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LNG 과학의 오늘 : 액화천연Gas

        안재영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E.C.C. 1972 단핵 Vol.4 No.-

        초계절적인 Gas 1821년 뉴욕주의 「프리도니아」에서 천연 Gas가 발견되기는 하였지만 Gas를 산출하는 서북지방에서 동북부의 개스 결핍, 지역으로 공급하기 시작한것은 그 후 100년 이상이나 지난 후였다. 그후 접합점이 강철 파이프와 경제적인 용접기술이 발달하게 되었고 천연 Gas는 국가의 경제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해왔다. 1930년 미국에너지 소비의 10%를 넘지못했던 천연 Gas 소비자에 까지 일정하게 대량으로 수송해주는 파이프선에 의한 독특한 경제적인 운송 방법으로 많은 이용도를 나타내고 있다. 공간을 덥게 하는데 필요한 열량을 계절에 따라 심한 차이를 보이는데 계절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능력을 가진 Gas가 발견되어야 할 것이다. 이렇게 독특한 파이프에 의한 수송법은 Gas의 산지로 부터 시장까지 운송하는데 또 다른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1914년에 벌서 「캐볼트」는 액화천연가스의 액화 저장화물선 수송에 관한 미국의 특허를 신청하였고 1920년에서 1940년 사이에 이 기술에 대한 다른 여러가지의 특허가 신청되었다.

      • KCI등재

        산업화에 따른 직업계고등학교의 변천 과정 탐색

        안재영 대한공업교육학회 202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8 No.2

        이 연구에서는 산업화에 따른 직업계고의 변천 과정을 법령상의 직업계고 명칭과 개념, 직업계고 정책과 교육과정 측면에서 리뷰하고 앞으로의 직업계고 방향 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직업계고의 명칭은 실업계고, 전문계고, 특성화고로 변천하였고 2008년에 특수목적고등학교에 마이스터고가 신설되었다. 실업계고와 전문계고는 ‘교과’에 대한 전문교육을 강조하여 교과교육적 성격이 강했던 반면, 특성화고는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직업교육적 성격이 강한 것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최근의 변화는 산업체의 수요에 부합함을 강조하는 마이스터고의 교육 목적과도 일맥상통한다. 둘째, 산업화에 따른 직업계고의 정책은 산업 부흥 시기(∼1970년대)에는 ‘직업교육 강조, 기능인력 양성 위주’, 산업의 다양화 및 고도화 시기(1980년대∼외환위기이전)에는 ‘직업교육 전환 초기’, 외환위기 시대(외환위기 직후∼2000년대 초)에는 ‘직업교육 전환(기본교육으로 전환)’으로 변화하였다. 198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산업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는 직업교육에 대한 전환의 요구가 높아지면서 2000년대 이후부터 직업계고에 산업 현장 및 직무 기반의 정책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최근 산업의 고도화와 고졸 취업의 한계, 직업교육 참여자의 진로 변화 등으로 인해 직업계고 교육의 방향 재설정이 요구된다. 향후 직업계고 교육은 과도한 직무 기반 교육보다 학생의 장기적 성장을 위한 기초직업진로교육의 성격으로 운영하여 획일화된 고교 교육에 다양성을 부여하면서 취업과 진학 등의 다양한 진로 경로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양질의 고졸 일자리인 경우에는 취업과 선취업 후학습으로, 고도화된 산업 기술의 일자리인 경우에는 중등직업교육을 고등교육과 연계한 직업교육의 고도화를 통하여 충분히 학습하고 노동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난소종양 환자의 수술전 혈중 CA-125치의 분석평가

