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日両言語における除外表現の文法化

        朴江訓(강훈) 한국일본어학회 2012 日本語學硏究 Vol.0 No.35

        This paper aims to clarify (i) grammaticalization of Korean and Japanese exclusive expressions such as pakk-ey/oe-ey and hoka/igai from the viewpoint of linguistic typology, and (ii) what kinds of principles and mechanisms work there. The proposal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a. Grammaticalization of exclusive expressions in human languages such as pakk-ey/oe-ey in Korean, hoka/igai in Japanese, but in English, auβer in German and buiten in modern Dutch is cross-linguistically quite similar, that is, their usage originally comes from "the out", which is also supported by their etymology. b. Grammaticalization processes of the expressions in Korean and Japanese are also quite similar as followed: (i) semantic change: physical space > non-physical space > exclusion (ii) categorical change: noun > adverb > postposition/negative sensitive item In addition, the above processes are similar to ones of the other languages. Therefore, it can be generalized that the exclusive expressions in human languages similarly undergo the semantic and categorcial changes. c. [Principles and mechanisms]: the semantic change can be explained by decategorization in terms of grammaticalization theory and the categorical change can be described by unidirectionality.

      • KCI등재

        日本語否定文の統語論硏究の諸相

        朴江訓(강훈) 한국일본어학회 2011 日本語學硏究 Vol.0 No.31

        본고의 목적은, (1) 한국 대학원에서 일본어학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일본어 부정문의 통어론 연구의 제상을 소개함으로써, 그들이 앞으로 부정문을 연구하는데 있어 도움이 되는 것, (2) 일본어 부정문에 관한 제현상의 분석을 통해 지금까지의 언어이론의 발전을 뒤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갈 연구의 방향성에 대해서 검토하는 것이다. Klima(1964)이래로, 초기 단계의 부정연구는 주로 다음과 같은 연구과제의 수행이었다고 볼 수 있다. (i) a. 부정문의 통어구조는 어떠한 것인가. b. 부정사(否定?)와 그 이외의 요소는 어떠한 구조 그리고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가. (i)의 분석이 수행됨에 따라 최근에는 다음과 같은 연구과제가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다. (ii) a. ‘부정호응(Negative Agreement)’의 성질은 어떠한 것인가. b. 부정호응표현의 인허조건은 무엇인가. 자연언어의 부정호응표현에는 부정극성표현과 부정일치표현이 존재한다. 일본어학에서는 2000년대까지 부정극성으로서의 분석밖에 없었지만, 2000년대 이후부터 부정일치로서의 분석이 주목을 받고 있다. 실제로, 부정일치로서의 분석은 지금까지 해결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간단하게 설명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것은 지금까지 부정일치로서 분석해야할 것을 부정극성으로 잘못 분석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부정일치현상의 분석은 아직 초기 단계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결해야할 문제점도 많이 남아있다. 앞으로는 언어유형론적인 접근법으로 부정일치현상을 분석한다면, 흥미로운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KCI등재

        韓日両言語の文法化に関する対照研究

        朴江訓(강훈) 한국일본어학회 2014 日本語學硏究 Vol.0 No.39

        The purpose of this paper examines the following: (i) certain differences exist regarding degrees of grammaticalizat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and (ii) what factors cause the differences. The argum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ed: a. The degrees of grammaticalization of Korean are lower than the degrees of Japanese concerning 6 grammatical categories: negative sensitive items, aspectual markers, sentence-final forms, compound verbs, compound postpositions, and auxiliary verbs. b. The phenomena could be caused by the following three factors. The first factor is morphological and syntactic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The second one is the discrepancy of the linguistic history as it appeared in the early Korean and Japanese literatures. The third factor is differences of language performance and socio-cultural cognition.

