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식물명 자단紫檀과 백단白檀에관한 고찰

        공광성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true nature of classic plants, Red Sandal Wood and White Sandal Wood in the ancient documents of Korea. The record of Red Sandal Wood and White Sandal Wood still remains in the various ancient documents of Korea such as annals or 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etc, but specifically which plants are referred to as Red Sandal Wood and White Sandal Wood is not uncovered yet. In fact, currently in China, Red Sandal Wood and White Sandal Wood have been defined as one of tropical plants grown in the Southeast Asia. However, this is just based on the ancient documents of China such as medicinal herb study, so it’s very likely that Red Sandal Wood and White Sandal Wood written in ancient documents of Korea will be different. This is based on the record of 『Sejong Geography Book』 that Red Sandal Wood and White Sandal Wood are grown in the specific area of Korea. That‘s because it is impossible for tropical plants to have been grown in the climate of Korea considering the technology back then. Therefore, chances are Red Sandal Wood and White Sandal Wood of Korea will different from those defined in the China. If Korea imported Red Sandal Wood and White Sandal Wood at that time, they could be the same plants as those defined in China, but if they were grown and produced in Korea, we can safely say it will definitely mean different plants. However, sometimes there are cases that people make mistakes by interpreting Red Sandal Wood and White Sandal Wood of ancient document of Korea based on definition of China without being aware of this fact. I look forward to rectifying these mistakes through this study.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고문헌에 보이는 식물명 자단과 백단의 실체를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 실록이나 문집 등 우리나라 여러 고문헌에서 자단과 백단을 이용한 기록이 다수 남아있지만, 자단과 백단이 구체적으로 어떤 식물을 이르는 것인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현재 중국에서는 자단과 백단을 동남아 지역에서 자라는 열대식물 중 하나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중국 본초서 등의 문헌에 보이는 내용을 기준으로 정의된 것으로, 우리나라 문헌에 보이는 자단과 백단과는 다를 가능성이 높다. 이점은 『세종실록지리지』에서 우리나라 특정 지역에 자단과 백단이 산출된다고 한 기록을 그 근거로 삼을 수 있는데, 열대식물은 당시의 기술로는 우리나라 기후에서 재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나라에서 자단과 백단이라 함은 중국에서 정의하는 것과는 다를 것이다. 당시 우리나라에서 자단과 백단을 수입한 경우라면 중국에서 규정하는 식물과 일치할 수 있겠지만, 우리나라에서 자라고 생산되는 것이라면 분명 다른 식물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중국에서 규정한 내용만으로 우리나라 문헌에 보이는 자단과 백단을 해석하여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이러한 오류가 바로잡아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고전식물명 '회(檜)'에 관한 고찰

        공광성,Kong, Kwang-Sung 국립문화재연구원 2016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9 No.4

        The observation of the classic plant name 'Hwe', that is to be discussed in this thesis, must be primarily conducted in folk plant research made through old documents. Diverse information such as the characteristics, method of use, and distribution of plants is scattered in old documents. However, reviews of classic plant names should be made to use such information. This is because information on plants can only be used after thorough verifications are made of the plant names. 'Hwe' is interpreted as various meanings in Korea but it is mostly used to mean fir, old pine tree, and cypress. However, it is not known by what standards such interpretations have been made. In particular, 'Hwe' is interpreted at the discretion of the translator in classic translations, so direct quotations from these lead to further errors. Therefore, items in classic plant names must be reviewed again. Why is 'Hw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as a plant name and according to what standards should it be interprete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se questions. Also,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placed in the setting of guidelines for the interpretation of 'Hwe' so that classic plant names can be properly interpreted and information on plants can be accurately secured. 이 글에서 논하고자 하는 고전식물명 '회(檜)'에 관한 고찰은 고문헌을 통한 민속식물연구에 있어 우선하여 진행되어야 하는 부분이라고 판단된다. 고문헌 속에는 식물의 특징 이용방법 분포 등 다양한 정보가 산재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고전식물명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식물명에 대한 충분한 검증이 있고 난 뒤에야 비로소 그 식물에 대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회'의 경우 우리나라에서는 여러 가지 의미로 해석되고 있는데, 대체로 전나무 노송 편백 등 세 가지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은 어떤 기준을 통한 것인지 알 수가 없다. 특히 고전 번역에서 '회'는 번역자의 임의로 풀이하고 있어 이 자료를 그대로 인용할 경우 또다시 오류를 낳게 한다. 따라서 고전식물명이 나오는 항목은 다시 검토해야 하는 상황이다. 식물명으로서 '회'가 어떤 이유에서 다양하게 해석되며, 어떤 기준으로 해석해야 올바른가. 이러한 의문을 가지고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그리고 '회'의 해석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설정함으로써 고전식물명의 바른 해석과 이를 통한 식물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확보하고자 하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 KCI등재

