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의 현대성’에 대한 임화의 사유: 후기 평문을 중심으로

        강계숙 상허학회 2015 상허학보 Vol.45 No.-

        본고는 임화의 후기 시 평문들을 대상으로 그의 ‘창조적 비평’이 구체화되는 양상을 살핀다. 임화는 1930년대 후반 등장한 시단의 신세대를 중심으로 이들의 시가 지닌 새로움을 분석한다. 이 과정에서 비평이 작품의 심층에 내포된 ‘신성한 잉여’를 징후적으로 독해해야 한다는생각을 실천한다. 오장환, 서정주 등의 시를 현대성의 시적 재현으로파악한 임화는 특히 이들의 시에 내재된 감정을 ‘현대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그런 까닭에 이들의 시에 표출․잠재된 감정이 무엇인지, 그러한 감정의 현대적 성격이 무엇인지를 주로 설명한다. 이것은 구세대가 남긴 이중의 과제를 극복하는 일과도 연계된 문제였다. 기교주의의사치성과 경향파의 소박성에서 탈피하는 것을 조선시의 최우선 과제로 여긴 그는 감정에의 집중과 침잠을 신세대의 시를 판단할 근거로 삼았다. 이를 통해 오장환 시의 슬픔은 현대의 불행과 세대의 비애를 예시하는 것으로, 현대문명의 붕괴에 직면한 서정시의 운명을 대변하는것으로 풀이된다. 이때 시의 운명이란 현실과 타협하지 않는 부정의식의 첨예화를 의미한다. 하지만 세대적 공통 정서인 이러한 비애감은고유한 독자적 정신이 되기엔 한계를 지니고 있다고 평가한다. 여기서데카당이 본격적으로 문제된다. 임화에게 그것은 ‘늠렬한 정신’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그는 데카당의 본질이 몰락의 기운과 파국의 감각을 구현하는 데 머물지 않고 현대와의 타협을 거부하고자 자기파괴까지 감당하는 높은윤리성에 있다고 파악한다. 그는 이러한 고양된 정신으로서의 데카당을 서정주 시의 특질로 꼽는다. 그리고 서정주의 시에서 확인되는 윤‘시의 현대성’에 대한 임화의 사유 249 리적 태도가 깊은 죄의식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풀이한다. 임화의 설명에 따르면, 서정주의 죄의식은 ‘순결한 정신’이 ‘현대-내-존재’로 살아가는 방식이란 ‘현대적인 것’으로 살면서 동시에 ‘현대의 타자’로 사는 모순과 역설을 내적으로 반복하는 것임을 알려준다. 서정주의 데카당스가 다다른 종국의 지점은 이 같은 비극적 교착상태로, 이는 임화가파악한 바 현대성 그 자체의 구조이기도 하다. 임화의 후기 시 평문은그의 비평이 도달한 최고의 정점으로, 그의 ‘창조적 비평’은 오장환, 서정주 등의 시 세계를 선구적으로 조명하고 적확하고 심도 깊게 밝힘으로써 이후의 문학사적 평가를 선취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the specific contents of ‘creative criticism’ focusing on Im-Hwa’ later criticisms of poem. He analyzed the freshness of the works of the new generation in the late 1930’s Korean poetry. In this process, he practiced the symptomatical reading of ‘holy surplus’, which their poems were inherent in. Oh Jang-hwan, Seo Jung-Ju, and the rest were called new generation at that time. Thinking that some emotions to inhere in their poems were fully modern, Im-Wha paid attention to them and regarded their texts as literary representations of modernity. He intensively explained what modern characteristics of their emotions were, because they were considered as the matter of concer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old generation in literature. Im-Wha thought that the biggest questions lying before Korean poetry of the time were mannerism’s fanciness and proletarian poetry’s simplicity. So, he attached importance to the concentration on and expression of feeling in poetry. Im-Wha paid special attention to Oh Jang-hwan and Seo Jung-Ju. He explained that Oh Jang-hwan’s sorrow exemplified the sadness of his generation and misery of modern civilization. According to his accounts, Oh Jang-hwan’s poetry represented the destiny of modern poetry, which meant a thoroughly disagrees with modern times. In this context, his attention had focused on Seo Jung-Ju’s decadence. To Im-Wha, the modern decadence signified ‘a noble spirit’, which was not avoiding self-destruction to disagree with modern times. Im-Wha thought that the noble spirit was the essence of Seo Jung-Ju’s decadence. Regarding Seo’s poetic spirit expressed the contradiction and paradox of modern life, Im-Wha rated Seo Jung-Ju’s poetry highly.

