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체중 잔차를 이용한 12세 아동의 정상 폐기능 예측식

        강종원,성주헌,조수헌,주영수,Kang, Jong-Won,Sung, Joo-Hon,Cho, Soo-Hun,Ju, Yeong-Su 대한예방의학회 1999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32 No.1

        Objectives. Changes in lung function are frequently used as biological markers to assess the health effects of criteria air pollutants. We tried to formulate the prediction models of pulmonary functions based on height, weight, age and gender, especially for children aged 12 years who are commonly selected for the study of health effects of the air pollution. Methods. The target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were forced vital capacity(FVC)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FEV1). Two hundreds and fifity-eight male and 301 female 12-year old children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fter excluding unsatisfactory tests to the criteria recommended by American Thoracic Sosiety and excluding more or less than 20% predicted value by previous prediction equations. The weight prediction equation using height as a independent variable was calculated, and then the difference of observed weight and predicted weight (i.e. residual) was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of pulmonary function prediction equations with height. Results. The prediction equations of FVC and FEV1 for male are FVC(ml) = $50.84{\times}height(cm)+7.06{\times}weight$ residual 4838.86, FEV1(ml) = $43.57{\times}height(cm)+3.16{\times}weight$ residual - 4156.66, respectively. The prediction equations of FVC and FEV1 for female are FVC(ml) = $42.57{\times}height(cm)+12.50{\times}weight$ residual - 3862.39, FEV1(ml) = $36.29{\times}height(cm)+7.74{\times}weight$ residual - 3200.94, respectively. 환경오염과 관련된 건강효과 연구에서 흡연, 직업 등 교란변수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배제할 수 있으면서 폐기능검사가 제대로 시행될 수 있는 연구대상으로 선호되고 있는 특정 연령층인 12세 학동의 보다 정확한 FVC와 FEV1 예측식을 만 들고자 전국 11개 중학교의 학생들(남자 256명, 여자 301명)을 대상으로 측정된 신장, 체중, 그리고 폐기능검사 값으로 신장-체중의 회귀식을 유도하였고, 이를 통해 12세 인구의 신장별 표준체중을 산출하였다. 이 표준체중과 실측체중의 차이인 잔차를 독립변수로 하여 폐기능 예측 식을 남녀별로 만들었는데, 남자의 경우는, FVC(ml) = 50.84 $\times$ 신장(cm) + 7.06 $\times$ 체중 잔차 - 4838.86, FEV1(m1) = 43.57 $\times$ 신장(cm) + 3.16 $\times$ 체증 잔차 4156.66 이었다. 여자에서는 FVC(ml) = 42.57 $\times$ 신장(cm) + 12.50 $\times$ 체중 잔차 - 3862.39, 그리고 FEV1(ml) = 36.29 $\times$ 신장(cm) + 7.74 $\times$ 체중 잔차 - 3200.94 이었다. 이렇게 얻어진 예측값들의 설명력(R2)은 남자에서 FVC, FEV1가 각각 0.708, 0.670이었고, 여자에서는 FVC, FEV1가 각각 0.580, 0.513이었다.

      • SCOPUSKCI등재

        일반 인구집단에 대한 대기중 총먼지의 생물학적 노출지표로서 요중 1-hydroxypyrene 및 2-naphthol의 유용성

        강종원,김헌,강대희,이철호,조수헌,Kang, Jong-Won,Kim, Heon,Kang, Dae-Hee,Lee, Chul-Ho,Cho, Soo-Hun 대한예방의학회 2000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33 No.3

