. which is a Neurofeedback program for cognitive improvement.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total of seven teenag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efore the MiND RACER program was conducted, the IQ (intelligence quotient) of subjects was checked with K-WISC-IV, and after the program, the K-WISC-IV was conducted again and it was compared with the prechecked K-WISC-IV IQ. In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in cognitive training, it is prov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stimated IQ of before and after the Neurofeedback training(Z=-1.99, p<.01). The research has verified that Neurofeedback train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ognitive ability of youth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특수교육에서 STEAM 활용 진로ㆍ직업교육을 위한 전공과 교사들의 인식조사연구

        공마리아 ( Kong Maria ),이미숙 ( Lee Mi Su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4

        본 연구는 특수교육에서 STEAM 활용 진로ㆍ직업교육을 위한 전공과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연구대상자는 전국 특수학교 전공과에서 진로ㆍ직업교육을 맡고 있는 교사들 5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는 연구대상의 명목형 척도 설문들에 대해 빈도분석을, 다중응답 문항은 다중응답빈도분석을 실시하여 전공과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특수학교 전공과 교사들 대부분이 생각하는 진로ㆍ직업교육의 목표는 진로태도 및 직업준비이며, 진로ㆍ직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의 필요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이의 주도적인 역할은 특수교사가 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TEAM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에서 응답교사의 과반수이상이 STEAM 교육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TEAM 교육이 장애학생들의 진로ㆍ직업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예술이 장애학생들이 흥미를 보이고 접근하기 쉽기 때문에 미술중심의 STEAM 유형이 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the majoring course teachers for CareerㆍVocational Education using STEAM in the special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89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CareerㆍVocational Education in the majoring course at the special school in korea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em.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the Frequency Analysis was utilized on the questionnaire items of the Nominal Scale which is the free-answer method of the study subjects. The Rank Questions were also performed by the Frequency of Multiple Response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the majoring course teach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oal of CareerㆍVocational Education that the most majoring course teachers in the special schools thought was career attitude and job preparation.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CareerㆍVocational Education Program are also important, and the role of the special school teachers should play a leading role. Second, it was found in the teacher awareness survey on STEAM education, that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ing teachers ware aware of STEAM education and thought to be helpful for CareerㆍVocational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they considered the STEAM-centered CareerㆍVocational Education Program to be necessary and the art-centered STEAM type to be most suitable because arts were interesting and accessible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소집단 미술치료가 경도지적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여진 ( Yeo Jin Gong ),공마리아 ( Maria Kong ),최은영 ( Eun Yeong Choi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소집단미술치료가 경도지적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경상북도 A시의 초등학교 2∼3학년으로 지적장애 3급 판정을 받았으며 교사가 사회적 기술에 문제가 있다고 추천한 아동 가운데, SSRC 22점에서 33점 사이, 중요도 30이상이며 보호자가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아동 3명이다. 소집단 미술치료는 주 3회씩 총 24회기로 한 회기당 60분간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 추후 검사에 Gresham과 Elliott(1990)가 개발하고 김향지(1996)가 수정 및 번안한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검사를 사용하여 경도지적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자유놀이시간에서의 대상아동들의 사회적 기 술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주연경(2005)이 사용한 사회적 기술 행동 관찰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행동관찰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소집단 미 술치료는 경도지적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how small-group art therapy affects the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wo boys and one girl who are in the Second-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A city. They were diagnosed with level-3 mild mental retardation and also received a SSRS (Social Skills Rating System) score between 22 and 33 and above 30 frequency. The researcher conducted a prior, concluding, and follow-up test based on the SSRS developed by Gresham and Elliott (1990), revised and translated by Hyang-ji Kim(1996) in order to evaluate the subjects’ social skills. The researcher set the baseline after 3 observation periods prior to the therapy and observed and video-taped the children as they used the play materials for a 20-minute period of free pla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the following: The results of the Social Skills Rating System(SSRS), in which a prior, concluding, and follow-up test were conducted, showed increased scores in all subordinate aspects of social skills, such as cooperation, assertion, or self-control. The observation of behavior during free-play sessions throughout the baseline, beginning, middle, and ending periods indicated a general increase in the subordinate aspects of social skills, even though the frequency varied depending on the social skill.

