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IPA(중요도-수행도)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기관 맥락에서의 유아의 공적 담론 참여 활성화 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

        고은경(Goh, Eun-Kyoung),강진주(Kang, Jin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공적 담론 참여 활성화 방안 내용에 대해 IPA 기법을 통해 유아교사의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유아 공적 담론 참여 활성화 방안 내용을 개발하기 위해 40명의 교사 및 전문가가 참여하였으며, 개발된 내용에 대해 300명의 유아교사가 응답하였다. 유아교사가 응답한 중요도와 수행도 간의 차이에 대해 대응표본 t 검정과 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공적 담론 참여 활성화 방안의 모든 내용에 대해 유아교사의 중요도는 수행도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IPA 매트릭스에서 유아 공적 담론 참여 활성화 방안 내용 중 ‘교사들이 고려해야 할 조건’의 내용에 대해 유아교육기관에서 잘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기관의 운영배경’을 우선 필요한 영역으로, ‘유아가 심의 가능한 내용’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인식의 제고나 실천적인 지원이 필요한 영역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실 내 유아의 담론적 참여를 활성화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regarding the activation plan for young children s participation in public discourse. Forty teachers and experts participated in developing the survey questionnaires and three hundred early childhood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paired sample t-test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d by the IPA graph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according categories of activation pla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activation plan for participation in public discourse of young children to be high but low in performance. Second, IPA matrix displayed that most of the contents of conditions to be considered by teachers are recognized as being well maintain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addition, teachers recognized the “operational background of the institutions” as a priority support area, and “contents that children can deliberate” as areas to be needed for supporting the teachers’ long-term awareness and practi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discussion was made on ways to promote the discourse participation of young children within educational institutions.

      • KCI등재

        잠재계층성장분석과 머신러닝에 의한 초등학교 저학년 학업수행능력의 종단 유형 예측

        고은경(Goh, Eun-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longitudinal typ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s academic performance ability using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he data of 406 children were used in the 8th-10th survey of the Korean Children s Panel from the 1st to 3r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ongitudinal types of academic performance during the first and thir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ere classified into high-retaining group (70.0%), rising group (22.2%), and decreasing group (7.9%). Second, in order to identify latent groups that are difficult to maintain stable academic performance during the 1-3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 model applied with four machine learning algorithms was developed. Among the machine learning models, the accuracy of the random forest model was .78, and the important predictors in this model were behavior control difficulties, planning-organization difficulties, and carelessness, which are sub-factors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Through this study, analysis using Korean Children s Panel data and machine learning was useful in predicting and discriminating children s academic performance, but it was discussed that additional data collection is necessary for more accurate analysis.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계층성장분석과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학업수행능력 종단 유형을 예측하기 위한 것이다. 초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에 걸쳐 실시된 한국아동패널 8-10차 조사에서 아동 406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교 1-3학년 동안 아동의 학업수행능력 종단 유형은 상위유지 집단(70.0%), 상승 집단(22.2%), 감소 집단(7.9%)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1-3학년 동안 학업수행능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잠재집단을 분별하기 위하여 4개의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한 모델을 개발하였다. 머신러닝 모델 중 랜덤 포레스트 모델의 정확도는 .78이었고, 중요 예측변수는 집행기능 곤란의 하위요인인 행동통제 곤란, 계획-조직화 곤란, 부주의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아동패널 데이터와 머신러닝을 활용한 분석이 아동의 학업수행능력을 예측하고 분별하는 데 유용하였으나, 더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자료수집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국내 유아 다문화 교육 효과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고은경 ( Eun Kyung Goh ),노진형 ( Jin Hyeong Noh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연구의 효과를 고찰하기 위한 것으로 2000년부터 2013년까지 최근 10여 년간 박사학위논문과 국내학술지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문헌고찰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KISS, DBPIA, RISS의 세 종류를 활용하였으며 ‘유아 다문화 교육’, ‘유아 다문화 활동’, ‘유아 다문화 프로그램’ 등으로 검색을 실시하였다. 최초 검색된 논문은 462편이었으나 검색 전략을 통해 최종 선정된 논문은 29편이었다. 연구결과, 먼저 일반적인 특징으로 대부분의 효과연구가 2000년대 후반 이후로 실시되었으며, 대조군과의 전후 비교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한 학급을 단위로 연구자의 교사교육 후 담임이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중재 프로그램은 매체, 활동, 주제, 중재자 및 참여자, 그리고 현장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었다. 효과변인으로는 편견 감소 및 다문화인식, 사회적 유능성, 창의성 및 예술성, 언어 및 정서 발달로 구분되었다. 대부분의 연구들은 효과를 보고하였으며 이 중 변수들 간의 비교가 가능한 편견 감소 및 다문화인식, 사회적 유능성, 창의성 변수에 대해서는 효과 크기를 비교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다문화교육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Following the protocol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rocesses,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e and effectiveness of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A Population,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s, Time, Setting, Study Design (PICOTS-SD) strategy was established, and 462 pieces of literature published during the 2000-2013 period from 3 electronic databases were reviewed. Twenty-nine of these references met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nd were selected for systematic review. Analyses results are as follows. (1) Most of the references wer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and most of the interventions were executed by the teachers in charge who had been educated by the researchers. (2)The types of Multicutural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differed in that they had various medias, activities, themes, interventions, participants, and field needs. (3) Various multicultural program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prejudice reduction, multiculturalism understanding, social competence, creativity and artistic capacity, linguistic and emotional development. Meta-analysis compared the size or extent of these effects on prejudice reductio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social competence with references that had comparable variables. The implications of the systematic review findings are discussed in the article.

