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품구색경쟁에서의 최적 프라이빗 브랜드 전략

        강우성(Wooseong Kang),정환(Hwan Chung) 한국유통학회 2018 流通硏究 Vol.23 No.4

        지속적으로 치열해지고 있는 경쟁 환경은 유통시장의 참여자들로 하여금 끊임없는 유통혁신을 요구하고 있다. 유통업체들은 제조업체들과는 달리 개별 제품의 경쟁력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제품구색(즉, 범위 및 깊이)을 통해 경쟁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프라이빗 브랜드의 개발 및 도입은 중요한 전략적 도구를 제공하고 있다. 유통업체들에게는 각 제품카테고리 내에서 제조업체 브랜드와의 가격 차별성을 도모할 수 있는 프라이빗 브랜드가 필요하기도 하지만, 특히 경쟁 상황에서는 다른 소매상들과 차별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프라이빗 브랜드의 개발과 도입 역시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게임이론모델 분석과 실증분석을 통해 유통업체의 제품구색이 제조업체의 내셔널 브랜드뿐만 아니라 유통업체의 프라이빗 브랜드도 포함된 경우 프라이빗 브랜드의 포지셔닝에 대한 최적 의사결정을 분석하고, 소매 유통산업 전반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다양한 포지셔닝의 프라이빗 브랜드를 포함하는 제품구색을 전략적으로 선택하는 유통업체간 경쟁을 게임이론모델과 실증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특히, 소매업체들의 경쟁 상황에서 내셔널 브랜드와의 가격우위를 강조하는 가격 중심의 포지셔닝을 제공하는 프라이빗 브랜드와 경쟁 소매상과의 구색 차별화를 강조하는 차별화 중심의 포지셔닝을 제공하는 프라이빗 브랜드에 대한 전략적 선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적의 프라이빗 브랜드 전략은 경쟁 소매상의 전략 및 경쟁 소매상과의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경쟁 소매상이 가격 중심 전략을 사용하는 경우 소매상들 간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경우에는 차별화 전략을 선택하고,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 가격 중심 전략을 선택함으로써 더 높은 수익을 달성할 수 있다. 반면, 경쟁 소매상이 차별화 전략을 사용하는 경우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가격 중심 프라이빗 브랜드 전략을 사용하고 상대적인 거리가 증가하게 되면 경쟁 상대와 동일한 차별화 전략을 선택하는 것이 최적의 프라이빗 브랜드 전략이 된다. 추가적으로 최적 프라이빗 브랜드 전략에 대한 주요 이론적 동인을 제시하고 실증연구를 통해 이론적 결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제품구색을 통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유통업계에서 최근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는 프라이빗 브랜드의 전략적 관리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색채는 어떻게 우리의 생각을 변화시키는가?: 채도 변화에 따른 역동성 지각이 소비자의 사고방식에 미치는 영향

        조현영 ( Cho Hyun Young ),강우성 ( Kang Wooseong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역동성 또는 정태성이 느껴지게 하는 시각적 자극물에 노출되었을 때 사고방식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조사했다. 단색의 그림과 색채의 채도가 변화하는 그림을 사용한 실험 결과 참가자들은 채도가 변화하는 그림에 노출되었을 때 단색의 그림에 노출되었을 때보다 역동성은 더 크게 지각한 반면 정태성은 약하게 지각했다. 또한, 그림을 정태적으로 지각할 경우와 역동적이라고 지각한 두 경우 모두 정보처리의 수월성이 증가했다. 이는 정태적으로 지각된 그림에는 많은 양의 색상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색채의 전형적 이미지를 떠올리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역동적으로 지각된 그림은 채도가 낮은 부분과 높은 부분의 대비로 인해 색상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기 용이해져 두 조건의 자극물 모두 처리 수월성을 증가시켰다. 마지막으로, 채도가 변화하는 그림이 유발한 역동적인 느낌이 정보처리 수월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에는 확산적 사고가, 영향을 준 경우에는 수렴적 사고가 활성화되었다. 추가적으로 확산적 사고가 제품의 지각된 혁신성을 통해 제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확산적 사고방식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제품에 대한 지각된 혁신성이 증가하며, 이는 제품의 태도를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는 시각적 자극물이 소비자의 인지에 미치는 이론적 과정에 대한 연구분야에 기여하고 있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how people’s thinking style changes in response to the exposure to gradient change in color saturation. We conducted an experiment with the images that are composed of solid colors and the images of saturation gradually changing. Participants perceived gradient images as significantly more dynamic but less static than solid-colored images and both of perceived static and dynamic statu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rocessing fluency. Since solid-colored images contain more amount of hue, they enable us to come up with typical meanings or images of the given color. The images that are perceived as dynamic also were shown to enhance processing fluency because images with gradient effect contains contrast between low- and high- saturated part. Such contrast facilitate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given colors and their typical meanings. Finally, dynamic feeling induced from images with saturation gradually changing was shown to prime convergent thinking when it affects processing fluency but to prime divergent thinking when it does not. In addition, we verified the effect of divergent thinking on product attitude via perceived innovativeness. The results confirm that the activation of divergent thinking increases perceived innovativeness, thereby leading to improved product attitude. Overall, the present study sheds light on the process in which the visual imagery affects cognition.

