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50년대 북한의 외국문학 번역 양상 연구 : 몽골문학 번역을 중심으로

        고자연(Ko, Ja-yeon)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6

        본 연구는 1950년대 북한에서 이루어진 몽골 문학 번역을 고찰함으로써 당시 북한에 번역·소개된 비소련·비중국 문학 작품들의 번역 양상을 추적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북한은 정권 초기부터 번역 사업에 주력했다. 해방과 분단, 늦어진 근대화 등으로 북한뿐 아니라 한반도에는 사회 각 분야의 전문 인력이 극도로 부족해졌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방책 중 외국의 선진한 문물이 담긴 문헌을 번역하여 소개하는 방법이 가장 효율적이었을 것이고, 당시 북한에서 ‘가장 선진한 국가’는 소련이었으므로 북한은 정권 초기부터 소련의 문헌을 번역하는 데에 매진했다. 정전 이후 중국이 북한의 전후복구사업에 대한 압도적인 지원을 해주게 되면서 북한에서의 중국의 영향력이 커졌고, 중국 문헌들이 집중적으로 번역되기 시작했다. 한편, 사회주의 형제국가들의 북한 전후복구사업에 대한 지원, 반둥회의 이후부터 본격화한 아세아·아프리카 연대 분위기, 세계평화운동 등의 영향으로 비소련·비중국 국가들의 문헌 및 문학들도 북한에 번역·소개되기 시작하였다. 몽골문학이 북한에 번역·소개되기 시작한 것도 이때부터였다. 1950년대 북한에서 몽골문학은 장르별로 최소한으로 번역·소개되었다. 이는 비단 몽골문학뿐만 아니라 여타 비소련·비중국 국가들의 문학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이에 이 시기 북한에서 번역된 몽골문학은 1950년대 북한의 비소련·비중국 국가 문학 번역 양상을 추적하기 위한 표본이 될 수 있다고 판단했고, 북한에 번역된 몽골문학을 고찰함으로써 당시 소련과 중국의 번역 사업 양상도 함께 살펴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translations features of non-Soviet and non-Chinese literary works translated and introduced to North Korea in the 1950s by researching about the translations aspect of Mongolian literature translated and introduced to North Korea. Since the beginning of the regime, North Korea has focused on translation projects. Due to liberation, division and delayed modernization, the Korean Peninsula has become extremely short of professionals in various sectors of society as well as North Korea. Among the various measures to solve this problem, it would have been most efficient to translate and introduce documents containing advanced foreign cultures, and since the “most advanced country” in North Korea was the Soviet Union, North Korea worked hard to translate Soviet literature from the beginning of the regime. After the armistice, China s overwhelming support for North Korea s postwar reconstruction projects increased China s influence in North Korea, and Chinese literature began to be intensively translated. Meanwhile, literature and literature from non-Soviet and non-Chinese countries began to be translated and introduced to North Korea due to the socialist brothers support for the post-war restoration project in North Korea, the atmosphere of ASEAN-Africa solidarity that began in earnest after the Bandung Conference, and the World Peace Movement. It was only then that Mongolian literature began to be translated and introduced to North Korea. In the 1950s, Mongolian literature was translated and introduced to a minimum by genre in North Korea. This would have been the same for other non-Soviet and non-Chinese countries as well as Mongolian literature. Thus, Mongolian literature translated from North Korea during this period was suitable as a sample to trace the aspect of North Korea s non-Soviet and non-Chinese literature translation in the 1950s, in this study, by researching Mongolian literature translated into North Korea, we could also look at the aspects of the translation business of the Soviet Union and China at that time.