        안재영,김성도,한종설,송혜섭,박정원,왕성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7

        1990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서울 고려병원 산부인과에서 난소종양으로 개복수술을 시 행하고 수술전 혈청 CA-125치를 측정한 251예의 CA-125치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술전 평균 혈청 CA-125치는 양성 난소종양, 경계성 난소종양 및 악성 난소종양에서 각각 36.6+-43.5(Mean+-SD) U/ml, 77.1+-41.2(Mean+-SD)u/ml and 567.7+-700.4(Mean+-SD)U/ml 로 나왔다. 2. 수술전 혈청 CA-125치는 양성 난소종양(36.6+-43.5(Mean+-SD) U/ml)에서보다 악성난소종 양 (567.7+-700.4(Mean+-SD)에서 경계성 난소종양 (77.1+-41.2(Mean+-SD)u/ml )에서 보다 악 성 난소종양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양성 난소종양과 경계성 난소암과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가 없었다(p$lt;0.05, mean+-SD). 3. 양성 난소종양에서 폐경전 연령군의 평균 CA-125치는 36.6U/ml이고 폐경후 연령군은 34.3U/ml로 두 연령군 사이의 CA-125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lt;0.05). 4. 양성 난소 종양군의 위양성율의 비교에서 기준치를 35U/ml와 65U/ml로 했을 경우 위양성율은 각각 31.2%와 10.5%로 기준치를 65U/ml로 한 경우가 35U/ml보다 위양성율이 유의하게 낮았다(p$lt;0.001). 5. 악성 난소종양의 임상기에 따른 CA-125 항원의 평균 농도는 1기 42.2+-23.9U/ml, 2기 67.3+-36.5U/ml, 3기 345.0+-231.5U/ml, 4기 21365.4+-1255.3U/ml로 병기가 증가할수록 CA-125 항원치는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lt;0.05, mean+-SD). 6. 251예의 난소종양 환자의 평균 CA-125치는 기준치를 35U/ml로 했을때 만감도 75.8% 특이도 68.8%, 양성 예측치 35.5%, 음성 에측지 94.9%, 그리고 진단적 유효도는 69.7%이었고, 기준치 65U/ml로 했을 경우는 각각 57.6%, 89.5%, 78.6%, 93.3% 그리고 85.3%였다. 7. 양성 난소종양 중 자궁내막증에서 평균 CA-125치는 58.9+-33.5(mean+-SD)U/ml이고 하한치를 35U/ml와 65U/ml로 했을 경우 각각 55.5%, 23.2%로 가장 높은 위양성율을 나타내었다. 8. 임상병기에 따른 CA-125치의 양성율은 기준치를 35U/ml와 65U/ml로 했을 때 경계성 난소암의 경우 1기 57.1%. 42.8%, 2기 100%, 0%, 3기 100%, 100%, 4기 100%, 1000%이고 악성 난소종양에서 1기 50%, 25%, 2기 80%, 40%, 3기 100%, 100%, 4기는 100%, 100%이었다. 1기의 경우, 경계성 난소암의 경우 57.1%, 42.8%의 양성율과 악성난소종양의 경우 50%, 25%의 양성율을 보이므로 혈청 CA-125 단독 검사만으로 난소암의 조기진단은 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We evaluated serum CA-125 levels with 251 patients in ovarian tumor. The serum CA-125 levels were measured by immunoradiometric assay before lapartotomy in 218(86.8%) cases of benign ovarian tumor, 10 (4.0%) cases of low malignant ovarian tumor and 23(9.2%) cases of malignant ovarian tumor. The mean concentration of preoperative serum CA-125 antigen in benign, boderline and malignant ovarian tumor were 36.6+-43.5(Mean+-SD) U/ml, 77.1+-41.2(Mean+-SD)u/ml and 567.7+-700.4(Mean+-SD)U/ml, resp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lavated serum CA-125 levels help differential diagnosis of ovarian malignancy from benign and borderline ovarian tumor, but less relateive differential diagnosis of boderline malignant tumor from benign ovarian tumor(p$lt;0.05). Among 218 patients with benign ovarian tumor, CA-125 levels above 35U.ml, and 65U/ml were detected in 68(31.2%) and 23(10.5%) cases of the patients respectively. Seven of 10(70%) cases of boderline ovarian tumor were associated with CA-125 levels above 35 U/ml and 5 of 10(50%) cases had levels that exceeded 65U/ml. Eighteen of 23(78.3%) cases of malignant ovarian tumors were associated with CA-125 levels above 35U/ml and 14 of 23(60.9%) cases had levels that exceeded 65U/ml. In 251 patients with benign, boderline and malignant ovarian tumors, the positive rates of preperative serum CA-125 levels were 75.8% sensitively, 68.8% specificity, 35.5% positive predictive values, 94.4% negative predictive value, and 69.7% diagnostic efficiency for a 35Uml cut-off and 57.6%, 89.5%, 78.6%, 93.3% and 85.3% resectively for a 65U/ml cut-off. This serum CA-125 levels seem to provide less information for early diagnosis of both boderline malignant and malignant ovarian tumors due to highly false negativity of early stage in boderline malignant and malignant ovarian tumor. The mean concentration of preoperative serum CA-125 antigen of stage I, II, III, IV in malignant ovarian tumor were 42.2+-23.9(Mean +-SD)U/ml, 67.3+-36.5(Mean+-SD)U/ML, 345.0+-231.5(Mean+-SD)U/ml and 2136.4+-1255.3(mean+-SD), respectively. Preoperative CA-125 level have good correlation with clinical stage of ovarian maligancy. Accurate diagnosis of the malignant ovarian tumors may be difficult becase endometriosis(58.9+-33.5U/ml) and other benign ovarina tumors showed high concentration and false positive rate.

