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비교과 학습공동체(Learning Community) 프로그램 모델 개발 및 운영 사례 분석

        윤정현 ( Yun Jeong Hyun ),박윤정 ( Park Youn Jung ),김태희 ( Lee Young Hee ),이영희 ( Kim Tea 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미래 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학습자 중심의 비교과 학습공동체(Learning Community, 이하 LC) 운영 모델을 개발하고, 수도권 소재 종합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을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ADDIE 모형 기반 학생들의 특성 및 맥락을 고려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4개 유형의 비교과 학습공동체(LC) 모델을 개발하였다. 학습공동체(LC) 활동은 학생들의 자율적 선택으로 총 452명의 참여로 1학기 동안 운영되었으며, 활동 후 학습공동체(LC) 참여 만족도 조사 및 활동 전후 학습동기 관련 설문을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비교과 학습공동체(LC) 프로그램 모델의 개발, 운영, 사례 분석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중심 비교과형 학습공동체(LC) 운영 모델은 학생들의 흥미, 학년, 상황 등을 고려하여 4가지 유형(자유형, 융합형, 1학년 특화형, 기숙사형)의 모델으로 개발하였다. 각각의 모델은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선택권을 부여함으로 써 학습공동체(LC) 참여의 자발성, 학생주도성, 자율성 등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함이었으며, 자발적 선택 결과 학생들은 자유형 유형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교과 학습공동체(LC) 프로그램 모델의 운영은 다양한 주제를 기반으로 전반적으로 비교적 효율적으로 진행되었으나, 물리적인 측면(공간, 운영시스템, 지원비 활용 제한 등)에서 한계를 나타내면서, 운영 개선을 요구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제시한 운영의 장점, 단점, 개선 사항 등은 모델 유형에 크게 상관없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셋째, 비교과 학습공동체(LC) 운영 성과 측면에서 학생들은 비교과 학습공동체(LC) 활동에 비교적 만족하였으며(M=4.23), 특히 남학생들의 만족도가 여학생들의 만족도보다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았으며(p< .05), 학습동기와 관련하여 개인적 흥미(p< .001)와 학습 효능감(p< .01)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s an innovative plan for future education in universitie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operational model for student-centered extracurricular learning community (LC) and to draw educational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pilot test in a university in metropolitan area. Based on the ADDIE model, four types of LC were developed to maximize learning effects according to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their learning context. A total of 452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LC program at their own discretion during one semester, and this study analyzed the survey questionnaire about their satisfaction of program participation and learning motivation before and after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development, operation and case analysis of the program model are as follows: First, the operational model for extracurricular LC was developed into four different types (free, fusion, freshman, and dormitory)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s, grade, context, etc. Each type was intended to maximize the value of spontaneity, student initiative, autonomy, etc by inducing students' interests and giving them choices. This study showed that students prefer the free type among four options. Second, the pilot test was relatively efficient in general, but it showed limitations in terms of physical aspects (study space, system, allowance, etc.) and demanded improvement of the operation. In addition, students’ opinions on advantages, disadvantages, and improvements were similar regardless of the model type. Lastly, in terms of outcome, students were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 program, and especially male students were more significantly satisfied than female students. As well,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personal interest and learning efficacy.

      • KCI등재

        백제 한성기 절구 연구

        윤정현 ( Yun Jung-hyun ) 백제학회 2017 백제학보 Vol.0 No.20

        본고에서는 백제 한성기에 확인된 절구의 재질과 형태를 살펴보고 공반유물을 통해 편년하였다. 편년자료를 토대로 시기에 따른 소형절구의 변화양상에 대하여 짚어보았으며 절구가 백제사회에 등장하기 전·후의 사회적 역할과 의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백제의 소형절구는 51점 정도가 잔존하며 절구 사용 이전부터 사용되던 갈판과 고석은 이후에도 공존한다. 절구 형태는 굽의 유·무와 대각의 평면형태, 배신에서 구순까지의 단면형태에 따라 12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그 중 대표적인 두 개 유형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며 대부분 도성에 집중된다. 백제 한성기 전·후 시기의 절구는 1~4기로 구분하여 그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1기는 4세기 전반이며 원삼국 단계의 재지 명맥을 늦게까지 유지하던 지역에서 토제 소형절구가 제작된다. 2기인 4세기 후반에는 회전력을 활용한 토제품과 굽이 없는 석제품이 공존한다. 이때 석제품은 도성에서만 확인된다. 3기에 해당하는 5세기 전반에는 도성을 중심으로 정형화된 절구가 출현한다. 4기는 5세기 중·후반이며 이 시기에는 한성 백제의 영역 내 주요 거점에서 토·석제 절구가 꾸준하게 제작된다. 중국에는 백제 한성기에 등장하는 것과 동일한 형태의 절구가 존재했으며 당시 백제는 중국의 남조와 지속적으로 상류층의 문화요소를 교류하고 있었다. 그동안 茶文化의 측면에서 설명되어 왔던 절구의 쓰임에 대해서는 보다 다양한 측면으로 확장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곡물도정에서 출발하여 藥, 香, 茶를 만들면서 상류사회에 전유물로 특수하게 사용되었다면 이후 시기에는 그 사용범위가 더욱 확대되어 공방의 공방구 등으로 전문화되면서 사회 전반에 걸쳐 보편화되는 양상이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mortal material & form which were identified as the things made during the Baekje Hanseong period, and chronicled their history through association relics. On the basis of chronically recorded materials, this study looked at the aspect of transition of a small mortar consequent on a period, and also looked into the social role and meaning of a mortar before/after it appeared in Baekje society. 51 pieces of small mortars of the Baekje Kingdom still remain, and the grinding boards and pestles, which had been used before the period of mortar use, coexisted even after the period of mortar use. This study was able to classify the form of a mortar into 12 sorts of types according to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its heel, diagonal plane form, and the section form from the back body to the mouth. The two representative sorts of types among the types were converged on a capital city with the highest frequency. It`s possible to look into the characteristic of the mortars appearing before/after the Baekje Hanseong period by classifying them into Stage 1~4. Stage 1 belongs to the early 4thcentury when an earthen small mortar was produced at the area which had keptthemortar-making talent of the stage of the Proto-Three Kingdom salive until the late period. During the late 4th century marking Stage2, earthen mortar sand heelless stone mortars, which were made by using the rotatory force, coexisted. The then stone mortar sareidentified only in a capitalcity.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5thcentury belonging to Stage3, standardized mortars appeared with the capital city as the center. Inthemid-5thcentury belonging to Stage4, earthen/stone mortars were steadily produced even in a major base within the territory of the Hanseong Baekje Kingdom. In China, there existed a mortar of the same form as the one appearing during the Baekje Hanseong period, and at that time, Baekje was continuously exchanging cultural elements of the upper class with the Southern Dynasties in China. As regard the use of a mortar, which has been explained from the aspect of tea culture all this while, there is the need to understand by extending it into diverse aspects. Initially, the mortar started from polishing grain by pounding, and then came to be used as exclusive property for high society as medicine, fragrance and tea were made. Afterwards, the use scope of a mortar was extended all the more, becoming common throughout the society in general with a mortar specialized as a workshop article at a worksho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