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고태순(Koh Tae-Soon),김종석(Kim Jong-Seo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5

        본 연구는 보육교사 관련 변인에 따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정도를 알아보고 조직몰입과 직무만족간의 관계를 알아본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보육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209명으로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연령에 따라 조직몰입의 총점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시설유형, 연령, 결혼여부, 최종학력, 재교육 경험에 따라 조직몰입의 하위요인들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시설유형, 연령, 결혼여부에 따라 직무만족의 하위요인들에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은 정적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들의 직무 환경 개선과 직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ild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then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job satisfaction.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09 childcare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depending on childcare teacher's age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factor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depending on types of childcare facilities, age, marital status,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and retraining.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factor of the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types of childcare facilities, age, marital statu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help to explore the ways that improve the job environment and job efficiency of childcare teachers.

      • KCI등재

        아동기 외상경험과 자아탄력성이 대학생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고태순(Koh, Tae Soon),김영희(Kim, Young Hee) 한국독서치료학회 2020 독서치료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경험과 자아탄력성 및 자존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9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빈도분석,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조절효과 분석을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경험과 자아탄력성 및 자존감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아동기 외상경험과 자아탄력성 및 자존감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자아탄력성과 자존감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대학생의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아동기 외상경험의 하위요인 중 대인관계 관련 외상경험이었으며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긍정적 미래지향성과 감정조절이었다. 조절효과 분석결과,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은 아동기 외상경험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대학생의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아동기 외상경험을 극복하도록 돕는 상담프로그램의 계획과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ego-resilience, and self-esteem in university students.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393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Kore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by SPSS. The results foun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traumatic childhood experiences, ego-resilience, and self-esteem. While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raumatic childhood experiences and ego-resilience, as well as between traumatic childhood experiences and self-esteem,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go-resilience and self-esteem. Traumatic experiences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 sub-factor of traumatic experience in childhood, as well as positive, future-oriented mindsets and emotion control, sub-factors of ego-resilience, were significant variables on the self-esteem of university students.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ego-resilience did not have a substantial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the self-esteem of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o increase the self-esteem of universit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counseling programs to help university students overcome traumatic childhood experiences and improve ego-resilience.

      • KCI등재후보

        언어화가 아동의 사건기억에 미치는 영향

        고태순(Koh, Tae-Soo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아동이 사건을 경험하기 전에 사진 정보를 제공하여 사건기억을 향상시키고지 할때 때 언어화가 사건 기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만 알아 본 것이다 만 6세 아동 52명을 대상으로 사건을 경험하기 전에 비언어화. 성인 언어화. 아동 언어화의 조건에 따라 사건과 관련이 있는 그림 이야기를 제시 하였다 조건에 따라 그림 이야기를 들려준 다음날 유아들은 직접 사건에 참여하였다 사건을 직접 경험한지 4 일 후에 유아의 사건기억 수행을 평가한 결과 아동 언어화의 조건에 참여했던 유아들의 사건기억 수행이 비언어화. 성인 언어화의 조건에 참여했던 유아들의 사건기억 수행보다 았다 본 연구 결과는 아동들이 사건을 더 잘 기억한 수 있도록 돕는 교육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verbalization to present information prior to an event in order to enhance children’s memory of the event. Sixty-two children, all six years of ag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day before they participated in the event(Visiting the Pirate’s Room), the children devided into a non-verbalization group, adult-verbalization group and child-verbalization group. Non- verbalization group was presented with pictures and narration only. Adult-verbalization group was presented with pictures and narration and then heard the narration verbalized by an adult. Child-verbalization group was presented with pictures and narration and then children were asked to verbalize the narration. In the result was children who were participated in the child-verbalization group show more event recall ho formance than children who were participated in the non-verbalization group and the adult-verbalization group. These fìndings provide a suggestion on educational methods to enhance the children’s event memory

      • KCI등재

        중학생의 희망 및 공감과 행복감과의 관계

        김영희(Young-Hee Kim),고태순(Tae-Soon Koh)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0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희망 및 공감과 행복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중학교 2학년 남녀 학생 38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 Pearson의 상관분석과 단계적 분석방법을 이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행복감은 희망과 공감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희망 및 공감 수준이 높은 중학생이 희망과 공감 수준이 낮은 중학생보다 높은 행복감을 나타냈다. 둘째, 중학생의 행복감은 희망 및 공감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주도사고, 공감적 관심, 관점취하기가 중학생의 행복감을 설명하는 유의한 예측변인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중학생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개인의 긍정적인 내적 변인인 희망과 공감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hope, empathy and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383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WINDOW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ddle school students’ happiness according to the level of hope and empathy. That is, the students who had high levels of hope and empathy had higher happiness than those with a low level of hope and empathy. (2)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hope, empathy and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3) Agency thinking, empathic concern, perspective-taking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predicting the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to consider methods to increase a middle school students’ hope and empathy, which are examples of an individual’s positive inner variables, that enhance the middle school students’ happiness.