      • KCI등재

        개인 및 팀 수준에서의 영업통제가 영업사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준섭(Junseop Lee),강우성(Wooseong Kang) 한국유통학회 2018 流通硏究 Vol.23 No.3

        본 연구는 영업조직에서 전략적 관리도구로 활용하고 있는 영업통제시스템이 영업사원의 영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어떠한 심리적 기제가 발생하여 영업사원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 하였다. 특히, 조직에서 행해지는 영업통제시스템의 영향력을 보다 면밀히 파악하기 위해 개인 수준과 팀 수준으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업통제시스템의 하위 차원을 팀 수준에 초점(영업매니저를 통한 측정)을 둔 활동통제와 역량통제, 그리고 개인 수준에 초점(영업사원을 통한 측정)을 둔 결과통제로 구분하여 활동통제, 역량통제, 결과통제가 영업사원의 실제 영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도전의식과 판매지향성이 어떠한 심리적 기제로서의 역할을 하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국내 대형 보험사에 근무하는 1,077명의 영업사원 설문응답, 178명의 매니저 설문응답, 그리고 객관적 영업성과를 매칭(matching)한 자료(triadic data sources)를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과 Hayes의 PROCESS macro(2013)를 적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활동통제는 도전의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역량통제는 도전의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둘째, 결과통제는 판매지향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셋째, 도전의식은 직무열의와 영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판매지향성은 영업사원의 영업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업통제시스템의 하위차원들과 영업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 도전의식과 판매지향성의 매개효과가 확인 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영업연구에서 영업통제시스템과 영업성과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와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으며, 향후 추가 연구의 방향을 제언하고 있다.

      • SCOPUSKCI등재

        환경친화적 유통공간의 소비효용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백인열(In-Yeol Paik),강우성(Wooseong Kang) 한국유통과학회 2018 유통과학연구 Vol.16 No.2

        Purpose – Recently the importance of green consumption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s been increasing, thereby enhancing the importance of green consumption space as well. The retail space, as a representative consumption space, is now consuming more energy by introducing bigger retail space, 24-hour operation, cutting-edge equipment, and manless checkout system. Especially for retailers, who are constantly interacting with consumers, not only the economic consideration but also the consumer experience via retail service and physical retail space is crucial for their succes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the main factors of motivating consumer perception about green retail space. In addition, we further investigate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variables to encourage revisit intention and green retail space imag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order to test our hypotheses with two models, we conducted a survey using questionnaires. In model 1, 356 respondents were surveyed to determine whether consumers’ green attitudes and behaviors enhance environmentally friendly perception on retail space properties. In model 2,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69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 in green retail space.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with on-line panels in Korea and analyzed using regression model and Hayes’ PROCESS macro. Results – We found that consumers with green attitude put more importance on the attributes of green retail space. Also, the utility of the green retail spac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emotional and social benefits. And, the consumers, who perceived the importance of green retail space, show higher revisit intentions. The emotional and social utilities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revisit intention through green retail space image. Conclusions –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 green retail space can induce positive consumer utility, thereby increasing green retail

      • KCI등재후보

        공공기관 혁신방향에 관한 연구 : 新정부의 공공기관 정책방향과 우수사례를 중심으로

        정진호(Jinho Jung),강우성(Wooseong Kang)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2014 경영과 사례연구 Vol.37 No.2