      • KCI등재

        설정식의 시 ‘해바라기’ 연작 다시 읽기 - ‘청년/청춘’의 형상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강계숙 우리문학회 2022 우리文學硏究 Vol.- No.7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nconsciousness of the inherent text in the series, 'Sunflower', which is considered a representative poem of Seol Jeong-Shik. The structure of the family romance that this series reveals is the source of poetic imagination, which leads this series. The poet's unconscious imagination creates the image of 'youth' as the final ideal of the new subjectivization process. These poetic characteristic are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of the Koreans, who had to be reborn as civil subjects with 8․15 liberation. In other words, his poems reflect this political task of the time. In particular, as the "Sunflower" series has an intertextual relationship with the novel "Youth," it is essential for this study to analyze the shape of a new family model presented in the former and the narrative of becoming an adult embodied in the latter. The eternal loss of motherhood corresponds to the original experience of Seol's family romance. His poetic speaker erases the existing order of reality by not speaking of his father's absence. This method of making the world 'none' has a strong anarchistic nature. For this reason, the coming of age of 'Sunflower-Boy' based on disorder and confusion cannot be easily achieved. The novel "Youth" is based on this, and the mental and physical wandering shown by the characters is highly autobiographical. The characters in this novel perceive each other as objects of identification, and their brotherhood is formed at once. However, their coming of age is delayed amid frustration and confusion. Seol recognizes that it is possible for them to establish their subjectivity through the 8.15 liberation. Seol selects two scenes from the novel and includes them in his poetry collection. The first is a scene of sexual combination between lovers which implies the birth of life, and the other is a son who accepts his father' death as “complete liberation”. Through these scenes, Seol's family romance has the possibility of completion. Especially by admitting father's death, the son realizes why he should become a father-law himself, and why the real world needs a new law. As such, those who succeeded overcoming confusion and wandering and becoming mature adults