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이 예비중등교사의 교수적 수정 지식 습득과 장애학생교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영심 ( Kang Youngsim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교사교육연구 Vol.55 No.3

        통합교육이 확대됨에 따라 일반교사가 장애학생을 이해하고 장애학생의 학습권을 보장하는 교육을 실행해야 하는 책무감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이러한 통합교육을 준비시키기 위한 과목으로 개설된 특수교육학개론 강좌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이 예비중등교사의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적 수정 방법에 대한 지식의 습득과 장애학생교육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B지역의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중등교사 177명이다. 이들은 교직 소양으로 특수교육학개론을 수강하였다. 수업의 첫 시간과 수업이 끝난 후 마지막 종강 시간에 설문지를 통하여 교수적 수정 방법에 대한 지식의 습득 정도와 장애학생교육에 대한 효능감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육학개론 수강 후 예비중등교사는 수강 전과 비교했을 때 교수적 수정 전 영역에 대한 지식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나 장애학생교육 효능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양성과정에 개설된 특수교육학개론이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적 수정 방법에 대한 지식을 가르치는데 긍정적이지만 장애학생교육 효능감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예비중등교사의 장애학생교육 효능감은 통합교육의 성공적인 실행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므로 이를 고양시킬 수 있도록 특수교육학개론 강좌 내용이나 운영 방식에 대한 고민과 보완이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participation in an introductory special education course could influence pre-service teachers’knowledge on implementing instructional adaptations and teaching efficacy to second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surveyed 177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t P National University in B city.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background information questions (gender, grade, experience access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during teaching practice), instructional adaptations questions, and teaching efficacy questions. The instructional adaptations questions consisted of 5 sub-categories totaling 30 items (environment 8, grouping 5, methods 6, contents 6, evaluation 5). The teaching efficacy questions were structured using a five point Likert scale and consisted of 2 sub-categories totaling 25 items (general 9, personal 16). Participa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aking the mandatory course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t-test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implementing instructional adaptations and teaching efficac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efore and after the course.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service teachers’knowledge on implementing instructional adaptation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ing efficacy before and after taking the course. This study implies providing pre-service teachers with the experience to understand special education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mandatory course is very important for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 지적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이 트라우마반응 일 수 있다

        강영심(YoungSim Kang),손성화(SungHwa Son) 한국특수교육학회 2020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

        지적장애학생의 행동 문제는 당사자와 가족은 물론 학교와 지역사회에 많은 도전을 주는 이슈임. 특수교육 현장은 문제행동을 중재하기 위해 행동주의적 접근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으나 인간의 행동이 다양한 개인 내·외적환경요인에 의해 표출되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지적장애학생의 전반적인 삶에 대한 충분한 이해 없이 드러난 증상에만 초점을 두는 중재는 새로운 문제를 야기할 위험이 있으므로 이러한 위험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함. 트라우마는 개인의 경험한 특정 사적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는 상태로 지적장애학생은 출생 시부터 지속적으로 신체적 손상, 거부와 배제, 차별과 폭력 같은 다양한 트라우마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음. 그 결과 지적장애학생은 트라우마로 인한 공포감, 불안, 무력감에서 벗어나기 위해 소위 트라우마 생존반응을 하게 되는데, 그 반응은 주로 문제행동이라 간주되는 공격행동, 파괴행동 등의 외현화 행동과 사회적 회피, 위축, 불안, 우울 등의 내면화 행동으로 나타남.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뇌신경생물학적(3뇌 이론, 다미주신경이론 등) 접근에 기반한 트라우마 반응으로 이해하고 문제행동 중재방법에 다음과 같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함. 첫째, 일차적으로 표출된 지적장애학생이 문제행동은 제거해야 하는 ‘나쁜’ 것이 아니고 트라우마에서 벗어나기 위한 생존반응으로 지적장애학생에게 ‘필요한’ 거라는 공감으로부터 출발해야 함. 둘째, 문제행동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서 지적장애학생의 삶의 역사를 충분히 수집하여 트라우마 경험을 지적장애학생의 1자적 관점에서 그 의미를 탐색해야 함. 셋째, 트라우마 회복을 위해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요인인 ‘안전감’을 담보하는 노력을 해야 함. 넷째, 트라우마 경험으로 인해 무너진 지적장애학생의 자원과 역량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행복, 희망 등의 긍정적 심리를 중재과정에 포함해야 함. 다섯째, 안전한 환경에서 지적장애학생을 중재하기 위해서 교사는 자기 작업을 통하여 자신의 트라우마 반응을 탐색하고 자각하는 능력을 함양하여 진정으로 안전하고 편안한 상태로 지적장애학생을 만나야 함.