        공공기관 혁신은 공공서비스 품질을 향상시켜 국민의 공공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목적이라는 점에서 일반 기업의 혁신과 다르다. 또한 공공기관은 정부정책에 따라 혁신활동이 영향을 미친다는 커다란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공공기관은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국민생활에 필수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한국조세연구원, 2013), 공공기관 혁신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은 것이 사실이며, 더욱이 공공기관 혁신모델에 대한 연구가 그동안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의 공공기관 정책방향과 우수 혁신 사례들을 중심으로 공공기관 혁신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Oslo manual의 혁신유형에 관한 모델을 중심으로 공공기관에 적합한 혁신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Oslo manual에서 ‘기술’과 ‘시장’을 중심으로 4가지 혁신유형을 소개하였는데, 공공기관의 특징을 고려하여 ‘정부정책’과 ‘서비스’를 중심으로 정책 기반 혁신,프로세스 혁신, 서비스 혁신, 선도적 혁신으로 공공기관의 혁신유형을 4가지로 재분류하였다. 또한 각각의 혁신 유형에서 요구되는 혁신역량을 제시함으로써 공공기관 혁신활동의 성공요인을 제시하였다. 또한 새정부 출범이후 공공기관 혁신 우수사례로 선정된 25개의 사례를 분석하여 혁신활동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공기업(시장형, 준시장형), 준정부기관(기금관리형, 위탁집행형), 기타 공공기관으로 분류되는 공공기관의 사업 및 조직특성을 고려하여, 각 유형 별 대표적인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공공기관 유형에 적합한 혁신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공기업은 치열한 시장경쟁 및 전 국민을 대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는 점에서 혁신활동이 매우 다양하다. 반대로 준정부기관은 정부를 대신해서 특정 사업을 위탁 또는 관리해 나가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 혁신 또는 프로세스 혁신을 통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혁신활동을 추진해 나가고 있다. 마지막으로 기타 공공기관은 일반적으로 조직 규모가 작기 때문에 프로세스 혁신과 정책 기반 혁신을 주로 추진한다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정부정책과 공공기관 유형을 고려하여 공공기관 혁신활동의 방향성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향후 사례연구 이외에도 가설 설정을 통한 면밀한 분석 및 지속적인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공공기관 혁신방향에 대한 보다 면밀한 연구를 추가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The innovations of public institutions are different from a company s innovation, since its purpose is to enhance the service satisfaction for the public by increasing public service quality. Also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a public institution s innovation is influenced by the government policy. Although public institu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national economy and it provides essential service for the public life, there is few research on public institution s innovation and innovation mode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innovation direction for public institution by studying the government s policy direction and excellent innovation cases. Specifically, this research attempts to suggest the appropriate innovation model for public institution by examining the model for innovation type of Oslo manual. Oslo manual introduces four innovation types based on technology and market , but this research reclassifies public institution s innovation into four types (policy-based innovation, process innovation, service innovation, leading innovation) based on the government s policy and service . Also this research suggests critical success factors of public institution innovation by examining innovation capabilities, required by each innovation type. Also we seeks for innovation direction by analyzing 25 successful innovation cases for Korean public institution in 2013. This research analyzes public institutions typical cases with consideration of business and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They are general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public corporation(market type, semi-market type), quasi non-government institution(trust type, fund type), and other public institutions. This research offers the innovation directions for each public institution types. We finds that the innovation activities of public corporations are extremely diverse, because they face intensive competitive environment and serve the whole nation. On the other way, quasi non-governments maintain stable and sustainable innovation activities via service innovation and process innovation, because they supervise certain businesses and work consignment basis on behalf of the government. Finally other public institutions are generally small in size, so that their innovation directions are usually process innovation and policy-based innovatio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we can predict the direction of public institution s innovations by considering government policies and public institution s types. In addition to the case study, we would like to propose future research direction, including more rigorous empirical data analysis and longitudinal analysis.