        고전식물명 ‘계수桂樹’에 관한 고찰

        공광성(孔光星)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3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고문헌에서 ‘계수桂樹’라는 식물명이 어떤 의미로 사용되고, 실제 어떤 식물을 이르는 것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계수’는 현재 일반적으로 계수나무로 불리고 있으나 이 나무는 일제강점기에 들여와 식재한 것으로, 일제강점기 이전에는 우리나라에 없던 나무이다. 따라서 현재의 계수나무는 우리나라 고문헌에 보이는 ‘계수’를 이르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계수’로 이른 나무는 과연 무엇을 이르는 것일까? ‘계수’는 이미 알려져 있듯 상상 속의 나무를 두고 시문의 소재로 활용한 것이 대부분이므로 실제 식물에 관한 기록이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부분에 관해 어떤 수종을 두고 이른 것인지 논하기 어렵다. 그런데도 이 글에서 ‘계수’의 실체를 밝히고자 하는 것은 우리나라 고문헌에 보이는 ‘계수’라는 명칭이 특정한 식물을 가리키고 있음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특히 금강산 지역에서 자라는 나무를 두고 ‘계수’로 일컬었는데, 이는 특정 지역에서 자라는 식물의 분포 혹은 그 지역의 방언과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실을 확인하고 우리나라 고문헌에 나타나는 ‘계수’에 관한 연구를 진행해야겠다는 판단을 하였다. 이 글에서는 우선 우리나라 시문에서 사용되는 ‘계수’의 상징적 의미를 간략히 살펴보고, 금강산 지역의 ‘계수’에 관한 정보를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요소들을 파악함으로써 ‘계수’라는 고전식물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가능할 것이며, 상징적 의미의 ‘계수’와 실재하는 ‘계수’를 구분하는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examine in which meaning the plant name “Kesu(桂樹)” is used in Korea’s ancient literatures, and what kind of plant it actually refers to. Although ‘Kesu’ is commonly referred to as Katsura Tree (Cercidiphyllum japonicum Siebold & Zucc) these days, it was actually introduced to and planted in Korea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Before then, the plant did not exist in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e present Cassia does not refer to the ‘Kesu’ found in Korea‘s ancient literatures. If so, which tree was the real ‘Kesu’ that was referred to in Korea? ‘Kesu’, as it is already known, is an imaginary tree mostly used as a material for poetry and prose rather than a record of real plant.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iscuss what kind of tree species this refers to. Despite the fact, this study would like to clarify the true nature of ‘Kesu’ becaus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name ‘Kesu’ found in Korea’s ancient literatures refers to a specific plant. In particular, trees that grew in the Mt. Geumgangsan area were referred to as ‘Kesu’, which means that the name is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plants growing in a certain area or the dialect of the area. Confirmation of this fact lead to the decision that study on ‘Kesu’ appearing in Korea’s ancient literatures should be proceeded. In this study, the symbolic meaning of ‘Kesu’ used in Korean poetry will be briefly examined first, and then information on ‘Kesu’ in the area of Mt. Geumgangsan will be discussed. Grasping these factors should enable us to hav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classical plant name of ‘Kesu’, and may provide a clue to distinguish between the ‘Kesu’ of a symbolic meaning and the ‘Cassia’ in real existence.