      • KCI등재

        지적장애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의 직업교육 직무연수에 대한 만족도

        이정은 ( Jungeun Lee ),강영심 ( Youngsim Kang ),이연재 ( Yeonjae L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직업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교사의 직업교육 직무연수에 대 한 만족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 울산, 경남지역 소재의 지적 장애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 125명이며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 술통계, t검증과 F검증(Scheffe 사후검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지적장애 특수학교 직 업담당교사의 직업교육 직무연수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배 경변인별로는 직업담당교사의 직업교육 경력, 학력 및 담당학급 유형에 따른 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근무학교 형태, 성별, 교직경력 및 교원자격에 따른 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 었다. 본 연구는 직업교육 직무연수가 지적장애 특수학교 연수대상 교사의 직업교육 경력과 담당 학급 유형을 고려한 내용으로 구성된다면 효과적일 것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level in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perceived by vocational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s were 140 vocational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Busan, Ulsan and Kyungnam areas. Their answer to the questionnaire were analys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F-test(Scheffe post-hoc testing).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level in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perceived by vocational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a little above the average. Second, type of schools, gender, teaching career and type of teacher certificate did not make any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However, the vocational teaching career, education and the type of class in charge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These results of analysis means that in oder to enhance the level of the satisfacti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must be customized to the vocational teachers various needs arising from the different vocational teaching career, academic career, and the type of class in charge.

      • KCI등재

        교사의 다문화 태도와 지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전인주(Jeon InJoo),강영심(Kang YoungSim),이유정(Lee Yu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0

        본 연구는 교사의 다문화 태도와 지식, 다문화 효능감의 수준을 살펴보고, 다문화 태도와 지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8년 4월부터 6월까지 부산, 경남 지역의 초, 중, 고등학교 교사 124명을 대상으로 다문화 태도와 지식, 다문화 효능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사의 다문화 태도와 지식, 효능감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 분석을 실시하였고, 다문화 태도와 지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로 교사들의 다문화 지식, 태도와 다문화 효능감은 평균이상이었으며, 교사들의 변인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다문화 태도와 지식은 다문화 효능감에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태도와 지식이 높을수록 다문화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들의 다문화 태도, 지식, 다문화 효능감의 수준과 교사들의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다문화 태도와 지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교사들의 다문화 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multicultural attitude, knowledge, and multicultural efficacy of teachers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attitude and knowledge on multicultural efficacy. For this purpose, 124 teachers from elementary, junior high and high schools in Busan and Kyungnam area surveyed multicultural attitudes, knowledge, and multicultural efficacy from April to June, 2018.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 knowledge and efficacy level,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multicultural attitude and knowledge on multicultural efficacy Respectively. First, multicultural knowledge, attitude and multicultural efficacy were higher than average, and teachers variables showed differences. Second, multicultural attitudes and knowledge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multicultural efficacy, and multicultural attitudes and knowledge have higher multicultural effic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 knowledge, multicultural efficacy level and teachers variables on multicultural attitudes and knowledge on multicultural efficacy. It is meaningful to provide basic data for this purpose.

      • KCI등재

        특수학급 지적장애중학생의 친구관계 질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손성화(Son, SungHwa),강영심(Kang, YoungS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본 연구는 일반중학교의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친구관계 질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부산, 울산, 경남지역의 지적장애중학생 106명이며, 조사기간은 2015년 12월부터 2016년 2월까지이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친구관계 질 요소 중 친밀감이 지적장애중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친구관계 질 요소 중 동료애가 수업참여와 학교환경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친밀감이 학교규칙 준수와 친구 및 교사관계, 학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중학생의 친구관계 질과 학교적응간의 관계 를 살펴봄으로써 지적장애학생의 학교부적응을 예방하고, 원만한 학교생활을 돕기위한 구체적인 지원방안을 탐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dictors of friendship quality on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class. The participants were 106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ree cities; Busan, Ulsan, & Gyeongnam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relationship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ub-components as intimacy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level of overall school adjustment. Second, companionship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level of academic engagement and school environment adjustment. Futhermore intimacy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level of observance of the school rules,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 and school satisfaction. This study can be a meaningful step in preventing school maladjustment and suggesting concrete support strategies by providing basic data.

      • KCI등재

        비장애대학생의 공동체의식 유형에 따른 장애대학생에 대한 태도 차이

        손성화(Son, SungHwa),강영심(Kang, YoungS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2

        본 연구는 비장애대학생의 공동체의식 유형을 분석하고 각 유형별로 장애대학생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시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비장애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2단계 군집분석, 판별분석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장애대학생의 공동체의식 유형은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고, ‘권위순종형’, ‘자율협력형’, ‘무관심형’, ‘폐쇄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장애대학생의 공동체의식 유형에 따라 장애대학생에 대한 태도는 차이를 보였다. 즉, 행동적 태도에서 ‘권위순종형’이 ‘무관심형’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자율협 력형’이 ‘무관심형’과 ‘폐쇄형’보다 높게 나타났다. 인지적 태도와 전체 장애대학생에 대한 태도에서는 ‘자율협력형’이 ‘무관심형’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감정적 태도는 공동체의식 유형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결과를 중심으로 비장애대학생의 공동체의식 유형에 따른 차별화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 였고, 향후 장애대학생에 대한 긍정적 태도 함양을 위해 구체적인 제언을 제시하였 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ense type of community of university students and further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attitude toward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were 201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luster analysis, discriminant analysis, one-wa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nse type of community of university students has been categorized into four group types: obedience, cooperation, indifference, exclusion. Second, the attitude toward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ense type of community of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useful information that not only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but also support direction for assisting successful school life.

