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 「香山三體法」에 관한 서지적 연구

        강순애 한국서지학회 2010 서지학연구 Vol.45 No.-

        This paper will conduct a bibliographic study of the First Cast Gapinja-Type edition of Hyangsansamchebeop by reviewing in the order of its compilation and publication, its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its composition and content, and a comparison of the First Cast Kapinja-Type edition printed around the 10th year of King Jungjong's reign(1515) with the reprint copy in Japan's Hosa Archives(蓬左文庫) which was made in the 20th year of King Myeongjong's reign(1563). Hyangsansamchebeop is the only First Cast Gapinja-Type edition available in or outside the country. The copy owned by Hosa Archives in Japan has an epilogue written by Anpyeongdaegun Yi Yong(李瑢) in the 27th year of King Sejong(1445) as well as an epilogue by Kim Deok-Yong(金德龍) written in the 20th year of King Myeongjong's reign(1565). In this research, the previous theory that this book had been printed in 1565, based on the emphasis on the epilogue by Kim Deok-Yong, was corrected, and the possibilities for further research could open. This book supports the existing theory that some of Gapinja-Type were supplementarily cast in the 10th year of King Jungjong's reign(1515). In this book, used were the First Cast Gapinja-Types created around the 27th year of King Sejong's reign(1445). Due to long use, the strokes of many characters are slender and arched, and some are slanted in the middle. In contrast, the supplementary types of the book have a consistent thickness and size. The beginning of the letters and their strokes are smooth and orderly. Wooden supplementary types tend to have inconsistent thickness and size. Even the same letters have different shapes, and with rough carvings, incisions look clear when magnified. Since the reprint copy made in the 20th year of King Myeongjong's reign(1563) exhibits the same letters as the wooden supplement types, it is certainly the reprint of the one made in the 10th year of King Jungjong's reign(1515). A comparison with the reprint copy of Hosa Archives in Japan shows that it was not published at the same time as the original. A few characteristic differences can be spotted, such as how the strokes are made and how different letters are used for similar meanings in some cases. In particular, some of the letters with different meanings were proofread, corrected, and then repri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most fundamental research in bibliography, typology-related fields, and Korean classics. 이 글은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 「香山三體法」에 관한 서지적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 「香山三體法」의 편찬과 간행, 서지적 특징, 구성 및 내용, 중종 10년(1515)경의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과 일본 蓬左文庫 소장의 명종 20년(1563) 번각본과의 비교의 순서로 살펴보았다. 「香山三體法」은 국내외에서 초주갑인자혼입보자본으로는 유일한 책이다. 일본 蓬左文庫 소장본에는 세종 27년(1445)에 쓴 안평대군의 발문과 명종 20년(1565)에 쓴 김덕룡의 발문이 실려 있는데, 기존의 학자들이 金德龍의 발문에 더 비중을 두어 책의 최초 간행을 명종 20년(1565)으로 보는 학설을 바로 잡을 수 있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게 되었다. 이 자료는 또한 기존에 주장해왔던 중종 10년(1515)의 갑인자 보주설을 뒷받침할 수 있는 자료이다. 이 책은 세종 27년(1445)경에 인출된 초주갑인자 활자가 사용되고 있는데, 오래 사용해서 획이 아주 가늘고 모양이 휘어 있으며, 중심이 기울어 진 것들이 있다. 중종 10년(1515)경의 초주갑인자보자는 활자의 굵기와 크기가 일정하고 매우 정연하다. 기필되는 부분과 삐침 등이 매우 부드럽고 정연한 것을 볼 수 있다. 목활자 보자들은 활자의 굵기와 크기가 일정하지 않다. 동일한 활자라 하더라도 같은 글자 모양이 없고 새김이 매우 거칠어서 확대하여 보면 칼자국이 선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명종 20년(1563)의 번각본에는 이 목활자 보자와 같은 형태의 글자가 그대로 나타나고 있어 중종 10년(1515)경의 번각임을 알 수 있다. 일본 봉좌문고에 소장된 번각본과 비교해 본 결과 원본과 똑같이 간행된 경우가 아닌 것이 나타나고 있다. 몇 가지 특징적인 것은 획을 쓰는 습관에서 나타나는 차이와 뜻이 비슷한 다른 글자를 사용하고 있는 예도 있었다. 특히 뜻이 다른 글자가 사용된 경우는 내용을 교감하여 일부 글자는 정정하여 번각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서지학분야, 활자관련분야, 한문학분야에 가장 기본적인 연구 성과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御定洪翼靖公奏藁』의 편찬과 간행 및 반사에 관한 연구

