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조선후기 도성문 관리 방식의 변동

        홍순민 서울역사편찬원 2019 서울과 역사 Vol.- No.101

        Among the components of Hanyang Doseong, the gate was distinct from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military defense function, it was a device for the implementation of state power and execution of various ceremonies, and it had a cultural function that greatly influenced the lives of the citizens. Of the eight gates of the Hanyang Doseong, only the two gates of Sungnyemun and Heunginmun are the large gate(大門), and the two gates of Souimun and Hyehwamun are called small gate(小門). The phases of the remaining doors were either between large gate and small gate, or less than small gate. The concept of Jeongmun(正門, main gate) and Ganmun(間門, inter gate) appear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was listed in the law books. Sungnyemun, Heunginmun, Hyehwamun, Donuimun were classified as Jeongmun, and Changuimun, Sukjeongmun, Souimun, Gwanghuimun were classified as Ganmun. The gates collaps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year of Imjin(1592, Imjinwaelan) and Chinese invasion of year of Byeoungja(1636, byeongjaholan). In the time of King Sukjong, the Hanyang Doseong and the gates were restored. They rebuilt an building over a gateway(munru, 門樓) of Donuimun, Sugumun―Gwanghuimun.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rebuilt an building over a gateway(munru, 門樓) of Changuimun, Seosomun―Souimun and Hyehwamun were rebuilt. The way to manage the city gate was also improved.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o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y were administered by the state institutions. After that, the authority moved from Hanseong-bu(漢城府) to three main troops―Hunryeondogam(訓鍊都監), Geumwiyeong(禁衛營) and Eoyeongcheong(御營廳). The military service to guard the city gate was overseen by Byeongjo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兵曹).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ogun(護軍) and Owon(五員) belonging to Owi(五衛) led the military. After the stoppage of Owi(五衛), it was changed into Hogun(護軍) and Bujang(部將) belonging to Geumgun(禁軍). Opening and closing the city gate was an important task in the kingdom's state power, represented by the king. The city gate was closed when the bell of Ingyeong(人定) was hit and opened when the bell of Bara(罷漏) was hit. The king had the final authority to open and close the city gate. In opening and closing the city gate, the required marks vary according to various situations and the status of the door, and the position of the officer has also changed. When opening the main gate, heavy and additional tokens were used together. Conversely, opening the inter gate is much simpler. Indicating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ity gate is more strictly and finely controlled. The city gates of Hanyang Doseong, were device that controlled the citizens of the capital city Hanseong-bu and the people of the whole country beyond the simple entrance and exit facilities. Therefore, the change in the way of managing the city gate was associated with the management of Hanseong-bu and further the change of national management. 한양도성의 구성 요소 가운데 도성문은 다른 요소들과는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군사적 방어 기능 외에 국가권력의 구현과 각종 의례의 실행을 위한 장치이자 도성민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기능을 갖고 있었다. 도성의 여덟 문 가운데 숭례문과 흥인문 두 문만 대문이고, 소의문과 혜화문 두 문만이 소문으로 불렸다. 나머지 문들은 대문과 소문 사이이거나 아니면 소문보다도 격이 낮은 위상을 갖고 있었다. 조선후기에 이르러 正門과 間門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여 법전에 등재되었다. 숭례문・흥인문・혜화문・돈의문이 정문, 창의문・숙정문・소의문・광희문이 간문으로 분류되었다. 도성문들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한양도성이 크게 훼손되면서 門樓가 사라지는 등 외형을 크게 잃었다. 숙종대에 이르러 도성을 다시 고쳐 쌓았고, 이와 함께 도성문들도 다시 지어 제모습을 회복하였다. 돈의문의 문루를 다시 지었고, 수구문(광희문)을 다시 지었다. 영조대에는 창의문과 서소문(소의문) 그리고 혜화문을 다시 지었다. 도성을 수축하고 도성문을 다시 지으면서 도성과 도성문을 관리하는 방식도 정비되었다. 조선초기에서 조선말기까지 국가 기관에서 관리하였는데, 큰 방향은 한성부에서 훈련도감・금위영・어영청 세 군문으로 이동하였다. 도성문을 지키는 군사 업무는 병조에서 총괄하였다. 조선초기에는 五衛에 소속된 護軍과 五員이 군사들을 지휘하였다. 오위의 기능이 정지된 뒤에는 禁軍에 소속된 護軍과 部將으로 바뀌었다. 도성문을 열고 닫는 일[門開閉]는 임금으로 대표되는 왕국의 국가권력 행사에서 중요한 일이었다. 도성문은 인경에 닫고 바라를 치면 열었다. 도성문을 열고 닫는 일의 최종적 권한은 임금이 갖고 있었다. 도성문을 열고 닫는 데는 각각 문을 열고 닫아야 하는 사유, 대문과 간문으로 구별되는 문의 위상에 따라 갖고 가는 증표가 달라지고, 그것을 갖고 가는 관원의 직책도 달라졌다. 정문을 열 때는 무거운 증표와 부가적인 증표를 함께 사용하였고, 간문을 열 때는 훨씬 가볍게 처리하였다. 그만큼 도성문의 개폐가 더욱 엄격하고 세밀하게 통제되었음을 가리킨다. 도성문은 단순한 출입 시설을 넘어서 도성민과 나아가 온 나라 백성들을 통제하는 장치였다. 따라서 도성문을 관리하는 방식의 정비와 그 변동은 수도 한성부의 관리와 더 나아가 국가 경영의 변동과 맞물려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숙종초기의 政治構造와「換局」

        洪順敏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1986 韓國史論 Vol.15 No.-

        머리말 一. 政治集團과 官職運營體系 1. 政治集團의 類別과 實相 2. 官職運營體系 二. 政治運營의 추이와 「換局」 1. 南人執權期 政局의 전개와 「庚申換局」(1680) 2. 西人執權期 政局의 전개와 「己巳換局」(1689) 맺음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