      • KCI등재

        韓日両言語における否定命令形式の対照研究

        朴江訓(강훈) 한국일본어학회 2015 日本語學硏究 Vol.0 No.43

        본고의 목적은 한일 양 언어의 부정명령형식 ‘-마’와 ‘-な’의 차이점에 주목하여 이들 두 표현의 통어적 성질을 밝히는 데에 있다. 본고는 주로 통어론적인 접근방식 특히 생성문법을 통해 이들 두 표현의 성질을 밝히고 있다. 더욱이 공시적인 접근방식뿐만 아니라 통시적인 융합적 접근방식을 통해서도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고자 한다. 종래의 연구에는 본고와 같은 연구방식으로 이루어진 예가 없다고 생각된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에서는 한일 양 언어의 부정명령형식 ‘-마’와 ‘-な’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도 수행되지 않은 채, 이들 형식의 표면적인 유사성에 기인해 ‘-마’와 ‘-な’를 동일표현으로 간주하여 다뤄 왔다. 이에 본고는 이 점을 주된 문제점으로 제기하고 다음과 같이 주장하는 바이다. 첫째, 선행연구의 주장과는 달리, 한일 양 언어의 부정명령형식 ‘-마’와 ‘-な’는 통어론적으로 동일하지 않다. 이는 (i) 최강부정극성항목(strongest negative polarity item)의 인허조건, (ii) 동사뿐만 아니라 형용사·명사·부조사 등 다양한 항목들에 후접할 수 있는 지에 대한 분포의 자유성에서 보이는 상이점을 통해 뒷받침될 수 있다. 둘째, 일본어 ‘-な’는 [+NEG] 자질(feature)을 가지고 있는 데에 반해, 한국어 ‘-마’는 완전히 가지고 있지 않고 본동사 및 보조동사로서의 성질이 아직 잔존해 있다. 이 또한 전술한 최강부정극성항목의 인허조건 및 분포의 자유성을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셋째, 양국 언어에서 이와 같은 차이점이 보이는 이유는 ‘-마’는 동사로부터 보조동사 그리고 부정명령형식으로의 역사적 변천과정이 이루어진 데에 반해, ‘-な’는 애당초 고대어 때부터 부정명령형식으로서 하나의 정형화된 형식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본고는 실제로 한국어 ‘-마’는 동사 ‘말다’에서 파생되어 고대어 때부터 본동사로서의 기능을 가진 경우나 동사 외에 명사, 부조사 등과 같이 다양한 항목에 후접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이에 반해 일본어 ‘-な’는 현대어의 형식과 다소 상이하기는 하나, 적어도 한국어와 같이 그 어원이 동사에 있지 않고 애초부터 부정명식형식으로 사용되었던 예를 증거로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at contrasting and comparing the negative imperative forms -ma in Korean and -na in Japanese, and clarifying how they differ to each other. This study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examines the negative imperative forms in synchronic, diachronic and syntactic perspective. Past studies consider -ma in Korean and -na in Japanese as the same items. However, they behave quite differently in some syntactic environments. Firstly, -ma in Korean cannot license the strongest negative polarity item pakkey "only", but -na in Japanese can license the strongest negative polarity item sika "only". Secondly, -ma in Korean can be attached to various kinds of items such as verbs, adjectives and adverbial particles, however -na in Japanese can only be attached to verbs. The reason why these differences exist between the two items is that -ma and ?na, contrary to the arguments of previous studies, are not identical.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argues that firstly-na in Japanese has [+NEG] feature, however -ma in Korean only has this feature partially. Secondly, -ma in Korean still has usage as a verb because it has been derived to the negative imperative from the verb mal-ta "stop". On the other hand, -na in Japanese has only one usage as a negative imperative because it behaves as negative imperative at the outset.

      • KCI등재

        韓日両言語の方言接触における対照研究 -否定極性表現の場合を中心に-

        朴江訓(Park, Kang-Hun) 한국일본문화학회 2019 日本文化學報 Vol.0 No.82

        This study clarifies the syntactic features of the negative polarity items (NPIs) pakk-ey/ppwun-i ‘only’ in Korean and sika/hoka ‘only’ in Japanese from the viewpoint of dialect contact. These expressions have been treated as similar expressions previously in that they have a semantically restrictive meaning and function as syntactically negative polarity items. In addition, these expressions are similar in that they have an opposing relationship such as ‘standard language (pakk-ey/sika) vs. dialect (ppwun-i/hoka)’. However, this study found that these Korean and Japanese expressions are not similar, on the basis of the following six syntactic environments: whether they can (i) occur in negative constructions only, (ii) occur in multiple negative polarity item constructions, (iii) occur in adversative constructions, (iv) be attached to various items such as postpositions or adverbs, (v) occur in a negative imperatives, and (vi) be attached to nouns without the requirement of the genitive case particle ‘uy/no’. Japanese sika and hoka have mutual distribution, unlike Korean pakk-ey/ppwun-i. In fact, in modern Japanese, sika is more grammaticalized as an NPI, whereas hoka is undergoing degrammaticalization unlike Korean pakk-ey/ppwun-i. In the search for the cause of thes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although further research is needed, this study posits a hypothesis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policy.