        강순애 한국서지학회 2020 서지학연구 Vol.81 No.-

        This paper studies the records, existing studies and existing copies of Eojeonghongikjeonggongjugo which appears in King Jeongjo’s letters in order to throw light on the compiler and the compilation process. The paper also examines the records and existing copies of Sunjo Sillok and Naegak Illyeok and analyzes their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with the aim of analyzing the processes of compilation,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Eojeonghongikjeonggongjugo in a systematic way. The results of the study as follows. Eojeonghongikjeonggongjugo is a book that collected Ik Jeong-gong Hong Bong-han (1713∼1778)’s petitions for King Yeongjo’s state affairs administration and Yeongjo’s answers to those petitions. In the 24th year of his reign, King Jeongjo along with Hong Nak-im imitated Zhu Xi’s Chukgongyusa by collecting Hong Bong-han’s yeondaejaeju and Yeongjo’s answers to them and compiling them into 35 books of 6 types, 59 categories and 1 separate edition. The compilers of this work were Jeongjo and Hong Nak-im. Hong Nak-im’s son Hong Chui-yong and Jeongo’s great-uncle Hong Yong-han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compilation, and the translation of the written and spoken languages reflected the intentions of Queen Hyegyeonggung. Queen Jeongsun ordered the Naegak to publish Eojeonghongikjeonggongjugo on August 11 in the year 1800 when Sunjo ascended the throne, but the publication was postponed due to the opposition of the Byeokpa retainers on August 20 of the same year. It is estimated that another discussion for the publication took place after the 12th year of Sunjo’s reign, and that the Naegak released it in the jeongritype cast on March 6 in the 15the year of Sunjo’s reign. Eojeonghongikjeonggongjugo was distributed on March 6 in the 15th year of Sunjo’s reign (1815). The distributed editions were imprinted with the word ‘Kyujangjibo’ and printed in Baekmyunji with one edition each distributed to Ocheosago, Kyujanggak, Naegak, Okdang and Chunbang. A copy printed in baekji each was also given to 20 retainers including Wonimjaehak Yeonguijeong Ki Jae-chan. Some of the copies distributed at the time still exist. We can tell that the Gyu1146 edition was distributed to the Naegak because it is stamped with ‘Kyujangjibo’ and ‘Naegak.’ Similarly, the Gyu3915 edition is stamped with ‘Kyujangjibo’ with ‘Jeongjok’ in ink letters on the reverseside of the coverpage, while the Gyu 1924 edition is stamped with ‘Kyujangjibo’ with ‘Taebaek’ in ink letters on the reverse side of the coverpage, showing that they were distributed to Jeongjoksan Archives and Taebaeksan Archives respectively. The Gyu1173 edition is stamped with ‘Kyujangjibo’ and ‘Kyuseojinjeok’ showing that it was distributed to the Kyujanggak. 본 연구는 정조의 어찰에 나타난 『어정홍익정공주고』의 기록들과 기존 연구 및 현존본을 조사하여 편찬자 및 편찬과정을 밝히고, 『순조실록』, 『내각일력』의 기록 및 현존본을 조사하여 간행 및 반사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어정홍익정공주고』의 편찬, 간행 및 반사에 이르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정홍익정공주고(御定洪翼靖公奏藁)』는 익정공 홍봉한(洪鳳漢, 1713∼1778)의 영조조 국정운영에 대한 상소와 영조의 비답을 모은 책이다. 정조는 24년(1800)에 홍낙임과 함께 주자의 『축공유사(祝公遺事)』를 모방하여 홍봉한의 연대제주와 이에 대한 비답을 모아 35권 6류, 59목, 별고 1편으로 편찬하였다. 이 책의 편찬자는 정조와 홍낙임이고, 편찬과정에 홍낙임의 아들 홍취영과 정조의 작은 외할아버지인 홍용한도 관계하였으며, 언문의 번역에는 혜경궁의 뜻이 반영되었다. 『어정홍익정공주고』의 간행은 순조 즉위년(1800) 8월 11일 정순왕후의 명으로 내각에 간행을 지시했지만, 그해 8월 20일 벽파 신료들의 반대로 미루어졌다. 순조 12년(1812) 이후에 재논의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며, 순조 15년(1815) 3월 6일 내각에서 정리자로 인출되었다. 『어정홍익정공주고』는 순조 15년(1815) 3월 6일 반사되었다. 반사본에 ‘奎章之寶’를 찍어 오처사고, 규장각, 내각, 옥당, 춘방에 백면지로 찍은 책이 각각 1건씩 반사되었고, 원임제학 영의정 김재찬을 포함하여 20명의 신하에게 백지로 찍은 책이 각각 1건씩 사급되었다. 반사본 중에는 현존본들이 남아 있다. 규1146 본에는 ‘奎章之寶’와 ‘內閣’ 장서인이 찍혀 있어 내각에 반사된 것임을 알 수 있고, 규3915 본에는 ‘奎章之寶’ 장서인과 표지 이면에 ‘鼎足’의 묵서기가 있고, 규1924 본에는 ‘奎章之寶’ 장서인과 표지 이면에 ‘太白’의 묵서기가 있어 각각 정족산사고와 태백산사고에 반사된 것임을 알 수 있으며, 규1173 본에는 ‘奎章之寶’와 ‘奎書珍籍’ 장서인이 찍혀 있어 규장각에 반사된 것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해외 소장 고문헌의 DB 구축과 공동활용 방안