      • KCI등재

        분만 2 기의 태아심음 점수제와 제대 동맥혈 pH와의 관계

        안재영,신수재,김종민,양성우,윤형근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10

        서울 고려병원 산부인과에서는 1987년 4월부터 1988년 4월까지 입원분만한 환자중 분만 2기에 직접 태아감시장치를 시행한 71명을 대상으로하여 점수제와 1분치 Apgar점수 및 제대동맥혈 pH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총 71명의 분만 2기에서의 평균점수는 7.6이었으며, 평균 pH는 7.271, 평균 1분치 Apgar점수는 7.4이었다. 2. 점수제와 pH, 1분치 Apgar점수 사이에는 직선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3. 점수가 6점이상인 군에서 pH 7.2이하가 3명(5.7%)에 비해, 점수가 5점이하인 군에서는 8명(44.4$)으로 높게 나타났다. 4. 초산부와 경산부의 비교에서는 경산부가 점수 0∼4인 경우가 1명(11.1%)인 반면, 초산부는 10명(16.4%)로 많이 나타났으며, 평균점수도 경산부가 7.6인데 비해 초산부는 6.8로 낮게 나타났다. 5. 점수 5점과 pH 7.2를 기준으로한 sensitivity는 72.7%였으며, specificity는 83.3%이었다. We performed the study on 71 patients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various fetal heart rate patterns encountered during second stage of labor an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y correlation between fetal heart rate scoring system, umbilical artery PH and Apgar score at one minut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at second stage of labor was 7.6 and the mean umbilical artery PH was 7.271 and mean 1 minute Apgar score was 7.4. 2. There was a definite relationship showing linear appearence between fetal heart rate scoring system, umbilical artery PH and 1 minute Apgar score. 3. In the group of patients whose fetal heart rate scoring was above 6.0, only 5.7% of patients belonged to below 7.2 of umbilical artery PH, whereas in the group of scoring systems below 5, 44.4% of patients belonged to PH below 7.2. 4. The mean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ultipara than those of primipara. 5. The sensitivity was 72.9% and specificity was 83.3%

