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무용 용어 등장의 배경과 특징 -1950, 60년대를 중심으로-

        김영희 국립무형유산원 2023 무형유산 Vol.- No.14

        This paper studie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dance, with a focus on the origins of the term “traditional dance” in the context of the traditional concepts that were used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nd developed in the 1950s and 1960s. The original concept of tradition encompassed not only customs, systems, and lineages passed down across generations but also the meaning of inheritance and transmission over time. However, from the 1920s, it came to refer to something uniquely Korean in contrast to imported foreign cultures. Tradition refers to a concept that encompasses unique ideas, customs, religions, production activities, and arts that were formed and transmitted in Korea before modern times. After the Korean War, the concept of tradition was invoked to establish a sense of history and explore spiritual root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nation. In the 1950s and 1960s, the discourse on tradition discussed concepts such as discontinuity, absence, succession, and overcoming. Tradition emerged as an important thesis and the term was extended to the broader realm of culture, creating new terms such as traditional culture and traditional arts. One can draw important features of tradition theory and discourse that developed in the 1950s and 1960s. First, the period from 1910, when the Japanese colonial rule began, was set as the lower limit of tradition. Culture before that period was considered to have pure Korean tradition, but after that, it was not. Second, the direction was set to excavate and inherit folklore-centered tradition. It emphasized the core of tradition to be the figures, texts, and art forms of the common peop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o tri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ruling class society. This direction was reflected not only in academia and the arts but also in the initial desig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gainst the backdrop of the national interest in the tradition theory and discource, the term “traditional dance” began to be used in the late 1960s, and in the 1970s, it wa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dance performers, dance research institutes, performances, government agencies, media, schools, and research. At the time, the prominent dance theorist, Jeong Byeong-ho, defined traditional dance as a heritage of the Korean people that absorbed and reflected the national spirit. This perspective was more limited to the past than the contemporary, and it was in line with the tradition discourse of the 1950s and 1960s, which set 1910 as the lower limit of tradition and fixed the concept of tradition. 본 논문은 20세기 초에 사용된 전통의 개념과 1950, 60년대에 전개된 전통론을 배경으로 전통무용이라는 용어가 등장한 배경과 특징을 연구하였다. 전통의 원래 개념은 선대로부터 이어진 관습, 체계, 전승된 계통 뿐만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을 함유한 계승, 전승의 의미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수입된 외래 문물에 대한 상대적 개념으로서, 1920년대부터 고유한 ‘조선적인 것’을 지칭하게 되었다. 전통은 근대 이전인 조선에서 형성되고 전승된 고유한 사상, 관습, 종교, 생산활동, 예술 등을 아우른 개념으로 통용된 것이다. 그리고 한국전쟁 후 국가의 재건을 위해 역사의식을 세우고 정신적 원천을 탐색하면서 전통의 개념이 소환되었다. 1950, 60년대에 전개된 전통론에서 전통의 단절론, 부재론, 계승론, 또는 극복에 대해 논하게 되었고, 전통은 중요한 테제로 부상했으며, 동시기에 문화 전반에 확대되어 전통문화, 전통예술의 용어를 생성시켰다. 이렇게 전개된 1950, 60년대의 전통론에서 중요한 특징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는 전통의 하한(下限) 시기를 일제강점이 시작된 1910년으로 설정하여, 그 이전의 문화는 순수한 조선의 전통을 보유하고 있지만, 그 이후의 문화는 그렇지 않다는 기준을 설정했다는 점이다. 둘째는 민속(民俗) 중심의 전통을 발굴하고 계승해야 한다는 방향이 정해졌다는 점이다. 지배계급이 아닌 평민의 문학, 봉건사회의 계급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던 조선후기의 평민의 인물이나 텍스트, 예술 형식들을 계승해야 할 전통의 핵심으로 삼았던 것이다. 그러한 방향성은 학계와 예술계 뿐만이 아니라 무형문화재의 초기 지정 종목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이상과 같이 전개된 전통론과 전통문화, 전통예술에 대한 국가적인 관심을 배경으로 전통무용의 용어가 1960년대 말에 사용되기 시작했고, 1970년대에는 무용가, 무용연구소, 공연, 정부기관, 언론 매체, 학교, 연구 등의 분야에서 전통무용의 용어가 사용되었다. 그리고 당시 대표적인 무용이론가 정병호는 전통무용을 민족 정신을 흡수하고 반영하면서 전승된 민족의 유산이라 했다. 당대적인 관점보다 과거의 것으로 한정하는 관점이 농후하며, 이는 전통의 하한(下限) 시기를 1910년으로 설정하고 전통을 고정시켰던 1950, 60년대 전통론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정옥의 민요 연구에 나타난 ‘조선민요(朝鮮民謠)’의 ‘암음(暗陰)’