        강순애 한국문헌정보학회 200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2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three aspects of the construction and common use of old document DB in the foreign countries:ⅰ) the processing of old documents, ⅱ) the problem and improvement of DB systems of old documents, and ⅲ) the common use of old document DB.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NLK) copied old documents in the foreign countries from 1982 to 2006 and published the brief catalog. The Reogang Publishing company issued four volumes catalogs of old document in Japan.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NRICH) investigated old books and published some catalogs of several organizations in Japan, America, France, and all.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NIKH) investigated old archives and published some catalogs of several organizations in Japa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Old and Rare Collection Information System(KORCIS) of the NLK, the Old Books Cultural Heritage in Overseas System of the NRICH, and the Korea History DB System and MF Catalog/ Image System of NIKH were described in the DB systems of old documents, the problems of DB systems were checked over and some alternatives were suggested. In the common use of old document DB, KORMARC format and description rules(draft) for archives should be revised to adopt a new standard such as KS editions, and all the institutes involved should thoroughly follow the standards, when creating bibliographic records and digitizing texts. It is necessary to educate and train the specialists of old documents. A government organ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supervise all the procedures of developing technology for sharing digitized resources, using contents, and cooperating with the related internationl organiztions and institutes. 본 연구는 해외 소장 고문헌의 DB구축과 공동활용 방안을 다루기 위해 해외 소장 고문헌의 정리, 해외 소장 고문헌 DB 시스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해외 소장 고문헌의 공동활용 방안을 다룬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사실은 다음과 같다. 해외 소장의 고문헌을 정리하기 시작한 것은 국립중앙도서관이 1982년부터 해외기관에 소장된 고문헌을 영인하여 간략목록으로 발행하는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려강출판사가 일본소재 한국고문헌목록 1-4를 발간하여 기초자료로 제공하였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일본, 미국, 프랑스 등의 해외기관에 소장된 고문헌을 조사하여 일부의 목록집을 발행하였고, 국사편찬위원회는 일본소재 고문서 목록을 조사하고 그중 가치 있는 것을 선별하여 목록으로 간행하였다. 해외 소장 고문헌의 DB 시스템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의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국립문화재연구소의 해외소장한국전적문화재시스템,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데이터베이스시스템 및 MF목록/원문서비스시스템의 특성이 기술되었고, 각 DB상의 문제점이 파악되었으며 그에 대한 몇 가지 대안도 제시되었다. 공동활용 방안에 있어서는 고문서 정리를 위한 목록 형식 및 기술(시안)은 새로운 표준안으로 채택될 수 있도록 수정되어야 하고, 관련 기간들은 서지기록을 작성하거나 원문 텍스트를 디지타이징할 때 표준을 준수해야 한다. 고문헌의 DB 구축과 관리를 위한 전문 인력의 양성과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긍극적으로는 디지털화된 자원의 공유를 위한 기술개발, 고문헌 컨텐츠의 이용과 개선, 공공의 이용과 참여, 국제적이 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국가차원의 전담기구가 설립되어야 한다.