      • KCI등재

        우울 · 불안 아동 · 청소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김지은(Jee-Eun Kim),공마리아(Maria Kong),이은주(Eun-joo Lee) 한국미술치료학회 2023 美術治療硏究 Vol.3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불안 감소를 위한 아동․청소년대상 집단미술치료에 대한 효과크기를 산출하고 중재변인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여 심리지원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2년 12월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중 우울과 불안, 아동․청소년을 종속변인으로, 집단미술치료를 중재방법으로 설정한 논문 33편을 최종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무선 효과 모형을 적용하여 개별 연구의 평균 효과크기를 산출하고 메타 ANOVA를 시행하여 세부적인 변수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수집한 논문의 출간 오류를 확인하기 위하여 Funnel Plo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우울․불안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ES)는 1.65로 높은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둘째, 종속변인에서 우울의 경우 효과크기(ES)가 1.77로, 불안의 경우 효과크기(ES)가 1.50으로 모두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종속변인 별 효과 차이는 있는 것(Q=0.56, p=0.45)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는 연령, 대상유형, 대상자 수, 주당운영 횟수, 1회기당 운영시간에 따른 효과차이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aims to calculate the effect size of group art therapy on reducing depression and anxiet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analyzing 33 papers published in Korea between 2000 and December 2022, which focused on depression and anxiety as dependent variables, children and adolescents as participants, and group art therapy as the intervention method in thesis and academic journals. The random-effects model was applied to calculate the average effect size of individual studies, and meta-ANOVA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pecific variables. Additionally, Funnel Plots were utilized to verify publication bias in the collected pap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ES) for group art therapy program targeting depression and anxiety was 1.65, indicating a high effect size. Second, for the dependent variable, the effect size (ES) for depression was 1.77, and for anxiety, it was 1.50, both showing high effect size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dependent variable (Q=0.56, p=0.45). Third, the effect size of moderating variable were significant based on age, target type, number of participants, number of sessions per week, and duration of each sess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의미치료 기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도지화(Do Ji-Hwa),공마리아(Kong Maria) 한국미술치료학회 2020 美術治療硏究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의미치료 기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노인들의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D시 노인복지관이용 65세 이상 노인 21명으로,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1명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주2회로 회기당 90분씩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삶의 의미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혼합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양적분석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t-test를 실시하고 프로그램 효과는 반복측정변량 분석을 하였다. 질적 분석은 실험집단의 회기별 삶의 의미 변화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Prochaska와 DiClemente(1983)가 개발한 초이론적 모델(Trans-theoretical Model, TTM)을 통해 변화 과정을 분석한 결과 노인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노인들의 삶의 의미에 효과가 있었으며, 그 효과가 지속되었다. 질적 분석 결과 전인식 단계에서는 ‘삶의 회상’ 및 ‘표현 거부하기’ 인식단계에서 ‘자신의 삶을 수용’, ‘인정하려는 노력의 변화, 준비단계에서는 ‘자신의 삶의 의미 수용’이 이루어졌다. 행동단계에서는 ‘변화를 위한 시도’, ‘구체적인 목표세우기’, 유지단계에서는 자신의 삶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를 유지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semantic therapy-based collective art therapy program on the meaning of life among the elderly. The study targets 21 senior citizens aged 65 or older at D-city welfare centers; 10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s and 11 to the control group. The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6 weeks a total of 12 sessions, 90 minutes per session. The research tool was a measure of the meaning in life,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via a mixed analysis method. Quantitative analysis involved performing a t-test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he program effect was analyzed for repeat measurement variables. The qualitative analysis utilized the trans-theoretical Model(TTM), developed by Prochaska and DiClemente (1983), to analyze the process of changing the meaning of life via the session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The elderly group art therapy program effectively changed the meaning of life among the elderly, and its effect persisted. The qualitative analysis specifically showed that “adaptation of one’s own life”, “recovery of life”, and “refuse to express oneself” occurred among the elderly’ in the recognition stage, and the “change in the efforts to acknowledge”, and “accept the meaning of one’ life occurred in the preparatory stage” Therefore, it has been shown that the elderly maintain positive changes in their lives vai progressive stages, such as “trying to change”, “setting specific goals” and “maintenance.”

      • KCI등재

        PATHS 기반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윤지민(Yoon Ji-Min),공마리아(Kong Maria) 한국미술치료학회 2022 美術治療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PATHS 기반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J시에 소재한 M어린이집과 C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22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1명, 통제집단을 11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2019년 9월 16일부터 11월 1일까지 주 2∼3회, 사전 사후 검사를 제외한 총 17회기로 매 회기 50분씩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한 연구도구는 이혜원(2005)이 개발한 교사용 사회적 유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하여 t검증을 하였고, 효과검증을 위해 사전-사후-추후 점수를 이용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d ANOVA)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결과, 사회적 유능감은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그 효과는 지속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PATHS 기반 집단미술치료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roblem Adaptation Therapy (PATHS)-based collective art therapy on the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were selected as those who were 5 years old and had been attending M or C nursery in J city. Each of the 11 young children was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s. For the experimental group, PATHS-based collective art therapy was administered from September 16 to November 1, 2019; therapy consisted of two to three sessions a week for a total of 17 sessions, excluding the pre-and post-examinations, for 50 minutes each session. The Development of a Social Competence Rating Scale for Young Children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which was developed by Hyewon Lee et al. (2005).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peated-measures ANOVA was performed with the pre-test sco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ATHS-based collective art therapy positively affected on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and the effect was sustained.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on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ddressed.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청소년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박혜정 ( Park Hye Jung ),공마리아 ( Kong Maria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U시 A고등학교 내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청소년들 가운데 부모 및 당사자가 본 연구 목적 및 프로그램 참여 동의서를 제출한 청소년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6명씩 배치하였다. 2017년 6월에서 2017년 8월까지 U시 A고등학교 내 방과 후 교실에서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지적장애 청소년 대상에 맞게 재구성한 자기표현능력검사와 미술적 자기표현능력평가를 사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총 12회기로 주 1회, 90분씩 진행하였으며, 자료처리는 비모수 검정을 통한 두 집단 간 동질성 검증을 실시했으며, 프로그램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으로 집단의 사전・사후・추후 점수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지적장애청소년의 자기표현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지적장애청소년의 미술적 자기표현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가 지적장애청소년의 자기표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xpression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subjects of the study, students who had been attending the class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in A high school in U city and whose parents had submitted the agreement of participation for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after-school classroom in A high school from June 2017 to August 2017. The measuring instruments were the Self-Directed Assertiveness Scale and art self-expression ability evaluation which was restructured to suit the mentally handicapped youth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progressed for 90minutes once a week and consisted of total 12sessions. The homogeneity of two groups was verified by nonparametric statistical test. Moreover, pre, post and follow-up scores of the group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Wilcoxon signed rank tes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Here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group art therap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xpression ability and sub-factors which are content element, phonetic element and behavior element of students who have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group art therapy has been demonstrated that it has positive impacts on artistic expression about given topic, color, form and crea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oup art therapy has positive effects on self-expression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동화활용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임진솔(Lim Jin-Sol),공마리아(Kong Maria) 한국미술치료학회 2019 美術治療硏究 Vol.26 No.5