        Background :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 are well known environmental pollutants. The measurement of PAH in ambient air is not commonly used, because it is quite difficult to perform and is unreliable. Using biomarkers of PAH can be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is problem. The PAH in ambient air is absorbed in particulate matter. Total suspended particulate(TSP) or particulate matter of less than $10{\mu}m$ in diameter (PM10) can be easily measured. Therefore, TSP or PM10 can be used as a surrogate measurements of ambient air PAH. Objectives : We investigated whether the urinary concentration of two biomarkers of PAH, 1-hydroxypyrene (1-OHP) and 2-naphthol, could reflect the total suspended particulate in the general population. Methods : In order to exclude the effects of occupational exposure and smoking,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Four middle schools within a one kilometer boundary of ambient air monitoring stations were selected. Total suspended particulate was regarded as the marker of airborne PAH. Diet and smoking data were collected by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spot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Urinary 1-OHP and 2-naphthol were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sults : The correlation between urinary 1-OHP, 2-naphthol and passive smoking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rrelation between urinary 1-OHP and TSP indic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rrelations between urinary 2-naphthol and TSP of two lag days, one lag day, and zero lag day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wo lag days was the strongest (p=0.001), one lag day was the next (p=0.0275), and zero lag days was the weakest (p=0.0349). Conclusion : Our results imply that the urinary concentration of 2-naphthol can be applied as a PAH exposure marker for the general population with low PAH expos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百濟 熊津奠都와 貴族勢力의 動向

        姜鍾元(Kang Jong-won) 한국고대사학회 2008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2

        이 글에서는 개로왕대의 정치상황과 熊津 奠都의 배경, 그리고 웅진초기 귀족세력의 동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개로왕은 전제왕권을 추진하면서 이를 대외적으로 과시하기 위해 인력과 물자를 동원하여 성을 쌓고 누각을 장려하게 조영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고구려의 계략이 크게 작용하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그렇지만 개로왕의 무리한 대규모 토목공사는 국가의 人的ㆍ物的 자원의 고갈을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한강이북지역 재지세력의 분열과 이탈을 초래하였다. 그 결과 북방지역 방비체계의 해체를 가져와 고구려의 남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지 못하고, 결국 한성의 함락과 천도라는 국가적 위기를 맞게 되었다. 문주왕은 즉위 후 바로 웅진으로 천도를 하였는데, 웅진에 定都하게 된 배경은 고구려의 공격으로부터 벗어남과 동시에 大姓貴族들의 정치적 간섭을 최소화하고, 나아가 倭로부터 원군과 함께 귀국하는 昆支의 지원을 고려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웅진지역에 기반을 두고 있었던 백씨세력과의 정치적 관계도 중요하게 작용하였지만, 한편으로는 그들의 정치적 간섭을 고려하여 금강 남안으로 도읍을 정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문주왕은 전통적인 漢城貴族이면서 재지기반의 상실로 인해 군사적 기반은 미약한 해씨세력인 解仇를 병관좌평에 임명하여 병권을 맡김으로써 금강유역에 기반을 두고 있었던 귀족세력들의 군사력을 제어함과 동시에 그들의 정치적 간섭을 약화시킴으로써 왕권의 안정을 도모하였다. 동시에 문주왕은 왜에서 귀국한 곤지 등 왕족을 중용하여 귀족세력을 견제하면서 왕권강화를 추구하였다. 그러나 문주왕의 이중적인 왕권강화정책은 해구를 중심으로 한 귀족세력의 반발을 불러왔으며, 결국 해구에 의해 죽임을 당하면서 실패하였다. This paper reviews political situation of King Gero period, background of the Capital City Transfer to Wungjin and the tendency of the aristocratic class in the early Wungjin era. King Gero pursed absolute royal power and to show it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built a castle and fortress by mobilizing human power and resources. It is considered that this resulted from Goguryeo Dynasty's plot. Thus, King Gero's unreasonable large scaled public works exhausted the national resources both of human and material and results in disunion and separation of power in the northern part of Han River. As a result, weakening of defence system in the northern area did not control Goguryeo's coming down south effectively. After all, the capital city, Hanseong was about to be falled and Baekje Dynasty had to transfer its capital city to Wungjin. Soon after King Munju came to the throne, he moved the capital city to Wungjin because he wanted to escape from Goguryeo's threat as well as minimize the aristocratic class's political intervention. Furthermore, he considered supporting Gonji who returned from Japan. Another reason is that he considered important the political relationship with the Baek Family whose power is based on Wungjin area. However, considering their political intervention, the new capital city was established in the southern part of Gum River. King Munju was traditionally from Hanseong aristocratic class. Because of the loss of supporting power, he appointed Hegu who is a member of the He family power as naval commender to increase his military power. King Munju wanted to increase royal power by controling the military power of aristocratic powers that were based on Gum River and weakening their political intervention. At the same time, King Munju appointed royal family members such as Gonji in the important post to intensify his power. However, King Munju's double royal power intensification policy faced opposition of the aristocratic power that was led by Hegu. After all, King Munju was assassinated by Hegu and his policy failed.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백제 무왕대의 정국변화와 미륵사 조영