      • 일상식탁에서 흔히 먹는 음식의 1人 분량 결정에 관한 연구

        강순애,김경아 이화여자대학교 1973 식품영양연구 Vol.- No.3

        우리 가정에서 일상 먹는 식품들을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조리하여서 조리전과 조리후의 무게를 산출했으며 또 그에 따라서 우리 일상 식탁에서 상용될 수 있는 1人분의 양을 결정해 보았다. 1人분의 양을 결정하는데는 2가지 면을 고려하였다. ① 보통 상용되는 그릇에 보기좋게 담았을 때의 무게와 ② 한 끼로써 식단을 作成하여 열량소간의 균형을 맞추었을때의 1人분의 양을 고려하였다. 물론 그 끼에 포함시키는 반찬의 가지수가 많아짐에 따라서 개개의 1人분량은 줄어들 것을 고려하여서 대개 1끼에 5~6가지 음식 (밥. 국포함)으로 제한해서 1人분을 결정하였다.

      • KCI등재
      • 李彦瑱의 「海覽篇」에 나타난 癸未使行 路程

        강순애 한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원 2010 소통과 인문학 Vol.11 No.-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course of the diplomatic mission described in Lee Eonjin’s Haerampyeon(海覽篇) by studying the following in order: the diplomatic mission of the Gyemisahaeng and Lee Eonjin; the writing of Haerampyeon; the composition of Haerampyeon and the itinerary of the mission. The conclusions are presented in the following paragraphs. 1) Gyemisahaeng(癸未使行) was a 382-day journey that took place between July 24 of the 39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1763) and July 8 of the 40th year of his reign(1764). It was undertaken by around 500 people including Jeongsa(正使) Jo Eom(趙曮), departing Hanseong(漢城) for Edo(江戶) in Japan. Lee Eonjin(李彦瑱) participated in the Gyemisahaeng as Hanhakapmultongsa(漢學押物通使) and, through the two written communication in which he took part in Japan, was acknowledged as the one person who revered the Wangsejeong(王世貞) in Joseon. 2) The draft for Lee Eonjin’s Haerampyeon as ready on November 25 on the 39th year of Yeongjo’s reign(1763) and was shown to several people who participated together in the sahaeng to be evaluated by them on December 1 of that year. After returning from the sahaeng, Lee Eonjin revised the draft by integrating the comments given to him and then had it evaluated again by Lee Yong Hyu and Nam Ok. The later revision is thought to have taken place between July 9 of the 40th year of Yeongjo’s reign(1764) and Lee Eonjin's death in the 42nd year of Yeongjo’s reign. Afterwards, Haerampyeon was included in Songmokkwansinyeogo(松穆館燼餘稿) and Songmokkwanjip(松穆館集) which were published in the 11th year of Cheoljong’s reign(1860), but These text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critical comments text(批點本, 1764-1766) of Haerampyeon. Aside from being published in Lee Eonjin’s collection of works, Haerampyeon is also included in Usangjeon(虞裳傳) which was compiled by Park Jiwon(朴趾源) and Eemokkusimseo(耳目口心書), compiled by Lee Deokmu(李德懋). Haerampyeon also became known in China through Kim Seokjun(金奭準), but no related publications have yet been found in Japan. 3) Haerampyeon is a travel poem divided into four parts, each part containing concrete descriptions of the diplomatic mission. In the first part, it mentions Japan in detail: its geographic position; local products such as oranges, tangerines, cycads, and octopus; and Mount Fuji. In part 2, it describes the developed city of Osaka through comparisons to the world's produce gathered there through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Part 3 speaks of the biased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religion of the Japanese, and includes vivid observations centered around Ikinoshima(壹岐島) of the lives of the Japanese common people. The latter part says that Japan is missing from the botanical writing by Naham(羅含) of the Qin Dynasty and from writings such as Sugyeongju(水經注), Doseol(圖說), Gogeumdogeomrok(古今刀劍錄), Gonyeomangukyeodo(坤與萬國輿圖) which should therefore be revised. Part 4 is the conclusion of Haerampyeon which acknowledges a changing Japan and emphasizes continuing friendly relations with it.