are the "youth" defined by Seol. This self-narrative, which connects poetry and novels, culminates in the emergence of a young husband who greets a pregnant wife and prepares for the birth of a new life by atoning for the sins of fallen ancestors. It is worth noting that Seol's family romance presents a new family model. Since it shows that a new beginning of history is possible from the changes of the smallest units in society. Those who have the power to lead these fundamental changes and are able to actively practice them are named Seol 'youth'. The image of a young man idealized by him finally takes the shape of a singularity who establishes his identity, firmly upholding his autonomy, with absolute will beyond any limit. 본고는 설정식의 대표시로 꼽히는 ‘해바라기’ 연작에 내재된 텍스트의 무의식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해바라기’ 시편을 관류하는 가족 로망스의 구조는 이 연작을 이끈 시적 상상의 원동력으로, 시인의 무의식적 상상은 새로운 주체화의 모색으로서 자기 정립의 최종적 이상인 ‘청춘/청년’의 이미지를 창안하는 데로 나아간다. 이는 해방과 함께 시민적 주체로 거듭날 것이 요구된 조선인들의 정체성 확립과 맞물린 문제로, 당대의 정치적 과업을 시작(詩作) 형식으로 자기반영한 의의를 지닌다. 특히 ‘해바라기’ 연작은 소설 청춘 과 상호텍스트적 관계에 있는바 전자에서 제시되는 새로운 가족 모델의 형상과 후자에서 구현된 성년-되기의 서사화를 분석하는 것은 본 연구를 위해 필수적이다. 모성의 영원한 상실은 설정식의 가족 로망스적 상상을 이끌어 가는 원초적 경험에 해당한다. 설정식의 소년 화자는 아버지의 부재를 애초에 ‘말하지 않음’으로써 기존의 현실 질서를 소거한다. 세계를 무화(無化)하는 이러한 방식은 아나키즘적 속성이 짙은 것으로, 무질서와 혼란을 바탕에 둔 ‘해바라기-소년’의 성년화는 쉽게 달성될 수 없음을 환기한다. 청춘 은 이를 서사화한 작품으로서 소설의 등장인물이 보여주는 정신적ㆍ육체적 방황은 자전적 성격이 짙다. 작중인물 간의 우애는 서로를 상징적 동일시의 대상이자 동화의 대상으로 인식케 하며, 이로 인해 아버지-법이 부재하는 현실에서 형제들의 연대는 단번에 구축된다. 그러나 이들의 성년화는 좌절과 혼돈 속에 지연된다. 이들의 온전한 주체화는 특정 계기를 통해서만 추동될 수 있는데, 설정식에게 8ㆍ15 해방은 그것을 가능케 할 결정적 사건으로 인식된다. 그가 청춘 의 두 장면을 선별하여 시집에 수록한 것이 이를 예증한다. 생명의 잉태를 암시하는 연인 간의 성적 결합과 아버지의 죽음 앞에 선 아들이 ‘완전한 해방’을 선언하는 장면이 그것이다. 이 두 장면은 가족 로망스적 상상을 완결 짓는 모티브로 기능한다. 특히 아버지의 죽음을 인정함으로써 아들은 왜 스스로 아버지-법이 되어야 하는지, 현실 세계에 왜 새로운 격률이 필요한지를 자각한다. 이처럼 혼란과 방황에서 스스로를 일으켜 세워 성숙한 성년-되기를 완성한 자들이 곧 ‘청년’이다. 시와 소설을 잇는 이러한 자기-서사화의 양상은 부정한 역사와 선조들의 죄업을 정화하고 속죄함으로써 잉태한 아내를 맞이하고 새 생명의 탄생을 준비하는 젊은 남편이 등장함으로써 정점에 이른다. 해바라기 시편의 청년이 젊은 아버지로 체현되는 것은 새로운 가족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에 값한다. 이는 역사의 새 시작은 사회적으로 가장 하부 단위의 변화로부터 가능하며, 이에 대한 의식의 촉진은 사회의 기초를 그 바닥에서부터 재고하게 만든다는 점을 보여준다. 설정식은 이러한 근본적 변혁을 주도할 힘과 행동의 결합을 혁명이라 칭하고, 이를 가능케 할 정신의 원천을 ‘청춘’이라 명명한다. 청년의 본질적 속성은 이 ‘청춘’에 있다. 설정식의 청년은 ‘청춘’을 끊임없이 견지하고 지속하는 것/자(者)를 의미한다. 그가 이상화한 ‘청년/청춘’의 상(像)은 최종적으로 자신의 자율성과 독자성을 확고히 견지하는 단독자의 모습을 띠며, 어떠한 물리적 한계도 넘어서는 절대의지의 소유자이자 주체성의 확립을 자기 정체 ...

