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몽골과 한국의 근대문학 비교연구 시론 -몽골의 ‘민담형 단편서사’와 한국의 ‘서사적 논설’을 중심으로-

        고자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0 No.23

        근대 이후 반세기 남짓의 시간은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교류를 맺어온 한국과 몽골의 관계를 단절시켰다. 1990년 수교 이후 양국의 관계는 빠르게 회복되고 있지만, 문학연구 특히 근대 이후의 문학연구는 매우 빈약한 상황이다. 언어문제, 자료 및 전문서적의 부족 등의 난점도 있지만 무엇보다 직접적인 관계가 없었기 때문에 비교 가능한 지점조차 없을 것이라는 선입견으로 인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두 나라 간에 직접적인 교류는 없었지만, 당시 거의 모든 동아시아 국가들이 제국주의 열강의 위협 속에 나라의 안위를 걱정함에 여념이 없었고, 동시에 그들을 통해 근대를 맞이해야 하는 공통적인 상황에 놓여 있었다. 이 과정에서 양국에는 각각 근대문학으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성격의 문학형태가 발생하게 되는데, 바로 몽골의 ‘민담형 단편서사’와 한국의 ‘서사적 논설’이 그것이다. 한국은 국권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서, 몽골은 어렵사리 되찾은 국권을 지키기 위해서 근대국가건설이 시급했던 때였으므로 양국 모두 백성(또는 인민)의 계몽이 무엇보다 우선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시기에 발생한 두 장르는 최우선의 목적을 계몽에 두고 있었다. 두 장르 모두 그 창작자(또는 편집자)가 지식인들이었고, 주로 신문이나 잡지 같은 정기간행물을 통해 발표되었다. 또한 두 장르 모두 본격적인 근대문학에 선행하는 것들로 각각 기존의 전통양식에서 비롯되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민담형 단편서사와 서사적 논설 사이의 유사한 특징을 크게 주제적인 측면과 형태적인 측면으로 양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Since the modern era, the international relation between Korea and Mongolia had been discontinued for a half of the century. With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in 1990, the two countries have reinforced their cooperation. However, they still need literary researches since the studies of the modern literature are too scanty. This is partly due to the presupposition that there is no comparative point with scarcity of research materials, related publication and the language barrier. However, the reason there has been almost none studies on modern Mongolian literature is that many researchers were highly influenced by their prejudice which there are no direct connections between Korean and Mongolian literature, so it would be hard to fi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t may seem so, because they have no direct cultural exchanges. But the two countries had same experiences; they had worries about the securities of their own nations and at the same time they needed to grow the countries into the modern society under the threat of imperial powers. In this situation, there appeared transitional literature to the modern literature; Mongolian had folktales-styled short narratives while Korean had narrative editorials. Not to lose the sovereignty of the nation and to recover the sovereignty of the nation, Korea and Mongolia needed people enlightened for building the modern nation. The two genres, folktales-styled short narratives and narrative editorials, had their purposes on enlightening the people. The producers (or the editor) were both intellectuals of the countries and they were published on periodicals like daily papers or magazines. Both the two are precedent modern literature. They have a common start which began from a traditional style of each countries' literature. In this study, I focus on the similarities of the folktales-styled short narratives and narrative editorials by theme and form.

      • KCI등재
      • KCI등재

        김정은 시대 문학에 나타난 여성 형상화 연구 ― 『조선문학』(2016~2019) 수록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고자 국제한인문학회 2021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30

        북한의 여성들은 시대마다 사회적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호명되어왔다. 김정은 체제는 특히 초기부터 여성 관련 정책들을 변경하는 등 여성에 주목해오고 있다. 즉, ‘여성’은 김정은 시대의 북한을 읽어내는 데 중요한 키워드라고 할 수 있다. 2016년에는 제7차 당 대회가 36년 만에 열리기도 했지만, 1983년 제5차 여맹대회 이후 33년 만에 제6차 여맹대회가 열렸고, 이때 ‘조선민주여성동맹’이 ‘조선사회주의여성동맹’으로 그 지위가 승격되었다. 즉 2016년은 김정은 시대와 북한 여성들을 고찰하는 데에 중요한 분기점이 된다. 2016~2019년 조선문학에 수록된 단편소설들에 나타난 김정은 시대 여성들은 김정일 시대와 유사하면서도 변별되는 양상을 보인다. 먼저, 여성들이 일터로 소환된다는 측면에서는 김정일 시대와 다르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가두여성(전업주부)이 직업을 갖게 되는 것이 아니라 근로여성이 남성들의 일터로 옮겨가는 특징을 보인다. 두 번째로는 여성들이 가사노동과 육아로부터 자유로워지는 양상을 보인다. 아내의 사회적 노동을 위해 남편이 집안일과 육아를 돕기도 하지만, 완전한 외조를 하기도 한다. 세 번째로 김정은 시대 여성들은 이전 시대에 비해 전반적으로 학력이 높아졌고, 중앙대학 출신의 전문연구직 여성들도 증가한다. 이들은 사랑보다 일을 선택하고, 인재를 필요로 하는 소외된 지역으로 자원하여 떠나지만, 그녀들이 포기한 사랑 즉 남성들이 그녀들을 선택함으로써 결국 일과 사랑 모두를 쟁취한다. 이는 곧 여성들의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선택이 남성들을 이끄는 양상으로 볼 수 있다. 남성을 리드하는 여성은 구체적인 캐릭터로 그려지기도 한다. 문학작품에 나타난 여성 형상이 곧 현재 북한 여성의 삶이라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을 반영하는 문학의 특성으로 볼 때, 달라지고 있는 여성 형상은 분명 북한 사회의 여성 인식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Women in North Korea have been nam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social needs from time to time. The Kim Jong-un regime has been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women since the beginning, especially by changing the policies related to women. In other words, ‘women’ is an important keyword for reading North Korea during the Kim Jong-un era. In 2016, the 7th Party Congress was held for the first time in 36 years, and the 6th Congress of North Korea Democratic Women’s League was held 33 years after the 5th Congress of North Korea Democratic Women’s League in 1983. At this congress, the “Korean Democratic Women’s League” was promoted to the “Korean Socialist Women’s Alliance.” In other words, 2016 marks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considering the Kim Jong-un era and North Korean women. The women who appeared in short stories in Joseon Literature between 2016 and 2019 hav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those in the Kim Jong-il era at the same time. First of all, women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in the Kim Jong-il era in terms of being summoned to work;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fact that housewives do not get a job, but working women move to men’s workplaces. Secondly, women are seen free from domestic labor and childcare. Husbands help with housework and childcare for their wives’ social labor, but they also provide full support. Thirdly, women in the Kim Jong-un era have a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overall than in the previous era, and women in professional research from high-ranked universities are also increasing. They choose work over love, and voluntarily leave for the underprivileged areas that require their talent, but as the men they gave up choose them, they eventually win both work and love. This can be seen as an aspect in which women’s voluntary and self-reliant choices lead men. Women who lead men are often portrayed as specific characters. The image of a woman in a literary work cannot be regarded as the life of a North Korean woman. However,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that reflect reality, the changing image of women clearly reflects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women in North Korean society.