      • KCI등재

        복수제품카테고리에서의 최적유통업태 전략

        정환(Chung, Hwan),강우성(Kang, Wooseong) 한국마케팅학회 2017 마케팅연구 Vol.32 No.1

        글로벌 유통업체들은치열해지는 경쟁상황을돌파하기 위해끊임없는 유통혁신을 추구하고있다. 그 결과혁신적인 신규업태가유통시장에 새롭게도입되고, 기존의 업태들도신규업태와 경쟁하기 위해변화와 혁신을추구하면서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유통산업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제품구색과 업태결정을 통한 유통업체들의 최적 경쟁전략을 이해하고 유통산업구조 전반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첫째, 프라이빗 브랜드를 포함하는 다양한 범위의 제품구색을 전략적으로 선택하는 유통업체간 경쟁(동종 업태 간 경쟁 대 타 업태 간 경쟁)의 본질적인 특성에 관해 게임이론모델분석을 통해 이해하고자 한다. 둘째, 제한된 제품 카테고리의 범위만을 취급하여 가격의 다양성을 제공하는 유통업체와 상대적으로 다양한 제품카테고리들을 취급하는 종합유통업체의 경쟁에 있어서 각 유통업체 관점에서 최선의 프라이빗 브랜드 관리 전략에 관해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는 모든 조건이 대칭적인 경우임에도 불구하고 제품구색의 다양성과 깊이라는 측면에서 상이한 두 소매업태의 경쟁이 Nash 균형해가 되는 시장조건이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즉, 가격에 민감하거나 예산제약 등의 이유로 필수품이 아닌 제품들에 대한 구매주기가 길어진 소비자의 수가 증가할 수록 상이한 업태의 소매상들간 경쟁이 더 활발해짐을 의미한다. 둘째, 시장 내 유명 브랜드만을 구입하는 브랜드 소비자의 규모에 비해 가격비교를 통해 유명 브랜드 또는 저가브랜드를 모두 구입하는 합리적 소비자의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제품종류의 다양성보다 한정적인 제품카테고리에 대해 다양한 가격대의 제품들을 제공하는 소매업태가 전략적으로 최선의 선택이 된다. 셋째, 두 제품카테고리를 모두 구입하는 소비자 수가 증가하게 되면 원 스톱 쇼핑의 제공이 소매상에게 전략적으로 중요해지며 그 결과 제품구색에 있어 카테고리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 된다. 넷째, 업태가 상이한 소매상들간 경쟁은 동일한 업태의 소매상들간 경쟁에 비해 유명 브랜드와 저가 브랜드에 대해 더 낮은 가격을 제공한다. 이러한 결과는 동일한 업태의 소매상들끼리 경쟁하는 상황에 비해 제품구색 측면에서 상이한 업태의 소매상들이 경쟁하는 경우에 시장 내 소비자들은 더 저렴한 가격에 제품을 구입할 수 있게 되고 소비자 후생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해준다. Global channel members are continuously pursuing retail innovation to overcome ever-intensifying competitive environment. As a result, innovative retail formats are introduced in the marketplace and incumbents are seeking changes and innovations to compete against new entrants. To understand these recent and important changes in retail industry, our study plans to investigate retailer’s optimal competitive strategy using product assortment and channel format decision to provide managerial implications for retail industry. Specifically, first, we investigat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competition between channel participants with different channel formats (symmetric and asymmetric channel formats) using game theoretic approach. Second, we attempt to provid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private brand management in two different channel formats: retailers offering price variety (but limited product category variety) vs. retailer offering product category variety (but limited price variety). Our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rational consumer increases, purchasing both national brand and private brand, compared to brand consumer, who buys only national brand, offering a product line with price variety rather than category variety becomes optimal channel format choice. Second, as the number of consumer who buys both categories at the same time, offering one-stop shopping convenience becomes more strategically important and retailers choose to offer category variety in their assortment. Third, we find the conditions under which asymmetric equilibrium exists in channel format decision. That is, the industry structure with two retailers having different product assortment depth and width can be a Nash equilibrium solution. It implies that, if the purchase interval lengthens due to price sensitivity or budget constraints, it is more likely that the competition between different retail formats intensifies. Fourth, the competition between different retail formats leads to lower prices in both national and private brand. It implies that, compared to symmetric formats, asymmetry in product assortments offers an opportunity for consumers to buy both product categories in lower prices, thereby resulting in better consumer welfare.

      • KCI등재후보

        공공기관 혁신방향에 관한 연구 : 新정부의 공공기관 정책방향과 우수사례를 중심으로

        정진호(Jinho Jung),강우성(Wooseong Kang)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2014 경영과 사례연구 Vol.37 No.1