      • KCI등재

        근거이론적 접근을 통한 지적장애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과정 분석

        손성화(Son, SungHwa),강영심(Kang, YoungSim),김소미(Kim, So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0

        본 연구는 지적장애 대학생이 대학생활에서 경험하는 적응과정을 분석하여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대학생활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시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대학생 4명을 대상으로 2017년 6월부터 7월까지 개별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근거이론 접근방법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적장애 대학생이 대학 생활을 통해 경험하는 중심현상은 ‘여전히 나는 주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지적장애 대학생의 적응과정은 ‘한계와 절감’, ‘위기와 조절’, ‘노력과 도전’, ‘성장과 도약’의 4단 계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지적장애 대학생의 대학생활의 핵심경험과 적응과정에 대해 논의하였고 대학적응을 돕기 위한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a supporting plan of colleg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analyzing the adjustment to college and providing theoretical framework.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for the 4 colleg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ed the contextual conditions ‘Gap between expectation and reality . Second, the adjustment process of college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verified as 4 steps(‘Limitation and feeling keenly , ‘Crisis and control , ‘Effort and challenge , ‘Growth and leap ). Last,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the core experience and adjustment process of colleg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uggests future research to help their positive college adjustment.

      • KCI등재

        장애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모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손성화(Son SungHwa),강영심(Kang YoungS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0

        본 연구는 장애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모애착의 매개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 울산, 경남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의 일반학급과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초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모애착은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은 정상범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모애착과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애착은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장애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모애착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중학생의 정서적 이해를 돕고 향후 장애중학생의 우울을 감소하기 위한 실천적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supports and depres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 attachment was explored. The participants were 103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in Busan and Ulsan city, Gyeongnam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utonomy supports and mother attachment was more than normal. And the level of depression was normal.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autonomy suppor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 depression. Third, the mother attachment effected on depression. At the same time,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 attachment was identified. This results suggest that mother’s autonomy supports and attachment play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depres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발달장애인 가족 삶의 질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민정 ( Han Minjeong ),강영심 ( Kang Youngs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2 지적장애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가족 삶의 질을 알아보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척도 개발을 위한 첫 단계로 문헌분석과 발달장애인 가족 심층 면담을 하여 척도 구성요인과 측정 문항을 작성하였다. 척도 초안은 15명의 전문가 집단으로 이루어진 패널에게 3차례 델파이 조사하였고, 전문가 내용 타당도 검증을 통해 수정과 보완의 과정을 거쳐 발달장애인 가족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하였다. 위 과정을 통해 개발된 척도를 이용해 발달장애인 가족 구성원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하였다. 총응답자는 207명이나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00명의 자료를 분석해 척도 타당화 검증에 사용하였다. 타당화 검증은 사각 회전을 이용한 직접 오블리민 방식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발달장애인 가족 삶의 질 척도는 5개의 요인에서 22개의 측정 문항이 도출되었다. 5개의 요인은 전문가 5인과 명명작업을 하였다. 최종 개발된 발달장애인 가족 삶의 질 척도의 요인은 ‘심리적 건강’, ‘발달장애인에 대한 부담’, ‘지역사회 참여’, ‘개방성’과 ‘응집력’이다. 신뢰도 검증을 위한 문항 내적 신뢰도는 각 요인에서 .662에서 .892로 나타났고 척도 전체는 .928이다. 공인 타당도 검증을 위해 비치센터 장애인 가족 삶의 질 척도와 비교하여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발달장애인 가족 삶의 질 척도는 발달장애인 가족 삶의 질을 측정하기에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향후 본 척도가 발달장애인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가족 지원 프로그램이나 정책 개발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amily quality of life scale for families with memb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o test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o develop the scale, preliminary questions were prepar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famili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draft scale was developed through Delphi surveys and expert content validation. After that, the data of 200 family memb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analyzed.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factors were named with 5 exper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amily quality of life scale of families with memb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sisted of 22 items with 5 factors. The five factors are 'family psychological health', 'family burden', 'community participation', 'family acceptance' and 'family fellowship'. The reliability was .662 to .892 for each factor, and the overall scale was .928. The finally developed family quality of life scale was confirmed to be a reliable and valid tool to measure the family quality of life of famili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is expected that this scale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family support programs and polic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famili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this scale.

      • KCI등재

        장애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 분석

        손성화(Son, SungHwa),강영심(Kang, YoungS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를 분석하여 진로정체감 지위의 발달 양상을 밝히고 장애대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지위별 차이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시, 경상도, 충청도, 전라도,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대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5월부터 10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2단계 군집분석, 판별분석, 교차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는 5개의 군집으로 분류 되었고 성취, 유연적 성취, 유예, 탐색적 유예, 혼미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의 분포특성은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탐색적 유예 지위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유예 지위는 줄어들고 성취 지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시각장애대학생은 유연적 성취가 많은 반면 청각장애와 지체장애 대학생은 탐색적 유예 지위가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장애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는 장애정도, 학과 지원동기, 전공 선택이유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지위에 따른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개별적인 진로지원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