      • KCI등재

        직업계고 현장실습의 학습으로의 전환과 개선 방안에 대한 논의

        안재영 한국직업교육학회 2022 職業 敎育 硏究 Vol.41 No.2

        This study to discuss the learning of on-the-job training i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suggest improvement measure.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It was concluded that on-the-job training is learning, and the appropriate status to protect the safety and rights of on-the-job trainees is the students. And on-the-job training has a low employment-linked effect,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on-the-job training without worrying about a decrease in the employment rate.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e measures to improve on-the-job training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on-the-job training operation, the learning content of on-the-job training is ‘work experience’, and the transition period from on-the-job training to hiring is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And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on-the-job training period, participate in school education during on-the-job training, and strengthen requirements for companies. Second, in terms of laws and governance related to on-the-job training, it is necessary to enact special provisions for on-the-job trainees in the Labor Relations Act, and establish governance in which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participate in on-the-job training. Third, in terms of redefining the concept of field practice and creating an environment, the concept of on-the-job training should be redefine as a curriculum, career education, and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education system.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ment of regional on-the-job training system, introduce joint and entrust operation for on-the-job training by large companies and industry associations, strengthen polic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employment for high school graduates. 이 연구에서는 취업, 근로로 인식되고 운영되는 직업계고 현장실습을 학습으로 전환하기 위한 논의를 전개하고 현장실습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 번째 논의 주제는 현장실습의 개념과 현장실습생의 신분인데, 현장실습은 학습이며 현장실습생의 안전과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적절한 신분은 학생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 논의 주제는 현장실습과 취업률의 관계인데, 현장실습의 취업 연계 효과가 크지 않으므로 취업률 하락을 우려하지 말고 현장실습의 확실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현장실습을 학습으로 전환하기 위한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실습 운영 측면에서는 현장실습의 학습 내용은 ‘일 경험’으로 설정, 현장실습에서 채용으로 전환하는 시기를 ‘졸업 이후’로 설정, 현장실습 기간 단축, 현장실습 기간 중에 기업교육뿐만 아니라 학교교육에도 참여, 참여기업 요건 강화를 제시하였다. 둘째, 현장실습 관련 법령 및 거버넌스 측면에서는 근로관계법에 현장실습생 특례 조항 마련,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참여 거버넌스 구축이 요구된다. 셋째, 현장실습 개념 재정립 및 환경 조성 측면에서는 현장실습을 교육과정, 진로교육, 산학협력 교육제도로의 개념 재정립, 지역 단위 현장실습 운영 체제 구축, 우수 기업 및 산업별 협・단체의 현장실습 공동・위탁 운영 방식 도입, 고졸 취업의 질 제고 정책 강화 등이 요구된다.