      • KCI등재

        고전식물명 자단<SUB>紫檀</SUB>과 백단<SUB>白檀</SUB>에 관한 고찰

        공광성(孔光星)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2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고문헌에 보이는 식물명 자단과 백단의 실체를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 실록이나 문집 등 우리나라 여러 고문헌에서 자단과 백단을 이용한 기록이 다수 남아있지만, 자단과 백단이 구체적으로 어떤 식물을 이르는 것인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현재 중국에서는 자단과 백단을 동남아 지역에서 자라는 열대식물 중 하나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중국 본초서 등의 문헌에 보이는 내용을 기준으로 정의된 것으로, 우리나라 문헌에 보이는 자단과 백단과는 다를 가능성이 높다. 이점은 세종실록지리지에서 우리나라 특정 지역에 자단과 백단이 산출된다고 한 기록을 그 근거로 삼을 수 있는데, 열대식물은 당시의 기술로는 우리나라 기후에서 재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나라에서 자단과 백단이라 함은 중국에서 정의하는 것과는 다를 것이다. 당시 우리나라에서 자단과 백단을 수입한 경우라면 중국에서 규정하는 식물과 일치할 수 있겠지만, 우리나라에서 자라고 생산되는 것이라면 분명 다른 식물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중국에서 규정한 내용만으로 우리나라 문헌에 보이는 자단과 백단을 해석하여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이러한 오류가 바로잡아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true nature of classic plants, Red Sandal Wood and White Sandal Wood in the ancient documents of Korea. The record of Red Sandal Wood and White Sandal Wood still remains in the various ancient documents of Korea such as annals or 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etc, but specifically which plants are referred to as Red Sandal Wood and White Sandal Wood is not uncovered yet. In fact, currently in China, Red Sandal Wood and White Sandal Wood have been defined as one of tropical plants grown in the Southeast Asia. However, this is just based on the ancient documents of China such as medicinal herb study, so it’s very likely that Red Sandal Wood and White Sandal Wood written in ancient documents of Korea will be different. This is based on the record of Sejong Geography Book that Red Sandal Wood and White Sandal Wood are grown in the specific area of Korea. That‘s because it is impossible for tropical plants to have been grown in the climate of Korea considering the technology back then. Therefore, chances are Red Sandal Wood and White Sandal Wood of Korea will different from those defined in the China. If Korea imported Red Sandal Wood and White Sandal Wood at that time, they could be the same plants as those defined in China, but if they were grown and produced in Korea, we can safely say it will definitely mean different plants. However, sometimes there are cases that people make mistakes by interpreting Red Sandal Wood and White Sandal Wood of ancient document of Korea based on definition of China without being aware of this fact. I look forward to rectifying these mistakes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후보

        「초목화훼(草木花卉)」에 보이는 식물명 고찰

        공광성 ( Kong Kwang-sung ),권영한 ( Kwon Yeong-han ),김희채 ( Kim Hee-chae ),이현채 ( Lee Hyun-chae )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과학연구 Vol.0 No.30

        These findings introduced in this article are deemed to be very closely connected to ethnobotany. This article is the “Chomokhwahuei”, included in the [Dongyu Diary] which was written by Song Ju Sang (1695-1751) from the late Chosun Era. The [Dongyu Diary] by Song Ju Sang is a writing in diary format which records the sightseeing of the Geumgang Mountain, specifically recording the peculiarities of the plants observed which are included in a separate section called “Chomokhwahuei”. In this section, the place of observation and the nam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lants are recorded. Although it is a short recording of merely 2 pages, it is credited for its unusual recording of vegetation in the Geumgang Mountain area and deemed to be useful for ethnobotanical studies. With this article, we are able to roughly study the vegetation and its dispersion 260 years ago in the Geumgang Mountain area of the Chosun era and discover the binomial nomenclature of the plants then, not to mention the way the people back in this ear observed their plan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mprehend this article because it was written in cursive characters. In this document, the author and his bibliography are to be briefly reviewed and we will review the plant species and discuss the value of the article “Chomokhwaheui”, as the original text will be translated. We hope the information of the old plant names learned through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n accurate interpretation of the plant name discovered in the old text and their ethonobotanical utilization.

      • KCI등재후보

        고전식물명 `두충(杜沖)`에 관한 고찰

        공광성 ( Kong Kwangsung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건지인문학 Vol.0 No.18

        In Korea, the classical came of the plant `杜沖` is understood and used as `Eucommia ulmoides Oliv.`, the name listed in the Korean Plant Names Index. These contents can be easily found in various books (An Illustrated Guide to Korean Flora, dictionaries, etc.), so there is no need to explain them. However, `杜沖` in classical literatures occasionally refers to the plant that is different from `Eucommia ulmoides Oliv.`, which has been recognized so far. Nevertheless, most people have overlooked this problem so far. Due to the similarity of the names, the names `杜沖` in classic literatures have mostly been understood as `Eucommia ulmoides Oliv.`. During our research on classical names of plants, we have confirmed that `杜沖` in the classical literatures dose not solely refer to `Eucommia ulmoides Oliv.`. This article focuses on a consideration of what kind of plants the classical name `杜沖` refers to. For this purpose, the data related to `杜沖` shown in other literatures will be analyzed to estimate which plant is refers to currently. Also, we will provide the basis of the estimation by comparing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lant along with its distribution and form of the plant as shown in the literature.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estimate how `杜沖` has come to refer to other plant instead of Eucommia ulmoides Oliv. in Korea. We hope that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classical plant name `杜沖`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will be utilized as useful data for the proper interpretation of the plant name indicated in classical literatures and for the study of ethnobota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