        본 연구는 동화활용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U 시에 소재하는 어린이집의 7세(만 5세) 유아들 가운데 사회적 유능감이 낮은 유아 2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통제집단에 각 10명씩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은 2018년 4월 3일부터 5월 10일까지 주 2회씩 사전․사후 검사를 제외한 총 12회기로 매회기 60분씩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이혜원(2005)이 개발한 교사용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검사를 사전․사후평가에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먼저, 독립표본 t-test를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하였으며,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전체 사회 유능감과 각 하위요인에 대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동화활용 집단미술치료는 유아의 전체 사회적 유능감과 하위영역인 사회적 규범 이해, 정서성, 정서조절, 또래관계기술에 긍정적인 효과가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화활용 집단미술치료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using fairy tales on the social achievement goals for preschoolers. This study involved 7-year-old children at a child care center located in U city. 20 children with low social achievement goals we reselected with 10 placed into. each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into the control group.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treatments for 60 minutes each time, twice a week, from April 3, 2018, to May 10, 2018, for a total 12 sessions, not counting the pretest and posttest. Hyewon Lee’s test of the social achievement goals for preschoolers(2005) was used at pre and posttest, and SPSS Version 21.0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Equivalence was verified for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by doing independent sample t-tests. Furthermore, Repeated Measure ANOVA was performed and confirmed the program s effectiveness through the pre and posttests regarding overall social achievement goal levels and sub-factors in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group art therapy using fairy tales produced an effect on the social achievement goals of preschoolers, as well as the subareas of emotionality, emotional regulation, peer relational skills, and social norms understanding. Thus, this study suggested that group art therapy using fairy tales has an positive influence on the social achievement goals of preschoolers.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의 또래관계 향상을 위한 협동작업 중심 집단미술치료 사례 연구

        이유미 ( Lee Yu Mi ),공마리아 ( Kong Maria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또래관계에 어려움이 있는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협동작업 중심 집단미술치료가 또래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B시의 G사회서비스센터의 게시판에 초등학교 저학년 가운데 또래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호소하고 있는 아동 모집공고 게시 후 참여 동의서를 제출한 6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은 2020년 10월 2일부터 11월 7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주 2회, 매 회기 60분씩,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측정을 위해 사용된 연구 도구는 조영준(2012)이 초등학교 저학년에 맞춰 수정·보완한 또래관계 검사와 학교 생활화(KSD)를 사전·사후 검사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첫째, 또래관계 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또래관계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양적 분석하였다. 둘째, 학교 생활화(KSD)의 사전·사후 그림을 비교하여 또래관계 변화를 그림 분석하였다. 셋째, 전체 프로그램 진행 과정의 축어록 및 회기별 일지를 작성한 것을 참고하여 또래관계 변화 과정을 질적 분석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협동작업 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교 저학년의 또래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효과성을 입증하였으며, 초등학교 저학년의 또래관계 향상을 위한 실증적 자료로서 의미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operative work-oriented group art therapy on peer relations improvement for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ho have difficulty in peer relations. The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of 6 students who submitted a consent form after posting a notice on the bulletin board of the G social service center in city B for children who complained of difficulties in peer relationships among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program was held from October 2nd to November 7th, 2020, and a total of 12 session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and 60 minutes each session. The research tools us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were peer relations tests and school life (KS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Cho Young-joon (2012) for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For data processing, First, peer relations tests were conducted in advance and after, and the effect on peer relations improvement was quantitatively analyzed. Second, the change in peer relations was analyzed by comparing the pre- and post-pictures of school life (KSD). Third, the process of changing peer relations was qualitatively analyzed by referring to the writing of the axe book and diary for each session of the entire program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proved the effectiveness of cooperative work-oriented group art therapy that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peer relations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is meaningful as an empirical data for improving peer relations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