      • KCI등재

        공산주의 전망과 갈등 문제-한설야 중편소설 「형제」(1959)를 중심으로-

        고자연 ( Ko Ja-yeo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0 No.49

        본고는 한설야의 중편소설 「형제」가 창작된 시기와 그 이면의 의도에 주목하여 시작된 연구이다. 북한문학이 당 문예 정책의 영향 하에 창작되고 발표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지만 여기에는 어떤 정책이 어떻게 적용되고 작용하는지, 당 문예 정책과 작가의 창작 사이에 균열이 있지는 않은지 실제 작품을 통한 고찰이 병행되어야 한다. 본고는 이 지점에 초점을 맞추었다. 「형제」는 북한사회가 사회주의적 개조의 완결을 선언하고 공산주의 사회로의 진입이 임박했음을 공표한 직후인 1959년에 창작 및 발표되었다. 공산주의 사회로의 진입은 북한사회에서 더 이상 모순이 존재할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사회를 반영하는 문학에도 역시 모순이 존재할 수 없었다. 이제 작가들은 부정적인 세계, 갈등이 불가능한 가운데 작품을 창작해야 했고, 그 문학으로 인민들을 공산주의적 정신과 인도주의 및 애국주의로 교양해야 하는 책임마저 져야 했다. 당시 북한문단 내에 불어온 이러한 변화는 급하게 진행된 것이었던 만큼 폭력적이었고, 이때 지목된 작품들은 끝내 정전에서 탈락하고 말았다. 바로 이 시기에 한설야는 전재고아들을 주인공으로 하는 중편소설 「형제」를 창작 및 발표해야 했고, 그는 그전까지 발표했던 자신의 소설들과는 다른 방식의 작품을 창작한다. 그리고 북한문단에서도 이례적일 만큼의 관심과 사랑을 받는다. 그렇지만 대대적인 찬사에 가려진 작품의 오점들도 있었다. 본고는 「형제」를 둘러싼 당시 『문학신문』의 평론들을 중심으로 한설야의 창작상의 고민이 「형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갈등양상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형제」는 객관적 삶의 모습보다는 이상적ㆍ당위적 삶의 모습을 그려내는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 입각하여 창작한 소설이었지만, 생생한 인물형상을 위해 작가가 수집한 실제 사례들이 소설에 충실히 반영되면서 아이러니하게도 당시 북한사회가 드러낼 수 없었던 전재고아 문제의 실상을 짐작할 수 있는 양상들이 담겨 있어 그 부분도 함께 고찰하였다. This study was conceived by the investigator's attention to the time when Han Sorya wrote his medium-length novel The Brothers and his intentions behind the novel. It is a known fact that North Korean literature is created and publish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party's literary policies, but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actual work of North Korean literature as well, to figure out which policies have been applied, how they have worked, and whether there are cracks between the party's literary policies and the writers' creation.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is point. Han's The Brothers was written and published in 1959 when the North Korean regime officially announced that the socialist reconstruction of North Korean society was complete and that the society was ready to enter the stage of communism. Entry into a communist society meant that there could no longer be contradictions in the North Korean society, which meant that there could no more contradictions in literature reflecting the society, either. The time had come when writers should create work in the middle of no possibilities of negative worlds and conflicts and fulfill the responsibility of cultivating the people with the communist spirit, humanitarianism, and patriotism based on their literature. These changes, which took place inside the literary circles of North Korea in those days, were as violent as they were rapid. The work that was pointed out by the regime was eventually dropped from the canon list. It was around this time that Han wrote and published his medium-length novel The Brothers, whose main characters were war orphans. He employed a different creative style in this novel from his previous ones. This novel received unprecedented interest and love from the literary circles of North Korea. It has, however, its share of blemishes covered with massive praise. This study examined how his creative worries were reflected in The Brothers through conflict patterns with a focus on its criticisms published in Munhak Sinmun in those days. The novel was created based on socialist realism to depict an ideal and normative life rather than an objective one, but the author fully reflected the actual cases he collected in the novel for vivid character description. It ironically contains patterns to figure out the reality of war orphan issues which the North Korean society was not able to reveal in those days. The study examined that aspect as well.

      • KCI등재

        한설야 소설에 나타난 평화담론과 소설화 : 한설야의 반미(反美)소설을 중심으로

        고자연 ( Ko Ja-yeo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9 민족문학사연구 Vol.70 No.-