      • KCI우수등재

        잠재프로파일분석과 머신러닝을 활용한 한국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예측

        고은경(Eun Kyoung Goh),전효정(Hyo Jeong Jeon) 한국아동학회 2020 아동학회지 Vol.41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actors of first graders’ school adjustment in Korean elementary school by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 to predict and classify among the first-graders who have difficulty in school adjustment. Methods: Data from 1,010 children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were used in the seventh to eighth surveys of the 2014-2015 Korean Childrens Panel. The output variable of machine learning is the school adjustment type of the eighth survey data, and the type and number of each school adjustment were determined by latent profile analysis of its sub-variables. The input variables for machine learning were the children’s gender and school readiness of the seventh data. In addition, the childrens difficulty in executive function, school preference, parents interest in school life,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work stress included in the eighth data were selected as input variables. As a model for predicting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ype, four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re used. Results: Three types of school adjustment were identified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with the lowest level of school adjustment being 13.1% of all children. “Difficulty in executive function” was the predictor of the lowest level of school adjustment in all machine learning models. The model that best classifies children at the lowest level of school adjustment was the gradient-boosted decision tree model, with an accuracy of 94%, a sensitivity of 70%, a specificity of 97%, and an AUC of .89. Conclusion: When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 model, the difficulty in adjusting to school in the first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was most predicted by difficulty of the executive function; however, school readiness was not. This study suggested that cooper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primary education based on empirical analysis is necessary for successful primary connection.

      • KCI등재

        유아 토론 및 토의 기반 활동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고은경(Goh, Eunkyoung),강진주(Kang, Jinju)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6

        본 연구는 토론 및 토의를 기반으로 이루어진 유아교육 활동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문헌고찰하고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유아교육에서 토론 및 토의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8년 3월 2일부터 3월 7일까지 RISS, KISS, DBpia 검색엔진에서 ‘유아 토론’ 및 ‘유아 토의’로 검색하여 대상 문헌을 수집하였다. 최초 검색된 문헌은 1,315편이었고, 연구진이 정의한 PICOS 내용에 따라 최종 분석된 문헌은 54편이었다. 연구결과, 토론 및 토의 기반 활동의 전체 효과크기(Hedges’s g)는 무선모델를 적용하여 긍정성 증진은 1.14이며, 부정성 감소는 –0.84로 큰 수준의 효과가 나타났다. 하위영역별 효과는 사회적 기술 및 태도(Random Es=1.12), 사회적 인지(Random Es=1.01), 정서(random Es=1.34), 창의성(Random Es=1.34)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토론 및 토의의 목적, 집단유형, 활용 매체, 처치 실시간격에 따라 효과크기가 달라졌음을 보여주었다. 이에 따라, 토론 및 토의 활동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교육적 실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promote discussions and debates in young children education by systematically reviewing references and conducting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educational activities composed of discussions and debates. The words “young children discussion” and “young children debates” were searched, on the Korean online database systems, RISS, DBpia, and KISS, to locate the relevant articles from March 2nd to March 7th, 2018. Initially, 1,315 articles turned up and 54 articles underwent final analysis based on the PICOS procedure, defined by the research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hole effect size (Hedges’s g) of discussion and debates with a random effects model was fairly large (random Es = 1.14) as the size of positive effect of 1.14 and that of negative effect was -0.84. The effects of each sub-category were shown to be significantly high in statistics as following; social skills and behaviors (random Es = 1.12), social cognition (random Es = 1.01), creativity (random Es = 1.32), and emotion (random Es = 1.34). Also, the size of effects were shown to be vari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discussions and debates, types of groups, operating media, and the time interval of activities. Therefore, the study discussed educational implementation to maximize the effects of discussion and debates.