        강종원 ( Jong Won Kang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6 백제문화 Vol.0 No.54

        『三國遺事』무왕조와 <舍利奉安記>의 내용은 무왕대 미륵사가 조영된 사실을 말해 준다. 그런데 이들 두 자료는 미륵사 창건 주체와 시기 등에 있어서 상이한 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 자료를 합리적으로 해석하기 위해서는 당시의 역사적 상황에 대한 충분한 검토와 이해가 필요하다. 그 동안 미륵사의 조영 문제를 밝히는데 있어 『三國遺事』 무왕조가 논거의 핵심이었는데, 미륵사지 서탑에서 <舍利奉安記>가 출토됨으로써 미륵사의 조영주체로 沙託왕후의 존재, 조영시기도 무왕 40년이라는 새로운 사실이 확인되었다. 그렇지만 『三國遺事』 무왕조가 일정부분 역사적 실상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익산지역은 무왕의 성장지이자 정치적 기반이었다. 그로 인해 무왕은 익산경영을 통해 왕권을 안정화시켰으며, 그 과정에서 미륵사가 창건된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런데 무왕은 즉위후 많은 정치적 현안으로 인해 바로 익산에 대규모 사찰을 조영할 여유가 없었다. 또한 미륵사의 창건을 발원한 것도 선화왕비였다. 따라서 미륵사의 초창을 주도한 세력은 무왕과의 혼인을 통해 정치적 관계를 맺고 그의 즉위를 도왔던 선화왕비로 상징되는 익산지역 재지세력이었으며, 그 지역 불교세력의 적극적인 협력이 있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창건 시기는 고고학적인 자료와 『三國遺事』 무왕조의 내용 등으로 볼 때 무왕이 왕위에 오른 직후부터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미륵사지 서탑에서 <舍利奉安記>가 출토됨으로써 조영 주체로 선화왕비 이외에 사씨왕후가 확인되었으며, 서탑의 조영시기도 무왕 40년을 전후한 시기로 드러났다. 그로 인해 미륵사 창건 주체 및 시기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었다. 미륵사의 창건 주체를 사씨왕후를 중심으로 한 사씨세력으로 보고, 익산지역을 사씨의 세력기반이었을 것으로 추정하는 견해가 그것이다. 그렇지만 무왕 31년 사비환궁이 이루어진 이후에 사씨왕후에 의해 미륵사가 조영되었다는 사실은 사씨의 정치적 기반이 사비지역이었다는 점으로 볼 때 이해하기 곤란하다. 특히 미륵사의 창건이 무왕 초기부터 시작되었다는 점은 인장와 등 고고학 자료를 통해 확인되었다. 따라서 무왕 후반기에 재등장한 사씨왕후나 그 세력에 의해 전적으로 미륵사가 창건되었다고 보는 것은 문제가 있다. 무왕 후반기 미륵사의 중창은 당시의 정치상황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무왕 28년 사씨세력 의 재등장 년 사비로의 환궁 년 의자의 태자 책봉 등의 정치적 변동과정에서 세력의 재편이 이 , 31 , 33 루어졌는데 이 과정에서 익산지역 재지세력의 약화를 초래하였다 그와 함께 익산세력 출신 왕비의 발원으로 창건되고 익산 재지세력의 정신적 구심점이었던 미륵사는 사씨세력과 새로운 왕후에 의해 중창됨으로써 그 상징적 성격이 변질되었다 비록 그 중심에 무왕이 존재하고 있었지만 그는 주도적인 역할에서 한 발 비껴나 있었다 사씨세력이 미륵사의 중영에 관심을 가진 배경에는 익산세력의 해체와 함께 의자왕대 나아가 의자왕 사후 사씨세력의 권력 독점이라는 정치적 목적이 내재되어 있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The written content of Samkykyusa , the King Mu dynasty and <Saribongangi> shows that Mireuksa was constructed during the King Mu dynasty. Both of the references, however, show discrepancies concerning who the founder of Mireuksa was and the timing of the construction. In order to rationally interpret the record, enough review and understanding about context in the historical situation is required. Until now, Samkykyusa King Mu has been at the core of the argument in exposing the Mireuksa construction problem. However, as <Saribongangi> had been excavated from the west stone pagoda at the site of Mireuksa <Saribongangi>, the new factors that the founder of Mireuksa Queen SaTak existed and the construction time of Mireuksa was in 40th year of King Mu has been confirmed. However, it is clear that Samkykyusa King Mu dynasty reflects part of the historical fact. The Iksan region was King Mu`s foundation of growth and political infrastructure. Thus, we could confirm that King Mu had stabilized the kingdom through managing Iksan and Mireuksa had been constructed in the process. However, after King Mu`s enthronement, he could not afford to construct a large-scale temple because of many political issues. Also, the person who announced the establishment of Mireuksa was Queen SunHwa. Therefore, the group which led the beginning of Mireuksa made a political relationship through marriage with King Mu and the power group was a restraining group who represented Queen SunHwa in Iksan and helped King Mu`s enthronement. Moreover, there was active cooperation