        본 연구는 한설야가 북한에서 활동한 거의 전 시기에 걸쳐 국내외 평화운동에 가담하고 있었음에도 그의 이러한 이력이 지금까지의 한설야 연구에서 간과되었던 점에 주목하였다. 북한을 대표하여 한설야가 참석했던 세계평화운동은 소련을 중심으로 하여 미국을 견제하는 성격의 것이었다. 특히 이 운동의 시작이 되는 1949년 평화옹호세계대회가 중요하다. 본고는 이 대회가 북한과 한설야의 대미(對美)인식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는 가설에서 시작한다. 이 연장선상에서 한설야의 반미의식과 그의 평화론은 이어져 있다고 보았다. 10년이 넘는 시간 동안 평화운동 관련하여 활발한 활동을 했지만 대부분이 당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그가 생각한 평화에 대해 정의를 내리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작가의 시간을 반영할 수밖에 없는 문학작품에는 작가의 생각이 담겨 있을 것이므로, 본고는 한설야의 반미소설 「승냥이」, 「대동강」, 「길은 하나이다」를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았고, 이 소설들에 나타난 한설야의 반미의식을 통해 그의 평화인식을 읽어내고자 하였다. 그의 평화인식의 중심에는 민족과 인민이 있었다. Han was participating in the peace movement for almost all of his time in North Korea. But this career has so far been overlooked in study on Han. So this study noted this point. The World Peace Movement attended by Han Seol-ya on behalf of North Korea was a movement of the nature of keeping the U.S. in check, with the Soviet Union at the center. In particular, the 1949 Peace World Congress, the beginning of this movement, is important. This study starts with the hypothesis that the event had an important impact on the formation of awareness about the U.S. by North Korea and Han Seol-ya. In this extension, Han’s anti-Americanism and his pacifism are connected. Although he had been active in relation to the peace movement for more than a decade, it is not easy for us to define what he thought was “peace” because most of the activities were representative of the party’s official position. However, since literary works that reflect the author’s time will contain his thoughts, in this study, Han’s anti-American novels “Seung-nyang-i(Jackals)”, “Daedong gang(Daedong river)”, and “Kireun hanaida(The Road is One)” are the main subjects of this study, and I tried to read Han’s pacifism through his anti-American consciousness that appeared in these novels. At the heart of his peace perception was a nation and the people.

      •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과 지식의 공동생산 ― 위키 플랫폼과 <한국 근대 지식인 아카이브> 편찬

        장문석 ( Jang Moon-seok ),김윤진 ( Kim Yoonjin ),이은지 ( Lee Eunji ),송가배 ( Song Gabae ),고자연 ( Ko Ja-yeon ),김지선 ( Kim Ji-sun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論叢 Vol.78 No.1

        이 글은 위키 플랫폼에 기초하여 진행한 <한국 근대 지식인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디지털 인문학과 지식의 공동생산이라는 논제와 그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디지털 환경에서 인문학 지식의 공동생산이라는 새로운 가능성이 열릴 수 있다는 것이 이 글의 논점이다. 2장에서는 위키 플랫폼의 글쓰기가 인문학 글쓰기에 제시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위키는 공유 작업에 적합한 플랫폼으로 공동연구의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동시에 위키는 디지털 환경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조합적 글쓰기를 가능하도록 한다. 3장에서는 데이터에 기반한 지식의 공동편찬이 열어주는 새로운 인문학 지식과 질문의 발견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참여자들은 인문학 지식에 근거하여 공동으로 온톨로지를 설계했다. 그리고 온톨로지에 따라 입력한 데이터를 공유하고 활용할 때, 새로운 인문학적 논제를 발견하였다. 이 글은 디지털 환경에서 데이터를 활용한 공동 작업이 인문학 연구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후 본격적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면서, 이 글이 발견한 가능성을 현실화하는 것이 추후 과제이다. This article reviews the issue of digital humanities and co-production of knowledge around the Project of < Archive of Intellectuals in Modern Korea > based on the wiki platform and its possibilities. The argument of this article is that a new possibility of co-production of humanities knowledge can be opened in the digital environment. In Chapter 2, we consider what possibilities the writing of the Wiki platform could open to writing in humanities. Wiki is a suitable platform for sharing tasks and can identify the process of joint research. At the same time, Wiki enables combinatorial writing that actively utilizes the digital environment through hypertext and the function of extention and embedding of wiki. In Chapter 3, we discuss that data and co-production discover new humanistic issues. Participants jointly designed ontology based on humanities knowledge. In addition, when sharing and utilizing the data entered according to the ontology, a new humanistic thesis was discovered. This article confirms that collaboration using data in a digital environment can open new possibilities for humanities research. Afterwards, the task is to enter data in earnest and realize the possibility of this article’s discov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