      • KCI등재

        송광사 사천왕상 발굴의 丹本章疏「法華經玄贊古通今新抄」권1.2에 관한 서지적 연구

        강순애 한국서지학회 2005 서지학연구 Vol.30 No.-

        이 글은 순천 송광사 사천왕상 발굴의 단본장소 법화경현찬회고통금신초 권12의 서지적 성격을 밝히기 위해 송광사 사천왕문 사천왕상의 연혁, 사천왕상 발굴의 복장전적, 단본장소 법화경현찬회고통금신초 권12와 불궁사소장본 권26의 비교의 순으로 살펴보았다. 송광사 천왕문 사천왕상에 나온 복장은 정장인 대위덕다라니 권4를 제외하고는 모두 교장이다. 이들 교장 11종 중 법화경현찬회고통금신초 권12는 거란장소의 성격을 밝힐 수 있는 자료로서는 국내에서 처음 발굴된 자료이다. 같은 책의 권56은 1974년 중국 불궁사 목탑 석가탑에서 발굴되었다. 이들 자료를 대상으로 권12와 권56의 주석자 및 서지적인 특징을 비교하였고, 같은 권차 권2를 대상으로 교감 및 판각을 비교하여 이 책은 요본을 저본으로 하여 교장도감에서 필사 보각한 것이며 이를 다시 조선조 간경도감에서 번각한 것임을 밝혔다. 이 책은 교장이지만, 거란본을 저본으로 한 연구서로서 국가 보물급으로 지정될만한 문화재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결과는 서지학, 한국학, 불교학 등의 분야에서 거란본을 연구하고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Pophwakyong- hyunchan-hegotongkum-sincho vol. 12 found in the chests of four-guardian statutes at the Songgwang-sa, Sooncheon. In particular, the study analyzes in the four aspects such as: 1) the history of four-guardian gates and statutes of the Songgwang-sa ; 2) the physical and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scriptures ; 3) the comparison of Pophwakyong-hyunchan-hegotongkum-sincho vol. 12 and the Bulgung-sa Edition vol. 56: annotator,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proofing and engraving.These Buddhist scriptures, except Taewidok-darani vol.1 can be called a kyojang. Among these kyojang, Pophwakyong-hyunchan-hegotongkum-sincho vol. 12 belongs to the Liao Edition which were newly found at the Songgwang-sa, and vol. 56 were found at the Bulgung-sa, China. The annotator and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books were studied, the proofing and engraving of Songgwang-sa Edition vol. 2 and the Bulgung-sa Edition vol. 2 were compared. these books were carved at the Kyojangdokam by using the Liao Edition and reprinted in the Kankyongdokam. It is approved that Pophwakyong-hyunchan-hegotongkum-sincho vol. 12 are at once the Koryo kyojang and belongs to the Liao Edition and have the value of cultural properties as a national treas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contributed for research the kyojang and utilized as important resources in the fields of bibliographical science, Korean studies, and Buddhist sciences, and others.