      • KCI등재
      • KCI등재

        『한국문학의 위상』의 현재성에 대한 고찰

        강계숙 국제비교한국학회 2020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8 No.2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ignificance of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a representative work written by Kim Hyun. The writings in this book clearly reveal his critical view of literature. In this book, which answers the question of what literature can do, he develops his own theory of literature and explains the autonomy and uselessness of literature as a unique form of existence and a function of literature. The core proposition of his theory of literature is : ‘Literature does not oppress. But it makes us think about oppression.’ It is noteworthy that his thoughts on literature is based on his perception of oppression. For him, oppression means the whole of negatives as opposed to primary happiness. According to his point of view, oppression is not a partial function of the fragmented social system, but a whole system of society that operates as a compulsory mechanism. What’s interesting is that the more literature think about oppression, the greater the likelihood that literature will be free. Literature can say anything about oppression. Another characteristic of Kim Hyun’s theory of literature is that he emphasizes that when we read a literary work, we experience a combination of sensual pleasure and reflective reasons. He says the combination of pleasure and reflection is made through deep impression. To de deeply impressed is a special experience in which one’s inner self is strongly dominated by something different from oneself. Unlike other emotions, it awakens the self. Kim Hyun makes it clear that being deeply moved is an awakening consciousness, and that it is a mental ability to recognize objects in depth. In his view, a deeply impressed person is self-reliant. Meanwhile, his theory of literature clearly reveals its characteristics in the part of describing the self-reliance of the reader and the self-reliance of the author. Recognizing that the later capitalist system threatened the autonomy and uselessness of literature, he strongly criticizes this phenomenon. And he thinks that the way to overcome these problems depends on a sincere writer and a critical reader. He says that readers are those who think and judge about suppressing themselves, and writers are those who fight the conditions of societythat commercialize literature. His thoughts make us realize again what unswerving purpose literature should pursue in spite of the changing times. 본고는 김현의 대표적 저작인 한국문학의 위상의 현재적 가치와 의의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문학의 위상에 실린 글들은 문학에 대한 김현의 비평적 시각과 태도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문학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물음에 대해 답하고 있는 이 책에서 그는 자신만의 문학론을 전개한다. 이 과정에서 김현은 문학의 자율성과 무용성이 문학의 존재 방식이자 고유한 기능과 역할임을 설파한다. 특히 ‘문학은 억압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것은 억압에 대해 생각하게 만든다’ 는 그의 핵심 명제는 자율성과 무용성의 가치를 적극 옹호하는 과정에서 도출된다. 주목할 것은 이러한 내용이 ‘억압’에 대한 그의 인식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이다. 김현에게 억압은 원초적 행복에 반대되는 것으로서의 부정적인 것의 총체를 뜻한다. 그것은 분화된 사회 제도의 부분적․개별적 역할이 아니라 강제적 메커니즘으로 작동하는 전체 체제이다. 흥미로운 것은 이러한 억압에 대해 문학이 ‘생각하게 한다’고말하는 순간, 문학이 자유로워질 가능성은 더 커진다는 사실이다. 억압이 현실세계에서 전체적이면 전체적일수록 아이러니하게도 그것에 대해 생각하는 문학의 영역은 확대된다. 억압에 관해서라면 문학은 무엇이든 말할 수 있다. 김현에게 문학의 무용성은 문학의 가능성의 무한한 확대를 의미하며, 문학의 사회성은 이러한 가능성의확대가 유발하는 현실과의 싸움을 통해 확보된다. 김현 문학론의 또 다른 특장은 감각적 쾌락과 반성적 사유가 문학을 통해 통합된형태로 체험됨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그는 ‘감동’을 쾌락과 반성의 모순적 결합을 매개하는 정신적 작용으로 제시한다. 감동은 그것을 느끼는 자에겐 자신의 내면에 예측 못한 이질적인 것이 깊이 침범한 상태이자 그것에 강하게 지배받는 특수한 경험이다. 그것은 여타의 감정과 달리 의식을 일깨운다. 김현은 감동이 각성된 의식이자대상을 깊고 넓게 감수하는 정신 능력임을 분명히 한다. 그의 문학론에서 감동은 형이상적 사고와 윤리적 성찰을 유도함으로써 감성적 실천의 계기를 마련하는 것으로간주된다. 따라서 ‘감동하는 자가 사유하는 자’이며 ‘감동하는 자야말로 주체적’이다. 김현의 이러한 문학론은 독자의 주체화와 작가의 주체화를 요구하는 대목에서그 개성이 더욱 뚜렷해진다. 그는 후기 자본주의 체제가 문학의 자율성과 무용성을위협하고 파괴하는 지점에 이르렀음을 인식하고 이를 강하게 비판한다. 그리고 이를타개할 방법으로 ‘성실한 작가’와 ‘비평가-독자’를 호명한다. 그는 독자란 일개 감상자가 아니라 사유하고 판단하는 성찰의 주체라는 것을, 그리고 작가란 문학을 물신화시키는 조건 그 자체와 싸우는 행위의 주체라는 것을 시대적 당위이자 문화적 가치로서 요청한다. 그의 이러한 기대와 바람은 우리로 하여금 문학이 자기 존재의 가치를 포기하지 않는 한 시대의 변화 속에서도 견지해야 할 기본적인 조건과 자세가무엇인지를 다시금 상기시킨다.

      • KCI등재

        치근단 형성유도술의 치험례

        강계숙 大韓小兒齒科學會 1992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19 No.2

        저자는 다수의 미성숙 실활 영구치에서 수산화칼슘을 이용한 치근단 형성유도술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의상 병력이 있는 1 증례에서 치근의 길이 성장과 함께 근단폐쇄됨을 관찰하였다. 2. 만성치근단농양이 있는 2 증례에서 치근의 길이 성장없이 석회화 경조직으로 근단폐쇄됨을 관찰하였다. 3. 수산화칼슘 충전후6~30개월 경과하여 근단폐쇄 소견을 관찰하였다