with Buddhists. Considering the archaeological data and the content of Samkykyusa King Mu dynasty, the time of foundation was presumed to be started since right after King Mu had been enthroned as king. Being excavated <Saribongangi> from west stone pagoda, Queen SunHwa and Empress Sa were identified as the main founders of the construction and the west stone pagoda construction time was verified that constructed took place before and after the 40th year of the King Mu period. Because of that, the issues, the founder and construction time of Mireuksa, have been controversial. Presuming Han`s family with Empress Sa as the center of Mireuksa foundation, we could make the assumption that the Iksan region was the Sa family`s power base. However, Queen Sa`s region was seen as the Sa family`s political power base, it is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the fact that Mireuksa was constructed by Queen Sa after she returned to the palace in 31st year of the King Mu dynasty. In particular, the point that the foundation of Mireuksa had started from an early era of King Mu has been identified through archeological records and relics, roof-tiles, and InJangWa. Therefore, confirming that Mireuksa had been founded by Queen Sa or Queen Sa`s power group who lived in the late of King Mu`s era could be controversial. Rebuilding Mireuksa in the later period of the King Mu dynasty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political state of the time. There was reorganization of power forces in the political process of the re-emergence of Sa family power in 28th year, the returning Queen Sa in 33rd year, and the installation of the Crown Prince in the 33rd year of the King Mu Dynasty. In that process, the Iksan local forces had been weakened. Also, Mireuksa had been founded by Queen from Iksan and the symbolic character of Mireuksa, spiritual sanctuary of Iksan local power, had been tarnished by the rebuilding by the new Queen and Sa family power. Although there was King Mu at the center, he was deflected from a leading role. In the background factors of the Sa power paying attention to building Mireuksa, there was disassembling of Iksan power group and the political aims of monopolization of the Sa power after King Uija’s death.

      • KCI등재후보

        자율주행 자동차 보편화에 따른 도시 디자인 변화 연구 - 도로 형태 변화 중심으로

        강종원(Jong Won Kang),김선철(Sun Chul Kim)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2016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19 No.1

        A study of changes in urban design due to the widespread use of autonomous vehicles - this thesis centered on changes in the road , recently , autonomous vehicle is a hypothesis that road of urban design changes that changes by being commercializ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comparison of the past and the precedents of the current urban design of below , describes the relationship of age changes of urban form , also , it is a city designed with the assumption when the spread of the autonomous car is in full and urban design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road design that has been fixed Asia , using the research methods to consider the urban design selection of Europe North America , using the typical progression has been research methods of the future of urban design and , to derive the results in response to it , trying to present a direction to improve the road design policy.