      • 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발생빈도 및 근 치료 성적

        강순애,오연균 圓光大學校 醫科學硏究所 2008 圓光醫科學 Vol.23 No.2

        목적: 신생아 집중치료의 발달로 국내 3 차 대형병원에서는 극소 저체중 출생아 뿐만 아니라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도 괄목 할만한 생존율의 향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의 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빈도, 생존율, 이환율 등 집중치료 결과를 비교 분석 해보고 더욱 향상된 치료가 될 수 있도록 도움을 얻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만 7년까지 원광대학교 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1,500g 미만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 205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여 후향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발생빈도는 4.2%였다. 생존율은 75.0%로 타병원의 80% 이상의 높은 생존율에 비해 다소 낮았다. 1,250g 이상은 92.6%로 타병원과 비슷한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나 750g 미만은 18.2%로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29주 이상은 80%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나 25-26주는 38.9%로 낮았으며 24주 이하는 한명도 생존하지 못하였다. 주요 합병증은 호흡곤란 증후군이 75.0%로 가장 많았으며, 뇌출혈 31.7%, 동맥관 개존증 29.3%, 미숙아 망막증 28.8%, 패혈증 27.3%, 만성폐질환 23.4%의 순이었다. 사망 시기는 3일 이내가 47.1%로 가장 많았고 7일 이내에 2/3 이상인 70.6%가 사망하였다. 주 사망 원인은 생후 3일 이내에는 호흡곤란 증후군(23.5%), 생후 4-7일에는 폐출혈(9.8%), 생후 8-27일에는 패혈증(16.7%) 이었다. 평균 입원 기간은 57.7±26.0일 이었다. 결론: 최근 극소 저체중 출생아 특히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증가를 보이고 있는 시점에서 시행된 본 연구를 통해 신생아 집중치료로 향상을 보이던 생존율이 최근 감소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저체중 출생아의 향상을 위해서는 전문적 치료와 간호, 그리고 폐출혈, 패혈증 등의 합병증 저하를 위한 노력이 적극적으로 요구된다. Purpose: The survival rate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VLBWI) has improved by advanced neonatal intensive care in level III hospital. We perform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outcome including incidence, survival rate, mortality and morbidity of VLBWI and to get a help on more advanced care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NICU). Methods: The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was analysed for 205 VLBWI(<1,500g) who were admitted to the NICU of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6. Results: The incidence of VLBWI was 4.2%. Overall survival rate was 75.0% and which was lower than other hospital. By birth weight, survival rate was 92.6% in over 1,250g which was higher same as other large hospital, however it was 18.2% in below 750g which was lower than others. By gestational age, survival rate was higher over 80% in over 29 weeks, however which was lower 38.9% in 25-26 weeks and there is no lived in below 24 weeks. Common morbidities wer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RDS) 75%, intraventricular hemorrhage 31.7%, patent ductus arteriosus 29.3%, retinopathy of prematurity 28.8% in the order of frequency. Most common time of death was within 3days 47.1%, and 70.6% died within 7 days. Major cause of death was RDS 23.5% within 3 days, pulmonary hemorrhage 9.8% in 4-7 days, and sepsis 16.7% in 8-27 days. Mean admission duration was 57.7±26.0 days. Conclusion: Survival rate of VLBWI was much improved, but recently decreased a little. So, much efforts must be made with a skillful therapy and nursing care and to reduce a complications for increasing their survival rates.