      • KCI등재

        중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정서표현성이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영희(Kim, Young-Hee),고태순(Koh, Tae-S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0

        본 연구는 심리적 안녕감, 정서표현성, 교우관계가 중학생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와 함께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중학교에 다니고 있는 2학년 학생 391명으로, 수집된 자료 를 t 검증과 Pearson의 상관분석 및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정서 표현성 및 교우관계에서 유의한 성차가 나타났는데 모든 변인에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과 정서표현성 및 교우관계는 서로 상관이 있었으며,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심리적 안녕감과 정서 표현성의 하위 요인인 긍정적 정서표현과 부정적 정서표현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중학생의 교우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middle school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eer relationships according to sex,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91 second grade students at a middle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eer relationships according to sex. Female students had higher levels in all variables than male student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psychological well-being,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eer relationships. In addi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negative expressiveness in the sub-factor of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eer relationships. These findings provide suggestions regarding the plan to improve middle school students' peer relationship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김영희(Young-Hee Kim),고태순(Tae-Soon Koh)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0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아동기 외상 경험, 자아탄력성,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와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미치는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459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빈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조절효과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스트레스와 아동기 외상경험 및 자아탄력성은 삶의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단계적 회귀분석결과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의 하위 요인인 긍정적 미래지향성과 감정조절이었다. 아동기 외상 경험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자아탄력성의 하위 요인인 긍정적 미래지향성과 감정조절의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 조절효과 분석결과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긍정적 미래지향성이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토대로 볼 때,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스트레스를 낮추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자아탄력성의 하위 요인 중 긍정적 미래지향성을 향상시키는 전략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stress,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 ego-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ose variables.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459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by SP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tress,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 and ego resilience had correlations with the life satisfaction. Ego resilience and stress were significant effective variables on the life satisfaction.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lso showed that a positive future orientation, which is a sub factor of ego-resilience, influenced the stress level.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important to lower the stress levels to increase the students" life satisfaction level. To do so, a strategy to enhance the positive future orientation is recommend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그림책을 활용한 다문화가정 지원 프로그램이 아동의 언어, 사회성, 자아개념 발달과 가정환경에 미치는 효과

        김민화 ( Min Hwa Kim ),남명자 ( Myung Ja Nam ),고태순 ( Tae Soon Koh ),정지나 ( Jee Nha Ch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취학 전 다문화 가정 아동의 성공적인 학교생활과 적응을 위하여 아동의 언어, 사회성, 자아개념의 적절한 발달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학적 접근법의 일환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부모참여 형태의 가정지원 프로그램이 가정환경을 변화시키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 북부 소재의 만 4, 5세 다문화가정 아동 28명과 그들의 부모 28명이었으며, 그림책을 활용한 부모참여 프로그램을 주 1회 70분씩 총 12회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 유아성격검사, 유아용 자아개념 검사, 가정환경자극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 방법으로 빈도분석과 t 검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부모참여 프로그램은 아동의 언어와 사회성을 향상시켰으며, 가정환경 중 부모의 반응성을 증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그림책을 활용한 부모참여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의 취학 전 자녀의 발달과 부모의 역할수행을 지원하는데 효과적임을 제안할 수 있으며, 향후 그림책을 활용한 프로그램의 확장된 적용과 그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geared toward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the language, sociability and self-concept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verify the effect of it. It`s basically meant to step up the successful school adjustment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program was developed by utilizing picture books and taking a literary approach, and whether the program that called for parent involvement brought any changes to home environment was additionally check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8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28 parents in the northern area of Gyeongggi Province. The selected children were at the Western age of 4 and 5, and the adults were their parents.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ive program that made use of picture books was conducted 12 times, once a week, 70 minutes each. The instrument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 preschool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scale, a preschooler personality inventory, a preschooler self-concept inventory and a family environments stimulation scale. As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were employed. As a result,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ive program utilizing picture books served to improve the children`s language and sociability, and that boosted the responsiveness of the parents as well.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ive program by picture books was effective at backing up the development of the preschool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role performance of the mothers.

      • KCI등재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에 관한 연구

        성영화(Sung Young-Hwa),정혜숙(Jung Hye-Sook),고태순(Koh Tae-Soo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8

        본 연구는 우리나라 12개월부터 36개월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위해 선행 연구들과 국내ㆍ외에서 사용하고 있는 영아 적응 관련 척도들을 분석하여 영아 적응 척도의 구성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이를 기초로 문항을 제작하고 구인 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221명의 영아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은 241명의 영아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본 연구의 총 연구대상 영아들은 462명이었다. 최종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해 내적 합치도를 산출하였다. 탐색적 연구결과 친사회성, 긍정적 정서, 일과적응, 자아강도의 4개 요인으로 구성된 22문항의 영아적응 척도를 완성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적합도 검증을 한 결과 다양한 부합도 지수가 적절하게 나타나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가 타당한 도구임을 검증할 수 있었다. 신뢰도 검증 결과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94였으며 각 요인별로 .80~.92의 신뢰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to measure adjustment for young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 For this purpose, the literature relevant to adjustment for young children were reviewed and hypothetical constructs were extracted. Based on these constructs and content validity taking from opinions of experts in child care field, the items to measure adjustment of young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 were created. The validity of the scale was tested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ubjects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221 and the subjects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241. So, all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2. Fro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22-item scale were developed. This scale was composed of 4 factors including pro-sociality, positive affect, adjustment to day care routines, ego-strength. Also this scale proved to be a verified scale from testing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liability was tested through the internal consistency estimate by Cronbach’s alpha. The whole reliability of this scale was .94 and the reliability according to factors indicated .80~.9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