      • KCI등재

        공산주의 전망과 갈등 문제-한설야 중편소설 「형제」(1959)를 중심으로-

        고자연 ( Ko Ja-yeo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0 No.49

        본고는 한설야의 중편소설 「형제」가 창작된 시기와 그 이면의 의도에 주목하여 시작된 연구이다. 북한문학이 당 문예 정책의 영향 하에 창작되고 발표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지만 여기에는 어떤 정책이 어떻게 적용되고 작용하는지, 당 문예 정책과 작가의 창작 사이에 균열이 있지는 않은지 실제 작품을 통한 고찰이 병행되어야 한다. 본고는 이 지점에 초점을 맞추었다. 「형제」는 북한사회가 사회주의적 개조의 완결을 선언하고 공산주의 사회로의 진입이 임박했음을 공표한 직후인 1959년에 창작 및 발표되었다. 공산주의 사회로의 진입은 북한사회에서 더 이상 모순이 존재할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사회를 반영하는 문학에도 역시 모순이 존재할 수 없었다. 이제 작가들은 부정적인 세계, 갈등이 불가능한 가운데 작품을 창작해야 했고, 그 문학으로 인민들을 공산주의적 정신과 인도주의 및 애국주의로 교양해야 하는 책임마저 져야 했다. 당시 북한문단 내에 불어온 이러한 변화는 급하게 진행된 것이었던 만큼 폭력적이었고, 이때 지목된 작품들은 끝내 정전에서 탈락하고 말았다. 바로 이 시기에 한설야는 전재고아들을 주인공으로 하는 중편소설 「형제」를 창작 및 발표해야 했고, 그는 그전까지 발표했던 자신의 소설들과는 다른 방식의 작품을 창작한다. 그리고 북한문단에서도 이례적일 만큼의 관심과 사랑을 받는다. 그렇지만 대대적인 찬사에 가려진 작품의 오점들도 있었다. 본고는 「형제」를 둘러싼 당시 『문학신문』의 평론들을 중심으로 한설야의 창작상의 고민이 「형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갈등양상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형제」는 객관적 삶의 모습보다는 이상적ㆍ당위적 삶의 모습을 그려내는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 입각하여 창작한 소설이었지만, 생생한 인물형상을 위해 작가가 수집한 실제 사례들이 소설에 충실히 반영되면서 아이러니하게도 당시 북한사회가 드러낼 수 없었던 전재고아 문제의 실상을 짐작할 수 있는 양상들이 담겨 있어 그 부분도 함께 고찰하였다. This study was conceived by the investigator's attention to the time when Han Sorya wrote his medium-length novel The Brothers and his intentions behind the novel. It is a known fact that North Korean literature is created and publish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party's literary policies, but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actual work of North Korean literature as well, to figure out which policies have been applied, how they have worked, and whether there are cracks between the party's literary policies and the writers' creation.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is point. Han's The Brothers was written and published in 1959 when the North Korean regime officially announced that the socialist reconstruction of North Korean society was complete and that the society was ready to enter the stage of communism. Entry into a communist society meant that there could no longer be contradictions in the North Korean society, which meant that there could no more contradictions in literature reflecting the society, either. The time had come when writers should create work in the middle of no possibilities of negative worlds and conflicts and fulfill the responsibility of cultivating the people with the communist spirit, humanitarianism, and patriotism based on their literature. These changes, which took place inside the literary circles of North Korea in those days, were as violent as they were rapid. The work that was pointed out by the regime was eventually dropped from the canon list. It was around this time that Han wrote and published his medium-length novel The Brothers, whose main characters were war orphans. He employed a different creative style in this novel from his previous ones. This novel received unprecedented interest and love from the literary circles of North Korea. It has, however, its share of blemishes covered with massive praise. This study examined how his creative worries were reflected in The Brothers through conflict patterns with a focus on its criticisms published in Munhak Sinmun in those days. The novel was created based on socialist realism to depict an ideal and normative life rather than an objective one, but the author fully reflected the actual cases he collected in the novel for vivid character description. It ironically contains patterns to figure out the reality of war orphan issues which the North Korean society was not able to reveal in those days. The study examined that aspect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