        김영희 비교민속학회 2019 비교민속학 Vol.0 No.70

        Go-Jeong-Ok majored in Korean oral literature, especially folksongs, and he studied about ‘Joseon-literature’ in Kyeong-seong(Keijo) Imperial University(京城帝國大學) in 1930s. When he graduated from university in 1939, he wrote the thesis about Joseon-folksongs.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d finished, he re-wrote his graduation thesis and then published the book entitled, the study on Joseon-folksongs(朝鮮民謠硏究) in 1949. Then he went to North Korea, and had written the book, the study on oral literature of Joseon(朝鮮口傳文學硏究) in 1962. He had studied and had written about the orality and the collectivity of ‘the people(民)’ presented in Korean folksongs and folktales, which made an influence to the studies of oral literature in North Korea. Go-Jeong-Ok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folksongs, divided into the brightness and the darkness, in the end of the thesis of the study on Joseon- folksongs(朝鮮民謠硏究, 1939). The mentions of the darkness of Joseon- folksongs were longer than ones of the brightness. He remarked the decadence and the primitiveness as the darkness of Joseon-folksongs. The mode of the argument wa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discourse field of Japanese colonialis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culture as ‘the cultural femininity’. In this context, the femininity of Joseon-culture was interpreted as representing the aboriginality and the uncivilized of the colony Joseon. 고정옥의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조선어문학 강좌 졸업논문인 <조선민요에 대하여>는 1930년대 말에 등장한 ‘조선민요’에 대한 체계적 연구서로서, 식민지 제국대학에서 이루어진 근대문학 교육의 효과로 드러난 연구 성과였다. 이 저작에 나타난 고정옥의 ‘조선민요’ 인식은 식민지 시기 ‘조선민요’에 대한 ‘제국’의 왜곡된 시선을 답습하는 한편, 식민주의에 동화된 지식장에서 벗어나려는 ‘탈식민’의 단초를 드러낸다. 이 글에서 주목하는 것은 고정옥이 논문 말미에 언급한 조선민요의 ‘암음면(暗陰面)’에 관한 그의 민요 인식이다. 조선민요의 ‘어둠’을 기술하는 대목에서 그는 조선을 ‘제국’의 한 ‘로컬(local)’로 바라보며 조선민요에서 ‘토속성’과 ‘원시성’을 발견하려 했던 ‘제국’ 학문의 시선을 답습한다. 민요의 어떤 자질들을 ‘토속적이고 원시적인 것’으로 재발견하면서 이를 식민지 조선의 반문명성, 혹은 전근대성을 입증하는 근거로 해석하려는 태도를 드러내는 것이다. 또한 조선민요의 어둠을 ‘여성적’ 자질로 기술하고 이를 통해 식민지 조선의 ‘여성성’을 민요를 통해 규명하려는 태도를 드러내기도 한다.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개인정보 위협기반의 트렌드 분석 연구

        김영희,이택현,김종명,박원형,국광호 한국융합보안학회 2019 융합보안 논문지 Vol.19 No.2

        For that reason, trend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to identify and analyze the key topics in large amounts of data and information. Als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field is increasing activities in order to identify prospects and trends in advance for preemptive response. However, only research based on technology such as trends in information security field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olution is broadly taking place. In this study, threat-based trends i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field is analyzed through text mining method. This will be the key to deduct undiscovered issues and provide visibility of current and future trends. Policy formulation is possible for companies handling personal information and for that reason, it is expected to be used for searching direction of strategy establishment for effective response. 과학기술 분야를 비롯한 산업영역 전반에 걸쳐 기술의 방향성과 흐름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이를 위 해 대량의 데이터와 정보에서 주요 토픽을 찾아내고 분석하기 위한 트렌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이와 함께 개인정 보보호 영역 또한 전망과 흐름을 사전에 파악하고, 선제적 대응을 위한 활동이 요구되고 있지만, 광의적인 형태의 정보보안 영역과 개인정보보호 관련 솔루션 기반의 트렌드 연구등 기술위주의 연구만 이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마이 닝을 활용해 개인정보보호 영역에 국한된 위협기반의 트렌드 분석을 통해 주요 이슈 토픽을 도출하고 현재와 미래의 트렌드 를 미리 확인하여, 개인정보처리 기업에서 개인정보보호에 필요한 정책수립과 효과적 대응을 위한 전략수립 방향성 탐색에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The Effect of Environmental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ECSR) Messages on The Participation Intention of ECSR Programs: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Chinese Travelers in Hong Kong

        김영희,Chun Ho Tam, Leo Academy of Asian Business (AAB) 2020 Academy of Asian Business Review Vol.6 No.1

        This study examines the responses of Chinese travelers to a hotel’s message that asks them to participate in its ECSR (CSR related to environmental protection) program. Given the collectivistic and long-term-oriented nature of Chinese travelers according to Hofstede’s cultural dimensions, this study designs three messages that (1) merely ask these travelers to participate in the ECSR program (i.e., control), (2) request for their participation while simultaneously highlighting that many of other hotel guests have participated in such program in the past (i.e., descriptive norm DN), and (3) request for their participation while mentioning the potential benefits of this program for the future(i.e., future potential benefit FPB). Results show that Chinese travelers respond to FPB messages most favorably, followed by DN and control messag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literature and the industry practitioners.

      • KCI등재

        ON POSITIVE IMPLICATIVE FILTERS IN BE-ALGEBRAS

        김영희,박정희 충청수학회 2014 충청수학회지 Vol.27 No.3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notion of a positive im- plicative filter in BE-algebras. We show that every positive implica- tive filter is a filter in BE-algebras. We give some examples that a filter may not be a positive implicative filter and also a positive implicative filter may be not an implicative filter in BE-algebras. We also give some equivalent conditions of a positive implicative filter in BE-algebra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