        공공기관 혁신은 공공서비스 품질을 향상시켜 국민의 공공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목적이라는 점에서 일반 기업의 혁신과 다르다. 또한 공공기관은 정부정책에 따라 혁신활동이 영향을 미친다는 커다란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공공기관은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국민생활에 필수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한국조세연구원, 2013), 공공기관 혁신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은 것이 사실이며, 더욱이 공공기관 혁신모델에 대한 연구가 그동안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의 공공기관 정책방향과 우수 혁신 사례들을 중심으로 공공기관 혁신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Oslo manual의 혁신유형에 관한 모델을 중심으로 공공기관에 적합한 혁신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Oslo manual에서 ‘기술’과 ‘시장’을 중심으로 4가지 혁신유형을 소개하였는데, 공공기관의 특징을 고려하여 ‘정부정책’과 ‘서비스’를 중심으로 정책 기반 혁신,프로세스 혁신, 서비스 혁신, 선도적 혁신으로 공공기관의 혁신유형을 4가지로 재분류하였다. 또한 각각의 혁신 유형에서 요구되는 혁신역량을 제시함으로써 공공기관 혁신활동의 성공요인을 제시하였다. 또한 새정부 출범이후 공공기관 혁신 우수사례로 선정된 25개의 사례를 분석하여 혁신활동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공기업(시장형, 준시장형), 준정부기관(기금관리형, 위탁집행형), 기타 공공기관으로 분류되는 공공기관의 사업 및 조직특성을 고려하여, 각 유형 별 대표적인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공공기관 유형에 적합한 혁신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공기업은 치열한 시장경쟁 및 전 국민을 대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는 점에서 혁신활동이 매우 다양하다. 반대로 준정부기관은 정부를 대신해서 특정 사업을 위탁 또는 관리해 나가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 혁신 또는 프로세스 혁신을 통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혁신활동을 추진해 나가고 있다. 마지막으로 기타 공공기관은 일반적으로 조직 규모가 작기 때문에 프로세스 혁신과 정책 기반 혁신을 주로 추진한다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정부정책과 공공기관 유형을 고려하여 공공기관 혁신활동의 방향성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향후 사례연구 이외에도 가설 설정을 통한 면밀한 분석 및 지속적인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공공기관 혁신방향에 대한 보다 면밀한 연구를 추가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The innovations of public institutions are different from a company s innovation, since its purpose is to enhance the service satisfaction for the public by increasing public service quality. Also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a public institution s innovation is influenced by the government policy. Although public institu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national economy and it provides essential service for the public life, there is few research on public institution s innovation and innovation mode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innovation direction for public institution by studying the government s policy direction and excellent innovation cases. Specifically, this research attempts to suggest the appropriate innovation model for public institution by examining the model for innovation type of Oslo manual. Oslo manual introduces four innovation types based on technology and market , but this research reclassifies public institution s innovation into four types (policy-based innovation, process innovation, service innovation, leading innovation) based on the government s policy and service . Also this research suggests critical success factors of public institution innovation by examining innovation capabilities, required by each innovation type. Also we seeks for innovation direction by analyzing 25 successful innovation cases for Korean public institution in 2013. This research analyzes public institutions typical cases with consideration of business and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They are general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public corporation(market type, semi-market type), quasi non-government institution(trust type, fund type), and other public institutions. This research offers the innovation directions for each public institution types. We finds that the innovation activities of public corporations are extremely diverse, because they face intensive competitive environment and serve the whole nation. On the other way, quasi non-governments maintain stable and sustainable innovation activities via service innovation and process innovation, because they supervise certain businesses and work consignment basis on behalf of the government. Finally other public institutions are generally small in size, so that their innovation directions are usually process innovation and policy-based innovatio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we can predict the direction of public institution s innovations by considering government policies and public institution s types. In addition to the case study, we would like to propose future research direction, including more rigorous empirical data analysis and longitudinal analysis.

      • KCI등재

        대규모 복합쇼핑몰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한국과 일본사례의 비교 연구

        백인열(Paik, In-Yeol),강우성(Kang, Wooseong) 한국유통학회 2016 流通硏究 Vol.21 No.3

        국내 복합쇼핑몰은 코엑스몰과 센트럴시티가 영업을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도입되었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들의 소비 형태에도 많은 변화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단순한 재화의 구매를 벗어나 여가를 즐기듯 장시간 체류하거나 구매 이외의 행동에 중점을 두는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으로 인식되기 위해 복합쇼핑몰이 중점을 두는 부분은 어떤 것이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한국과 일본의 대표적인 복합쇼핑몰을 운영하는 실무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는 질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복합 쇼핑몰을 선호하는 소비자를 위한 쇼핑몰 관리자들의 마케팅 활동에 대하여 조사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복합쇼핑몰의 활성화 요인은 크게 1)물리적 요인과 2)운영적 요인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운영적 요인은 다시 직접적 마케팅 요인과 간접적 마케팅 요인으로 분류 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과 일본 모두 물리적 요인과 직접적 마케팅 운영요인이 활성화에 중요한 항목이라고 인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간접적 마케팅 요인에 있어서 차이점이 두드려지게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전문 마케팅 운영조직을 사내에 보유하고 지역사회와 연계한 다양한 공익적 활동을 실시하는 일본 측 요인이 한국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일본의 쇼핑몰들은 일관된 관리운영체계를 갖추어 서비스품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하는 등 쇼핑몰의 참신함을 장기간 유지하여 전체 브랜드가치를 높이려는 시도들이 많다는 것도 차이점으로 드러났다. 우리나라의 경우 복합쇼핑몰과 아울렛의 지속적인 출점이 예정되어 향후 경쟁이 치열해 질 것으로 예상되는 바, 개별 쇼핑몰이 이러한 경쟁을 이겨나가기 위해서는 기존의 활동에 덧붙여 간접적 마케팅 요인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