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라오스 도시 · 농촌 지역별 40~59세 주민들의 식행동, 식생활변화 및 식품섭취 비교 연구

        김지연(Kim, Ji Yeon),이경옥(Yi, Kyungock),강민아(Kang, Minah),강윤희(Kang, Younhee),이건정(Lee, Gunjeong),김현수(Kim, Harris Hyun-soo),Visanou Hansana,김유리(Kim, Yuri) 한국영양학회 2016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9 No.2

        본 연구는 라오스의 도시와 농촌 지역에 따른 식행동 및 최근의 식생활의 변화와 이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는 라오스의 수도 비엔티안과 교외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40~59세의 979명 (남자 435명, 여자 544명)이었으며, 도시 집단이 농촌 집단에 비해 읽고 쓸 수 있는 비율, 고학력 비율, 가정 내 소유 물품이 많은 비율, 정부기관이나 사 기관에 근무자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경제적 수준은 전반적으로 도시 집단이 농촌 집단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 2) 전반적인 건강의 상태는 도시가 농촌에 비해 몸무게,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이완기 고혈압 비율, 알코올 섭취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농촌은 도시 집단에 비해 흡연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주관적 건강의 상태는 안 좋다는 비율이 농촌 집단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매우 좋다는 비율은 도시 집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3) 거주 지역별 남녀의 건강 상태를 비교 시 도시에 거주하는 여성이 도시에 거주하는 남성에 비해 체질량지수와 비만율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도시에 거주하는 남성에서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의 평균이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남성에 비해 유의적으로 컸다. 4) 농촌에서는 하루 세끼 섭취 비율과 아침식사 섭취 횟수가 도시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도시 지역에서는 외식 횟수가 농촌 지역에 비해 높았다. 또한 주관적인 식사의 평가와 주관적인 식욕의 정도는 도시가 농촌에 비해 ‘poor/fair’ 비율이 농촌 지역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5) 도시에서는 농촌 지역에 비해 최근 삼 년간 식사가 변화한 비율, 외식의 증가 비율, 서양식 식사가 증가한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6) 도시에서는 우유 및 유제품, 단백질 식품, 과일, 튀기거나 볶은 음식, 지방질 많은 고기의 섭취와 다양하고 균형잡힌 식사의 섭취가 농촌 지역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농촌에서는 도시 보다 세끼를 규칙적으로 섭취하고 있었다. 7) 각 식품군별 섭취빈도에서 주간 섭취 횟수는 도시가 과일과 우유의 섭취가 농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채소의 섭취는 낮았다. 하루 섭취량은 도시가 과일, 우유의 섭취 양이 농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채소, 육류, 계란의 섭취 양은 낮았다 8) 결론적으로 라오스의 도시는 농촌에 비해 식습관에서 서구화의 영향을 더 받으며 전통적인 식사가 건강하지 않은 서구화된 식사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비전염성질환을 증가 시키는 위험 요소로 작용 할 수 있다. 또한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 모두에서 높은 만성질환율을 보이므로 건강한 식행동으로의 변화와 라오스의 만성질환율의 감소 및 예방을 위해 지역의 차이에 따른 차별화된 개별적 맞춤형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for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 and food intake in different regions of Lao PDR.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979 people aged 40~59 years old living in 25 urban provinces and 25 rural provinces in four districts (VTE Capital-Chanthabuly, Xaysetha, VTE Province-Phonhong, and Thoulakhom) of Laos. General demographic information, health status, and dietary behavior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Results: The literacy ratio (p = 0.000), education level (p = 0.000), asset ownership level (p = 0.000), and government and private employee ratio (p = 0.000) were higher in urban subjects compared with rural subjects. The mean value of weight (p = 0.000), waist circumference (p = 0.000),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p = 0.009) and alcohol consumption (p = 0.000), self-rated health status (p = 0.001), and the rate of obesity (p = 0.000)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urban subjects compared with rural subjects. However, the rate of current smok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ural group (p = 0.023). Meals are becoming more westernized by higher frequency of eating out, consumption of fatty meat and fried or stir-fried food in urban areas compared to rural areas. Urban subjects had relatively better balanced meals compared to rural subjects whereas they consumed insufficient meals per day and consumed meals irregularly compared to rural subjects. Intake of fruit and milk was significantly higher in urban subjects compared with rural subjects. However, the intake of vegetabl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rural areas than urban areas.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traditional Lao diet is being replaced by an unhealthy western dietary pattern, which may be a risk factor for increasing development of non-communicable disease (NCD) in Lao PDR. Planning of proper personalized nutritional intervention and education in each area is needed to decrease the health risks of NCD.