      • 명품와(銘文瓦)를 통해 본 백령산성

        강종원(Kang, Jong won)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1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30 No.1

        이 글은 백령산성에서 출토된 명문와에 대한 재검토를 통해 명문와의 내용과 성격, 그리고 백령산성의 역사성을 파악하고자 작성되었다. 백령산성에서는 다양한 성격의 명문와가 출토되어 기와의 제작시기와 공급관계쁜만 아니라 산성의 축조 및 사용 시기, 축성 매경 등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학술적으로 매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 명문와의 형식과 내용을 통해 그 성격을 파악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丙’자명 인장와는 기와 제작과정에서 검증이나 인증의 표식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간지명 명문와를 통해서는 기와의 제작시기와 제작지를 파악할 수 있다. 간지 ‘丙辰’·‘丁巳’·‘戊午’는 사비기 정국상황을 고려해 볼 때 위덕왕 43년(596)·44년(597).45년(598)으로 비정할 수 있다. ‘栗岘’과 ‘耳淳辛’은 복수의 지역명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기와 생산에 참여했던 지역명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上阝’명 인각와는 감독자의 출신이나 검수를 위한 것으로 추정되며, ‘上水瓦作......’명 인각와는 나노성 이문이라는 사람이 자신이 제작한 기와의 수를 기록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율현과 이순신은 나노성의 예하 촌락으로 역역에 동원되어 기와를 제작하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들 명문와 이외에도 묵서 목판, 목곽고 등을 통해 백령산성 축조에 중앙에서 공인의 파견 등 일정한 지원과 관리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국가차원에서 체계적으로 국경지대에 대한 축성이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백령산성의 축조 배경은 554년 관산성전투에서 백제가 패하면서 신라의 영향력이 금산의 일부지역에 미치는 과정에서 신라의 침략을 감시하기 위한 목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금산은 백제시대 진잉을군과 황등야산군 소속의 진동현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나노성은 『삼국사기』 지리지에 그 명칭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행정단위의 성(현)이었는가 확인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나노성에서 기와를 제작하여 백령산성에 공급한 것으로 보아 일정한 행정단위였다고 볼 수 있으며, 율현과 이순신은 나노성 예하의 촌락이었을 것으로 파악된다.

      • KCI등재후보

        한국인 II급 1류 및 2류 부정교합자 두개안면형태의 차에 대한 측모두부방사선계측학적 연구

        강종원(Jong-Won Kang),이영준(Young-Jun Lee),박영국(Young-Guk Park) 대한치과교정학회 2002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2 No.3

        Numerous studies have revealed the similarities and discrepancies in two divisions of class II malocclusion, since these malocclusion groups have been postulated to be disparate criterion, much as classified under one diagnostic umbrella.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scribe the craniofacial configurations of class II division 1 and 2, and consequently to discriminate the morphologic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alocclusion groups in Korean sample. Lateral headfilms of 34 class II division 1 and 29 division 2 were employed, while those of 142 adults of normal occlusion served as a control. The landmarks were digitized and 26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for one way: 1. There manifest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xillary position anteroposteriorly. Normal occlusion group exhibited most anteriorly positioned mandible, whereas class II division 1 showed the most retroposition. Class II division 1 disclosed clockwise rotation tendency of mandible, which resulted in position of the chin posteriorly. 2. Class II division 1 showed greater in SN to MP, SN to PP significantly than other groups. 3. Class II division 2 showed smaller gonial angle and larger mandibular body length than other groups. 4. Class II division 1 revealed greater anterior lower face height than other groups, whereas division 2 dictated significantly greater posterior face height. 5. Class II division 2 expressed the most retroclined lower incisor, while division 1 manifested the most proclination. The largest interincisal angle resided in Class II division 2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upper molar position anteroposterio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