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흑마늘 발효물의 항염증 활성

        탁현민(Hyun-Min Tak),강민정(Min-Jung Kang),김경민(Kyoung Min Kim),강다원(Dawon Kang),한선규(Sunkyu Han),신정혜(Jung-Hye Sh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10

        Lactobacillus rhamnosus로 발효시킨 흑마늘 발효물의 항염증 효능을 검증하기 위해 LPS로 염증 유도된 RAW 264.7 cells를 이용하여 관련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100, 200, 400 및 800 μg/mL 농도에서 세포독성은 유발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은 증가하였다. LPS에 의해 염증 유도된 RAW 264.7 cells에서 흑마늘 발효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NO와 PGE₂의 생성 감소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및 IL-6의 단백질 생성을 감소시켰다. 또한 iNOS, COX-2, NF-κB 및 IκB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HO-1의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흑마늘 발효물은 염증에 의한 NF-κB의 활성과 TNF-α, IL-1β와 IL-6의 생성을 억제시키고, iNOS 및 COX-2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메커니즘을 통해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actobacillus rhamnosus fermented black garlic (FBG) i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W 264.7 macrophages. FBG did not show cytotoxicity in RAW 264.7 cells at concentrations less than 800 μg/mL, and cell viability increased with FBG concentration.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 E2 (PGE2) production as well as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nterleukin-1β (IL-1β) and IL-6 formation decreased in an FBG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Furthermore, activation of LPS-inducible nitric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nuclear factor kappa B (NF-κB), and inhibitory kappa B (IκB) protein expression was effectively inhibited by FBG treatment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In contrast, heme oxygenase-1 (HO-1) protein express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FBG was due to activation of NF-κB, inhibition of cytokine production, and expression of iNOS and COX-2. From these results, we expect that FBG could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inflammatory disease.

      • KCI등재

        명월초, 여주 및 울금을 포함한 돼지감자 복합물의 항산화 및 AMPK 활성화를 통한 항당뇨 활성

        이수정(Soo-Jung Lee),호문사(Wen-Si Hu),표재호(Jae-Ho Pyo),류지현(Ji Hyeon Ryu),강다원(Dawon Kang),정보영(Bo-Young Jeong),성낙주(Nak-Ju Sung) 한국생명과학회 2018 생명과학회지 Vol.28 No.1

        명월초, 여주 및 울금의 물 및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항산화 및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돼지감자 농축액에 이들 식물류의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한 5종의 돼지감자 복합물(JA1~5)에서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을 비교하였다. 명월초, 여주 및 울금의 에탄올 추출물은 물 추출물에 비해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많았다.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FRAP법에 의한 환원력은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의존적이었으며, 특히 명월초와 울금의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비슷한 수준이었다.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의 2,000 μg/ml 농도에서 50% 이상이었다. 5종의 복합물은 돼지감자 농축액에 비해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많았다. 또한 항산화 활성 및 α-glucosidase 저해활성도 복합물에서 모두 증가되었으며, 특히 JA1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돼지감자 복합물은 인체 정상 간세포주인 Chang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이 없었으며, Chang세포에서 AMPK 활성화 및 근육세포인 C2C12세포에서 세포 내 당 유입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이로써 명월초, 여주 및 울금의 추출물이 혼합된 돼지감자 복합물은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 증대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antioxidant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water and 70% ethanol extracts of the three following herbs: G. procumbens, M. charantia, and C. longa. In addition, the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ies of five types of Jerusalem artichoke composites (JA1–5), which were prepared by adding ethanol extracts of several herbs to Jerusalem artichoke concentrate, were studied and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ethanol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water extracts.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reducing power depended on the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G. procumbens and C. longa were comparable. Moreover, the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s (2,000 μg/ml) from each herb was found to be over 50%. In contrast, the five types of JA composites showed higher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than those of JA concentrate. In addition, increased antioxidant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were observed, with that of JA1 being the highest. However, all concentrations (1~100 μg/ml) of JA tested did not affect the cell viability of Chang cells. In addition, JA induced the activation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in Chang cells an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glucose uptake in C2C12 cells.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JA composites (JA1–5) mixed with G. procumbens, M. charantia, and C. longa extracts wer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extracts’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