      • KCI등재

        1930년대 후반 임화 시론의 이론적 변이 양상에 대한 고찰 - ‘형상’·‘표현’·‘감정’의 개념적 상관성을 중심으로

        강계숙 상허학회 2019 상허학보 Vol.57 No.-

        This study reveals the characteristic structure of Im-Hwa's theory of poetry by inductive consideration. In addition, this study newly reconstructs Im-Hwa's theory of poetry by examining the processes of conceptualization of shape, expression, and emotion and revealing the theoretical correlations between each concept. Through these reviews, we look at how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concepts are actually applied to Im-Hwa's later criticism of poem. Through a unique critique represented by the theory of surplus in works, Im-Hwa had constructed logic contrary to the existing concept of shape. The surplus area of the work he defined means an independent order within the work that was created contrary to the author's intention. This theory forms the theoretical basis for recognizing the autonomy of literature in the way of its existence. Meanwhile, in Im-Hwa's later criticism of poem, the concept of expression replaces the concept of shape. He defined expression as the process in which content acquired figure. It is understood that this process is inherent in the work and therefore does not depend on the intention of the author. This process of expression relates to the formation of a surplus world, an independent structure within a work, which is regarded as ‘a sacred surplus’. Im-Hwa identified ‘sacred surplus’ as a product of emotion that intelligence does not control. This leads us to question what areas of unconsciousness that is part of the realm of sensibility are developing in a work, contrary to the intention of the author. The fact that he found the answer in poetry genre can be seen from an analysis of emotions made in his later criticism of poem. Im-Hwa noted the nature of the emotions expressed in poetry rather than the ideas and tendencies of new generation of poets. By analyzing their emotions, he regarded their poetry as the literary embodiment of the collapse of modern times. Based on the changed perception of the essence of literature, the theory of surplus of work and the preoccupation of concept of text while moving from shape to expression, and the analysis of emotion that applied them in practice reveal the theoretical aspects of his criticism of poem in detail. 이 글은 임화 시론의 이론적 토대를 고찰함으로써 시론의 고유한 내용과 의미를 밝히고 있다. ‘형상’ ‘표현’ ‘감정’의 개념화 과정을 살피고, 각 개념들의 이론적 상관성을 밝힘으로써 임화의 시론이 변이되는 양상을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개념간의 관계가 후기 시 평문에 어떻게 실제적으로 적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형상 개념은 1930년대 후반 임화의 문학관이 변화함에 따라 비평의 전면에서 물러나게 된다. 작품의 잉여론으로 대표되는 특유의 비평론을 통해 임화는 기존의 형상 개념에 반하는 논리들을 새롭게 구축한다. 그가 정의한 잉여 영역이란 작가의 의도에 반해 작품 내 생성된 독립된 질서를 가리킨다. 작가의 의도와 작품의 결과 사이의 괴리이기도 한 잉여 영역에 대한 논리적 규명은 문학의 독자성 및 자율성을 문학의 존재방식으로 인정하는 이론적 토대가 된다. 한편 형상 개념이 물러난 자리를 표현 개념이 대신하게 되는바, 표현은 ‘내용이 형태를 획득하는 과정’으로 정의된다. 이 과정은 작품 내재적인 것이라는 점에서 형상과 달리 주체의 의도에 좌우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표현과정은 잉여 세계의 형성과 관계되는데, 작품 내 독자적 구조이자 질서인 이 세계는 표현과정에서 생성된 ‘신성한 잉여물’로 간주된다. 임화는 이것을 지성이 지배하지 못하는 감성계의 산물로 파악한다. 이는 ‘표현된 것으로서 감성계에 속하는 것이자 주체의 의도와 달리 작품 내 현상하는 무의식의 영역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제기하는데, 임화가 이에 대한 답을 시 장르에서 찾았다는 것은 후기 시 평문에서 수행된 감정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임화는 신세대 시인들의 사상이나 경향성, 시의 내용이나 형상성보다 시에 표현된 감정의 형태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시를 현대성의 심화된 표상이자 현대의 붕괴를 문학적으로 체현한 시대의 산물로 파악하였다. 문학의 본질에 대한 변화된 인식을 바탕으로 형상에서 표현으로 핵심 개념이 이동하면서 작품의 잉여론 및 텍스트 개념의 선취, 이를 실천적으로 적용한 감정-표현의 분석 등은 임화의 시론이 갖추고 있는 이론적 면모를 구체적으로 드러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