      • KCI등재

        성별영향평가 제도 수행조건과 공무원의 수행전략

        김둘순(Kim Dool-Soon),강민아(Kang Kim Minah) 한국여성연구소 2010 페미니즘 연구 Vol.10 No.1

        이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로 공무원이 직접 성별영향평가 주체가 되어 수행한 2005년 기관별 성별영향평가 사업 참여 공무원을 대상으로 평가 수행조건과 공무원의 수행전략이 어떠했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공무원들은 조직 환경과 활용할 수 있는 인적·물적 자원, 평가자 역량 등이 어떻게 조합되느냐에 따라서 수행전략은 크게 네 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적극적 참여전략, 소극적 참여전략, 외부 연구기관 넘기기, 회피하기 전략 등이다. 이 중에서 총괄부서 지정이 명확하고, 고위관리직의 지원이 있으며, 평가 참여자의 인지 및 태도가 긍정적일 수록 적극적 참여전략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것은 여성부의 평가결과 우수사례(기관)로 선정되는 효과로 이어지기도 하였다. 공무원들이 수행전략을 선택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영향요인은 고위관리직의 관심과 지원, 그리고 평가담당 공무원의 성별영향평가 제도에 대한 긍정적이고 책임감 있는 태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how to perform gender impact assessment by the public officials. In Korea, on the local and national level Gender impact assessment(hereafter, GIA) was first time conducted in 2005.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public officials, who had conducted a gender impact assessment on his/her policy objectives showed various attitudes towards GIA in practice. Their attitudes were categorized into 4 strategic types - active strategic type, passive strategic type, outsourcing strategic type, avoiding strategic type. The public officials adopted the different type based on the combination of human/material resources, organizational environment and capability of assessor. In case of the more clear responsible parties for GIA, the assessor with more positive attitude/recognition and more support from high level officials, there was a tendency to adopt the active strategy for GIA. Therefore they were rewarded for the excellent practice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MGEF). It was also found that GIA officials were the concerns and support from high level officials and the positive and responsible attitude of public officials as an assessor.

      • KCI등재후보

        정부 주도의 여성 권리 보장과 영아 및 모성사망 간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효신(Hyosin Kim),임도희(Dohee Lim),강민아(Minah Kang)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2 생명윤리정책연구 Vol.6 No.2

        While maternal and infant mortality are pressing issues in the global society, the pace of decreases in maternal and infant mortality is still very slow. Furthermore, gender equality still persists in a number of countries and a large number of women, mostly in developing countries, are in a precarious state economically, politically, and socially. This article tests two hypotheses: (a) the more women’s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rights are protected, the fewer maternal, neonatal, and postneonatal mortality deaths would occur and (b) rights that are actually implemented or enforced have more significant impact in terms of progress in foregoing mortality indicators than rights that are only declared but not implemented in practice. To test these hypotheses, we conducted a cross-national statistical test with data from multiple sources. We find that women’s economic and social rights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aternal and infant mortality, while legal rights did not show such an impact. Also, women’s rights that are protected through actual implementation and enforcement have more significant influence on our dependent variables than women’s rights protection under law.

      • KCI등재

        정신질환자의 민간보험 가입차별 문제에 대한 정책과정: 비판적 담론분석의 적용

        주민지 ( Minji Ju ),김희언 ( Heeun Kim ),강민아 ( Minah Kang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7 사회보장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국내 정신질환자들이 경험하는 민간보험 가입 차별이 정책 문제로 인식된 이후부터 이에 대한 정책이 도입되기까지 지난 10여 년의 정책 논의 과정에 대한 담론분석을 시도하였다. 정신질환 이력 또는 정신과 진료 기록만으로 보험 가입이 거절되는 상황은 정신질환자들에 대한 차별 문제로서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난 10년간 정책 행위자들이 정신질환자에 대해 서로 다른 관점과 해석에 초점을 맞추어 각자의 언어로 표현한 담론의 내용과 변화를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텍스트, 담론적 실천, 사회적 실천의 세 가지 차원에서 정책 이해관계자들의 가치 체계의 변화 과정에 대해 면밀한 고찰을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세 가지 시기별 담론의 흐름을 분석한 결과, 지난 10년간의 꾸준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정책 이해관계자들 간 정신질환과 정신장애를 포함한 관련 개념들에 대해서는 명확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그 결과 상법과 정신보건법이 개정되는 과정에서 정신질환에 대한 담론은 경증이며 회복이 가능한 `국민들`의 문제와 상대적으로 중증인 `장애인`의 문제로 분절화 되어버린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오랜 시간에 걸쳐 이해관계자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정책 대안들이 모색되었다 해도 정책대상집단으로서의 정신질환자의 개념과 범위에 대해 합의가 되어 있어야 제도적 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conducts a discourse analysis regarding the policy process of solving the discrimination against mentally-ill patients` purchasing private insurances, which have been discussed for over a decade. It has been constantly criticized as the problem of discrimination that the refusal to insure or provide coverage to the mentally-ill people with pre-existing conditions or even those who have any record of being treated.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policy discourses which contain different views and interpretation on mentally-ill as a policy target group, and analyzes the contents and changes based on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To figure out the changing process of the set of values among policy stakeholder, the three dimensional analytical approaches of CDA - text analysis, discourse practice analysis, and sociocultural practice analysis - were used. Analysis of the flow of discourse of three periods respectively found that the policy stakeholders have not met a state of agreement, even on the key concepts including mental illness and mental disorder. Inevitably, the discourses on “mentally-ill” have been segmented into two tracks: the citizens with mild and recoverable symptoms and the citizens with severe mental disability. Regardless of the diverse policy alternatives raised for several years,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an agreement on the concepts and ranges of mentally-ill people as policy target group will be able to minimize the institutional vacuum.