      • KCI등재

        유길준의 『西遊見聞』에 나타난 문명,개화와 도서관 인식 및 영향

        강순애 한국서지학회 2018 서지학연구 Vol.74 No.-

        이 글은 유길준의 『서유견문』에 나타난 문명․개화와 도서관 인식 및 영향을 주제로 유길준의 생애, 『서유견문』에 제시된 문명․개화, 『서유견문』에 소개된 도서관, 및 『서유견문』의 도서관 인식 및 영향을 연구한 것이다. 유길준(1856-1914)은 철종 7년부터 1914년까지 조선조 말기, 대한제국기, 일제강점기에 걸쳐 개혁파로 활동하였다. 일본과 미국에 유학하였다. 갑신정변에 체포되어 7년간의 연금생활을 하면서 『서유견문』을 저술하였다. 고종 32년(1895) 10월 8일 을미사변이 일어난 뒤 내부대신에 임명되었다가 건양 1년(1896) 2월 11일 아관파천으로 내각이 무너지자 일본으로 망명했다. 융희 1년(1907) 8월 16일 일본에서 돌아와 한국의 실력 양성을 위한 교육 계몽운동에 힘썼다. 1914년 9월 30일 59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유길준이 『서유견문』을 저술한 것은 서구 문화의 총체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서유견문』은 20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유견문』에 제시된 문명개화의 성격은 제14편 뒷부분에 들어있는 개화의 등급에 잘 나타나 있다. 개화의 정의와 등급, 개화하는 방법, 실상개화와 허명의 개화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유길준의 『서유견문』에서 서양의 도서관을 소개하는 부분은 제17편이다. 이에는 ‘서적고(書籍庫)’의 제목으로 도서관의 설립 주체와 장서, 수집 방법, 도서의 열람제도 등이 소개되고 있다. 이어 서양의 유명한 국립도서관인 영국박물관도서관, 러시아 레닌그라드의 상트페테르부르크 도서관, 프랑스 국립 리슐리외 도서관, 미국 의회도서관, 독일 베를린 대학도서관이 소개되었다. 유길준의 『서유견문』에 소개된 1885년경의 서양 도서관의 모습은 매우 발전된 근대 도서관이었다. 국립도서관들의 장서는 100만 권에서 200만 권 사이였다. 이들 도서관들이 이러한 장서를 갖출 수 있었던 것은 납본법과 기증, 구입에 의한 것이었다. 장서가 증가하면서 도서관의 시설과 장서관리, 자료조직 분야, 이용 분야에서 변화가 일어났다. 즉 이들 서양 도서관에 나타나는 도서관의 모습은 18세기 이후 유럽 근대화의 흐름에 맞추어 장서가 증가되고 도서관의 시설이 확충되었으며 무엇보다도 이용자 중심의 도서관으로 변모하였다. 궁극적으로 유길준이 『서유견문』을 저술하면서 서양 도서관의 특징을 기술한 것은 지식인들에게 근대도서관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동시에 우리나라에 근대도서관의 설치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도서관 인식에 수용된 문명․개화는 결국 여러 가지 사회적 여건의 성숙과 함께 1906년 근대도서관의 성격을 지닌 경성의 대한도서관과 평양의 대동서관을 설립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이들 도서관들이 일제에 의해 그 결실을 보지 못하였지만 분명히 근대도서관의 설립에 영향을 준 것은 분명하다. 이 연구는 향후 민간기록의 연구는 물론 문헌정보학, 기록관리학, 서지학, 역사학 분야에 가장 기본적인 연구 성과로 활용될 것이다.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civilization enlightenment and perception and influence of libraries as shown in Yu Kil-chun’s Seoyu Gyeonmun (Observations on Travels in the West). In order to to this, the paper looks into Yu Kil-chun’s life,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presented in Seoyu Gyeonmun, libraries introduced in Seoyu Gyeonmun, and the perspective of libraries and their influence. Yu Kil-chun (1856-1914) was born in the 7th year of King Cheoljong’s reign (1856) and lived through the late Joseon period, the Korea Empire and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s a reformist until 1914. He studied in Japan and in the United States. He wrote Seoyu Gyeonmun during his seven-year house arrest following the Gapsin Coup. He was appointed as a minister to the Home Office after the Eulmi Sabyeon occurred on October 8 in the 32nd year of Gojong’s reign (1895), but fled to Japan when the cabinet disbanded after Agwan Pacheon began on February 11 in the first year of Geonyang’s reign. He returned from his exile to Korea on August 16 in the first year of Emperor Yunghui’s reign, and threw himself into the enlightenment movement to bring about progress in Korea. He died on September 30, 1914 at the age of 59. One might say Yu Kil-chun wrote Seoyu Gyeonmun for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understanding of Western culture. Seoyu Gyeonmun is composed of twenty volumes. The nature of civilization enlightenment is shown in the levels of enlightenment described in the latter part of Volume 14. In the particular volume, Yu explains the definition and levels of enlightenment, the method of enlightenment and the difference between actual enlightenment and false enlightenment. Volume 17 introduces the libraries of Western countries. The volume is entitled “Seojeokko” and introduces the Western libraries’ founders and book collection, method of collecting, and library usage system. Yu went on to introduce famous national libraries in the Western world such as the British Library in the United Kingdom, the Imperial Public Library in Russia’s Leningrad, the Richelieu Library in France, the Library of Congres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Berlin State Library in Germany. The Western libraries introduced in Seoyu Gyeonmun around 1885 were advanced modern libraries. Each national library had a collection of one to two million books. These collections were made possible through the legal deposit system, donation and purchase. As the book collection increased, changes occurred in the libraries’ facilities, collection management, data organization field and field usage. That is to say, libraries in the Western world were changing from the 18th century onward with the flow of modernization to increase their collection, expand facilities, and become a user-centered library. Ultimately, Yu’s description in Seoyu Gyeonmun of the characteristics of Western libraries instilled in Korean intellectuals the importance of Western modern libraries an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modern libraries in Korea. The ideas of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that were embraced along with the perception of libraries influenced the progress of various social conditions and the establishment in 1906 of Gyeongsong’s Daehan Library and Pyongyang’s Daedong Seogwan, libraries with characteristics of modern libraries. Although the two libraries did not bear fruit because of the Japanese occupation, it is certain that they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modern libraries in Korea. This study will be used in the future as basic research material in the field of public records as well as thos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bibliography and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