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柳光洙 忠南大學校 1973 論文集 Vol.12 No.-
The form and the location of a blackboard have relation to the fatigue of teachers and students. Specially unsuitable location brings the depreciation of the educational effects and the phenomenon of the unhealthy body. In this point author has studies on the location and the glare of the blackboard which an educator can alway write easily, students can see the letter without physical inconvenience and can prevent the reflection of light from it. The blackboard height between primary male teacher and female teacher should be distinguished. When two small blackboard are used by turns with the height of 60㎝, it can be very comfortable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When the angle of a blackboard can be regulated, The galre on the blackboard can be prevent.
류광수 연세대학교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003 地域發展硏究 Vol.12 No.-
오늘날은 변화와 참여의 시대이며 과거의 20년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분야에서 급변의 시기라 해도 과언은 아니다. 그러한 변화 가운데 가시적 성과의 하나는 지방자치제도의 부활이다. 지방의회의 건전하고 효율적인 운영은 매우 중요하며, 각급 지방의회에 올바른 기능과 역할을 설정함으로써 예상되는 운영상의 부작용을 해소하고 아직 초보단계라고 볼 수 있는 우리의 후진적인 지방자치를 행정개혁과 정부혁신의 차원에서 건실하게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원칙상 지역주민의 실질적인 대변인이 지방의회의원이기 때문에 지역주민과의 관계에서 볼 때 광역의회와 기초의회와 공존하는 이중구조(dual structure)속의 지역주민이 존재하고 있으며 국회의원을 포함시킨다면 지역주민 또한 정치기반이라는 측면에서 이중성을 갖는다. 즉 중앙정치기반으로서의 국민과 지방정치기반으로서의 주민이 존재하는 것이다. 지역주민의 복리증진이라는 궁극적 목표를 실현시키기 위해 지방의회와 지방정부와의 관계는 보완적·협조적 관계를 주축으로 견제와 건전한 비판과 행정감시를 하는 그러한 관계가 바람직하다고 본다. 우리나라의 지방자치제도는 제도적인 장치와 함께 지방자치의 구성원들인 주민과 지방의회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장의 열의와 전문성이 성공의 관건이다. 명실공히 지방자치제가 성공하려면 자주적인 재원확충, 집행부와 의회의 도덕성 그리고 주민들의 적극적 시정참여와 아울러 이 세 가지가 삼위일체를 이루어야 한다.
도시문제해결을 위한 도시정부의 동태적 정책결정과정 연구를 위한 이론적 분석틀 개발
류광수 연세대학교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001 地域發展硏究 Vol.11 No.-
오늘날의 도시는 도시화의 물결로 많은 인구가 유입되면서 끊임없이 도시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도시문제는 국가의 주요 정책대상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오늘날 대부분의 인구가 도시에 거주하게 되면서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이 도시정부의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으며, 이에 대한 해결책 및 대안 제시를 요구하는 시민들의 영향력이 증대함에 따라 도시정부의 역할 및 도시정부정책결정구조의 중요성 또한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행정적, 제도적 기여방안과 함께 도시정부체계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도시정부의 기본 목표 중 하나인 갈등관리는 도시 내부 집단간의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정치이고, 도시정부의 영향력구조 속에는 수많은 개인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 정부가 채택하는 정책에는 많은 요소들이 개입된다. 도시정부의 목적이 공공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행정간의 공정한 분배인 점을 고려할 때 결국 정부의 행정 능력은 갈등을 조정하고 효율적이고 공정한 정책결정을 하고 효과적으로 변화를 추구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즉 시민들의 선호가 도시 공공정책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물리 수업 유형이 메타인지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신경과학적 분석
류광수,박동규,최혁준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1 현장과학교육 Vol.15 No.1
In this study, we used a neuroscientific method using a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that can measure the changes in the real-time brain activ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ysics class types on the metacognitive activation of students. Physics education undergraduate students were the subjects of the study, and the class typ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lasses such as the lecture, the self-questioning, and the discussion type classe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brain activation data of the anterior frontal lobe related to metacognition, it was found that the metacognition-related brain activ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discussion type class, unlike the lecture type and self-questioning type class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al-time brain activation data for each class progression in the discussion type class, it was found that metacognitive brain activation i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the students' discussion stage. We think that the interaction of students through the speech that appears in the course of discussion has a great influence on metacognitive brain activation. 본 연구에서는 물리 수업 유형이 학생들의 메타인지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간 뇌 활성화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한 신경과학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물리교육과 학부생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업 유형은 강의식 수업, 자기질문식 수업, 토론식 수업의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메타인지와 관련이 있는 전측 전전두엽의 뇌 활성화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강의식 수업과 자기질문식 수업과는 달리 토론식 수업에서 메타인지 관련 뇌 활성화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크게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토론식 수업에서 수업 진행 단계별 실시간 뇌 활성화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토론 단계에서부터 메타인지 관련 뇌 활성화가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토론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말하기를 통한 상호작용이 메타인지 관련 뇌 활성화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