      • KCI등재

        인공신경망 번역 엔진을 활용한 멀티링구얼 문법 교육

        강훈(Park, Kang-Hun) 한국일본문화학회 2019 日本文化學報 Vol.0 No.80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Korean, Japanese, and English multilingual grammar education model using Google Translate. This research is conducted as part of a long-term research project called ‘Construction of Korean, Japanese, and English multilingual education models for Korean adult learners, especially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Park (to appear) claims that the algorithm of the neural machine translation system and the multilingual education model are similar based on the following two points: (i) the theoretical background, (ii) transfer learning. Based on these facts, Park (to appear) states that we need to develop teaching methods of multilingual education using neural machine translation engines such as Google Translate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hat Google Translate is applicable to Korean, Japanese, and English multilingual grammar education. Further, marking the first attempt of the same, this paper deals with the grammatical category of ‘tense and aspect’. The study on the multilingual grammar teaching method using Google Translate is being considered for active usage in the future, because this research and Google Translate set the common goal of ‘multilingual use’.

      • KCI등재

        「しか」の二面性

        강훈 한국일본학회 2009 日本學報 Vol.78 No.-

        This paper argues, contrary to what is widely accepted in the literature, that shika ‘only’ in Japanese has two different features based on the syntactic positions. In other words, shika in the argument positions syntactically behaves different from shika in the non-argument positions. Thi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the former is able to co-occur with other Negative Polarity Items (NPIs) such as Indeterminate-mo (dare-mo/nani-mo/dokoni-mo ‘anyone/anything/anywhere’) or kessite ‘never’ in the same clause, whereas the latter is not able to do. It is well known that shika is one of Toritate focalizers such as mo ‘also’, sae ‘even’ or dake ‘only’ etc and it can be followed by noun phrases such as nominative or accusative, inherent case markers such as kara ‘from’, de ‘in’ or to ‘with’ etc, adverbs, sentential verbs, te form, quotational clause and koto clause. In past studies, it has been widely observed that shika is categorized into a single type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it is followed by. Assuming that their analyses were correct, they cannot explain that why shika which is followed by a nominative/accusative noun cannot occur with other NPIs in the same clause, whereas shika which is followed by inherent case markers, adverbs, sentential verbs, te form, quotational clause and koto clause can. This shows us that (i) shika in the argument positions is different from one in the non-argument positions and that (ii) shika should be categorized into at least two types in terms of the syntactic positions.

      • KCI등재

        韓国の大学生の海外就職のための大学教育の現況と展望 -大学での海外就職及び外国語教育のケーススタディ-

        朴江訓 한국일본어문학회 2021 日本語文學 Vol.88 No.-

        본고의 목적은 ‘해외취업 인재 양성 교육을 위한 현황과 전망'이라는 기획주제 하에 한국 대학생의 성공적인 해외취업을 위한 대학 교육의 현황과 전망을 J대학의 해외취업과 외국어교육의 실천사례를 중심으로 밝히는 것이다. 한국의 청년 실업난은 특히 인문계 대학 졸업생을 중심으로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코로나19 사태와 맞물려 청년 실업난은 더욱 가중되고 있는 모습이다. 이와 같은 한국에서의 취업난을 극복하고자 많은 청년들이 해외취업 특히 일본 취업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의 이동조차 제약이 심한 요즘, 해외취업을 위한 온라인 화상 면접에 많은 인원들이 몰리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한국의 청년실업난이 얼마나 심각한지 그리고 우리 청년들이 해외취업에 얼마나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방증이라 생각된다. 필자는 J대학 일본언어문화학과에서 2015년도 K-MOVE스쿨을 직접기획 및 운영한 이래로 매년 해외취업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 결과 최근 3년간 평균 두 자리 수의 해외취업 및 인턴십생을 배출하고 있다. 본고는 약 6년간 해외취업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쌓아온 노하우, 시행착오 그리고 효율적인 외국어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밝힘으로써 본고의 목적을 달성시키겠다. 본고의 주된 구성은 ‘2절: 선행연구 및 문제제기, 3절: 해외취업처(=일본기업체)의 니즈조사 및 중도귀국자의 인터뷰 결과 분석, 4절: J대학의 해외취업 교육 프로그램의 실천사례, 5절: 성공적인 해외취업을 위한 대학 교육에서의 제언'으로 이루어져 있다. This article clarifies the status and prospects of university education for the overseas employment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under the Special Issue of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Education for Overseas Employment Talents.” The youth unemployment crisis in Korea has turned for the worse, especially for graduates of humanities colleges. Although this crisis has intensified with the COVID-19 pandemic, many young Koreans manifest interest in working abroad, especially in Japan. Even nowadays, despite the severe restriction of overseas and domestic movement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numerous people are crowded in online video interviews for overseas employment. This phenomenon is thought to be a testament to how serious the youth unemployment crisis is in Korea and how much interest our youth is experiencing toward overseas employment. Since I directly operated the K-MOVE School in 2015 at the Department of Japanese Language and Culture at J University, I have been running an overseas job training program every year. This study achiev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focusing on the know-how, trial and error, and efficient foreig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accumulated through my operating overseas employment education programs for approximately six ye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