      • KCI등재

        Same Voices or Not?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Promote to Girls’ Empowerment in Uganda

        홍승연(Seung Yeun Hong),김진경(Jinkyoung Kim),강민아(Minah Kang),이혜미(Hyemi Lee) 국제개발협력학회 2021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3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굿네이버스의 여아역량강화 사업에 대한 사례연구로서, 여아의 역량강화 과정과 성 역할 변화와 같은 사회적 변화를 여아, 남아, 가족, 지역사회 구성원에게 수용되는 과정을 사회생태학적 관점에서 다각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중요성: 여아 역량강화에서 사회생태학적 접근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는 개인 수준의 역량강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인 수준뿐만 아니라 대인관계, 지역사회 수준의 행위자 를 포함한 다각적 차원에서 여아의 역량강화 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개발도상국에 요구되는 사회문화적 변화에 대한 접근과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연구방법론: 본 연구는 여아역량강화사업에 참여한 여아 20명과 부모, 교사 등 35명, 총 55명을 대상으로 총 9회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Discussion)을 실시하였으며 여아의 일상생활에 대한 이해를 위해 3개의 가정과 1개 학교를 대상으로 비참여적 관찰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여아들의 경우, 개인적 수준에서 역량강화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여아의 주변인 집단에서는 여아의 변화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지 않거나 전통적 규범에 매몰되어 변화에 수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여아와 주변인들 간에 긴장과 갈등이 수반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및 시사점: 여아역량강화와 같은 심도 있는 사회문화적 변화가 요구되는 개발협력사업 수행 시 여아를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서로 다른 변화의 속도, 변화의 범위와 깊이 그리고 저항에 대한 개별화된 고려가 요구된다. Purpose: Using a socio-ecological approach, this study explored how girls, boys, families, and other community members accept social change regarding gender roles and the empowerment of girls in Uganda.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a girls’ empowerment program, which was implemented by Good Neighbors International. Originality: Despite th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socio-ecological approach in girls’ empowerment in previous studies, little is known about how each socio- ecological factor responds to empowerment empiricall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girl’s empowerment concomitant process at a wider level by including actors at the interpersonal, community, and individual levels. Methodology: FGDs and observations within households and schools were conducted. In all, nine FGD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55 participants, including 20 girls and 35 adults via theoretical sampling. A thematic analysis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 The result revealed that recognition of the problem and adults’ resistance to change posed challenges. Actors at the intrapersonal and community levels paid little attention to girls’ issues and continued to interpret gender roles based on traditional norms. Tension and conflict existed between the girls engaged in the empowerment process and other stakeholders. Conclusions and Implication: The findings suggested that social change concerning girls’ empowerment and gender inequality should consider the haste, breadth, and depth of the issues, as well as adults’ resistance to change.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환자 문화에 대한 의료 종사자의 인식과 경험

        김은경,강민아,김희정 대한간호행정학회 2007 간호행정학회지 Vol.13 No.3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and compare perception and experience between clinical staffs(nurses and pharmacists) and Quality Improvement managers. Metho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14 clinical staffs and QI managers who are working at tertiary hospitals in Korea.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for systematic analyses of qualitative data. Results: Most critically, while QI managers acknowledged that establishment of the patient safety culture and reduction of medical errors are urgent tasks for QI effort, clinical staffs don't seem to share such perceptions. All participants agree that staff shortage and no compliance to safety procedures were major reasons for medical error occurrences. Many suggested that an organizational culture where errors were perceived as a systematic problems rather than individual failures or carelessness should be formed to promote voluntary reporting of medical errors. Conclusion: A more systematic effort and attention at the hospital leadership and public policy level should be promoted to constitute societal consensus on the urgence of promoting patient safety culture and more specific approaches to tackle the patient safety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