      • KCI등재

        한국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행복감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알고리즘의 적용

        고은경(Goh, Eun-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아동의 행복감을 예측하기 위한 것이다. 2017년에 실시된 한국아동패널 10차 데이터의 초등학교 3학년 아동 1,476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아동의 행복감을 예측하는 모델로는 로지스틱 회귀 모델, 라쏘 로지스틱 회귀 모델, 랜덤포레스트 모델, 그레디언트-부스팅 의사결정나무 모델의 4가지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였고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 AUC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머신러닝 모델의 예측력은 네 가지 모델 모두 AUC가 .91로 우수하였다. 아동의 행복감을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는 학교선호도와 자아존중감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아동패널 데이터를 이용한 머신러닝 모델이 아동의 행복감을 예측하고 분별하는 데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children s happiness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Data from 1,476 elementary 3rd grade children from the Korean Children s Panel 10th data conducted in 2017 were used. The happiness prediction model used 4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 logistic regression model, a logistic regression with lasso model, a random forest model, and a gradient-boosted decision tree model, and compared sensitivity, specificity, accuracy, and AUC.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edictability of all 4 machine learning models was excellent at AUC of .91. School preference and self-esteem were important variables to predict children s happiness. Through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machine learning model using Korean children s panel data is useful for predicting and discriminating children s happiness.

      • KCI등재

        유아기 학교준비도 유형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유형에 미치는 영향 : 잠재전이분석의 적용

        고은경(Goh, Eun-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학교준비도와 초등학교 입학 후 학교적응의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여, 두 잠재계층 간의 전이비율을 살펴보고, 전이 유형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7~8차 조사의 아동 1,010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전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학교준비도의 잠재프로파일 계층 유형은 고수준(63.6%)과 저수준(36.4%)의 2계층으로 구분되었고,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적응 잠재프로파일 계층 유형은 고수준(58.2%), 중수준(28.7%), 저수준(13.1%)의 3계층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학교적응 고수준 집단으로 전이된 비율은 학교준비도의 저수준 계층에서 54.3%, 학교준비도 고수준 계층에서 60.4%이다. 학교적응 저수준 집단으로 전이된 비율은 학교준비도 저수준 계층에서 12.0%, 학교준비도 고수준 계층에서 14.9%이다. 셋째, 학교준비도 계층과 무관하게 학교적응의 큰 위험요인은 집행기능 곤란이었다. 또한, 학교준비도의 저수준 계층에서 여아는 남아보다 학교적응의 고수준으로 전이되는데 유리하며, 부모의 관심은 학교적응의 보호요인이 되는 경향이 있다. 유아기 교육에서 초등학교로의 연계과정에서 아동이 학교생활에 적응하는데 집행기능의 영향력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학교준비도 수준이 낮은 경우에 남아에 대한 지원과 부모의 관심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latent profiles of school readiness in early childhood and school adjustment after entering elementary school, examine the transfer rate between the two latent classes, and identify variables affecting transfer type. To this e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1,010 children from the 7th and 8th surveys of the Korean Children s Pane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latent profiles in early childhood school readiness were divided into two levels: high (63.6%) and low (36.4%). The types of latent profile adjustment to primary school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levels: high (58.2%), middle (28.7%), and low (13.1%). Second, the rate of transition from the low level of school readiness to the high level of school adjustment was 54.3%, and the rate of transition from the high level of school readiness to the high level of school adjustment was 60.4%. The rate of transition from the low level of school readiness to the low level of school adjustment was 12.0%, and the rate of transfer from the high level of school readiness to the low level of school adjustment was 14.9%. Third, regardless of the degree of school preparation, the major risk factor for school adjustment was difficulty in the executive function. And in the low-level class of school readiness, girls are more likely to be transferred to higher levels of school adjustment than boys, and parental interest tends to be a protective factor for school adjustment. In the process of linking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elementary school,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ffect of the executive function on children adapting to school life. In particular, when the level of school readiness is low, support for boys and parental attention may be need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