      • KCI등재

        임신중 자궁근종에 관한 임상적 고찰

        안재영,김성도,한종설,송혜섭,최병익,이교원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8

        1990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만 5년간 서울고려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한 환자중 임신과 동반되 자궁근종 환자 80례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중심으로 조사해서 자궁근종이 임신전 또는 산전에 진단된 43례와 분만시 우연히 발견된 37례의 두군으로 나누어 임상적 및 병리 학적 특징을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신과 동반된 자궁근종 환자중 평균연령은 30-39세군이 진단된 군에서 26례(60.5%) 분만 시 발견된 군에서 22례(55.5%)로 가장 많았고 평균연령은 진단된 군에서 30.8세 분만시 발견 된 군에서 31.4세로 차이는 없었다. 2. 출산력은 초산부가 진단된 군과 분만시 발견된 군에서 각각 33례(76.7%), 23례(62.2%)이었 고 경산부에서는 각각 10례(23.3%) 14례(37.8%)로 초산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자연유산 기 왕력은 각각 14례(32.6%), 16례(43.2%)로 분만시 발견된 군에서 높았다. 3. 자궁근종은 임상적 진찰이나 초음파 검사에 의해 주로 임신전과 초기임신에서 각각 7례 (16.3%), 25례(58.2%)로 진단되었고 산전에 발견되지 않은 자궁근종들은 대개 분만중에 우연 히 발견되었다. 4. 자궁근종은 장막하근종이 진단된 군에서 27례(62.8%) 분만시 발견된 군에서 28례(75.7%) 로 가장 많았으며 자궁근종이 많이 생기는 부위는 자궁체부의 전면과 저부로 진단된 군에서 각각 27례(62.8%) 6례(14.0%) 분만시 발견된 군에서 각각 22례(59.5%) 7례(18.9%)로 나타났다. 5. 진단된 군에서 임상적 진찰이나 초음파 검사에 의해 직경 3cm이상의 자궁근종은 37례 (86%) 직경 3cm미만의 자궁근종은 20례(54.1%) 직경 3cm이상은 17례(45.9%)에서 분만시 우 연히 발견되었다. 6. 한 환자에서 2개이상의 자궁근종 환자는 진단된 군에서 19례(44.2%)이였고, 분만시 발견 된 군에서는 8례(21.6%)로 진단된 군에서 많았다. 7. 임신과 동반된 자궁근종 환자에서 임신의 결과는 만삭아분만이 진단된 군에서 35례(81.4%) 분만시 발견된 군에서 32례(86.5%)로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으며 자연유산은 진단된 군에서만 5례(11.6%)가 나타났다. 분만방법과 자궁근종의 크기와의 관계는 제왕절개분만이 질식분만이 3cm미만, 3cm이상 5cm미만 및 5cm이상에 대해 각각 26례(32.4%) 27례(33.8%)에서 이루어져 서로 차이점은 없었다. 8. 산전 합병증은 조기진통이 진단된 군과 분만시 발견되 군에서 각각 8례(18.6%), 8례 (21.6%)이었고 태아위치이상은 각각 3례(7.0%)3례(8.1%)로 많았으며 조기유산은 진단된 군에 서만 5례(11.6%)로 높게 나타났다. 9. 수술의 적응증은 반복제왕절개분만이 진단된 군과 분만시 발견된 군에서 각각 9례(29.0%) 10례(28.6%), 아두골반불균형이 각각 10례(32.2%) 8례(22.9%)로 많았다. 10. 제거된 자궁조직의 병리조직검사에서 2차적 변화는 두 군에서 변성이 가장 많았고 육종 성변화는 두군 모두 없었다. This study was done of 80 patients with uterine myomas in pregnancy admitted to Koryo General Hospital between Jan. 1990 and Dec .1994. 43 pregnant women whose myomas were detected prior to pregnancy or during the antenatal care (detected group) and 37 pregnant women whose myomas were detected after delivery(undetected group)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sessment of clinical manifestations such as time and mode of delivery, size of myoma, outcome of pregnancy nad antenatal complications were analyzed between the patients of these two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ean age of the patients in detected gruop and undetected group was 30.8 years, 31.4 years respectively. 2.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primiparity between detected group(76.7%)and undetected group(62.2%). 3. Uterine myoma was detected by clinical examination and ultrasonogram prior to pregnancy or early pregnancy mostly in detected group(74.5%) and incidentally at delivery in patients of undetected group(94.6%). 4. The most common type of uterine myoma was subserosal myoma in the two groups(detected group : 62.8%, undetected group:75.7%). The common location of uterine myoma ws the anterior portion and fundus(detected group:62.8% and 14.0% respectively, undetected group; 59.5% and 18.9% respectively) and the propor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5. Diameter 3cm or more sized uterine myoma were detected by clinical examination and ultrasonogram at the rate of 86.0% and small myoma less than 3cm in diameter were detected incidentally at the rate of 54.1%. Multiple myomas were different in the proportion between detected group and undetected group (44.2% vs 21.6%) 6. The proportion of term infant was 81.4% in detected group and 86.5% in undetected group. The size of the myoma did not appear to affect to the method of delivery. 7. Antenatal complications as premature labor and malpresentation was high in two groups significantly (detectd group: 18.6% and 7.0% respectively, undetected group ;21.6% and 8.1% respectively), The indications ofr cesasrean section were cephalopelvic disproportion and repeat cesarean section mainly in two groups(detected group : 32.2% and 29.0% respectively, undetected group :22.9% and 28.6%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other. the proportion of elderly promigravida was high in detected group(9.3%) than in undetected group(5.7%) and malpresentation was high in undetected group(8.6%) than in detected group (6.5%). 8. Secondary pathologic change in the myomectomy specimen were degeneration mostly in two groups(detected group :40.0% undetected group :50.0%) and there was no sacromatous change in two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